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빅데이터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지속가능한 패션과 디지털 실행 - ‘지속가능+패션+디지털’ 키워드 분석을 중심으로 -

        장남경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4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는 지속가능성과 디지털이 미래 패션의 생산과 소비의 모습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제하고, 빅데이터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통해 패션산업에 있어 지속가능성과 디지털 실행에 대해 형성되고 있는 소비자 인식과 주요 의제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론적 배경으로 패션산업에서의 지속가능성과 디지털 실행에 대해 알아보고, 빅데이터 활용 패션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소셜매트릭스 프로그램인 텍스톰을 활용하였으며, 네이버와 구글을 수집 채널로 하였다. ‘지속가능+패션+디지털’을 키워드로 설정하였고, 수집 기간은 2020년 1월 1일부터 2023년 11월 30일까지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빈도, TF-IDF, 워드 클라우드 시각화, N-gram 분석 결과 가장 많이 출현한 단어는 ‘지속가능’, ‘디지털’, ‘패션’, ‘브랜드’, ‘활용’, ‘글로벌’, ‘기업’, ‘제품’ ‘기술’, ‘친환경’, ‘고객’ 순이었으며, 지속가능, 패션, 그리고 디지털의 연결성을 확인하였다. UcINet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시각화와 CONCOR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속가능+디지털 패션의 핵심 가치’, ‘디지털 주도 지속가능+디지털 패션의 방향’, ‘지속가능 주도 지속가능+디지털 패션의 방법’, ‘지속가능+디지털 패션 시스템’의 4개의 군집을 도출하였다. 대체적으로 군집 간 균형 있는 사이즈와 연결을 보였으며, ‘지속가능’과 ‘디지털’이 같은 군집에 포함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대량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속가능성과 디지털이 패션산업의 미래를 만들어가는 방향임을 재확인하고 주요 의제를 규명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현재 소비자에 대한 이해정도에 기반하여 타깃 소비자 경험을 정의 또는 재정의하는 패션기업의 비즈니스 전략 수립과 정부 정책을 수립하는 데에도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결과와 제한점을 토대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stems from the premise that sustainability and digital technology will be pivotal in shaping the future of fashion production and consump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onsumer perceptions and key agendas shaping sustainability and digital practice in the fashion industry through big data analysis.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it reviewed the sustainability with digital practice in fashion industry and literature related to fashion using big data. Textom, a social matrix program, was used to collect and analyze data from the collection channel of Naver and Google. ‘Sustainability+ Fashion+Digital’ was set as the keyword, and the collection period was from January 1, 2020 through November 30, 2023. As for the text analysis, frequency, TF-IDF, word cloud visualization, and N-gram analysis were performed. The words which appeared most often were ‘sustainability’, ‘digital’, ‘fashion’, ‘brand’, ‘utilization’, ‘global’, ‘company’, ‘product’, ‘technology’, ‘eco-friendly’, and ‘customer’, confirming the connection between sustainability-fashion-digital. For the network analysis, network visualization and CONCOR analysis using UcINet were performed. Four distinct groups emerged: 'core values ​​of sustainable+digital fashion', 'direction of digital-led sustainable+digital fashion', 'method of sustainability-led sustainable+digital fashion', 'sustainable+digital fashion system'. The groups were balanced in size as well as connec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sustainable’ and ‘digital’ were included in the same group.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confirmed that sustainability and digital are the direction for creating the future of the fashion industry and identified the agendas through utilizing a large amount of big data. The findings could be used as basic data to establish business strategies for fashion companies and government policies that define or redefine target consumer or public experiences based on the current level of understanding.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연구동향 파악

        김민준 (사)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22 스마트미디어저널 Vol.11 No.10

