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高僧 眞影의 讚文으로 본 高僧의 生涯

        신대현(Shin Dae-Hyun) 한국사학회 2008 史學硏究 Vol.- No.90

        眞影은 불교의 高僧들의 肖像畵로서, 신라시대 이래로 제작되어 왔던 佛家의 한 전통이었다. 진영은 단순한 초상화라는 의미를 넘어서서, 한 시대의 역사적 기록물의 하나라는 인식을 할 필요가 있다. 진영을 역사적 자료로 여기게 하는 이유로는 우선 진영에 적힌 讚文을 들 수가 있다. 진영에는 주인공의 그림 외에 題名과 讚文 등의 글이 들어가게 마련이다. 題名은 진영 주인공의 法名과 法號, 僧職 등을 적은 것으로 진영 파악에 가장 기본적인 사항이 된다. 또 찬문은 주인공의 일생과 업적, 수행 등에 대한 평가 또는 讚辭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중 찬문은 진영에 반드시 들어가야 하는 필수항목이 아니라서 찬문이 들어간 진영은 전체 진영의 수에 비해 그리 많지는 않지만, 찬문을 통해 진영 주인공에 대해 새롭게 알려지는 행적이나 일화 등이 적지 않다. 진영의 주인공이 대부분 불교사에서 중요하게 취급되는 인물들이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새로운 자료는 곧바로 불교사 또는 일반사의 史料가 되므로 찬문의 가치와 의미는 적지 않다. 眞影의 讚文은 크게 詩文과 散文으로 구성되어 있다. 詩文 讚文은 주로 주인공의 修行力을 시의 형식을 벌어서 표현하고 있는데, 문학적 가치는 높지만 이 자체로 역사적 사료가 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그에 비해서 散文 讚文은 주인공의 일생과 행적을 略述한 내용이 많아 역사적으로 중요하다. 讚文을 지은 사람은, 진영 주인공 자신이거나 후배 또는 道伴인 경우가 많고, 그 외에 士大夫들이 지은 찬문도 있다. 그런데 사대부 중에는 현직 또는 전직 고위관료인 사람도 적지 않다. 그리고 찬문의 내용도 주인공을 칭송하고 찬탄하는 글이 많이 보인다. 이로 볼 때 비록 숭유억불의 조선시대였지만, 이른바 高僧으로 여겨지는 승려와 관료 또는 사대부와의 관계는 우리가 피상적으로 말하고 있는 것처럼 수직적 관계가 아니라 수평적 관계 또는 互惠的 관계도 많았다고 생각된다. 찬문의 표현방식은 직설적이라기보다는 隱喩的이고 重論的인 게 많아서 불교와 불교사에 대한 지식이 밑바탕 되지 않으면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도 많다. 이 점이 진영을 사료로서 취급하는데 있어서 어려운 점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그러한 것을 극복하고 찬문을 바라본다면 새롭고도 중요한 역사적 사항들을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진영 찬문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 관심을 가지고 해나가야 할 분야이다. The oldest known chanmun accompanying a jinyeong portrait are those written by Park In-beom(朴仁範) on the portraits of Beomil guksa(梵日國師) and Muaeji guksa Although exact dates are unknown, Park In-beom played an active part in late Unified Silla, from the 9th century to the 10th century. Replacing chanmun with a poem was a pattern often seen in the Joseon Dynasty as well. This poem was written for a eulogy, but the verse is good and has excellent literary quality. There are various writers of chanmun as mentioned above, and there is the self-written eulogy in which the person in the portrait writes about himself. This is a kind of self-reflection in which the subject writes about the life he has led. Someone said that this self-written eulogy is the confirmation of perception toward a disciple but I don't like this expression because it seems to take chanmun too pedagogically. In fact, the meaning of the expression confirmation of perception toward a disciple itself can not be readily grasped. But seen from the explanation that it is like the credentials of a mature disciple, a self-written eulogy is understood as the intent of the writer to have his disciples realize his thoughts through the eulogy. But as introduced in this book, too, the self-written eulogy seldom functions this way. On the contrary, in most cases the self-written eulogy is the subject's critical self-reflection, a monologue filled with compassion and pleasant irony about his crooked life. But thanks to the deep philosophy of the subject, these bitter words do not seem bitter and make readers see them not as an irony but a thorny paradox. The level of chanmun can be measured by how well these elements were mixed, which is where their charm and value lies. Although chanmun should be discussed together with jinyeong, as it is very important material, jinyeong has been studied on its own up till now and a serious approach to chanmun has seldom been made. When chanmun is read and observed, the value of jinyeong naturally increases. In this sense, it is thought close examination of the content of chanmun is an indispensable methodology.

