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척전>의 동아그시 아특 징전란 디아스포라와 그 특징

        김용기 ( Kim Yong-ki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5 고전문학과 교육 Vol.30 No.-

        이 글은 <최척전>이 전란 외상 치유의 목적성이 강한 작품임을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필자는 이 작품에 나타난 주요 인물들의 행적과 서사적 결구를 ‘전란 디아스포라’의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그 결과 이 작품에는 다섯 종류의 디아스포라(Diaspora)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첫째는 임진왜란 전에 자신의 의사에 의해 형성된 디아스포라이다. 둘째는 전란으로 인해 자포자기한 상태에서 중국에 정착한 디아스포라이다. 셋째는 전란으로 인해 일본으로 강제 이주하는 과정에서 생긴 디아스포라이다. 넷째는 전란으로 인해 조선에 정착한 중국인 디아스포라이다. 그리고 다섯째는 타국에 정착한 혈육을 찾기 위해 새로운 가정을 꾸려 정착하는 디아스포라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확인된 <최척전>의 디아스포라는 일반적인 디아스포라와 큰 차이점이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통상적으로 디아스포라는 주류 민족에 의해 차별과 냉대를 받는 소수 약자의 성격이 강하다. 그런데 <최척전>에서는 그러한 모습은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대신 주류 국가에 속한 인물들과 상호 보완적 생존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종족이나 민족이 우선시 되는 것이 아니라 개별적 존재들의 수평적 관계 형성이 중심이 되고 있다. 이는 역사적 현실 속의 임진왜란이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독해되는 것과 달리, 작품 속 디아스포라들은 다문화주의적 관점에서 수용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최척전> 속에 등장하는 이러한 디아스포라들은 현실적으로 존재 했다기보다는 그러한 일이 있었으면 하는 바람 속에서 탄생된 상상적 디아스포라의 성격이 짙다. 이는 <최척전>이 16·17세기 동아시아 전란 체험을 고스란히 기록한 작품이 아니라는 것을 반증한다. 대신 이 작품은 동아시아 3국의 전란 상처에 대한 위안의 문학으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작가는 상상적 디아스포라들이 주류 국가들의 인물들에 의해 차별과 냉대를 받기 보다는, 그들과의 우호적 관계와 상호 공생 관계를 통해 가족과 재회하는 해피엔딩의 서사를 결구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to search that Choi Chuk Jeon has a purpose to heal the trauma of war. For this, the writer approached to the main characters' behaviors and the descriptive structure with a perspective of the war Diaspora. As the result of study, the fact was founded that there are five kinds of the Diaspora in this work. Firstly, there is the Diaspora stemmed from one's own will befor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second kind applies to the Diaspora settled down desperately in China. The third kind of the Diaspora was formed in process of being deported to Japan because of the war. The fourth kind of the Diaspora signified the Chinese settled down in Korea by war. The fifth kind of the Diaspora had a family in order to look for one's family members settled down in the other country. Through this analysis, the fact reveals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 Diaspora and the Diaspora of Choi Chuk Jeon. Usually, the Diaspora has a feature to get poor treatment and discrimination from the majority folks. However, that characteristic doesn't appear in Choi Chuk Jeon. The Diaspora of this work has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folks of the majority in the country. An ethic or racial group problem wasn't concerned and it focused on the horizontal relationship formation of each individual member. Japanese invasion of the historical reality was accepted as the perspective of nationalism. On the other hand, the Diaspora of this work means to accept from the multi-cultural perspective. the Diaspora of Choi Chuk Jeon didn't exist in the real world but it stemmed from the imagination that the hope would happen in real world. This disproves that Choi Chuk Jeon doesn't contain the East Asian war experience of 16th,17th centuries. Instead, this work formed as the literature work to comfort people for suffering East Asian war of three countries. For this reason, the fictive Diaspora didn't get the poor treatment or discrimination and had a happy ending to be reunited with family through the complementary and friendly relationship.

