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CT 활용 체험학습 연구동향 분석

        김선영(Sun Young Kim),김영환(Yong Hwa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6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 basic data for developing the ICT-applied experiential learning system while analyzing research trend analysis related to ICT and experiential learning in Korea. For this objective, 75 research articles were selected fom RISS published from 2000 to 2014. The major outcomes are as follows: First, during last 14 years, the number of research on ICT-applied experiential learning has increased steadily. Second, the sociology related subjects are the most popular field of research. Third, most of the experiential learning was done inside of school rather than outdoor activities. Forth, among ICT types, leaning content was mostly used. Fifth, for experiential learning, most of the ICT was designed in presentation style. It was recommended to utilize ICT for divergent experiential learning, to adapt ICT-based experiential learning to more outdoor related activities, to do more research for developing better ICT devices for the experiential learning, and to make sustainable contents. 본 연구의 목적은 ICT를 활용한 체험학습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계 속 증가하고 있는 체험학습과 ICT의 효과적인 연계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자료 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4년까지 학술지 논문 75편을 대상으 로 다섯 가지 분석 준거에 의해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체험학습에서 ICT를 연계한 ‘ICT 활용 체험학습’의 양이 2004년 이후 계 속 증가하고 있었다. 둘째, 과목별로는 역사·문화·사회과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 다. 셋째, ICT활용 체험학습은 주로 학교내에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그 숫자는 계 속 증가하고 있지만 교외환경에서 그 활용은 ‘06년 이후 미미했다. 넷째, ICT 개발 유형별로는 학습자들의 학습진도관리가 가능한 학습자관리형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가상체험과 시뮬레이션등이 가능한 체험형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체험학습 활동에 자료를 제공 및 생산하기 위한 ICT 활용 유형으로는 제시 형과 상호작용형이 같은 비율로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향후 연 구 과제로, 다양한 교과 영역에서 ICT 활용 체험학습 활성화, 교내뿐 아니라 현장 체험 활동의 활성화, 체험학습의 특성을 고려한 ICT관련 하드웨어 요소 연구 활성 화,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체계적인 자료의 생산과 관리 지원의 활성화 등을 제시하 였다.

      • 국내 경험회피 연구동향 : 주요 상담 및 심리학 관련 학술지를 중심으로

        고예주(Ye Ju Ko)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2019 상담교육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국내 주요 상담 및 심리학 관련 학술지를 중심으로 국내 경험회피 연구 동향을 분석한 논문이다. KCI에 등재된 국내 주요 상담 및 심리학 관련 학술지 논문 41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 통계분석, 측정도구, 연구변인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주요 상담 및 심리학 관련 학술지의 경험회피 연구는 2007년부터 2018년까지 꾸준히 게재되었고 2014년부터 증가하다 2018년에는 감소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경험회피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되었다. 연구방법은 양적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주제는 변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 경험회피 연구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측정도구는 AAQ(수용-행동 질문지)로 나타났다. 경험회피의 연구변인별 동향은 독립변인 6편, 조절변인 4편, 종속변인 2편, 매개변인 22편으로 매개변인이 주를 이루었다.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규명한 연구에서 종속변인은 정서, 관계, 정신병리, 중독, 외상, 진로의 범주로 구분될 수 있었으며 이 중 정서관련 변인을 종속변인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f experiential avoidance in South Korea. Methods: For this purpose, 41 papers published in KCI(Korea Citation Index) accredited journal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research topics, scales, and variables. Resul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tudies of experiential avoidance published in the main counseling and psychology journals have been conducted annually from 2007 to 2018.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much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on university students, and most of the studies were designed with quantitative researches. Furthermore, the research of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was mostly selected and studied amongst others. The most frequently used scales measuring experiential avoidance was AAQ. Meanwhile, there were 6 studies using experiential avoidance as an independent variable, 4 studies as a moderating variable, and 22 studies as a mediating variable. When experiential avoidance is used as a mediating variable, dependent variables can be divided into emotion-related, relation-related, psychopathology-related, addiction-related, trauma-related, career-related, other related variables. Emotion-related dependent variables have been the most frequent variable when experiential avoidance was the mediating variable.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mentions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review.