      • 『東茶頌』과 中國茶論의 受容과 傳承

        우재호(Woo Jae-Ho),남민수(Nam Min-Su)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9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Vol.2009 No.5월

        The history of traditional tea culture in Korea is more than 1000 years old. As early as Koryo(高麗), some famous tea lovers (李奎?,李??,?翁??…) published some poems about tea. And then in the Chosun Dynasty(朝鮮), the tea lovers (金??, 徐居正, 丁若?, 金正喜…) also wrote these kind of poems. There are many poems, which are in regard of tea, written by Korean ancient scholars. However, it’s hard to find the original tea theory of Korea. In this case, Zen priest Choui(草衣??: 1786-1866)’s 'Eastern Tea Eulogy(東茶頌)’, a collection of poems, which includes 17 seven?character cut short poems. He also includes some comments on it. The primary coverage in the first half of this poetry anthology is introducing Chinese tea theory books, such as Lu Yu(陸羽)’s《Chajing(茶?)》 and Zhang Yuan(張源)’s 《Chalu(茶錄)》. For instance, '9?difficulties of tea(九難)’ which is a part of 《Chajing(茶?)》 that was written in the Song Dynasty and '4?smells of tea(四香)’ which is quoted from 《Chalu(茶錄)》 that was written in the Ming Dynasty are mentioned in this book. It also introduces some kind of ancient Chinese cozes and well?known tea in the Song Dynasty(雪花, 雲?, 雙井, 日注, 白芽茶…). The latter half of 'Eastern Tea Eulogy’ emphasizes the forte of eastern tea plantation, tea leaf and tea and also points out the spirit of fair which is Zen priest Choui’s core spirit of tea ceremony. Otherwise, it is observed that he carries on the tea science from Confucianism and Buddhism on account of having intercommunication with Jung Yak-Yong(丁若鏞) and Kim Jung-hee(金正喜), two exiled scholars, who have a great ability to rule the country. They always get together to drink some tea and talk over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 and poetics. To sum up, 'Eastern Tea Eulogy’ is a significant literature that could represent the eastern tea theory at the end of the Chosun Dynasty.

      • KCI등재

        미국 남장로회 여성 선교사들의 선교와 삶 - 미국 남장로회 연례 선교회의록에 수록된 여성 선교사 추도문을 중심으로 -

        김지혜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22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56

