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소아 식품알레르기의 연구 현황과 과제

        안강모 ( Kangmo Ahn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18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6 No.S

        Food allergy is an immune-mediated adverse reaction that occurs mainly by consumption of food. Some of the children with food allergies have mild symptoms like urticaria and pruritus, while others manifest fatal symptoms like anaphylaxis. Many cases develop in infants and children, and disappear spontaneously over time. The prevalence of food allergy is known to be up to 6% of children and 3%-4% of adults. Growing concern is that prevalence of food allergy seems to be increasing. The prevalence, common allergens and natural course of food allergy vary according to the race, age, eating habits, and unknown factors. In Korea, many researchers have reported regional data on food allergy for comparison with those of foreign countries. Awareness is increasing and food labelling is being established to help people avoid allergenic foods. In the future, monitoring of prevalence and common food allergens at regular intervals is needed to make appropriate policies for children with food allergy. There are still lack of data on pathogenesis, natural course and clinical trials of immunotherapy in Korean childre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form a consensus on primary prevention of food allergy by early exposure to allergenic foods. Further regional studies should be performed to expand our understanding of food allergy and to lead to proper management for Korean children with food allergy.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8;6 Suppl 1:S44-51)

      • KCI등재

        학령기 아동의 식품알레르기 유병률과 식품 알레르겐 감작률 조사

        이혜숙 ( Hye Sook Lee ),홍성철 ( Sung Chul Hong ),김정홍 ( Jeong Hong Kim ),김재왕 ( Jae Wang Kim ),이근화 ( Keun Hwa Lee ),이재천 ( Jae Chun Lee ) 대한보건협회 2014 대한보건연구 Vol.40 No.3

        연구목적 :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식품알레르기 유병률과 식품 알레르겐의 감작률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1년 4월부터 5월까지 제주지역 3개 초등학교 1, 2학년 1,189명을 대상으로 ISSAC 설문지를 이용한 자기기 입식 설문조사와 12종의 식품 알레르겐에 대해 피부단자시험(Skin Prick Test)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 학령기 아동의 “평생 식품알레르기 증상 유병률(Food Allergy, ever)”은 10.5%, “최근 식품알레르기 증상 유병률 (Food Allergy, last 12 mo)” 4.8%, “평생 식품알레르기 진단 유병률 (Diagnosis of Food Allergy, ever)”5.8%, “최근 식품알레르기 치료 유병률(Treatment of Food Allergy, last 12 mo)” 2.6%로 타 지역 소아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1개 이상의 식품알레르겐에 감작률을 보인 경우는 3.7%로 남자(4.8%)가 여자(2.5%)보다 감작률이 유의하게 높았다(p=0.043). 가장 높은 감작률을 보인 식품 알레르겐은 새우(1.1%), 계란흰자(0.6%), 홍합(0.5%), 계란노른자(0.4%), 우유(0.4%) 순이었으며, 식품알레르기증상 발생에 연관이 있는 알레르겐은 계란흰자, 계란노른자, 참치, 닭고기, 대두 등이었다. 다변량 분석결과, 식품알레르기 발생과 가장 관련이 있는 원인 식품은 계란이었으며, 계란에 감작되었을 때 식품알레르기 발생 위험도가 10.5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제주지역 학령기 아동의 식품알레르기 유병률은 다른 지역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2008년도에 비해 증가 추세를 보였다. 가장 높은 감작률을 보인 것은 계란이었으며, 학령기 아동의 식품알레르기 발생의 주요 원인 식품으로 확인되었다. 추후에도 각 지역사회 혹은 학교단위 별로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정기적인 역학조사와 함께 맞춤형 교육이 필요하다. Objectives : This study is to survey school-aged children``s prevalence of food allergy and to investigate sensitization rates to common food allergens. Methods :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and skin prick tests with 12 food allergens were applied to school children in Jeju, Korea. From 3 elementary schools, 1,189 children were enrolled with informed consent. Results : The lifetime prevalence of self-reported food allergy were 10.5%. The period prevalence of self-reported food allergy(last 12 months), the lifetime prevalence of clinician-diagnosed food allergy and the period prevalence of clinician-treated food allergy(last 12 months) were 4.8%, 5.8% and 2.6%, respectively. The sensitization rate to one or more food allergens was 3.7%. Male(4.8%) showed more sensitized than female (2.5%)(p=0.043). Shrimps(1.1%), egg white(0.6%), mussels(0.5%), yolk(0.4%) and milk(0.4%) were commonly sensitized food allergens. The commonly associated allergens in the lifetime prevalence of food allergy include egg white, yolk, tuna, chicken and soybeans. The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the allergens most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lifetime prevalence of food allergy were eggs, showing the risk of food allergy was 10.53 times higher in the cases with sensitization to egg. Conclusion : Compared to those in other regions, the school-aged children in Jeju show no difference in the prevalence of food allergy, but, with a gradual increase in frequency. Among the food allergens, egg is one of the most commonly sensitizing allergen as well as cause of food allergy. Serial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s and customized educational programs concerning food allergy are necessary at school.