        A big data-driven digital transformation is defined as a process that aims to innovate companies by triggering significant changes to their capabilities and designs through the use of big data and various technologies. For a successful big data-driven digital transformation, reviewing related literature, which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research statuses and the identification of key research topics and relationships among key topics, is necessary. However, understanding and describing literature is challenging, considering its volume and variety. Establishing a common ground for central concepts is essential for science. To clarify key research topics on the big data-driven digital transformation, we carry out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by performing text mining of 439 articles. Text mining is applied to learn and identify specific topics, and the suggested key references are manually reviewed to develop a state-of-the-art overview. A total of 10 key research topics and relationships among the topics are identified. This study contributes to clarifying a systematized view of dispersed studies on big data-driven digital transformation across multiple disciplines and encourages further academic discussions and industrial transformation. 빅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데이터 및 데이터 관련 기술을 통해 기업의 성과 향상, 조직 변화, 사회 공헌 등의 목적 달성을 위해 수행하는 혁신적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성공적인 빅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해서는 관련 연구 현황, 주요 연구토픽, 주요 연구토픽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여러 연구들의 서로 다른 관점 및 이들 간 연계 가능성에 대해 이해하려는 노력은 아직 미진하다. 본 논문은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하여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여러 연구의 다양한 관점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기반 마련을 시도해보았다. Web of Science Core Collection에서 추출한 439편의 논문을 분석하여, 10개의 주요 연구토픽을 도출하였고, 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빅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촉진하고, 성공을 위한 방향성 모색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일본 고전 서적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현황에 관해 -“역사적 전적 NW 사업”의 현황 및 주요 학술 데이터베이스 소개-

        양성윤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2 고전문학과 교육 Vol.49 No.-

        This paper outlines the recent progress of the "Project to Build an International Collaborative Research Network for Premodern Japanese Texts (NIJL-NW project)," which is being promoted as a national project alongside the establishment of classical digital archives in Japan. This paper introduces digital archives and various academic databases useful in classical Japanese studies and explains their characteristics. Currently, the project is being carried out regarding social contributions and data applications for existing digital archives, pointing out problems vis-a-vis the original purpose of aiming for an "open digital archive" of digital image data, academic databases, and full text. In particular, I pointed out that to function as "effective information," the database of classical data needs to be based on the formation and exchange of research communities, and that exemplary databases exist already. I suggest that if worldwide researchers make their research knowledge accessible through autonomous and continuous exchanges, they can devise ways to build digital archives and practical ways to use them, to make them more easily utilized by researchers worldwide. 이 논문에서는 일본의 고전 서적에 관한 다양한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축 현황을 파악하고자, 고전 서적에 관련한 디지털 아카이브의 기축이자 국책 사업으로 추진 중인 ‘일본 역사적 전적(典籍)의 국제 공동연구 네트워크 구축계획’(이하, ‘역사적 전적 NW사업’)의 진행 양상과 현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개관하며 필자의 비평을 덧붙였다. 더불어 고전 일본학 연구에서 주로 활용되는 디지털 아카이브 및 각종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선별해 소개하며 유용성에 관해 설명했다. 국문학연구자료관이 중심이 된 ‘역사적 전적 NW사업’과 그 후속 사업인 ‘데이터 구동에 의한 과제 해결형 인문학의 창성’ 프로젝트는, 현재까지 구축된 디지털 아카이브를 바탕으로 자료의 사회적 공헌 및 응용 측면에서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이런 진행 상황은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정비 및 풀텍스트 데이터의 구축으로 ‘열린 디지털 아카이브’를 지향하고자 한 본래의 취지에서 다소 멀어진 측면이 있고 바로 이 지점에서 성찰할 부분이 있다는 것을 지적했다. 특히 다양한 고전 서적의 내용을 쉽게 탐색하여 ‘유효한 정보’로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고전 서적 자료의 데이터베이스화 작업이, 자료 선정 및 목록화의 정비 단계에서부터 전위적인 연구 공동체의 형성과 교류를 바탕으로 한 최전선의 연구 성과, 이른바 ‘교류지(交流知)’에 기반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모범적인 데이터베이스도 그렇게 이뤄지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향후 세계의 연구자들이 자율적이고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서 연구의 지견을 열어간다면, 세계 각국의 연구자들이 더욱 수월하게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축 방식과 활용방법도 새로이 구상할 수 있다고 제언했다.