      • KCI등재

        황순원 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지형도(地形圖)

        노승욱(Roh, Seung-wook) 한국근대문학회 2015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6 No.1

        이 논문은 황순원 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지형도(地形圖)를 거시적ㆍ입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작가론과 작품론의 통합적 시각에서 논의를 진행했다. 특히 월남작가라는 정체성에 새롭게 주목하면서 정치적ㆍ역사적 맥락 가운데 나타나고 있는 황순원 소설 언어의 굴절 양상을 재조명하고자 했다. 유년시절부터 서북지역 기독교의 영향을 받았던 황순원은 이스라엘 민족의 역사에서 유래한 디아스포라(diaspora)를 소설 창작의 모티프로 수용했다. 고향 상실의 원체험에서 비롯되고 있는 황순원 소설은 고향에 대한 향수와 귀환 욕망의 발현 등이 지속적으로 형상화되고 있는데, 이는 디아스포라의 서사적 여정을 반영하는 것이다. 황순원의 소설에서는 도일(渡日)과 월남(越南)을 통해 작가가 실제적으로 겪은 월경(越境) 체험으로부터 디아스포라의 공간적 지형을 파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아스포라의 여정은 고향을 떠난 이산자들이 타향(이주지)에서의 역경을 거친 후에 다시 고향으로 귀환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황순원의 경우 일제 강점기에 일본 유학을 통해서 체험했던 디아스포라는 귀향과 광복이라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귀환이 마무리되는 체험을 하게 된다. 그런데 북한의 토지개혁기에 월남하면서 초래된 디아스포라는 남북한의 분단 상황이 고착화되면서 미완의 여정으로 남게 된다. 황순원은 좌절된 귀환 욕망을 추동하기 위해서 디아스포라의 심상적 지형을 그의 소설에 새롭게 구축하게 된다. 심상적 지형의 중심에는 그의 고향 평안남도를 중심으로 한 서북지역이 자리하고 있다. 향수의 근원지인 서북지역은 월남 실향민인 황순원이 생활과 생존의 어려움을 극복하 기 위해 소설 속에 형상화한 이상적 원형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1960년의 4ㆍ19 혁명과 1985년의 남북 이산가족 고향 방문은 황순원의 고향인 평안남도가 그의 소설에 다시금 전경화되는 계기로 작용한다. 이를 통해 이 시기에 창작된 그의 소설에서는 북한의 고향을 언어적으로 표현하지 못했던 금기적 억압이 극복되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특히 그의 만년소설에서는 실제적 고향에 대한 귀환 욕망이 구체적으로 피력되는 모습이 나타난다. This study aimed at the macroscopicㆍstereoscopic understanding of the topographical map of diaspora in Hwang Soon-won"s novel from the integrated view point on the theory of author and that of work. Taking new note of his identity, as a writer who came from north Korea, this study intended to review the refraction of the language in Hwang Soon-won"s novel in the political and historical context. He was influenced by Christianity of northwestern province in Korea since early childhood. He accepted the diaspora that was originated from the history of Israelites as the motif of writing novel. The nostalgia for hometown and the desire of return are the figuration of Hwang Soon-won"s novel begun with original experience of loss of hometown, which reflects the narrative journey of diaspora. He moved to Japa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s as a Korean student and came from north Korea as a landowner to south Korea. This practical experience crossing the border can be ascertained by spacial topographical map of diaspora in his novel. The journey of diaspora is generally completed by returning home going through adversity far away from home. In Hwang Soon-won"s case, his diaspora experienced by the study in Japa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s finished through the process of his returning home and independence. However, the diaspora caused by coming from north Korea in the land reform period left unfinished as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became permanent. To stir up his desire to return, he newly established imaginal topographical map in his novel. In the center of imaginal topographical map, there is northwestern province where is the center of Pyeongannam-do, his hometown. The northwestern province, the place of origin from his nostalgia is the formulated ideal space of original form in his novel. His hometown, Pyeongannam-do is reappeared in his novel after 4ㆍ19 revolution in 1960 and the exchange visits of separated families from North Korea and South Korea in 1985. He expressed his determination to return home concretely in his novel in later years, overcoming pressures that he couldn"t express his home town in terms of language.