      • KCI등재

        융복합 연구를 통한 교양외국어교육 현실체감 EXALL 콘텐츠 개발 제안

        김재경,문은주,박영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uthentic EXALL (Experiential Awareness Language Learning) contents that realizes experiential awareness of real situations for effective foreign language learning through a convergence-based study of IT and language learning. The traditional language learning is mostly based on virtual experience and there is a limit to acquiring the language in real-world situation. To this end, we propose a way to collect learners’ authentic data by utilizing smart device such as smart phones, smart pads or smart watches, and to present the big data or information as experiential awareness contents through context sensing technology. In other words, English sentences reflecting the real-life situations can be presented by receiving the authentic data using smart device and recognizing those data via situation recognition technology. In addition, w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IT technology for more effective convergence research, and constructed a PSE experiential awareness curriculum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PSE (Person, Situation, Environment) into language learning. Furthermore, the data from SNS such as Facebook and Kakao Talk were used to present authentic English that reflects the real-life situations.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the pedagogical and technological effects and use of the EXALL (experiential awareness language learning) contents developed through convergence research. 이 논문의 목적은 외국어를 효과적으로 학습하도록 IT와 언어의 융복합적 연구를 통해 실제 상황(real situation)을 현실체감(experiential awareness)하는 현실체감형 EXALL(Experiential Awareness Language Learning)콘텐츠 개발을 제안하는 데 있다. 기존의 언어학습은 가상 체험(virtual experience) 중심이라 실제 상황에서 언어를 습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위해 스마트기기(smart devices)인 스마트 폰이나 스마트 패드 혹은 스마트 워치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현장 데이터를 얻으며 그 빅데이터나 정보를 상황인지 기술을 통해 현실체감형 콘텐츠로 제시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즉 스마트 기기로 현장인식 데이터들을 상황인지 기술로 인식하여 현장을 반영한 영어 문장들을 제시하는 것이다. 효율적인 융복합 연구를 위해 IT 기술 현황을 살펴보고 그에 기반하여 언어학습에 PSE(Person, Situation, Environment) 개념을 도입하여 PSE 현실체감형 언어 커리큘럼을 구성하였다. 아울러 페이스북이나 카카오일정 등의 SNS 데이터를 활용하여 현실체감적인 실제 문장들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융복합 연구로 개발하는 현실체감적 언어콘텐츠의 교육적, 기술적 효과를 고찰하고 그 활용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메타버스 연구동향과 교육적 제안

        황영아,한혜영 한국미래교육학회 2022 미래교육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suggest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education through content and keyword network analyses for 105 research articles related to metaverse in Korea. The research procedure was conducted in the stages of 'data collection', 'content analysis',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stribution of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was high in the field of art with the themes of design, content, media, etc. but low in the field of education. Secondly, the most frequent research types were in the order of qualitative, theoretical, quantitative, practical, and mixed research. To add on, research related to metaverse was most actively conducted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Next, as a result of keyword network analysis, metaverse, VR, virtual world, COVID-19, AR, immersion, and storytelling showed high results in both frequency and degree centrality analyses, confirming that they are the main and recent research topics of the metaverse. Finally, digital human, ZEPETO, and motion capture show relatively high results in betweenness centrality compared to degree centrality, confirming the potential for expansion of future research topics.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big data that can be used in the future education field must be accumulated, and various experiments are requir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In addition, the need for expanding research on learning content design strategies that can effectively deliver a sense of immersion through experiential situation of learners was derived. For the pedagogical application of metaverse, collaboration between education and interdisciplinary fields should be conducted, and strategies and methods for future education should be presented through case studies on various metaverse platforms. Finally, it was suggested that continuous user education be required for instructors to alleviate the gap between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metaverse technology in the educational field.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메타버스 관련 105편의 학술논문들을 대상으로 내용분석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미래 교육에 대한 방향성과 시사점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절차는 ‘자료수집’, ‘내용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단계로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의 분포도는 디자인, 콘텐츠, 미디어 등을 주제로 하는 예술분야에서는 높았으나 교육분야에서는 낮았다. 둘째, 연구유형은 질적연구, 이론적 연구, 양적연구, 실천적 연구, 혼합연구의 순으로 많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과학 분야에서 메타버스와 관련된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넷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metaverse, VR, virtual world, COVID-19, AR, immersion, storytelling이 빈도분석과 연결중심성 분석에서 모두 높은 결과를 나타내어 최근 메타버스가 주요 연구주제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digital human, ZEPETO, motion capture는 연결중심성에 비해 매개중심성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어 향후 연구 주제에 대한 잠재적 확장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교육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빅데이터의 축적 및 교육 효과성을 입증하기 위한 다양한 실험들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학습자의 체험적 경험을 통한 몰입감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학습 컨텐츠 설계 전략에 대한 연구 확대에 대한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메타버스의 교육적 적용을 위해 교육학과 다른 학제 간 융합연구는 필수적이며, 다양한 메타버스 플랫폼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미래교육을 위한 전략과 방법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육현장에서의 메타버스 기술에 대한 이해 및 활용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사용자 교육이 요구된다고 제안하였다.