      • SCIESCOPUSKCI등재

        Food allergy knowledge, perception of food allergy labeling, and level of dietary practice

        Yongmi Choi,Seyoung Ju,Hyeja Chang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15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Vol.9 No.1

        BACKGROUND/OBJECTIVES: The prevalence of food allergies in Korean children aged 6 to 12 years increased from 10.9% in 1995 to 12.6% in 2012 according to nationwide population studies. Treatment for food allergies is avoidance of allergenic-related foods and epinephrine auto-injector (EPI) for accidental allergic reactions. This study compared knowledge and perception of food allergy labeling and dietary practices of students. SUBJECTS/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fourth to sixth grade students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Yongin. A total of 437 response rate (95%)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The prevalence of food allergy among respondents was 19.7%, and the most common food allergy-related symptoms were urticaria, followed by itching, vomiting and nausea. Food allergens, other than 12 statutory food allergens, included cheese, cucumber, kiwi, melon, clam, green tea, walnut, grape, apricot and pineapple. Children with and without food allergy experience had a similar level of knowledge on food allergies. Children with food allergy experience thought that food allergy-related labeling on school menus was not clear or informative. CONCLUSION: To understand food allergies and prevent allergic reactions to school foodservice among children, schools must provide more concrete and customized food allergy education.

      • Management of Food Allergy: Food Allergy Management Guideline 2005 by National Food Allergy Research Group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Labor

        ( Motohiro Ebisawa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06 천식 및 알레르기 Vol.26 No.3

        In October 2005, we released Food Allergy Management Guideline 2005. To cover food allergy from infancy to adulthood, the project committee included not only pediatric researchers, but also internists, dermatologists, and otolaryngologists. The guideline concept was to utilize the data accumulated by the National Food Allergy Research Group, to be plain and as short as a pamphlet, and to be released on internet. The most glowing argument was about relation between infantile atopic dermatitis and food allergy, and how it should be treated in the guideline. To avoid neither overvaluation nor undervaluation, fastidious care was given to the denotation. With the definition of infantile atopic dermatitis associated with food allergy, both dermatologic and pediatric members of the project committee finally came to agreement, which was a landmark between dermatologists and pediatricians in Japan. The guideline explains fundamentals with the least paragraphs and with tables and figures as many as possible. Flowcharts are made largely as a composition in the parts of diagnosis and treatment. I really hope that this guideline is useful for Korean doctors involved in food allergy and that quality of life of food allergy patients and their parents are improved.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006;26:177-185)