      • KCI등재후보

        강경애 후기 소설과 체험의 윤리학 - 이산과 모성 체험을 중심으로

        김양선 한국여성문학학회 2004 여성문학연구 Vol.11 No.-

        The characteristic of Kang Keong-E's later novels is in the re-construction of diaspora as the female's viewpoint. So this thesis intends to look at her later novels, centering on the experience of diaspora and motherhood. First, <The Salt> deals with the cause of emigration and diaspora in association with the woman's experience and her narrative of survival. Bong Yeom's mother in <The Salt> under goes all sorts of hardships like the husband's death, Chinese landowner's sexual violence, bearing, and children's death. And she wakes up to the subject in the class and nation through these hardships. This novel grasps the complex aspects of motherhood in position of lower class woman, and find out the reality which her motherhood can not be protected at the Korean's marginal position, that is Kando emigrant. Kang Keong-E's later novels, <The Salt>, <The Mother and Son>, <The Drug>, <The Underground Village>, shows the 'maternalization of poverty'. Though the Old(pre-modern) women in her novels have the maternal thought, the dissolution of family is the clear reality to them. The motherhood not only shows why the diaspora and emigration are problematic to the women but also presents how they break through or transcend imaginatively the situation of emigration. Also this motherhood has the social meaning, and ensures the reality because of the concrete experience about female body. In <The Anxiety>, <The Sympathy>, the pity and love for Old(pre-modern) woman are presented in the context of the self-reflection of intellectual woman. In conclusion, the two axes, 'experience of diaspora' and 'motherhood of Old woman', which constituting the world of Kang Keong-E's later novels, shows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peculiarity of colonial Chosun and the process of subjectivity in lower class woman. 본고는 강경애 후기 소설의 특징이 식민지 시기 민족의 상실에서 비롯된 이산의 문제를 여성의 시각에서 재구성한 점에 있다고 보고, 이를 이산 체험과 모성 체험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먼저 소금은 이주 및 이산을 야기한 원인을 여성의 체험 및 생존의 서사와 연관해 다루고 있어 주목을 요한다. 소금의 주인공 봉염모는 가장의 죽음, 중국인 지주의 성적 유린, 출산, 아이들의 죽음이라는 일련의 수난을 겪으면서 계급적, 민족적으로 각성한다. 이 작품은 하층계급 여성이 현실에서 경험하는 모성의 분열적 측면을 잘 포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모성이 보호받지 못하는 원인을 간도 이주민이라는 주변적 위치에서 찾고 있다.강경애의 후기소설인 소금, 모자, 마약, 지하촌 등은 빈곤의 모성화 양상을 띤다. 작품 속 구여성들은 모성적 사고를 일관되게 견지함에도 불구하고 가족해체를 당면한 현실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모성은 이산과 이주라는 현실적 난관이 왜 여성에게 문제적일 수밖에 없는지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거듭되는 이산의 상황을 돌파하거나 상상적으로 초월할 수 있는 방안이 된다. 또한 모성은 사회적 의미를 지니면서도 구체적인 몸의 체험을 동반하고 있어 현실성을 확보한다.간도에서의 낙관적 전망이 사라진 후 작품인 번뇌, 동정에서도 지식인 여성의 자기 반성이라는 맥락에서 구여성에 대한 연민과 애정을 드러내고 있다. 이같은 점들로 미루어 볼 때 강경애 작품 세계를 형성하는 두 축인 ‘이산의 체험’과 ‘구여성의 모성 체험’은 식민지 조선의 특수성과 민중 여성의 주체 형성이 상호 연동하는 과정을 포착하는 기반이 된다.

