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민지 및 보호령 제도에 관한 프랑스 국제법 학자들의 견해

        이석우(Lee, Seok-Woo) 백산학회 2009 白山學報 Vol.- No.83

        During the late 19th century, Europe implemented policies concerning colonies and protectorates. During the period betwee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French international law scholars conducted a series of research to show this tendency. In general, international law scholars at that time assumed the existence of the colonial system. They focused on dealing with problems that arose from the system. However, they did not question the colonial and protectorate system itself. They worked on setting up the obligations and rights of the colonizing state and the colony and the protector state and the protectorate in order to avoid clashes among the great powers in Europe. Their work served as values to support their national policies. In addition, although these international law scholars made a distinction between complete annexation and the protectorate, they too examined the protectorate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 policy and extended their analysis to support the French colonial system. In other words, international law scholars at the time evaluated the protectorate system positively because it differed from the colonial system. The protectorate system was viewed as a way for less civilized nations to become a part of international society as sovereign states in a peaceful manner. However, as already known, the state practice went in a different direction than this early expectation. Most of the European countries that adopted the protectorate system did not improve the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of the non-European/uncivilized nations, but they pursued the policy of colonialization by taking these nations as their colonies. Nevertheless, the view of international scholars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began to slowly change. They moved their focus from studying the conclusion of treaties between two countries which was the focal point of the protectorate system. Instead, they more intensely analyzed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conclusion of treaties. It is meaningful that they discussed the problems and effects of protectorate treaties based upon this analysis. They posited that the European powers devised the protectorate system to reduce the cost of building colonies and to expand their colonial ambition. If we look at the results of colonial and protectorate policies, we can find that the people in the protectorates were under the authority of the head of their tribe, but in reality, they were under the control of the protectorate state. Therefore, the protectorate policy gradually changed the status of the people in the protectorate whereby they became more subordinated to the authority of the protecting state producing a similar result of expanding colonial rule. In reality, the colonial and protectorate policy was a way to disguise occupation and annexation. Therefore, for the colonial powers, the establishment of protectorates was one of the main programs of their colonial efforts. This disguised process of annexation was sometimes a continuous and lasting intervention into the sovereignty of other countries based on military occupation. Judging from the results of the research mentioned above, international law supported national policies for colonialization, but gradually it evolved in such a way to include a normative evaluation of the fundamental nature of colonial occupation. However, their analysis never reached a point where they concluded that the colonial policies or the protectorate system was unacceptable under international law. This fact has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in understanding the controversy between Korea and Japan over Dokdo. Korea’s territorial rights over Dokdo are based on two arguments. First, historically, Dokdo was a part of Korean territory, and secondly, Japan’s seizure of Dokdo in 1905 was invalid because it was in violation of international law.

      • KCI등재

        Nationalism and Asianism : Coloniality of the International World in East Asia

        Naoki Sakai (나오키 사카이) 西江大學敎 人文科學硏究所 2008 서강인문논총 Vol.24 No.-

        It may appear plausible to claim that we have grown out of the conditions of coloniality because we are now in the age of post-coloniality. Contrary to such a contention, this paper demonstrates coloniality as the contemporary condition of the present-day world, and illustrate that post-coloniality as the mode of our modern existence does not come after coloniality. The chronological ordering of coloniality and post-coloniality overlooks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modern international world from which the specifically modern form of colonialism derives. This one-dimensional understanding of colonial domination often forces us to presume that national sovereignty is not a reaction to colonial domination but the resolution of it; it solicits us to believe that, once independent, the nation can be free of colonial power relations in the midst of the modern international world. Accordingly, my argument proceeds, first, by refuting the chronological comprehension of coloniality, and, second, by delimiting the turf of my argument about the coloniality of present-day East Asia. From the above preliminaries, I will explore the two following areas of concern. After the collapse of the Japanese Empire, colonial power relations were actualized in the technologies of nation-building. Gradually there emerged a political composition or arrangement, according to which nationalism and colonialism are not in contradiction to one another. In other words, colonial domination survived within the element of national sovereignty. National sovereignty is a certain fiction, around which a number of technologies are deployed. In post-WWII East Asia, some of these technologies are organized in accordance with the rules of the modern international world; its sustenance requires the continuing actualization of the civilizational and racial categories of modernity. I will argue that what we can expound as East Asian coloniality is ultimately elucidated by asking ‘to what extent these categories are internalized or agreed upon by those who want to dispel what is perceived as colonial domination in East Asia.’ 현재 우리가 포스트-식민성의 시대에 살고 있기 때문에, 이제 우리는 식민성의 상황에서 빠져나와 있다는 주장은 그럴싸해 보인다. 그러나 그러한 주장과는 상반되게, 이 논문은 현재 세계의 동시대적조건으로서의 식민성을 주장하며, 우리의 현대적 존재의 양태로서의 포스트-식민성은 식민성이 끝난 ‘이후에’ 온 것이 아님을 보여주려 한다. 식민성과 포스트-식민성의 연대기적 배열은 식민주의의 특정한 현대적 형식이 발현된 국제 세계의 근본적 형국을 간과하고 있다. 이러한 식민 지배의 일차원적 이해는 우리에게 민족 주권이 식민 지배에 대한 대응이 아닌 그것의 해결이라고 가정하도록 만든다. 이러한 사고를 통해 일단 독립을 하면, 그 국가는 현대 국제 사회 안에서의 식민주의적 권력 관계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고 우리는 쉽게 믿게 된다. 따라서 나는 첫째로, 식민성의 연대기적 이해에 반박하고, 둘째 로 현재의 동아시아의 식민성 개념의 지평을 확대하여 나의 논의를 진행시켜 나갈 것이다. 우선적으로, 나는 다음의 두 영역의 문제를 탐구할 것이다. 일본제국의 몰락 이후, 식민주의 권력의 관계들은 ‘민족국가 건설’의 테크놀로지에서 현실화되었다. 민족주의와 식민주의가 서로 대척적이지 않은 형태의 정치적 구성이나 형태가 점차적으로 등장하게 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식민 지배는 민족 주권의 영역 안에서 살아남게 된 것이다. 민족 주권은 다양한 테크놀로지가 배치된 특정한 형태의 허구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동아시아에서, 이러한 테크놀로지들은 현대 국제 사회의 법칙들에 따라서 구성되었다. 그것이 지속되기 위해 서는 현대성의 문명적인 그리고 민족적인 범주의 지속적인 현실화를 필요로 한다. 나는 우리가 동아시아적 식민성이라고 간주할 수 있는 것은, ‘동아시아에서의 식민주의적 지배로 인식되는 것을 배제하고자 하는 사람들에 의해서 어느 정도까지 이러한 범주들이 내면화되거나 합의되는지’를 묻는 것을 통해 궁극적으로 명료해 질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내적 식민지, 판타지, 그리고 성의 정치학: 컬리턴의 『에이프릴 레인트리를 찾아서』