      • KCI등재

        선물의 제품 유형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구매 후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유재(You Jae Yi),차문경(Moon-Kyung Cha) 한국마케팅학회 2013 마케팅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선물의 제품 유형(체험재 vs. 물질재)이 구매 후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그 메커니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물 구매에 대한 만족을 시간의 흐름에 따른 동태적 차원에서 파악하고자 구매 당시의 만족과 일정시간이 흐른 후의 만족을 모두 측정하여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변수들 간의 관계를 다각적으로 조망하기 위해 정량적 연구 방법과 정성적 연구 방법을 결합한 통합적 접근방식을 통해 연구 주제에 접근하였다. 분석 결과, 구매 목적에 따라 만족의 경향성이 역전된다는 사실이 포착되었다. 연구 1에서 서베이 응답자들은 자신을 위한 구매에서 체험재의 구매가 물질재 구매보다 소비자에게 상대적으로 큰 행복감을 준다고 응답하였지만, 타인을 위한 선물 구매에 있어서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물질재가 체험재보다 소비자를 만족시켜주는 것으로 나타나 만족의 역전 현상을 확인하였다. 이는 구매 당시의 만족에는 물질재와 체험재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지만, 일정 시간이 흐르면서 체험재의 만족이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2에서는 물질재 선물이 체험재 선물에 비해 더 큰 만족을 주는 이유를 밝히기 위해 심층면접을 수행하였는데, 물질재 선물이 우위를 지니는 원인은 물질재가 지닌 본연의 특성으로 인해 기억표지성(memory marking), 관찰용이성(observability)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강점을 지니기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어 연구 3에서는 기억표지성과 관찰용이성의 매개효과를 서베이를 통해 계량적으로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4에서는 실험을 통해 각각의 매개변수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독립적으로 인과관계를 지니는지 규명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동일 제품내에서도 제품이 지니는 기억표지성, 관찰용이성을 강화하여 만족의 수준을 높일 수 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제품 유형의 특성에 따라 선물구매에 대한 만족이 자신을 위한 구매와는 어떻게, 왜 달라지는지에 대한 심도 있는 통찰을 통해 연구자와 실무자 모두에게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이어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또한 논의하였다. Previous research has suggested that consumers will be happier if they spend their money on experiences as opposed to material possession. Then, will consumers feel more satisfaction with material products than with experiential products when they purchase gifts for others? It seems unlikely that experiential purchases make people more satisfied over time when it comes to buying a gift. Why do people derive more enduring satisfaction from buying material gifts?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experiential gift market considering its growth potential. most of the gift-giving research to date has focused on material goods. This paper thus seeks to shed light on the mechanism behind satisfaction associated with material and experiential gift purchases. For this purpose, we have conducted four studies with an integrative approach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In Study 1. survey results show that material gifts give relatively more satisfaction, which is in direct opposition to the results of general purchase. This difference is caused by the decrease in satisfaction with experiential gifts over time. In Study 2, we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and found that material gifts hold a dominant position in memory marking and observability. and that these features make material gifts relatively more satis1ing to gift-givers. Study 3 confirms that memory marking and observability mediate the effect of product category on the current satisfaction through a survey. Finally, experiments in Study 4 demonstrate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wo mediating variables (memory marking and observability) and the current satisfaction with a gift purchase. The results of experiments also indicate that marketers can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by maximizing memory marking or observability of gifts even in the same product category. The research findings suggest many implications for marketers and researcher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idea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자문화기술지 연구 수행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김수안,김명찬 한국상담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5 No.4