      • KCI등재

        카자흐스탄 高麗人의 한글노래와 디아스포라의 正體

        조규익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7 No.3

        The Korean residents in China, Japan, Russia, CIS region are beings who hold feeling or lyricism of diaspora. The song culture of Koreans in Kazakhstan can be divided into a case to be connected to old tradition and the other to receive cultural factors of the newly settled countries. In any case, lyricism of diaspora forms the core of their contents or theme. There is a case to express a universal consciousness of diaspora deviating from peculiarity of historical facts, or the other case to expose a concrete direction based on collective historical experience in the Koreans' songs. The comparatively refined songs came in sight, becoming weak in diaspora as generation go down and developing in their sensitivity to grasp objects' cute angle. Consciousness of diaspora in Koreans' song culture has to be newly studied in the level to connect their experience about history to their real life in the settled countries. 中國·日本·러시아·CIS 지역·美國 등지의 韓人 僑胞들은 모두 디아스포라적 抒情을 안고 사는 존재들이다. 카자흐스탄 高麗人들의 노래문화는 크게 전통의 맥을 고스란히 이은 경우와 전통을 바탕으로 하되 定着地의 文化的 要因을 상당부분 수용한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어느 경우이든 디아스포라적 서정이 內容이나 主題의 핵을 이루고 있다. 고려인들의 노래에는 그들이 겪어온 歷史的 사실들의 特殊性을 떠나 보편적인 디아스포라 의식을 표출한 경우도, 集團的 歷史體驗에 근거한 구체적인 方向性을 드러낸 경우도 있다. 비교적 세련된 노래들은 세대가 내려갈수록 디아스포라 의식이 엷어지고, 사물의 銳角을 捕捉하는 感受性이 발달하면서 나타나게 되었다. 고려인들의 노래문화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의식은 그들의 역사체험과 정착지에서의 現實的인 삶을 연관시키는 차원에서 새롭게 考究되어야 한다.

      • KCI등재

        대한제국 디아스포라의 근대 체험과 국가 담론

        윤애경(Yoon, Aekyung) 국제언어문학회 2017 國際言語文學 Vol.- No.38

        이 글은 대한제국 디아스포라들의 근대 체험이 동일시기 국가의 국민으로서 관념적으로 학습된 그것과 단순동일시 될 수 없는 구체적이고 복잡한 맥락 위에 놓여 있음에 주목하여 그들이 전개해 나간 근대에의 사유와 국가 담론이 지닌 궁극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한제국 디아스포라들은 급격한 근대의 전환기에 국가로부터 타자화되어 멕시코라는 미지의 나라로 이동하면서 혹독한 자본주의 시스템 속에 놓이게 된다. 당시 제국 열강들의 ‘자본주의 논리’를 중심으로 추진된 전 지구적 이주를 통해 이들이 겪은 근대 체험은 그러므로 서구 식민지 쟁탈전의 핵심 동력인 야만적 근대의 폭력성을 ‘국가’라는 방패 없이 고스란히 그들 삶에 각인해야 했던 벌거벗은 생명의 생존 내용이라 할 수 있다. 근대 계몽이데올로기의 폭력성과 식민적 자본착취 구조의 인식은 다양한 국가 담론을 제기하며, 이 과정에서 상황에 수동적인 디아스포라가 아닌 새로운 국가의 역설적 출현을 낳는 디아스포라 주체가 탄생하고 있음 또한 새로운 이상국가의 건설과 함께 중요한 의의로 주목될 수 있다. 또한 대한제국 디아스포라들에 의해 탄생된 국가의 출현은 근대국가의 폭력성으로부터 탈피하여 탈식민주의의 성향을 강하게 피력하고 있으면서도 디아스포라로서의 신산한 실존과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음을 역설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In this paper, it was focused on that the modern experiences of diasporas of Daehan Jeguk lied in a specific and complicated context that cannot be regarded simply as the same as what they learned ideologically as the people of the nation in the same era, and the ultimate meanings of the ideas of modernity and national discourse developed by them were examined in detail. Diasporas of Daehan Jeguk became others by the nation in the period of rapid transition to the modern times, moved to an unknown country called Mexico, and were put in a cruel capitalistic system. Therefore, their experiences of the modern times through global migration pushed ahead by ‘the logic of capitalism’ of the powers of imperialism of those times can be said to have been the story of survival of naked lives who had to imprint violence of brutal modern times, the key force in the fight for colonies among western countries, into their lives as it was without the shield of ‘nation.’ The awareness of the violence of modern enlightenment ideology and the colonial capital exploitation structure raised diverse discourses of the nation, and in this process, the fact that not the diasporas passive about the situation but the main agents of diasporas resulting in the paradoxical appearance of a new nation were also being born can be also noticed with an important meaning along with the foundation of a new ideal nation. In addition, while the appearance of the nation established by the diasporas of Daehan Jeguk strongly appealed the tendency of decolonization breaking free from the violence of the modern nations, it was also paradoxically suggested that it was closely connected to the harsh existence as diasporas.