        오민석 ( Min Seok Oh ) 영미문학연구회 2008 영미문학연구 Vol.14 No.-

        This paper aims to read Beatrice Culleton`s In Search of April Raintree in terms of internal colony, fantasy, and sexual politics. This work is the first modern novel published by a Canadian aboriginal writer. To approach aboriginal writings focusing only on their common distinctive features such as affinity with nature, oral tradition, ritual, anti-materialism, etc. can be an effective way to introduce them but may alienate and separate them in a museum of literary history. The aboriginal life, culture, and literature have been involved in the contemporary capitalist society, in itself a part of it, and existing as the living present. Therefore the aboriginal literature should be treated as the present not as the past and as a kind of contemporary minority literature. Internal colony in this paper means the phenomena and the space in which the colonizer who monopolizes the capital and the power keeps on exploiting and repressing the colonized continuously in a nation, in a territory, and in a society by eternalizing its colonization. In Culleton`s novel, the internal colony is entangled with various fantasies of the colonizer and the colonized. These fantasies form the identities of both the colonizer and the colonizer, distorting their identities at the same time. April and Cheryl is the typical characters who show the case of the colonized in this internal colony. Internal colony is basically a political concept but cannot be understood in isolation from gender and sexual politics. Culleton`s novel shows this especially with its long and detailed scene of sexual rape and the concept of "native girl syndrome" which is the colonizer`s, etc. In conclusion, Culleton`s novel is the typical text which shows the contradictions of internal colony and for reference its discursive transparency matches well its content which is obliged to be discussed in an other paper.