      • KCI등재

        하남시 영유아 보육시설의 식품알레르기 현황 조사 - 100인 미만의 어린이 급식소를 중심으로 -

        조우균,김진아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15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20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o manage food allergy of pre-school children, focusing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food allergy in childcare facilities in Hanam which have less than 100 children. Methods: Targeting 159 preschool childcare facilities, survey was carried out for a month in March, 2015. Recovery rate was 66.7%. 106 surveys out of 159 were available for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al program version 19.0. Results: Among 106 facilities, 58 (54.7%) reported that none of their children had a food allergy and 48 (45.3%) reported one more children had a food allergy. Total number of children having a food allergy was 71. Among them, the occurrences of food allergy in males were significantly more than that of the females (p < 0.001). Further, children under 2 years of age had significantly more food allergy than the other ages (p < 0.001). The allergic inducing foods were nuts (23.3%), egg (17.8%), milk and dairy products (16.4%), fish and shellfish (13.7%), instant foods (12.3%), fruits (8.2%), soybean (4.1%), meat (2.7%), and cereals (1.4%) in order, and 6 children out of 71 were allergic to more than 2 food items. The clinical symptoms of the food allergy were a skin reaction (87.9%) and an oropharyngeal & respiratory reaction (12.1%). Majority of childcare facilities (80.3%) didn't serve alternative foods for children with food allergy. Necessity for food allergy educ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acilities with food allergy issues than without such issues. Conclusions: The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need to educate workers of childcare facilities and parents about managing food allergy and enforce a plan to provide alternative menu to children with food allergies.

      • KCI등재

        식품 알레르기와 식생활 태도 인식 - 전남지역 일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

        오미애,정난희,김수경,전은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f food allergies and dietary attitud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food allergy symptoms, they responded ‘skin trouble’ 63.6% the most. For the causing foods of allergies, they responded, ‘I don't know the causing foods’ 33.5%, ‘I was diagnosed’ 51.0%, ‘I was treated’ 63.9%, and therefore ‘I restricted foods’ 53.5%, due to ‘I restricted foods through hospital diagnosis’ 40.5% the most. For family history, 67.9% responded the family history matters. 70.3% responded the seasons would not affect to the symptoms. 64.1% responded the cause of food allergy is specific foods. For allergy solution, they responded, ‘I don't use any treatment’ 42.8% the most. For effective treatment, they responded, ‘I restricted causing foods’ 45.1% the most. Recognition of food allergies by food allergy experie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tems such as ‘have heard or known about food allergies’(p<.001), ‘whether participated in consultation and training’(p<.001), ‘problems of growing children when putting limits on causing foods’(p<.001), ‘interests in getting information about food allergy’(p<.001), ‘feeling the needs of allergy education about careful foods’(p<.01), ‘wish for schools to be educated’(p<.01). Dietary attitudes by food allergy experie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son of unbalanced diet(p<.001). 본 연구는 전남 나주지역 초등학생 5, 6학년을 대상으로 식품 알레르기 특성을 알아보고, 식품 알레르기 경험에 따라 식품 알레르기와 식생활 태도 인식을 비교하여 학교급식에서 알레르기 학생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식품 알레르기 증상으로는 ‘피부’가 가장 많았고, 알레르기 원인 음식으로는 ‘원인 식품을 모른다’가 33.5%이었으며, 의사의 진단을 받은 경우는 51.0%이었고,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경우는 63.9%이었으며, 이로 인해 식품을 제한하고 있는 경우는 53.5%, 식품을 제한하게 된 동기는 병원진단을 통해서가 40.5%로 가장 많았다. 식품 알레르기 가족력은 ‘없다’가 가장 많았고, 식품 알레르기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는 계절은 ‘계절과 상관없다’가 가장 많았다. 알레르기에 영향을 주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특정 식품이나 음식이 64.1%로 가장 많았고, 알레르기에 대처하는 방법은 ‘별다른 대처를 하지 않는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식품 알레르기 예방 치료 방법으로 ‘원인 식품을 제한한다’가 45.1%로 가장 많았다. 둘째, 식품 알레르기 경험에 따른 식품 알레르기 인식에서는 ‘식품 알레르기에 대하여 알고 있거나 들어본 적이 있는지 유무’, ‘식품 알레르기 상담 및 교육 참여 여부’, ‘알레르기 원인 식품을 제한해서 나타나는 성장기 아동의 문제점’, ‘식품 알레르기에 관한 학교급식 알림판 정보 제공 관심 여부’, ‘알레르기 주의 식품에 대한 교육 필요 여부’, ‘식품 알레르기와 관련하여 학교에 바라는 점’ 항목에서 식품 알레르기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식품 알레르기 경험에 따른 식생활 특성은 편식하는 이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하루 식사, 특정 식품 편식, 주된 간식에서는 식품 알레르기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KCI등재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경남지역 제과제빵 종사자들의 인식도 조사