        This study examines the eulogies titled “In Memoriam” of the 49 women missionaries who were among the 75 eulogies in the Minutes of the Annual Meeting of the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 in Korea from 1892 to 1938. Earlier studies on Western Missionaries have focused on male missionaries, and there are very few studies about the Southern Presbyterian Women Missionaries of the U. S. The fellow missionaries have recorded the work and life of 49 women missionaries who were their contemporaries. These are almost two times more than the male missionaries’ eulogies. This study analyzes the eulogies statistically and traces their works and lives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It also focuses on the features and common points of women missionaries mentioned in eulogies and not on their achievements or personal history. In the given plethora of information about the missionaries what stands out in their stories is their Christlike character of faithfulness amid their missionary living. This study examines how their Christlike character was revealed in their personal lives and translated into their mission work. This study presents the statistical analysis about their eulogies and attempts to illuminate the lives of these women missionaries and their Christlike character and the way they displayed their love for Korean people and in return how they had been loved. 이 논문은 미국 남장로회 내한 선교사들의 선교기록물들 가운데 연례 선교회의록에 수록된 75건의 추도문 중에서 1892년부터 1938년까지 46년간 수록된 여성 선교사 49명의 추도문을 연구한 것이다. 추도문은 동료 선교사가 고인이 된 선교사를 추억하며 작성한 것이다. 그동안 여성 선교사들은 남성 선교사들에 비해 주목받지 못했고 연구가 충분히 진행되지 못했다. 여성 선교사 중에서도 미국 남장로회 내한 여성 선교사에 대한 연구는 몇몇 선교사에 한정되어 있어 상당히 미진하고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이 선교사에 대한 개별 연구이다. 여성 선교사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것에 비해, 동료 선교사들이 작성한 추도문은 여성 선교사가 49건으로 26건인 남성 선교사보다 2배 가까이 많았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기존의 여성 선교사 연구가 개별 연구에 그쳤다면 본 연구는 추도문이라는 공통된 주제를 가지고 여성 선교사들을 살펴보았다는 점과 추도문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여성 선교사들의 선교와 삶을 추적했다는 점에 차별성이 있다. 또한 추도문은 선교의 성과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고인이 된 선교사의 삶을 추억하기 위해 쓰여졌기 때문에 읽는 이로 하여금 해당 선교사의 인간적인 면모, 성품, 선교 방식 등을 추정해보고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추도문을 통해 여성 선교사들의 선교 정보를 통계적으로 분석해보고, 선교사로 일평생 살았던 그들의 삶속에서 복음전파의 사명이 어떻게 표출되고 실천되었는지, 한국을 사랑했던 그들의 헌신과 예수님을 닮고자 애썼던 그들의 삶을 조명하였다.

      • KCI등재후보

        척주동해비문의 내용에 대한 고증 연구 - 해이(海夷)의 내용을 중심으로 -

        임채우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와예술연구 2013 문화와예술연구 Vol.1 No.-

        여러 해석이 난립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명칭과 위치 및 성격 등을 둘러싸고 여러 이설이 존재하고 있다. 민간에서는 척주동해비를 재앙을 막는 부적(符籍)처럼 간주하기도 하고 혹자는 축문(祝文)으로 보기도 하는 것이 사실이다. 본고에서는 비문(碑文)에 기술된 여러 해외의 이국 풍속에 대해 하 나하나 고증을 하면서 아울러 동해송의 문체를 분석해서 그 내용을 검증하고 이를 토대로 척주동해비의 성격을 규명하였다. 결론적으로 허목은 동해바다를 신비화하거나 주술적인 기원을 하려 고 한 것이 아니다. 그는 ‘동해송’(東海頌)이란 제목에서 보는 바와 같 이 동해바다의 아름다움과 덕을 찬탄하고자 한 시문을 써서 비석으로 세운 것이 동해척주비이다. 이 동해송은 조선시대 학자들 사이에서 존 경감을 가지고 읽혀지고 연구되었던 명문장으로 간주되었다. 여기에 더해 그의 독특한 서체(書體)와 이국적인 내용으로 인해서 척주동해비 가 재앙을 막아주는 신비한 힘을 가진 글로 신비화되었다고 본다. 허목(許穆, 1595∼1682)이 지은 척주동해비는 예로부터 난해하기로 유명해서 그 내용에 대해 The Cheokjudonghae Monument Heo Mok(許穆, 1595∼1682) built is popular for its difficult contents since long time ago that there are numerous interpretations and various views for its name, location, and characteristics all over. It is true that there are some people who consider the Cheokjudonghae Monument as a talisman that prevents disaster or others as a written prayer. This research studied each foreign customs from various countries written on the epitaph, analyzed the writing style of Donghae Eulogy, and verified the content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eokjudonghae Monument based on them. In conclusion, Heo Mok did not mystify or add incantation to the East Sea. As seen on the title ‘Donghae Eulogy’, he wrote poetry to appraise the beauty and virtue of the East Sea and built a headstone, the Cheokjudonghae Monument. This Donghae Eulogy hasbeen considered as well-known words that have been read and studied among scholars in Chosun Dynasty. Moreover, his unique writing style and exotic contents are considered as reasons that mystified the Cheokjudonghae Monument with mystical power that prevents disasters.