      • KCI등재

        근대성의 내재하는 외부로서 식민지성/식민지적 차이와 변이의 문제

        조형근 ( Hyung Keun Cho ) 한국사회사학회 2007 사회와 역사 Vol.0 No.73

        한국에서의 식민지근대성 논의는 근대성과 식민지성이 동일한 사태/체계의 양측면이라는 인식을 통해 식민지근대성을 서구근대성의 특수태로 간주하지 않을 수 있는 이론적 잠재력을 제시한다. 하지만 이런 접근은 근대성의 외부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역설적인 함축을 초래할 위험성 또한 내포한다. 이 논문은 식민지적 차이/식민지성의 위치를 근대성의 내재하는 외부로 재설정하고자 한다. 첫째, 근대성에 대한 서구 내부에서의 비판은 근대성이 그 출발지점에서부터 타자에 대한 배제 메커니즘으로서 자신을 정립해왔음을 고발해왔다. 하지만 서구의 내적 비판들은 근대성이 비서구에서 수행한 역할들에 대해 거의 언급하지 않으며, 마치 탈근대 사상이 탈식민주의 논의를 이끈 것처럼 오도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는 근대성의 익숙한 논리인 서구 기원의 역사주의를 재생산하는 것이다. 둘째, 근대성에 대한 비서구적 관점에서의 비판은 근대성의 출현이 그 출발에서부터 식민주의적 실천을 통한 비서구와의 조우에서 비롯되었음을 주목한다. 서구근대성은 자신을 비서구와 대립하는 보편으로 제시함으로써 서구 기원의 세계사를 창출하였고, 이런 서구중심의 역사주의적 논리는 공간의 차이를 시간격차로 제시함으로써 비서구인의 심성에 내면화되었다. 셋째, 이런 식민지근대적 배치와 함께 식민지적 차이가 출현하고 증식한다. 그것은 구성적 외부로서 근대성 그 자체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근대성의 완전한 실현을 끊임없이 저지하고, 근대성으로 완전히 환원되지 않는 변이를 일으킨다. 이런 의미에서 식민지적 차이, 식민지성은 근대성의 절대적 외부가 아니라 내재하는 외부이며, 이 외부를 통해서 우리는 근대성을 사유하고 그로부터의 출구를 모색할 이론적 입지를 얻게 될 것이다. Recent debates on colonial modernity in Korea open a way to see it in its own right not as a version of Western modernity. However, this kind of approach might include a dangerous implication: everything is modernity, and there is no outside of modernity. This study aims to resituate a place of colonial differences/coloniality into an outside of modernity. First, internal self-criticism from the Western perspective convicts that modernity has imposed itself as an exclusive mechanism on social minorities in the very inception. However, it hardly investigates the role of modernity in the non-West. As a result, it tends to reproduce Eurocentrism of modern historicism. Second, external criticism from the non-Western perspective finds the birthplace of modernity not in the West, but in the non-West, where the former encountered the latter through its colonial practices. Western modernity presented itself as a universal form and created a world history which seemingly originated only from the West. The non-Western people internalized this historicist logic under the colonial situation which transformed spacial differences to time lag. Third, along this colonial/modern arrangement, emerges and multiples colonial differences. While these differences take a part in producing modernity itself, they put obstacles in the way of complete realization of modernity and give rise to variations of modernity which are not totally reduced to modernity. In this sense, colonial differences, i.e. coloniality is not an absolute outside but an internal outside of modernity. Through this outside, we can continue to tackle modernity and find an exit from it.

      • KCI등재

        식민주의의 견지에서 본 2000년 여성국제법정: 일본군 성노예제라는 ‘전시 성폭력’

        양현아 ( Yang Hyunah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21 민주법학 Vol.0 No.75

        2000년 일본군성노예전범 여성국제법정이 일본 도쿄에서 개최된 지 20여년이 지났다. 2000년 여성국제법정은 2000년 12월, 아시아 등지의 10여 개국의 피해자, 단체, 법률가 등 전문가 등이 참여했던 초국가적 시민법정으로서 여성법정이자 아시아의 법정이자 ‘아래로부터의’ 법정이자 남북코리아의 법정이었다. 법정은 일본군 성노예제에 관하여 일본 정부와 그 고위 공직자들에게 법적 책임이 있음을 명확하게 선고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의 피해자들의 입장에 보면 피해자들에게 자행된 범죄양상에 내재해 있는 식민지성 내지 식민주의에 대한 조명이 미흡하다는 평가가 있다. 이 논문은 2000년 여성국제법정의 유산을 계승한다는 생각에서 식민주의의 시각에서 여성국제법정과 일본군 성노예제의 성격을 조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2000년대 이후 형성된 ‘전시 성폭력 법리’를 참고하기 위해서 구 유고슬라비아국제형사법정과 르완다형사법정에서 내려진 판결들과 유엔 특별보고관들의 보고서를 통해 살펴보았다. 다음, 조선의 여성들에게 자행되었던 성노예제 범죄의 사실관계에 부합하는 새로운 법 논리를 구성할 것을 제안한다. 사실관계에서는 조선 여성들의 동원, 이동, 배치, 성폭력과 전후 처리에서 식민지 성이 어떻게 관통하였는지를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서 ‘식민지인임에도 불구하고’가 아니라 ‘식민지인이었기 때문에’ 당했던 피해라는 논리를, 단지 ‘의사에 반함’이라는 강제성이 아니라 ‘강압적 상황’에 관한 입체적인 체계의 논리를, 그리고 조선인 여성과 일본 군인이 아군과 적군의 이분법으로 포착되지 않는 식민지적 관계성에 관한 논리를 구성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이 글은 현재의 국제형사법은 전시성폭력에 관해서 새로운 논거와 기준들을 마련해 왔음을 살펴보았고 이를 적용해서 식민지 조선의 역사적 현실을 반영하고 그 범죄양상에 부합하는 일본군 성노예제에 관한 법 논리가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에 따라 ‘젠더에 기초한 폭력’(Violence based on Gender)’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식민지성에 기초한 젠더폭력(Gender Violence based on Coloniality)’ 개념으로 일본군 성노예제를 바라 볼 것을 제안하고 있다. 식민지성에 기초한 젠더폭력의 법리는 한국과 아시아의 일본군 성노예제를 설명하는데 중요할 뿐 아니라 서구와는 다른 근대화를 경험했던 많은 국가와 사람들에게도 널리 의미를 가질 것이다. Twenty years have passed since the Women’s International War Crimes Tribunal in 2000 on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hereafter, Women’s International Tribunal in 2000) was held in Tokyo, Japan. It was an unprecedented tribunal initiated and organized by the citizen’s-NGO’s, surviving victims, and legal professionals, etc. from more than 10 countries from Asia and beyond. It was mostly courageous victim-survivors’ and women’s efforts that rendered sexual slavery including other human rights violations accountable and punishable. Nonetheless,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colonialism or coloniality embedded in the patterns of the crimes and in the damage the women particularly those from colonized Korea who were the largest ethnic group of the victims was only insufficiently dealt with in the Tribunal. This article attempts to view the 2000 women’s international tribunal as well as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hereafter, JMSS) from the perspective of colonialism and coloniali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ses wartime sexual violence cases such as Akeyasu held by ICTR and Frundžija and Kunarac held by ICTY. It also reviews the Special Rapporteur’s Reports on Systematic Rape and Sexual Slavery submitted to the UN. This study then examines the damages in the process of Korean women‘s forcible mobilization, transportation to foreign soil, and is located at the numerous Japanese military stations virtually all over the place where the Japanese Military fought. In this examination, the study tries to see how coloniality influenced this process. Based upon the jurisprudence offered from the cases at ICTR and ICTY and the overview of the facts, I try to suggest the reasoning for the jurisprudence of Japanese Sexual Slavery. First, we need to develop the legal reasoning of ‘because of coloniality’ rather than ‘despite colonialism,’ and secondly, the coercive circumstances in the colonial rule of law and society need to be articulated. Thirdly, the relationality between Japanese Soldiers and Korean girl/women need to be theorized, that is neither one of the enemy nor that of the ally. In conclusion, this article proposes the notion such as ‘gender violence based on coloniality’ and ‘wartime sexual violence based on coloniality’ as a very important mode of wartime sexual violence.