        김솔아,이정은,조성래,장지윤,심원보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18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경남지역의 제과제빵 종사자들의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인식수준을 조사하고 이것을 바탕으 로 식품 알레르기 인식 개선 및 관리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경남지역의 제과협회에 등록된 업체 대표자 및 종사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는 식품 알 레르기와 제과제빵의 연관성, 개발 시 식품 알레르기 고려 여부, 식품 알레르겐 다량 함유 여부, 유발 원인 및 알 레르기 증상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작성 되었다. 102개 업체에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그 중 67.7%(69개/102 개) 업체로부터 설문지가 회수 되어 통계 분석에 사용하 였고 수집 된 69개의 설문결과에 따르면 식품 알레르기에 대하여 알거나 들은 경험이 있는 제과제빵 종사자는 87%(60 명/69명)으로 대부분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 부 13%(9명/69명)의 종사자가 경험이 없다고 답하였다. 그 러나 제조과정 중 식품 알레르기를 ‘고려한다’ 73.9%(51 명/69명) 수준으로 응답했지만 식품 알레르겐과 식품 알 레르기 증상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대부분 알지못했 다. 제과제빵 종사자들을 위한 식품 알레르기교육 참가 여 부에 대해 ‘매우 그렇다’ 30.4%(21명/69명), ‘그렇다’ 40.6%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confectionery bakers working in Gyeongnam province for food allergy and to find ways to improve and manage food allergy in confectionery and bakery.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general questions and other questions related to food allergy in confectionery and bakery, and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bakers working in Gyeongnam. Sixty nine of 102 confectioneries and bakeries responded to this study, and 60 (87.0%) out of 69 people were aware or had heard about food allergy. However, 54 (78.3%) out of 69 lacked prior education about the management of food allergy. Fifty one (73.9) of 69 people responded that they strongly considered food allergy in the manufacture of the products, but they were not educated about the management of food allergens and symptoms of food allergy. Confectionery bakers were aware about food allergies, but did not label food allergen on the products and have a specific management for food allergens at the work sit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confectionery bakers about food allergy and to develop and distribute a manage program of food allergens in the field. The result from the present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investigation of awareness for food allergy of confectionery bakers working in Korea.

      • KCI등재

        식품 알레르기 아동의 보호자를 위한 식품 정보 검색 서비스 디자인 연구

        이지수,강연아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0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9 No.3

        Background : In order to prevent food allergy accidents, it is important for food allergy patients to accurately check the ingredients of the foods they consume to avoid consuming allergy antigens. However, many food-allergic patients find it difficult to read food labels and experience allergic accidents because they misread information. By age, children under the age of 10 have the most food allergy accidents.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various methods for preventing food allergies in children, there has been a lack of service research to help them find foods that do not contain particular allergy antigens.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double-diamond design process. First, the behaviors of the guardians of children with food allergies were observed while they were checking food labels. Second, the problems and needs of guardians of children with food allergies were analyzed, their personas were defined, and a user journey map was created. Third, a prototype was made to visually convey the service concept and service functions derived from the ideation phase. Fourth, user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and the degree to which the service resolved their problems was checked. Result :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uardians of food-allergic children experience many pain-points when checking food information in food purchasing environments. They evaluated the service positively, indicating that it addressed their needs. Implications for the understandability and reliability of food information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designing services for guardians of food-allergic children are presented in the paper. Conclusion : Unlike the preceding studies which emphasized the improvement of food allergy awareness as a way to prevent food allergy accidents, this study proposed measures to manage allergies through a serv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users gain access to safe foods that do not contain their own allergy antigens through a service. it was also meaningful in that it contributed to the safety of the diets of those suffering from food allergies. 연구배경 : 식품 알레르기 환자는 식품 알레르기 사고 예방을 위해 식품의 원재료 성분을 정확히 확인해서 본인이 보유한 특정 알레르기 항원을 먹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많은 식품 알레르기 환자는 가공식품을 읽고 해석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잘못된 정보 습득으로 알레르기 사고를 경험한다. 연령별 식품 알레르기 환자 중 만 10세 미만의 아동에게 가장 많은 식품 알레르기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선행 연구에서 식품 알레르기 아동의 알레르기 예방을 위해 여러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만, 환자 개인이 보유한 알레르기 항원이 함유되지 않은 식품을 탐색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서비스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더블 다이아몬드 디자인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Discover 단계에서 식품 알레르기 아동의 보호자가 식품을 구매하는 환경에서 식품 정보를 확인하는 행동 패턴을 관찰하였다. 둘째, Define 단계에서는 식품 알레르기 보호자의 문제, 니즈 및 인사이트를 분석하여 퍼소나를 정의하고 사용자 여정 지도를 제작하였다. 셋째, Develop 단계에서 아이디에이션 과정을 통해 도출한 서비스 컨셉과 정의한 기능을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프로토타입으로 제작하였다. 넷째, Deliver 단계에서는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확인하고 서비스의 문제점을 개선해나갔다. 연구결과 : 본 연구는 식품 알레르기 아동의 보호자가 식품 구매 환경에서 식품 정보를 확인할 때 많은 Pain-point와 니즈를 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반영하여 디자인한 서비스의 사용자 평가에서 식품 알레르기 아동의 보호자는 본 서비스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식품 알레르기 아동의 보호자를 타깃으로 서비스 디자인 시 고려해야 할 식품 정보의 이해도와 신뢰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식품 알레르기 사고 예방 방안으로 개인의 식품 알레르기 인지도 향상을 강조해왔던 선행 연구와 다르게, 서비스를 통한 알레르기 관리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사용자가 서비스를 통해 알레르기 항원이 함유되지 않은 안전한 식품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데에 기여할 것이다. 더 나아가, ‘식품 알레르기’라는 특수한 도메인에서 사용자의 안전한 식생활에 기여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A Study on Food Allergy Practices of Dietitians at Schools in Korea