      • KCI등재
      • KCI등재

        불교 가사 형성의 발생학적 정황

        전재강(Jeon Jae-Gang) 우리문학회 2010 우리文學硏究 Vol.0 No.31

        이 논문은 고려말 장형의 불교적 한문 시가가 불교 가사 형성의 징후가 되었다는 것을 율격과 갈래 성격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논의하기 위하여 쓰여졌다. 고려 말에는 歌頌讚 등 여러 가지 장형의 불교적 한 문 시가가 많이 창작되었는데 이들 작품의 한글 번역 가사의 율격과 갈래 성격을 규명하여 그 결과가 불교 가사에 근접한다는 것을 입증해 보이고자 했다. 먼저 작품의 율격에서 歌類와 頌讚類 등을 나누어서 살폈는데 가류의 한글 번역 歌詞는 대체로 1행 4음보, 1음보 3,4음절의 율격을 보여주었고, 송찬류 등은 1행 3,4음보, 1음보 2,3,4,5음절의 율격을 보여 주었다. 송찬류의 한글 번역 가사 율격이 다소 歌辭의 율격에 벗어난 예가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가 歌辭의 그것에 일치하여 율격상 가송찬류의 한글 번역 歌詞가 불교 가사 형성의 징후가 된 것으로 판단했다. 다음은 작품의 갈래적 성격을 살폈는데 가송찬류의 작품은 크게 서정성과 교술성을 중요 갈래적 성격으로 가지고 있었는데 산중의 자연생활이나 깨달음의 기쁨을 나타낼 때 서정적 성격을 가지게 되었고, 인물을 소개하거나 수행 방법을 가르치거나 중생을 교화하려는 내용을 담았을 때 교술적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가송찬류 불교 장형시가 가진 이러한 성격은 바로 불교가사의 서정성, 교술성과 일치하여 갈래적 성격의 측면에서 가송찬류의 불교 장형시가가 불교가사 형성의 징후가 된다고 보았다. 그리고 불교 장형시가 한문 시가로서는 장형이지만 가사의 일반적 길이에 비하면 단형에 해당하는데 이것은 서정성이나 교술성이라는 갈래적 성격을 구성하는 구체적 내용 한 두 가지만을 집중적으로 표현했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임을 밝혔다. 그래서 이런 단순한 내용을 계승한 가사도 저절로 단형의 가사를 형성하고, 이와 달리 여러 가지 내용을 복합적으로 수용했을 때 장편의 가사를 형성할 수 있는 개방성을 가진 것을 확인했다. This dissertation is written in order to research for the basis of the origination of Buddhist Gasa(佛敎歌辭) in two points of view: one is the rules of versification, the other is genre characteristics. In the late period of Korea dynasty[高麗王朝] there were many kinds of genre of long Buddhist poetry written in Chinese language, for example, those are the Buddhist poetry of song[歌], eulogy[頌], panegyric[讚] and so on. Firstly, in the aspect of the rules of versification, the Buddhist poetry of song and eulogy, panegyric and so on had similarities to Buddhist Gasa specially in line(行) and foot(音步). Their(the Buddhist poetry of song and eulogy, panegyric and so on) one line are consisted of three or four feet, and Their one foot are consisted of three or four syllables just like the Buddhist Gasa are.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Buddhist poetry of song and the Buddhist Gasa are higher than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Buddhist poetry of eulogy, panegyric and so on and the Buddhist Gasa. Secondly, in the aspect of the genre characteristics, the Buddhist poetry of song and eulogy, panegyric and so on had similarities to Buddhist Gasa specially in lyricism and descriptiveness. The Buddhist poetry were lyric when expressing the pleasure of the life in nature and the pleasure of enlightenment, descriptive when introducing people and teaching people how to practice. the Buddhist poetry of song and eulogy, panegyric and so on had one or two main contents, so they were shorter than Buddhist Gasa. Of course Buddhist Gasa could be short by containing one or two main contents. Also Buddhist Gasa could be becoming long by containing several main contents in one piece. Conclusively, in the aspect of the rules of versification and the genre characteristics, the Buddhist poetry of song and eulogy, panegyric and so on have similarities to Buddhist Gasa specially in line(行) and foot (音步), in lyricism and descriptiveness.