      • KCI등재

        Currents of Christian Internationalism: The International Missionary Council and the YMCA’s Rural Reconstruction in Colonial Korea

        Yeonseung Lee 한국교회사학회 2021 韓國敎會史學會誌 Vol.60 No.-

        1920년대 한국 농촌을 위한 YMCA와 국제선교사협회의 협력은 계급 이데올로기 혁명을 기획하는 국제공산주의, 정치군사적 통제를 모색하는 제국주의, 또한 상업적 착취를 통한 경제적 부의 확장을 추구하는 강대국 민족주의와 구별되며, 본질적으로 민족의 상호협력과 인류애라는 보편가치를 추구한 기독교세계주의이다. 서구 선교사들은 교회와 국가의 역할을 구별 하는 파송 국가의 정부정책에 순응했지만 국제선교사협회는 거시적인 틀에서 한국의 민족주의자들과 협력하며, 식민정부의 주요 착취대상인 한국의 농부를 위해 종교적, 과학적, 물질적, 인적자원의 국제적 재배치를 총괄 함으로 여타 국제적 흐름과의 차별성을 시사한다. 국제선교사협회는 민족과 인종의 경계를 초월하는 기독교세계주의를 추구했는데, 한국의 농부를 위한 이러한 연대성은 세속국가의 외교경쟁이 가져온 한계에도 불구하고 초국가적 보편가치를 추구하는 중요한 국제주의의 흐름으로 포착된다. 국제선교사협회의 예루살렘대회는 한국의 다양한 교회기관이 교회 자체의 생존에 대한 관심을 넘어 사회병리적 문제의 해결을 위한 범교단적 협력과 기독교 농촌연구회의 조직을 고무했으며 태평양문제연구소로 하여금 한국 학자의 토지문제연구를 지원할 토대를 마련하였다. 또한 대한민국공화국의 토지개혁을 구상할 정부 요원에게 현장지식과 훈련기회를 제공했다. 제국 주의에 관한 거시적 이론을 넘어 구체적인 YMCA농촌운동에 참여하는 국제선교사협회의 활동에 대한 면밀한 자료의 검토는 기독교세계주의가 한국의 민족주의를 폄훼하기 보다 도리어 약소국의 민족역량을 강화하는 자양분으로 작동했음을 입증한다. 한국 YMCA농촌운동과 국제선교사협회의 협력을 연구함에 한국의 민족주의 틀을 넘어서, 일본 식민주의, 피압박민의 민족주의를 대체하며 활동한 국제공산주의, 강대국의 제국주의와 구별되는 기독교 세계주의의 취급이 요청된다. The trajectories of international current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in the 1920s reveal the distinction of Christian internationalism that the IMC sought to implement for the Korean YMCA’s Rural Reconstruction. Amid the deluge of international currents of colonialism and communism, the IMC in partnership with the YMCA’s Korean nationalists crafted a history of international interactions in its nation-wide enterprise for village farmers under the stringent restraint of the colonial government, which demonstrate that the IMC’s internationalism did not exactly fit in the framework of expansionist imperialism or unfettered commercialism. Western missionaries maintained the overall stance of a church-state separation, but the IMC orchestrated the international transmission of religious, intellectual, and material resources for empowering Koreans and rejuvenation of the village life that had been systematically exploited by the colonial government. Through this engagement, the IMC displayed it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internationalism expressing disinterested benevolence and alliance transcending national and racial boundaries, which may not be a full-fledged alliance with Koreans, yet too significant to be negligible. The Jerusalem Meeting stimulated the native cooperation among disparate ecclesial entities, organization of the Christian Rural Research Association led by Cho Mansik, and scientific research on agricultural problems and land usage by Lee Hoonkoo under the aegis of the Institute of Pacific Relation. It further provided an opportunity and field knowledges to cultivate a key official A.C. Bunce to prepare a land reform proposal for the newly established Republic of Korea. Not the grand theory of imperialism, but the micro investigation of the detailed process reveals that Christian internationalism in the case of colonial Korea operated not to undermine, but to undergird nationalism.