        Yeonsoo Kim(김연수),Eunji Park(박은지),Yunsook Lim(임윤숙) 한국웰니스학회 2014 한국웰니스학회지 Vol.9 No.4

        최근들어 성장기 아동과 청소년의 건강과 웰빙이 성인기까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치명적인 위험을 동반한 국내 식품 알러지 발생 빈도가 증가하면서 학교 급식에서 식품 알러지 교육 및 실행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학교 급식을 담당하는 영양사들의 식품 알러지와 알러지 발생시 위험에 대처하는 방법들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평 가하고 학교내 식품 알러지 발생시 이에 대처하는 방법 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시내의 144개교 학 교 급식 영양사를 대상으로 식품 알러지에 대한 지식과 식품 알러지 관련 실태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로는 급식 영양사들의 식품 알러지에 대한 지식과 태도는 각각 15점 만점에 10.1, 30 점 만점에 22.6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 대상자의 45%만이 학생들 이 가지는 식품 알러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단지 21% 만이 대상 학생이나 학부모들에게 식품 알러지에 대 한 교육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구 대상자들이 근무하는 학교의 10% 만이 식품 알러지를 가지는 학생들에게 대체 식단을 제공하고 있었으며, 학생들 사이에서 식품을 공유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조리 종사자들의 라텍스 장갑 사용을 금지 하는 등에 대한 식품 알러지 예방 규칙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현재 국내 학교 급식에서 식품 알러지에 대한 관리가 부족한 실정이며,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 부와 학교의 노력이 더욱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 prevalence of food allergies has been increasing and food allergy management programs were implemented at schools in Korea to increase public awareness of food allergies and to educate students on the topic of food allergies for their healthy lives and wellness.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dentify and to evaluate dietitian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food allergies, risk-taking behaviors, and coping strategies with the ultimate goal of protecting against and managing food allergies at school.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144 dietitians at schools located in Seoul, Korea. A survey was used to measure dietitians' knowledge and practices with respect to food allergies. Dietitians' knowledge and attitude scores with regard to food allergies were 10.1 out of 15 and 22.6 out of 30,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only 45% of dietitians conducted a survey to identify students with food allergies, and only 21% provided education concerning food allergies, mainly to students with food allergies and their parents. Moreover, only 10% of dietitians offered food substitutions as a strategy to avoid food allergies and did not implement a policy of no sharing foods among students and no use of latex gloves for food service workers when they prepared food substitutions. It seems that the current management of food allergies in school meal service is not sufficient.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could be used to improv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food allergies at school.