      • KCI등재

        디아스포라 沈連洙의 문학 세계

        김낙현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22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40

        Diaspora can be said to be a term representing the core and foundation of the literary world of Shim Yeon-su who was a rare writer who passionately engaged in literature while living the life of a diaspora who moved from Gangneung, Joseon, where he was born, to Yeonhaeju, the former Soviet Union, and then to Yongjeong, China, and then to Japan to study abroad. According to this trajectory of life, the literary world of the diaspora Shim Yeon-soo was developed into a type that expressed the feelings of emigration and wandering, the sense of hometown and love for one's country (hiraeth), and experiences and emotions in other countri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literary world of Deep Diaspora, it is essential to examine the sense of hometown related to the hometown revealed in his literature. In Shim Yeon-soo's literature, two aspects of their hometowns are presented as they intersect: their original hometown, Gangneung, and their later hometown, Yongjeong, China, a realistic space where they migrated and live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mpare and examine Shim Yeon-soo'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these two hometowns with those of the Goryeoin literature, which formed the mainstream of diaspora literature. Such mutu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sense of hometown is considered to be the foundation for a mor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diaspora's deep literary world. The review and research on this will be left for future work. 디아스포라(diaspora)는 沈連洙의 문학 세계의 핵심과 근간을 대변하는 어휘라 할 수 있다. 심연수는 자신이 출생했던 조선의 강릉에서 구소련 연해주로 이주하였고, 다시 중국 용정으로 이주한 이후 다시 유학을 위해 일본으로 이주하였던 디아스포라의 삶을 살면서 열정적으로 문학 활동을 전개한 보기 드문 문인이었다. 이러한 삶의 궤적에 따라 디아스포라 심연수의 문학 세계는 이주와 유랑의식, 고향의식과 조국애 그리고 타국에서의 체험과 그 감회를 표출한 유형으로 전개되었다. 디아스포라 심연수의 문학 세계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그의 문학에서 드러난 고향과 관련된 고향의식을 검토해야만 한다. 심연수 문학에서는 원초적 공간인 고향 강릉과 이주하여 거주했던 현실적 공간이라 할 수 있는 고향인 중국 용정 등 두 개의 고향 모습이 상호 교차하면서 제시되었다. 차후 이 두 개의 고향에 대한 심연수의 인식과 태도를 디아스포라 문학의 주류를 형성했던 고려인 문학과 비교,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고향의식에 따른 상호 검토는 디아스포라 심연수 문학 세계를 한층 더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토대가 되리라 여겨진다. 이에 대한 검토와 연구는 차후 과제로 남겨두기로 한다.

      • KCI등재

        이산의 문학적 체험과 다문화 인식 지평의 확장 -일제하 한국현대시 작품을 중심으로

        신주철 ( Shin Ju-cheol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0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47 No.-

        This paper has been written to introspect the situation of diaspora outstretching in Korea these days. The settlers from poor or development countries have been suffered by korean people who didn't have the understanding of diaspora. This paper makes a proposal for korean people "Put yourself in an other's shoes". This idea will be expected to go on well because there are a lot of historical experience in Korea under imperial Japanese. The literary works have given chances people to widen their understanding using specific context of poems or novels. Also this has been stimulated by the specific of literature that it has reflected the life's reality. At first, this paper showed several poems written in Manchuria under imperial Japanese. After that it stood several poems written in 2000's showing discrimination to settlers by a korean superintendent. Through this course, this paper expect korean people to introspect and widen their understanding of new coming era 'a multicultural society'. At the end, this paper pulled Baek Seok's poems and a Han Myung-Hee's poem for discussing the possibilities of reconciliation by deep interest and admission. The changing for a multicultural society of 2010's korean society looks like inevitable road. This paper has been expected to contribute for leading korean people to 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diaspora.