      • KCI등재

        문학이라는 장치 -식민지/제국 체제와 일제말기 문학장의 성격-

        차승기 ( Seung Ki Cha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1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4

        이 글은 ``장치(dispositif)``라는 개념을 통해 근대문학의 제도성 또는 장치성을 재검토하고, 그 연장선 위에서 식민지/제국 체제와 식민지 조선 문학장의 특이성을 해명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권력관계 속에 기입되어 전략적으로 기능하는 담론, 제도, 법, 지식 등의 네트워크``를 지시하는 푸코의 장치 개념은 아감벤에 의해 ``생명체들의 몸짓, 행동, 의견, 담론을 포획, 규정, 차단, 제어, 보장하는 능력을 지닌 모든 것``으로 일반화된다. 아감벤의 개념을 참조할 때 장치는 단지 규율권력의 편재를 의미하기보다 살아 있는 개개의 존재자들이 사회를 구성하면서 포획되는 다층적이고 불균등한 조건을 뜻하게 된다. 이런 의미에서 장치는 단지 규율적·통제적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인간적인`` 욕망을 발육시키는 장소가 되며, 이 유토피아적 계기를 가운데 두고 장치와 살아 있는 생명체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길항과 투쟁을 주체화의 길로 인도하는 형식이 되기도 한다. 식민지는 식민지와 식민본국 사이의 불균등하고 비대칭적인 존재론적·법적·정치적 관계에 의해 규정될 때에만 식민지일 수 있는데, 바로 이러한 관계가 인간화·주체화의 조건 및 형식과 직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장치 개념은 식민지의 역사적 특이성을 해명하는 데도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식민지와 제국 사이의 차별이 구조화된 연루관계를 지시하기 위해 이 글에서는 ``식민지/제국 체제``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식민지/제국 체제의 체제로서의 지속의 조건은 통제적 합리화, 욕망의 내재화, 가시성의 절대화에 달려 있다. 그리고 이 체제의 비유기적인 구성요소로서의 문학은 식민지의 생명체들에 특정한 주체성의 가상을 부여하는 장치로서 작동한다. 다양한 담론적·비담론적 조건이 결합되어 만들어내는, 특정한 ``의미를 갖는`` 쓰기/읽기/말하기/듣기 체제로서의 근대문학은 ``반성적(내면적) 주체``와 ``상상적 연대의 주체``=국민적 주체를 구성했다. 이 주체성은 각각 ``고유한 자기``를 소유하고자 하는 꿈과 ``무한한 소통가능성``의 꿈을 분리된 영역에서 포획하고 있다. 이와 같은 주체성을 생산해내는 장치로서의 문학이 특정한 ``전달가능성``의 체제를 전제하고 있다면, 이 전달가능성이 (어떤 방향에서든) 벽에 부딪칠 때 장치의 장치로서의 성격이 전경화된다. 중일전쟁 발발 이후 총력전 시기는 식민지/제국 체제의 ``체제``로서의 성격이 극명하게 드러난 시기이며, 또한 ``조선문학의 위기``라는 형태로 문학장의 변동이 표면화된 시기이다. 전쟁, 동원, 외지의 내지화 등은 문학장의 구조를 변동시키며, (그동안 근대문학의 장치 속에서 생산되어 왔지만 은폐되어 있었던) 기술자-작가와 번역가-작가를 산출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stitutionality or apparatusness of modern literature, and to clarify the singularity of colonial/imperial regime and colony`s literary sphere. Foucault`s concept of dispositif is a thoroughly heterogenous ensemble consisting of discourses, institutions, architectural forms, regulatory decisions, laws, administrative measures, scientific statements, philosophical, moral and philanthropic propositions-in short, the said as much as the unsaid. Agamben generalize it into anything that has in some way the capacity to capture, orient, determine, intercept, model, control, or secure the gestures, behaviors, opinions, or discourses of living beings. In the light of Agamben`s concept, dispositif means not the omnipresence of disciplinary powers, but multilayered uneven conditions into which living beings are captured. In this sense, dispositif doesn`t only perform some disciplinary control function, but also provides sites for developing the ``human`` desire. So it also becomes the form of subjectification which is constituted in antagonism between dispositif and living beings. Colony is the colony under the determination of uneven asymmetry ontological, legal, political relationship between colony and empire. The concept of dispositif is applicable to clarify the historical singularity of the colony, because this relationship is connected directly with the conditions of humanization and subjectification. For indicating the implicated relationship between colony and empire, I use the concept of the ``colonial/imperial regime``. The condition of durability as regime of the colonial/imperial regime, depends upon the rationalization of control, the internalization of desire, and the absolutization of visibility. And literature as inorganic element of this regime, operates as dispositif, which offers appearances of subjectivity to living beings of the colony. The modern literature as a certain ``significant`` writing/reading/speakin g/hearing regime, which is made by manifold discursive, undiscursive conditions, constitutes ``the reflexive (internal) subject`` and ``the subject of imaginary solidarity``=national subject. These subjects seizures the dreams that want to possess the ``proper self``, and the dreams that want to communicate infinitely, in the separated territory respectively. If literature as dispositif which produces these subjectivities premises a certain regime of ``communicability(Mitteilbarkeit)``, when this communicability reaches a deadlock, the characteristics as dispositif of dispositif would be exposed clearly. During the total war, since the outbreak of the Second Sino-Japanese War, the characteristics as the ``regime`` of the colonial/imperial regime was revealed clearly, and the structural change of literary sphere come to the surface in the form of ``the crisis of Choseon Literature(朝鮮文學)``. In the wake of the war, mobilization, and internalization of the colony, the structure of literary sphere changed and that produced the technician-writer and translator-writer who had been concealed in dispositif of the modern literature.