      • KCI등재

        비정형 빅데이터를 활용한 메이크업 트렌드에 관한 연구: 최근 10년간 메이크업 키워드 변화를 중심으로

        이명주,최에스더 한국미용학회 2024 한국미용학회지 Vol.30 No.1

        This study utilized Textom, optimized for big data analysis using unstructured data, to examine the changes in makeup trends over the past decade. It collected various texts from news, blogs, and cafe media on portal sites, spanning a total of ten years from January 2013 to December 2022.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five stages, each covering two years, to observe keyword trends. The results showed that makeup trends have continuously evolved through the integration and interaction with various fields such as digital technology, the beauty industry, art, and healthcare. Digital technology has created new forms and methods of makeup, and makeup has contributed to the u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dditionally, the interaction between digital technology and makeup has enhanced their respective values and influenced consumers' makeup-related behaviors and preferences.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and developments in makeup trends over the last decade using unstructured big data, examining various factors and relationships related to makeup trends to predict future trends. This has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 in product development and marketing in the beauty industry, consumers' access to makeup information and purchasing behavior, and makeup education and culture. However, such data can suffer from sample bias or lack representativeness, and there can be difficulties in accurately measuring makeup trend information. Therefore, future research should select a variety of platforms or channels, and analyze differences and changes in makeup trends according to us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collect and analyze structured data on makeup trends to integrate with or complement unstructured data.

      • KCI등재

        비할당 영역 데이터 파편의 문서 텍스트 추출 방안에 관한 연구

        유병영(Byeongyeong Yoo),박정흠(Jungheum Park),방제완(Jewan Bang),이상진(Jewan Bang) 한국정보보호학회 2010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20 No.6

        디지털 포렌식 관점에서 디스크의 비할당 영역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은 삭제된 데이터를 조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파일 카빙(Carving)을 이용하여 비할당 영역의 데이터를 복구할 경우 일반적으로 연속적으로 할당된 완전한 파일은 복구 가능하지만, 비연속적으로 할당되거나 완전하지 않은 형태의 단편화된 데이터 파편(Fragment)은 복구하기 어렵다. 하지만 데이터 파편은 많은 양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Microsoft Word, Excel, PowerPoint, PDF 문서 파일은 텍스트와 같은 정보들을 압축된 형태로 저장하거나 문서 내부에 특정 형식을 이용하여 저장한다. 앞서 언급한 문서 파일의 일부분이 데이터 파편에 저장되어 있을 경우 해당 데이터 파편에서 데이터의 압축 여부를 판단하거나 문서 내부 형식을 이용하여 텍스트 추출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비할당 영역 데이터 파편에서 특정 문서파일의 텍스트를 추출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It is meaningful to investigate data in unallocated space because we can investigate the deleted data. Consecutively complete file recovery using the File Carving is possible in unallocated area, but noncontiguous or incomplete data recovery is impossible. Typically, the analysis of the data fragments are needed because they should contain large amounts of information. Microsoft Word, Excel, PowerPoint and PDF document file's text are stored using compression or specific document format. If the part of aforementioned document file was stored in unallocated data fragment, text extraction is possible using specific document format. In this paper, we suggest the method of extracting a particular document file text in unallocated data fragment.