      • KCI등재

        화상자찬류(畵像自贊類) 문학의 존재양상과 자아형상화 방식의 특징

        임준철 ( Jun Chul Lim ) 韓國古典文學會 2009 古典文學硏究 Vol.36 No.-

        한국 한문학 자료 중에서 자아형상에 대한 시각적 경험을 테마로 하는 일련의 작품들이 있다. 자신의 초상화를 대상으로 한 漢詩 및 贊이 그것이다. 동아시아 고전문학의 역사에서 볼 때, 자아 자체를 문학의 중심 주제로 삼는 것은 예외적인 경우에 속한다. 이 글은 이런 유형의 작품군을 `畵像自贊類` 문학이란 명칭으로 포괄하여 그 존재양상과 자아형상화 방식의 특성을 검토한 것이다. 도연명으로부터 비롯된 동아시아의 자전적 글쓰기 양식들은 현실에 대한 불만을 우회적으로 표현하는 전통을 가지고 있다. 自挽詩, 自祭文, 自撰墓誌銘, 自傳 등 대부분의 양식들이 작가가 가진 현실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기 위한 하나의 수사적 장치로 활용되었다. 그 중에서도 畵像自贊은 자아의 시각적 경험을 통해 인식된 자아영상의 불완전성에 대한 문제의식으로부터 비롯하였다. 하지만 그 불만은 단순히 그림 속 자아에 대한 불만이라기보다 자아와 직간접으로 연관된 현실의 문제와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그것은 나를 온전히 재현하지 못하는 그림 혹은 화가에 대한 불만이 아니라, 자신이 생각하는 자아의 영상을 제대로 보지 못하는 현실세계의 타자들에 대한 불만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 글에선 자전적 글쓰기 방식의 하나로서 화상자찬류 문학의 성격을 점검하고 자아형상화 방식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화상자찬은 기본적으로 겸손한 자기평가라고 할 수 있지만, 이면에는 자신을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세상에 각인시키려는 내밀한 욕망이 자리한다. 둘째, 시간의 흐름이란 함수로 인해 초상화 속의 나는 과거의 내 모습으로서 현재의 나에겐 낯선 존재이다. 이 낯선 나와의 대면은 동일성의 측면에서 갈등과 혼란을 야기하기도 하지만, 한편으론 자아간의 합일을 이루어내기도 한다. 셋째, 그림 속의 나는 나의 완전한 재현물이 될 수 없기에 타인에 의해 온전히 이해받지 못한다. 知己의 부재에 대한 아쉬움은 또 다른 방식의 자아표현으로 보완되며, 자아를 상징화하는 것이 그 대표적인 예 중의 하나이다. 현재까지 수집된 자료를 놓고 볼 때, 화상자찬류 문학의 자아표현 방식은 상대적으로 조선후기에 한층 복잡다기한 양상을 띠게 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후기 문학에서 자찬묘지명, 자찬, 자찬연보 등의 창작 성행은 이 시기에 이르러 자전적 글쓰기 방식이 유행하였음을 보여주는 증거임에 분명하다. 화상자찬류 문학에서 발견되는 자아표현 방식의 다변화도 이와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화상자찬류 문학에 대한 검토 역시 기타 자전적 글쓰기 방식과의 비교와 참조를 통해 더욱 진전된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mong Korean traditional literary work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there are a series of works which deal with images of writer himself. In East Asian literary tradition, writer himself rarely is a main theme. I categorize these works as "self-eulogy to portrait", and scrutinize their ways of writing and figuration. From Tao Yuanming(陶淵明) on, East Asian writers express their anger for the society in ways like self-mourning, self-funeral oration and self-epitaph. And self-eulogy to portrait starts from a recognition of incompleteness of self-image, which is related with problems in reality. So writers are unsatisfied with the "others" in the real world rather than portrait or painter that fails to represent him completely. In summary, first of all, self-eulogy to portrait is a kind of humble self-evaluation, but it contains writer`s strong will to express himself as the way he wants. Second, as time passes away, the one in the portrait is writer himself in the past, and it may be unfamiliar to writer himself in the present. Facing with unfamiliar self results in conflict and confusion, but, in contrary, it may achieve identification between the two `self`. Third, writer himself in the portrait fails in perfect representation of him, so he cannot be fully understood by other people. So the writer tries to make up the absence of appreciative friend with another way of self-express. Symbolization of himself is a good example.