      • 식민지근대화론에 대한 비판 - 『반일 종족주의』 비판 -

        김병기 국학연구소 2020 국학연구 Vol.24 No.-

        『반일 종족주의』라는 책은 일제의 식민사관을 再論하는 저술이다. 이 가 운데 ‘식민지근대화론’은 일제식민지 통치시기에 비로소 한국의 근대화가 촉진되었다는 것이다. 일제가 한국을 수탈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시혜(施 惠)를 베풀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리는 일제가 한국을 무력으로 불법 강 점한 사실과 민족말살정책을 부정하는 한편 그들의 식민통치를 통해 한국 은 후진성을 극복하고 ‘근대화의 길’로 나가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식민지근대화론의 허구성은 이미 많은 학자들에 의해 비판을 받았다. 1)한국사의 정체성론은 해방 후 남북한 학자들에 의해 ‘내재적 발전론’으로 극복되었다. 한국에서는 17~18세기에 이미 자생적 근대화의 싹이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2)식민지근대화론자들은 조선시대까지 이루어진 경 제발전은 과소평가하고 일제에 의한 개발을 과도하게 평가하고 있다. 이는 통계에 대한 자의적 해석과 오독(誤讀)으로, 일제강점기와 해방 후 한국경 제를 비교해 보면 모든 통계는 식민지적 질곡에서 벗어나면서 비로소 근대 화가 이루어졌다는 것을 수치로 말해주고 있다. 3)일제강점기 한국사회를 식민지근대화론자 주장처럼 경제논리로만 이해하는 것은 위험한 분석이다. 정치적 발전, 사회적 발전을 비롯하여 문화적 발전 등도 함께 검토해 보아 야 한다. 일제하 국민주권, 국민참정권 등이 철저히 제한되었고, 한국어 말 살정책, 역사 문화의 왜곡 말살을 통해 한국인들의 입지는 철저하게 제한 되었음을 함께 살펴야 할 것이다. 식민지근대화론자들의 주장대로 일제시기가 좋았다는 식민지 미화론, 식 민지 시혜론이 난무한다면 상대적으로 국권회복을 위해 힘썼던 독립운동은 설 자리를 잃게 될 것이다. "Anti-Japanese Ethnicism" is a book that re-examines Japanese colonial history. Among them, the "Theory of Colonial Modernity" is that modernization of Korea was promoted in Japanese colonial era. They say that the Japanese did not take away Korea, but rather gave benefits. This is a logic that denies the Japanese imperial aggression and annihilation policy, and that through colonial rule, Korea overcame backwardness and achieved "modernization". Many scholars have already criticized the fiction of the “Theory of Colonial Modernity”. 1) The theory of stagnation in Korean history was overcome by South and North Korean scholars with "internal development theory" after liberation. In Korea, in the 17th to 18th centuries, spontaneous modernization had already sprung. 2) Colonial modernizationists underestimate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Chosun era” and overestimate the developmen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It is the arbitrary interpretation and misreading of statistics. A statistical comparison of the Korean economy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liberation shows that modernization took place only after it escaped from the colony. 3) As the colonial modernizationists argue, it is dangerous to understand Korean socie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only economic logic. Naturally,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aspects must be reviewed together. It should be noted tha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Koreans were thoroughly regulated due to restrictions on the suffrage, the eradi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and distortion of history. If “colonial beautification theory” and “colonial benefit theory” are insisted, as the colonial modernizationists have argued, the independence movement that tried to find the country will lose its place.