      •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의 저작물 대량 디지털화에 관한 소고

        신창환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19 성균관법학 Vol.31 No.1

        In copyright system, ex ante permission should be secured to exploit a copyrighted work. Any use of copyrighted work without prior permission shall constitute a copyright infringement, if there is no justification of that use such as a limitation and exception to copyright. When it comes to the mass digitization of works, it is extremely difficult or even impossible to get prior permission to use from copyright holder due to high transaction cost. Thus, as long as the current copyright regime persists, there will be a certain tension between copyright system and mass digitization. Here, this article studies the viable solutions considering court precedents and laws of some countries to solve this matter. This includes temporary copying, fair use doctrine and specific exceptions on Text/Data Mining (TDM). However, mass digitization cannot easily meet the requirements of temporary copying exception and fair use doctrine seems to be unpredictable in terms of application. Therefore it is needed to introduce new copyright exception, i.e, Text/Data Mining (TDM). We need to address existing laws without hesitation, if we can enjoy the massive benefit of mass digitization of works. 저작권법 체계는 저작물의 이용에 있어서 사전 허락을 기본으로 한다. 저작권이 미치는 저작물을 이용하면서 미처 허락을 얻지 못한 저작물의 이용행위는 저작권이 제한되는 경우와 같이 그 이용을 적법하게 하는 요인이 없는 한, 저작권의 침해가 된다. 대량 디지털화에서는 이용 허락을 구하는 데 따른 시간과 비용의 문제 등 높은 거래 비용이나 기타 여러 가지 이유로 저작물의 이용에 관한 사전 허락을 일일이 받는 것이 매우 어렵거나 심지어 불가능한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사전 허락을 요체로 하는 현재의 법체계가 유지되는 한, 저작권법 체계와대량 디지털화 사이에는 일정한 긴장 관계가 형성된다고 하겠다. 따라서 국내외의 판례와 입법레 등을 참고하여 현행 법률의 적용과 향후 저작권 제도의 개선이나 변경을 통하여 가능한 대응방안을 모색하여 본다. 여기에는일시적 복제 규정 또는 공정이용 항변의 적용이라든지, 저작물의 대량 디지털화에 고유하게 대응되는 저작권 제한 규정으로서 이른바 텍스트/데이터 마이닝(Text Data Mining)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일시적 복제 규정은 적용의 한계가 있고, 공정이용 제도는 예측 가능성의 측면에서 문제가 없지 않아, 결국 텍스트/데이터 마이닝에 관한 별도의 면책 규정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본다. 저작물의 대량디지털화에 의하여 누릴 수 있는 다대한 편익을 우리 사회가 놓치지 않으려면 신속한 입법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금융 보안 영상 뉴스를 이용한 자막 크롤링 연구

        이종화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24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Vol.24 No.1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d applied a crawling technique to analyze subtitles in YouTube videos to help understand the increasing amount of digital content with the growth of OTT platforms. The methodology is to develop a data crawl in Python using the data API provided by YouTube. We developed an algorithm to collect as many data as the researcher wants by improving API, which collects the limited amount of data. Using the algorithm, this research analyzed the changes in financial security-related content of 2018 and 2023. The results clearly show the changes in keywords and interests over time, suggesting new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the field of digital financial security. This study demonstrates the validity of the content analysis methodology through subtitle crawling and provides a basis for future similar studies.

      • KCI등재

        인문 “스몰 데이터” 연구 방법론과 사례 연구: 19세기말 영국 정기간행물 비평 담론 – 주간지 『런던』을 중심으로

        윤미선 영미문학연구회 2023 영미문학연구 Vol.44 No.-

        This paper is a “small data” study of the British critical weekly London (1877 - 1879). Small data is publicly available machine-readable data that has been assigned meaning by subject matter experts. London was a critical journal published by W. E. Henley (1849-1903), a leading critic of British literature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his circle. The hypothesis of this paper is that the three distinct sub-sections in the London’s literary section entitled “Bohemia” were organized with different logics, which produced the hierarchy of the works covered in the section. To explore this, this paper utilizes digital tools to perform statistical analysis and text mining. First, a basic statistical analysis of “Bohemia” reveals that London paid special attention to novel criticism; second, a morphological analysis extracts and compares nouns and adjectives that occur with high frequency in each sub-section. The findings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the term “genuine,” which relates to masculine attributes of authorship. Third, I perform cluster analysis and topic modeling based on LDA on all articles in “Bohemia.” The results show that mechanical article type and topic classifications do not correspond to the results of London’s own classification practice. However, this discrepancy allows us an “alien reading” that digital analysis offers: a discursive experience not confined to the critical projects of the Henley Circle.