      • KCI등재

        국문장편 고전소설의 망자 추모에 담긴 역학과 의미 : 서모, 아내, 아우 제문 분석을 중심으로

        정선희(Jeung Sun-hee) 韓國批評文學會 2010 批評文學 Vol.- No.35

        The present paper reviews a certain type of novels enjoyed in the period from the late 17th to the end of the 18th centuries: series novels written in Korea vernacular to describe stories of three generations of a family. The paper focuses its attention on the eulogies for the deceased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y would offer an insight into the life of the contemporary people. The tone of a eulogy varies depending on the familial status occupied by the deceased person. A dead concubine is praised for her frugality and respectful attitudes toward the first wife. And the eulogy for a lawful wife expresses a deep sorrow of losing the cherished companion, while that for one's younger brother usually extolls his capabilities and brotherly love. These eulogies show power relations among the characters in the novels, as well as their status both in the family and in the story itself, and the value system shared by the contemporary readers. The characters depicted at great length after death with long eulogie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ir funeral processes are usually the most important characters in the story. In addition, their virtues praised in the process represent the model virtues expected from an idealized person of the same social roles, thereby exposing the values entertained by the contemporary people. Finally, the analyzed eulogies in the novels share some common features with real eulogies of the late Joseon Dynasty--that is, the very emotional expression of a profound grief over the loss of a loved one, often with the addition of impressive illustrations or quoted conversations.

      • KCI등재

        『석가여래행적송』 라훌라 탄생설화에 대한 일고찰

        김성옥(Kim, Seong-Ock)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6 佛敎學報 Vol.0 No.76

        석가일대기에 관한 불교문헌들은 석가여래의 탄생에서 열반에 이르는 80여년의 삶을 오늘날 전해주고 있다. 출가와 구도 및 성도에 이르는 개략적인 내용은 대체로 일치하지만, 세부적인 내용에 들어가면 크고 작은 차이들이 존재한다. 남방과 북방 혹은 소승과 대승의 전승이 각기 다르기 때문이다. 고려말 석가의 일대기를 찬집하고자 했던 운묵 무기의 『석가여래행적송』에서도 여러 가지 문헌들이 전하는 서로 다른 이설들을 찾아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석존의 출가시기를 둘러싸고 그의 나이가 몇 살이었는지에 관한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는 석존의 출가 이전에 라훌라가 태어났다고 알려져 있지만, 문헌에 따라서는 석존이 깨달음을 얻던 밤에 라훌라가 태어났다고 전해지기도 한다. 라훌라의 탄생에 관한 후자의 전승은 석존께서 6년 고행 끝에 얻은 깨달음과 라훌라의 탄생을 효과적으로 연관 짓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전승에는 문헌에 따라 야쇼다라가 6년 만에 낳은 아이가 석존의 친아들인가 의심이 제기되었던 일, 이 점을 해명하기 위해 야쇼다라가 불구덩에 뛰어들어 자신의 결백을 증명했던 일이 삽입되기도 한다. 이러한 에피소드는 극적인 긴장감을 지니고 있는 흥미로운 요소임에 틀림없다. 나아가 6년 동안의 임신을 정당화하는 장치로서 라훌라가 모태에 6년간 머물러야 했던 ‘6년 태내설’의 전생담도 라훌라의 탄생설화에 추가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석가여래의 일대기를 전승함에 있어서 어떤 식으로든 허구적 요소의 개입이 불가피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이러한 설화들을 여러 문헌에 의거하여 기록하고 있는 『석가여래행적송』은 고려시대 석가일대기의 다양한 전승 양태를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The Buddhist literatures available today on the biography of Śakyamuni Tathagata describe his life from birth to nirvāna. The basic story related to his leaving home and attaining enlightenment is similar in all versions, but there are several small and large differences in the details when we compare the versions from the south and the north regions, that is, the Hīnayāna and Mahāyāna. We find many cases of contradiction in The Eulogy of Śakyamuni Tathagathas Achievement (『釋迦如來行蹟頌』), written by Woonmuk (雲默: date unknown). He was a monk of the Tiantai Sect (天台) of the late Koryo Dynasty (高麗). The Eulogy of Śakyamuni Tathagathas Achievement is a work that concisely describes the life of Buddha and the essence of his teachings.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se contradictions, especially regarding the time of the Buddha leaving home and whether Rāhula was born by then or not. It is well known that Rāhula was born before the Buddhas departure from home. However, there are versions mentioning that Rāhula was born the night when the Buddha gained enlightenment. This work effectively relates the Buddhas six years of asceticism and enlightenment attained with Rāhulas birth, but this brings up the irrationality that Yaśodhara had to remain pregnant for six years. To explain this matter, the writers inserted an episode that Yaśodhara jumped into fire to prove her innocence. This must have been an element of dramatic tension added to enhance the moral worth of the story. Moreover, it appears that a series of stories about the previous life of Rāhula was made up as a narrative component to justify the six-year pregnancy. This story about Rāhula being in mothers womb for six years is described in The Eulogy of Śakyamuni Tathagathas Achievement. The story of Rāhulas birth and previous life has been handed down to us in The Eulogy based on many references. It also reveals many aspects of the transmission of the biography of Śakyamuni Tathagatha in the late Koryo Dynasty. The value of The Eulogy of Sakyamuni Tathagathas Achievement is greatly enhanced due to these revelations.