      • KCI등재

        일본의 독도영유권 주장과 일제식민지책임의 국제법적 검토

        도시환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7 독도연구 Vol.- No.23

        주지하다시피 일본은 1952년 이래 한국의 독도에 대한 영유권을 본격적으로 제기하기 시작했으며, 고유영토론, 선점론 그리고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을 근거로 한 3대 권원에 대한 주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오고 있다. 일본이 주장하는 독도영유권은 17세기 중반에 확립되었고, 1905년 각의 결정을 통해 재확인되었으며,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에 의해 국제적으로 공인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일본의 독도영유권 주장은 시계열상 1905년 선점론에서 시작하여 1952년 고유영토론을 경유한 뒤 최근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으로 무게 중심을 전환하는 과정속에서, 국제법상 요건의 충족 여부 문제로 환치 및 축소, 역사적 권원으로서의 사실에 대한 왜곡에 더하여 국제법상 법리의 정합성에 대한 자의적인 해석을 통해 근본적으로 일제식민주의의 침략이라는 본질을 은폐하고자 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그것은 결국 일본의 주장이 국제정치적 역학관계를 바탕으로 이미 결정했거나 실행한 불법행위를 사후적으로 합법화하고 정당화하기 위한 수단이자 명분에 다름 아닌 것이다. 요컨대, 일본의 독도영유권 주장은 메이지 유신이래 제국 형성을 위한 대외팽창적 침략정책과 연동됨으로써 1875년 운요호사건, 1894년 청일전쟁, 1904년 러일전쟁 등 동아시아 전역에 걸친 일본의 침략전쟁 가운데 한국의 독도주권에 대한 침탈을 무주지선점이란 이름으로 합법화한 것이다. 그러나, 운요호사건을 통해 1876년 2월 26일 근대 조선과 일본이 체결한 불평등조약인 강화도조약에는 국경획정문제가 언급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한 태정관(太政官)의 1877년 3월 29일 결정으로 ‘독도 외 1도’는 일본 영토가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하고 있음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일본 외무성의 홈페이지에는 이러한 메이지 정부의 중대한 결정을 전혀 찾아볼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1962년 7월 13일 한국에 보내온 일본의 의견서에는 오히려 “메이지 초기에도 일본 정부가 다케시마를 일본의 고유영토로 인식”하고 있었다는 상반된 주장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선점론과 고유영토론의 이러한 상충적 한계를 전제로 최근 일본이 주장하는 독도영유권 주장의 핵심은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으로, 그 기초과정에서 독도의 이름이 누락되었으나 일본이 제공한 정보에 입각한 딘 러스크(Dean Rusk) 서한을 전제로 실질적으로 일본 영토로 남게 되었다는 논거 역시 일제식민주의의 연장선상에서 제기되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그것은 1951년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의 성격이 징벌적 조약에서 냉전을 전제로 한 반공조약으로 전환됨으로써 1905년의 가쓰라-태프트밀약으로 상징되는 식민주의를 기저에 둔 독도주권 침탈행위의 합법화로 이에 대한 국제법적 불법성과 문제점의 규명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환언하면 일본정부는 1910년 한일강제병합 관련 조약의 경우 무력을 사용한 강박 하에 체결된 조약으로서 법적 효력이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비롯한 일제식민지책임의 면탈을 위해 ‘당시의 법’에서는 합법이라고 강변하고 있는 반면, 한일간 협약체제를 일탈하여 주장하고 있는 독도영유권은 선점론에서 시작하여 고유영토론을 경유한 뒤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으로 무게중심을 전환해 옴으로써 국제법상 시제법의 적용에 있어서도 상충되는 법리를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그 ... Japan began claiming territorial sovereignty over Dokdo since 1952 and has since strengthened its argument on the three grounds: inherent territory from the 17th century, the doctrine of terra nullius and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In other words, it argues that territorial sovereignty was established in the mid-17th century, reconfirmed with the Cabinet decision of 1905 to incorporate Dokdo, which was internationally recognized through the Peace Treaty. In the course of Japan‘s changing focus in its assertion over Dokdo―from acquisition of the land in 1905, its statement made in 1952 claiming Dokdo being the inherent territory of Japan from 17th century, to recently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it fundamentally reveals limitations in time series. By using the ground of occupancy, it changes and minimizes the issue into an international legal condition; its claim of Dokdo being the inherent territory of Japan distorts historical facts; it attempts to conceal its colonial aggression by arbitrarily interpreting conformity with the international legal principles. This series of assertions are a mere justification used to legitimize the assertions and illegal acts that have already been decided or executed based on the dynamics of international politics. In essence, as its claim to sovereignty over Dokdo was integrated with its aggressive expansionist policies to build an empire since the Meiji Restoration, it was intended to legitimize its claim under the doctrine of terra nullius amid wars of aggression in East Asia including the Unyoho Incident of 1875, the Sino-Japanese War of 1894 and the Russo-Japanese War of 1904. The unequal treaty signed as a result of the incident between modern Joseon and Japan on February 26, 1876, known as the Treaty of Ganghwa Island, did not state territorial demarcation. The order of Dajokan, the Grand Council of State, issued to complement the treaty on March 29, 1877 stated ‘Takeshima and the other island’ did not belong to Japan. This significant decision of the Meiji government should be noted because the order cannot be found on the website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because the letter sent by Japan to Korea on July 13, 1962 made a contradictory argument that the early Meiji government recognized Takeshima as its territory. Under the premise of contradictory limitations of arguments for acquisition of the land without sovereignty and that Dokdo was the Japanese territory from the Meiji government, the gist of the assertion Japan recently makes is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and Dean Rusk letter: the name of Dokdo was omitt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treaty but the island remained the territory of Japan as evidenced by the Dean Rusk letter, which was written based on the information given by Japan. It should be noted again that the basis of such argument is in line with Japanese colonialism. As the nature of the San Francisco Treaty of 1951 changed from a punitive treaty to an anti-communist treaty based on the Cold War, Japan’s claim to Dokdo is being legitimized based on colonialism as symbolized by the secret Taft-Katsura Agreement of 1905, and this calls for a review on illegality under international law. In other words, Japan strongly argues its acts were legal under the law at that time in an effort to be exonerated from its colonial responsibilities even when the Japan-Korea Annexation Treaty of 1910 holds no legal effects as the treaty was forcibly signed. In contrast, it claims sovereignty over Dokdo, deviating from the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by changing the ground of argument from acquisition under terra nullius, being the inherent territory of Japan, to the San Francisco Treaty. Such arguments and their grounds are contradictory in applying the international intertemporal law. Against this backdrop, it is noteworthy to review the criticism on Japan’s claim to Dokdo sovereignty raised in the Japanese academia. The bases fo...