      • KCI등재

        전남지역 초등학교와 중학교 영양(교)사의 식품알레르기 관련 업무에 관한 인식 및 수행도

        김영미(Young-Mi Kim),허영란(Young-Ran Heo),노희경(Hee-Kyong R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1

        본 연구는 전남지역 학교 급식에서의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관리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남에 근무하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영양(교)사 236명을 대상으로 식품알레르기 업무에 관한 인식과 수행도 및 지식수준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품알레르기 업무 우선순위에 대한 인식은 초등학교와 중학교 영양(교)사 모두 식품알레르기 유병 학생 파악, 제거식?대체식 제공, 식품알레르기 표시 식단표 게시 및 발송, 교직원 및 조리종사원 교육과 학생?학부모 교육 순이었다. 전남지역 영양(교)사의 89.3%가 식품알레르기 관련 영양교육 및 상담 자료가 충분치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교육 및 상담 자료는 스스로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활용하는 경우가 전체 평균 55%로 가장 많았다. 또한 식품알레르기 학생 관리에 대한 영양(교)사의 역할에 대해서는 전체 대상자의 94.0%가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자신의 식품알레르기 지식 및 이해수준은 초등학교 영양(교)사 37.1%, 중학교 영양(교)사 42.4%가 40~60% 정도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식품알레르기에 관한 업무 수행도는 식품알레르기 표시 식단표 게시 및 발송(63.6%), 식품알레르기 유병 학생파악(43.2%), 대체식 및 제거식 제공(23.7%), 식품알레르기 교육 및 상담실시(19.9%) 순이었으며, 이들 식품알레르기 관련 업무 우선순위와 수행도 사이에는 차이가 있었다. 한편 식품알레르기 유병 학생 파악 업무(P<0.001), 식품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 식단표의 게시 및 발송 업무(P<0.05) 수행도는 초등학교가 중학교 영양(교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문항에 대한 정답률은 초등학교 영양(교)사 71.5%였고, 중학교 영양(교)사 65.8%로 초등학교 영양(교)사가 유의하게 높았다(P<0.01). 식품알레르기 관련 교육 및 연수 이수율은 전체 조사대상자의 16.9%로 매우 낮았으며, 식품알레르기 교육 수강여부는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지식 문항 정답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전남지역 초등학교와 중학교 영양(교)사의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업무 우선순위, 영양(교)사의 역할 중요도, 연수 요구도 등에 대한 인식은 높은데 비하여, 업무 과다, 교육 자료 및 연수 기회 부족 등으로 식품알레르기에 관한 업무 수행도는 부분적으로 미흡하였고 지식수준은 분야에 따라 미흡한 상태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들은 학교 급식에서 식품알레르기 관련 업무에 대한 수행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영양교사의 인식수준에 부합하는 체계적인 양질의 교육과 연수 기회 제공, 학생 스스로의 식품알레르기 관리와 예방을 위한 영양교육 시수 확보 및 단위학교에 적합한 식품알레르기 관리 매뉴얼의 제작 보급이 우선적으로 필요함을 시사한다. As concerns have been raised about the increasing number of children with food allergies, the management of food allergies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school meals is an emerging issu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and practices regarding food allergy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nutrition teachers in the Jeonnam area. A total of 236 nutritionists/nutri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completed questionnaires. The foods most reported to cause allergic reactions were peach, eggs, peanuts, shrimps, mackerel, and milk.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 major tasks to be completed for management of food allergies: the estimated number of students with food allergies, the offering of allergy-free or alternative foods and informing families of foods that may cause an allergic reaction. A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94%) recognized that the nutrition teacher has the primary role in managing students with food allergies in school. To manage these students, nutrition teachers mostly reported informing of allergic foods/ingredients in the school menu and the estimation of students with food allergy. The percentage of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education programs on food allergies was 16.9%, whereas 97% of participants answered that a good professional education regarding allergies for nutrition teachers is required. The knowledge level evaluated with objective question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elf-estimated knowledge level. In conclusion, nutrition teachers understood the tasks regarding food allergy thoroughly and that, the tasks are relatively under-practiced.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food allergies in school meals, professional education programs regarding food allergies should be provided for nutrition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