      • KCI등재

        성 암브로시우스의 추도사와 편지 속 포도주

        정환규 서강대학교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24 신학과 철학 Vol.- No.46

        술은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가톨릭 교회 역사안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 왔다. 하지만 그 위치에 비해 교부들이 술을 어떻게 바라보았는지에 대해서는 그다지 연구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이에 착안하여 여러 교부 가운데 성 암브로시우스를 선택하고, 그의 저서 중 특별히 추도사와 편지글을 중심으로 포도주의 의미를 파악해 보려 한다. 포도주는 암브로시우스의 추도사 중『형 사티루스의 죽음』과『발렌티니아누스의 죽음』에서 6번, 편지 모음집인『서간집』과『추가 서간집』에서 21번, 총 27번 사용되었다. 암브로시우스는 여기서 성경을 14번 직접 인용하는데, 이것은 암브로시우스의 성경 주해서에서 나타난 성경의 직접 인용 비율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암브로시우스가 추도사와 편지글 속에서 성경을 더 자유롭게 인용하였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성경 인용을 배경으로, 포도주가 상징적 의미를 지닐 경우는 하느님의 은총과 축복을 드러내는 긍정적 측면이 잘 드러난다. 하지만 현실의 포도주를 언급할 때는 긍정적인 측면 뿐 아니라 부정적인 측면도 함께 고려되며, 암브로시우스는 이를 통하여 무엇보다 적절한 포도주의 사용을 강조한다. Alcohol occupies an important proportion in today’s society but also has occupied an important place in the history of the Catholic Church. However, compared to its status,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how the Fathers of the Church viewed alcohol. Focused on this aspect, this paper selects St. Ambrose among the various Fathers of the Church and trie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wine, especially focusing on his eulogy and letters among his writings. The term ‘Wine’ was used a total of 27 times, 6 times in De excessu fratris and De obitu Valentiniani among Ambrosius’ eulogies, and 21 times in Epistulae and Epistulae extra collectionem traditae, collections of letters. Ambrose quotes directly from the Bible 14 times here, which is a much higher quotation rate than the direct quotation rate from the Bible in Ambrose’s commentary on the Bible, showing that Ambrose quoted the Bible more freely in his eulogy and letters. With the background of these biblical quotations, the positive aspect of revealing God’s grace and blessings is well revealed while wine has a symbolic meaning. However, when referring to wine in reality, not only positive aspects but also negative aspects are considered, and through this, Ambrosius emphasizes the proper use of w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