      • KCI등재후보

        교양교육으로서의 다문화교육강좌 개발에 관한 실행연구-디아스포라적 체험·성찰·표현을 중심으로

        서덕희,임경규,김지현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5

        This study is based upon the criticism that the established studi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university level have been limited to those for elementary or second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nd most of those studies have regarded multicultural education as not related to the other minority discourse. In this vein, this study aims to develop, implement, and evaluat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 as civil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multicultural competence, which means the ability to empathize the suffering and difficulties of minorities as well as the ability to respect the others. For the purpose, we reconceptualized ‘disaporaic experience’ as the ‘overlapped experience’ with those of other minorities, and let the students search for the lived experience within their lives, reflect upon the experience by analyzing sociocultural context within which the experiences are embedded, and express them by utilizing various media. As results of implementing and evaluating the course, it is revealed that this course enhanced the ability to empathize others’ suffering, team-teaching caused the students alert during the course, and expression culminated the educational process of circulating experience, reflection, and expression. 이 연구는 이제까지 대학에서의 다문화교육 논의가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교육에 제한되어 있다는 점, 이주민들의 체험을 소수자담론과 괴리시켜 보아서는 안 된다는 점을 비판하며, 이주민들과 일반 소수자들 간의 ‘중첩된 체험’으로서 ‘디아스포라적 체험’을 새롭게 개념화하고 이를 직접적·간접적으로 체험하고 자신의 삶 속에서 찾아보고 그 체험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분석하여 성찰하고 표현함으로써 타인의 상처와 아픔을 바로 자신의 것으로 이해하고 연대하는 힘을 기름으로써 다문화사회의 시민이 갖추어야 할 다문화적 역량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교양강좌를 개발하고 실행하고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디아스포라적 체험’을 자신의 삶 속에서 찾는 과정을 통해 “정보 전달”이 아니라 공감하는 능력을 형성하는 데 성공하였고, 융합적 접근의 결과 팀티칭 수업은 실제 강좌 운영에 있어서 ‘긴장감’을 준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었으나 온오프라인 상의 지속적 상호작용을 통해 연계에 좀 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체험-성찰-표현의 과정에 있어서 표현은 체험의 의미를 성찰하는 과정을 총화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 그리고 매체에 따라 표현의 차이가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재일디아스포라 문학에 나타난 언어경험 양상 ―김학영, 이양지, 유미리의 작품을 중심으로―

        엄미옥 ( Mi Ok Eom ) 한민족문화학회 2012 한민족문화연구 Vol.41 No.-

        이 글은 재일 디아스포라 작가의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언어의 경험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들의 작품에는 모어인 일본어와 모국어인 한국어 사이의 긴장과 갈등 문제가 지속적으로 그려진다. 먼저 김학영은 재일한국인이라는 처지가 말더듬이 현상을 더욱 심화시키고, 같은 재일한국인 내에서도 성적, 세대적 차이로 인한 위계화 속에서 언어적 소외와 억압이 발생하는 상황을 형상화한다. 이양지는 한국인으로서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유학 온 인물들이 모어와 모국어 사이에서 겪는 갈등을 통해 모어와 모국어가 픽션화된 하나의 관념에 불과함을 보여준다. 유미리의 작품은 두 작가의 작품과는 달리 언어에 들러붙은 민족성이나 역사성을 배제하고 글쓰기의 수단으로서 언어의 보편성에 천착하고 있다. 이러한 재일 디아스포라 작가의 작품에 나타난 언어경험 양상은 비단 재일한국인뿐 만 아니라, 디아스포라의 보편적인 언어경험을 증언한다. 요컨대 국어와 민족, 국가가하나의 등식으로 연결되어 다수의 언어 내셔널리스트가 소수의 언어 사용자를 배제하고 억압하는 근대국가에 의문을 제기하고, 국민이라는 공감공동체를 형성하는 국어 이데올로기의 자명성에 균열을 가하는 것이다. This article aims at figuring out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linguistic experiences i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literature. Those works continually describe the tension and conflict between Japanese as mother tongue and Korean as native language. First of all, Kim Hak Young embodies the situation in which stuttering is deepened and linguistic alienation and oppression in the hierarchy is created due to sexual and generation differences even in Koreans in Japan. Lee Yang Ji argues that mother tongue and native tongue are nothing but a fictional concept through the conflicts between the two which students, who came to establish Korean identity, experienced. Different to the two writers, Yu Mi Ri``s works exclude any national or historic characteristics attached to language and pursue universality of language as a means of writing. Such linguistic experiences in the works of Korean-Japanese Diaspora demonstrate linguistic experiences of general Diaspora as well as Korean-Japanese Diaspora. To sum up, it raises an objection of the modern state in which majority linguistic nationalists exclude and oppress minor language users by linking national language, nation and state as an equation. And it also breaks the solid national language ideology with which sympathetic community as nation people is formed.