        본 연구는 상담 대학원생들의 자문화기술지 연구 수행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자문화기술지 연구 수행 경험이 있는 7명의 상담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7개의 상위범주, 31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75개의 의미단위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상담 대학원생들에게 자문화기술지 연구는 ‘스스로 자신의 경험을 담을 수 있는 진솔한 연구방법’으로 경험되었으나, 한편 ‘갈등을 일으키는 연구 관문’과 ‘예상치 못한 난관과 극한의 고통’으로 인해 연구 진행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 그러나 ‘극복 의지와 지지 그리고 사명감이라는 버팀목들’에 의해서 연구를 지속할 수 있었으며, 연구 경험에게 가장 큰 도움이 되었던 ‘경험적 글쓰기로 생겨난 이해와 변화’를 경험하고, ‘인간적으로, 전문적으로 보다 깊어짐’을 경험하였다. 그러나 참여자들은 이러한 변화와 성장을 위한 ‘방법의 가치는 연구자의 몫’임을 강조하였다.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 그리고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n in-depth exploration of the experiences of counseling graduate students conducting autoethnography researc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counseling graduate students who had experience in this type of research. Applying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o the collected data, we derived seven upper categories, 31 lower categories, and 75 semantic units. The study revealed that counseling graduate students’ experience with autoethnography research encompasses elements such as ‘an honest research method allowing them to contain their own experiences,’ ‘a research gateway causing conflict,’ ‘unexpected hardships and extreme pain,’ ‘will to overcome, support, a sense of duty,’ ‘understanding and transformation through experiential writing,’ ‘deepening both personally and professionally,’ and ‘the method’s value is the researcher’s responsibility.’ The discussion cover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results and its limitations.

      • KCI등재

        교사의 정서적 자기이해 체험

        이영아 한국질적탐구학회 2020 질적탐구 Vol.6 No.2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experience a teacher had and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experience, as the teacher suffering from emotional difficulties in the school field came to understand himself by looking into his emotion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was based on Heidderger’s Dasein analysis and Gadamer’s educational hermeneutics, and van Manen’s experiential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procedure were applied. Research participants was a teacher with 12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participated in this study after receiving at least 10 educational analyses and emotional counseling in advance. The specific research procedure included collection of data such as participatory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denomination diary, and researcher’s study log and the contents of the experience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existential of van Manen. Then, based on the extracted results, hermeneutic circulation and expansion were applied to reinterpret the result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tents of the experience were defined that the teacher who experienced emotional self-understanding change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from self-confinement to self-opening. Furthermor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the research participant was defined as dramatic change in existence over time, showing that the teacher who used to be stuck to the past was able to see students in new perspectives and encounter new experiences, after experiencing emotional self understanding.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 who lived as non-existent beings became aware of being in the world in the present through the experience of emotional self-understanding. In the end, the teacher was able to find the meaning of life as “Being with I-You” to meet and grow together with students in respect and grown personality.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정서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던 한 교사가 자신의 정서를 통해 자기이헤를 체험하게 되면서 궁극적으로 어떠한 체험을 하게 되고, 그 체험의 본질적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이론적 배경은Heidderger의 현존재 분석과 Gadamer의 교육적 해석학을 토대로, van Manen의 체험 연구방법과 연구절차를 적용하여 살펴 보았다. 연구참여자는 12년 경력의 교사로 사전에 10회 이상의 교육분석과 정서중심 상담을 받은 후에 연구에 참여하였다..구체적으로 연구절차는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교단일지, 연구자의 연구 기록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van Manen의 실존체를 적용하여 체험의 내용을 분석하고 나온 결과를 바탕으로 해석학적 순환과 확장을 통해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체험의 내용은 정서적 자기이해를 체험한 교사가 과거에서 현재로, 자기 폐쇄성에서 자기 개방성으로 변화하는 과정이 드러났다. 나아가 체험의 의미는 시간에 따른 존재의 역동적 변화로 나타났는데, 과거의 시간에 얽메여 살아가던 교사가 정서적으로 자기이해를 체험하면서 새롭게 학생들을 발견하고 진정한 만남을 경험하는 것으로 탐색되었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론은 비본래적 존재로 살아가던 한 교사가 현존재로서 정서적 자기이해 체험을 통해 세계-내 존재됨을 인식하게 되고 마침내 공동체의 인간성인 ‘사이존재’로서 학생들과 인격적으로 만나고 함께 성장하는 삶의 의미를 찾게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사이버 금융사기의 체험적 사례 연구: 구체적 과정과 대책을 중심으로

        한동호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8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4 No.1