      • KCI등재

        일제 강점기 중국인의 시선으로 본 식민지 조선인-1920~40년대 조선인 제재(題材) 중국 현대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고재원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3 한국학연구 Vol.- No.68

        This thesis analyzes three aspects of the theme of colonial Joseon from the Chinese point of view, with Chinese modern short stories as texts from the 1920s to the 1940s, in which Joseon people appear as main characters. The first is the Koreans who resisted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se are young Koreans who lost their country in the novel and wander about the anti-Japanese movement. Second, there are various Koreans living in Manchuria. First of all, they are poor Koreans living in Manchukuo(滿洲國),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colony and a multi-ethnic country, and is a Korean who lives a desperate life for survival. Next is a ruthless Korean who commits crimes and tyrannizes against the Chinese with Japan on his back in the city. The last is a Korean boy and girl who overcome poverty and discrimination and awaken the sense of solidarity between the weak and the weak. These Korean boys and girls were embodied as figures who embodied nationalism and internationalism. The third is a Korean who has internalized colonialism living in Japan, the home country of colonialism. The novel embodies the discrimination Koreans are subjected to by the Japanese and the resulting pain. These works criticize Japanese colonialism at the time through the lives and sufferings of colonial Koreans in the novels, and also raise a critical mind about Western-centered modern thought that internalized confrontation and hierarchy. 본 논문은 1920년대부터 40년대까지 조선인이 주요 인물로 나오는 중국 현대 단편소설을 텍스트로 하여 중국인의 시선으로 바라본 식민지 조선인이라는 주제로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첫째는 일제에 저항하는 조선인으로, 이들은 소설 속에서 나라를 잃고 망명객으로 떠돌아다니며 항일운동을 하는 조선인 젊은이들이다. 둘째는 만주(국)에 사는 다양한 조선인이다. 우선 식민지이자 다민족 국가의 성격을 갖는 만주국에 사는 가난한 조선인으로, 생존을 위해 처절한 삶을 사는 조선인이다. 다음은 도시에서 일본을 등에 업고 중국인에게 범죄를 저지르고 횡포를 부리는 무뢰한 조선인이다. 마지막은 가난과 차별을 딛고 민족의 정체성과 약자들의 연대의식을 각성하는 조선인 소년과 소녀이다. 이들 조선인 소년, 소녀는 민족주의와 그것을 넘어서 국제주의를 체현한 인물로 형상화되었다. 셋째는 식민 본국 일본에 사는 식민주의를 내면화한 조선인으로, 소설은 조선인이 일본인에게 당하는 차별과 그로 인한 고통을 형상화하고 있다. 이 작품들은 소설 속 식민지 조선인의 삶과 고통을 통해 당시 일제 식민주의를 비판하면서 대립과 위계를 내면화한 서구 중심의 근대적 사유에 대한 문제의식도 제기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