      • 國際 標準 漢字의 異體字 硏究

        朴鍾寓(Park Jong-woo)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05 동아한학연구 Vol.- No.1

        유니코드가 국제 표준코드로 제정된 이래 각종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등 폭넓은 분야에서 채택ㆍ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고전 전산화 사업에서도 예외는 아니어서 유니코드에 수록된 2만 여자에 달하는 한자는 한적 자료의 전산화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그런데 유니코드는 그 자체에 다양한 異體字를 수용하고 있다. 이는 유니코드 제정 당시 韓ㆍ中ㆍ日 각국에서 사용되던 한자를 통합하는 과정에서 초래된 것으로 각국의 한자 사용 습관과 한자의 音이나 義와는 무관하게 지나치게 形을 중심으로 통합ㆍ분리ㆍ재배열 하도록 한 데에서 기인한다. 하나의 코드체계 내에 다양한 자형을 수용할 경우, 인쇄ㆍ출판 등에 도움을 줄 수 있지만, 대단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경우에는 입력과 검색에 심각한 문제점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국가 차원의 고전 전산화 사업이 연차적으로 확대 수행되는 현 시점에서, 異體字 인코딩 및 異體字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시급한 과제라 하겠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기존의 성과를 바탕으로 유니코드 Ext.B 한자의 異體字에 대한 효율적인 정보 처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문자코드연구센터에서 기존에 구축한 유니코드 BMP 영역 한자의 異體字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소개하였다. 다음으로 유니코드 Ext.B 한자의 異體字에 대하여 그 유형을 분석하고, 아울러 異體字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우선, 유니코드 BMP 영역 한자의 異體字 정보 DB 구축에 있어서 작업 경위, 異體字ㆍ通用字의 구분과 적용 원칙,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예를 정리하였고, 유니코드 Ext.B 한자의 異體字 유형 분석 및 DB 구축 방안에 있어서 Super CJK와 유니코드 Ext.B 한자, 유니코드 Ext.B 한자의 이체자 유형, 유니코드 한자의 이체자 정보 DB 구축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유니코드 한자의 이체자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면, 첫째로 고전 전산화 사업에서 입출력은 물론 이미 구축된 고전 자료 데이터베이스를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정보 환경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Unicode is a standard for developing all kinds of database and software nowadays. So we apply Unicode to digitalizing Korean classical texts. But Unicode has many variations〔異體字〕 on some of Chinese characters. This could make serious problems of developing database so that we will provide for the future work. This is a study for make a efficient data processing about Unicode variations. First we presented some informations of 'Unicode BMP characters and Ext.B characters database' developed by Character Code Research Center〔문자코드연구센터〕. Second we analyzed a pattern of Unicode BMP characters and Ext. B characters. Lastly we discussed the developing methods of Unicode variations and Unicode variation code table.

      • KCI등재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디지털 패션 테크에 대한 인식 연구

        송은영 ( Eun-young Song ),임호선 ( Ho-sun Lim ) 한국의류산업학회 2021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ol.23 No.3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perceptions and trends of digital fashion technology through an informational approach. A big data analysis was conducted after collecting the text shown in a web environment from April 2019 to April 2021. Key words were derived through text mining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and the structure of perception of digital fashion technology was identified. Using textoms, we collected 8144 texts after data refinement, conducted a frequency of emergence and central component analysis, and visualized the results with word cloud and N-gram. The frequency of appearance also generated matrices with the top 70 words, and a structural equivalent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were presented with network visualizations and dendrograms. Fashion, digital, and technology were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topics, and the frequencies of platform, digital transformation, and start-ups were also high. Through clustering, four clusters of marketing were formed using fashion, digital technology, startups, and augmented reality/virtual reality technology. Future research on startups and smart factories with technologies based on stable platforms is nee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fashion industry's knowledge on digital fashion technology and can be used as a foundational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research on related top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