        This study is an experiential case study of cybercrime fraud that combines pharming and voice phishing in April 2017. Research on victims who have actually suffered in the study of crime or disaster is a very useful field in establishing crime prevention measur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Korea is relatively poor in this kind of research. I got cyber fraud as a consequence of my loss of reasonable judgment due to mental confusion when a companion dog who was raised for 8 years was in a very dangerous situation with cystitis. Fortunately, I received all the damages in a quick report, but the period was eight months. It took too much time to get back all the damages, so I had to suffer another pain. Based on my experience, I suggest damage prevention measures. First, when a certain condition and a certain amount are transferred, the transaction is automatically stopped or a more strict confirmation procedure is added. Secondly, trafficking means to arrest the perpetrator without any harm to the victim is sought. Third, the victims of crime should be promptly reimbursed for damages or a system for lending their living funds to zero or lower interest rate. 본 연구는 필자가 2017년 4월에 실제로 당했던 파밍과 보이스피싱이 결합된 사이버 금융사기에 대한 체험적사례연구이다. 범죄나 재난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실제 피해를 입은 피해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범죄예방대책을 수립하는 데 매우 도움이 되는 분야이다. 한국은 상대적으로 이런 연구가 매우 빈약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필자는 8년을 키워 가족이 된 반려견이 방광염으로 매우 위험한 상황에 처했을 때, 정신적 혼란으로 합리적 판단력을 상실하는 상태에 빠진 결과 사이버사기를 당했다. 다행히도 빠른 신고로 피해액을 모두 돌려받았으나 그 기간이8개월이나 되었다. 피해액을 모두 돌려받는데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린 결과 또 다른 고통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필자의 경험에 비추어 피해예방대책을 제안한다. 첫째, 일정한 조건과 일정한 금액이 이체될 경우 자동적으로 거래가 중지되거나 더 엄격한 확인절차를 추가한다. 둘째, 피해자에게는 피해가 없고 범인을 체포할 수 있도록 하는 함정거래수단을 강구한다. 셋째, 범죄 피해자에게 피해액의 조속한 상환을 하거나 생활자금을 무이자나 저리로 대출해주는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

      • KCI등재

        구술기억자료의 체험주의적 해석과 학술적 가치

        표인주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8 호남학 Vol.0 No.64

        First, the memory about the question what is memory is the thing try to currentize the past thing which person experienced, and it takes important role to transmit culture to persist society. Second, the physical base of oral memory is able to become the natural, social, historical environment etc. Third, the research of oral memory needs to be accomplished to expand the prospect of research and the cultural, literatural, historical materials. Fourth, the extension of research prospect can promote interpreting the oral memory data in terms of experientialism. These periods of interpretation have strength that ① can figured out multi-layered structrue of human experience ② can extract symbolic meaning of psychological experience, ③ can pursue basic source of psychological experience. Fifth, the oral memory data has the cultural, narrative literature, historical value as a prespective of research. 기억은 인간의 경험했던 과거의 것을 현재화하려는 것으로, 문화가 전승되고 사회가 지속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억하려는 것은 망각하지 않으려는 인간의 욕구 때문인데, 개인의 기억과 집단적 기억으로 나누어지고, 개인의 기억은 행동주의적인 측면에서 의식적 기억과 무의식적 기억으로 나누어진다. 의식적 기억은 과거에 대한 의식적 자각이라면, 무의식적 기억은 기억하고자 하는 자각 없이 자동적으로 재생되는 습관이다. 이처럼 기억이 개인의 소유물이기도 하지만 대중적으로 활용되는 사회적 수단의 산물로서 집단적 기억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집단적 기억은 집단 구성원 세대 간의 연대를 통해 형성되고, 집단의 특성과 정통성을 유지하도록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래서 집단적 기억은 공식적인 재현을 통해 역사화 되기도 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는 비공식기억인 구술기억으로 전해지는 경우도 많다. 구술기억의 물리적 기반은 자연적, 사회적, 역사적 환경 등이라고 할 수 있다. 구술기억이 삶의 경험을 토대로 형성되고, 하나의 문화의 표현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문화가 자연환경이나 사회 및 역사적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처럼 구술기억 또한 마찬가지이다. 인간의 삶에서 자연환경이 생업방식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생업방식은 가족과 사회를 유지시키는 물질적인 기반이다. 가족은 사회 구성의 최소 단위로서 문화 형성의 기본 토대이고, 가족을 매개로 마을이 형성되고 도시 및 국가가 형성되기 때문에 구술기억 형성의 원초적 기반인 셈이다. 특히 개인적인 구술기억은 사회적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는데, 역사적 환경, 즉 임진왜란, 동학혁명, 한국전쟁, 민주화운동 등의 역사적 사건도 개인이나 집단적 구술기억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구술기억의 조사는 문화자료, 문학자료, 역사자료의 확보와 연구 지평을 확대하기 위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문화자료라 함은 민속자료를 일컫는 것으로서 그간의 민속 연구가 문헌자료와 구술기억자료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는데, 주로 구술기억자료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문학자료는 구술서사자료를 말하는 것으로 기록문학과 구비문학의 관계 속에서 관심을 가지기도 했지만, 구술문학 혹은 구비문학의 중요한 연구 대상이었다. 최근에는 구술서사의 이야기꾼에 관심이 많아지면서 개인의 생애담이나 집단적인 경험담에 관한 구술 자료가 많이 수집되고 있다. 그리고 역사자료로서 새로운 역사를 쓰기 위해서도 구술기억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역사적 사건의 경험주체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확인하고 사건의 다양한 재현을 위해서 기록되지 않는 구술기억자료를 조사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체험주의적 측면에서 구술기억자료를 해석하여 연구 방법론의 확대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해석 방법은 ①구술기억자료에 나타난 인간 경험의 중층적 구조를 파악할 수 있고, ②정신적인 경험의 기호적 의미를 추출할 수 있으며, ③정신적 경험의 원초적 근원을 추적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구술기억자료는 학술적인 측면에서 문화적, 서사문학적, 역사적 가치를 갖는다. 구술기억자료는 문화와 관계된 다양한 학문의 영역에서 관심을 갖기 때문에 그 학술적 가치가 크고, 구술기억자료를 역사지리학적 방법을 비롯해 구조주의나 현장론적 방법 등 서사문학적으로 해석하려 ...