      • KCI등재

        주요섭 소설에 재현된 코리안 디아스포라

        강진구(Kang, Jin-gu) 중앙어문학회 2014 語文論集 Vol.57 No.-

        이 글은 여심(餘心) 주요섭 소설에 재현된 코리안 디아스포라를 분석한 것이다. 주요섭은 일찍부터 고향인 평양을 벗어나 동경(東京)과 상해, 캘리포니아(미국)로 이어진 기나긴 유학길에 올랐다. 학업을 마친 후 귀국한 요섭은 얼마간 서울에 머물다 이내 북경으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추방될 때까지 생활하였다. 주요섭은 장기간의 해외유학과 해외 체류 과정에서 다수의 코리안 디아스포라들과 교류하였는데, 이들은 꿈을 찾아 온 유학생과 황금의 땅을 찾아온 가난한 노동자, 기구한 운명의 여성, 그리고 이른바 ‘선생님’으로 대변되는 양복 입은 신사 등으로 작품 속에서 재현된다. 주요섭 소설에 재현된 코리안 디아스포라들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족적 사명과 개인적 욕망 사이에서 방황하고 있는 유학생의 모습을 유학생을 통해 식민지 청년 지식인의 고뇌를 형상화 한다. 둘째, 정주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주 노동자를 통해 백인들에게는 ‘황금의 땅’인 미국이 코리안 디아스포라들에게는 뿌리 내릴 수 없는 ‘불모의 땅’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셋째, 해외를 떠도는 여성들을 비극적으로 형상화하는 것을 통해 전통적인 가부장적 질서의 해체에 대한 불안 의식을 드러낸다. 덧붙여 주요섭에 관한 기존 오류를 수정하기도 했는데, 이것이 빛나는 문학적 성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저평가 되고 있는 주요섭 문학을 재평가 하는 기회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This paper is an analysis on the Korean Diasporas represented in Ju Yo Seop’s novels. He left his home in Pyeongyang at an early age and went on a long journey of studying abroad in Tokyo, Shanghai, California (America). After finishing his studies, Ju Yo-seop returned home and stayed in Seoul for some time and moved to Beijing shortly and lived there until he was expelled. During his long studying and staying abroad, Ju Yo-seop interacted with many Korean Diasporas, who are represented in his novels as the students studying abroad seeking their dreams, poor laborers seeking a land of gold, women of adverse fortune, and so-called ‘Seonsengnim,’ gentlemen in Western cloth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Diasporas represented in Ju Yoseop’s novels are as follows. First, they embody the image of the student studying abroad who is wandering between national mission and personal desire. Second, through the migrant workers who have hard times in settling down, it is underlined that America is ‘a land of gold’ for the white people, but is ‘a wasteland’ impossible to take root for the Korean Diasporas. Third, they tragically embody the women who are wandering abroad. The present writer also corrected the existing errors about Ju Yoseop, and expects that this will lead to the opportunity to reevaluate Ju Yo-seop literature which is still undervalued despite its brilliant literary fru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