      • KCI등재

        중학생 대상 체험학습 국내 연구동향 분석

        이지연(Lee, Jiy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1

        본 연구는 중학생 대상의 체험학습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현재의 그 경향을 파악하고 미래의 발전과제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발행 한국연구재단 등재 및 등재 후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1993년부터 2013년까지 출간 된 중학생(교) 대상 체험학습 관련 논문 총 111편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마련한 다섯 가지 분석 준거에 따라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목적 측면에서, 체험학습 이론 및 방법론 개발에 대한 이론적 연구가 가장많았다. 둘째, 연구주제에서는 체험학습 방법 및 모형 구안에 대한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체험학습의 평가도구 개발과 적용 연구는 미미하였다. 셋째, 체 험학습 유형과 관련하여, 교과연계형에서는 기술․가정, 사회과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교실 밖 체험에서는 문화 및 역사와 사회 체험이 높은 빈도를 보였다. 넷째,활동내용과 관련해서는 실습 활동에 편중현상이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방법 측면에 서는 양적연구와 문헌연구가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향후 연구 과제로, 체험학습에 대한 이론과 방법론 소개 및 논의 확대, 체험학습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 확대, 다양한 교과 영역에서의 체험학습 활성화, 체험 학습 활동내용의 다양화, 질적연구 및 혼합연구 활성화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rends in research involving experiential learning applied to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on experiential learning. Towards this end, 111 research articles related to experiential learning published in Korea from 1993 to 2013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analysis criteria: research purposes; themes; experiential learning categories covering curriculum subjects and types of experiential learning outside classroom; types of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and research methodologies. Analysis of the articles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 terms of research purpose, the most frequently shown concerned the development of experiential learning theories and methodologies. Second, with respect to research themes, studies on the formulation of experiential learning methodologies and models ranked high among the analyzed articles. Third, with regard to experiential learning categories, ‘Technology/Home Economics’ and ‘Social Studies’ were the curriculum subjects that most frequently employed experiential learning. Also, ‘culture and history’ and ‘social’ experiences ranked high as types of experience outside the classroom. Fourth, in terms of types of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practice’, including operating, making, testing, and physically exercising, showed high frequency. Fifth, in the aspect of research methodology, most of the research use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literature reviews.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follow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experiential learning are suggested and discussed: expansion of introduction and discussion of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and methodology; development of evaluation methods; vitalization of experiential learning in various curriculum subjects; diversification of activity types; greater balance betwee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