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어 쓰기 교과목 연계 튜터링 프로그램 운영 및 인식 조사를 통한 개선안 연구

        김지은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5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er tutoring program at a university for its better management in the future, and to foster other similar programs. The subjects were a total of 17 tutors and 95 tutees, all of whom participated in the tutoring program for an English writing course. They answered survey questions regarding the program, and additionally tutors were interviewed for the in-depth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utors evaluated the program and their tutoring performances positively, except when it came to their own teaching skills and qualifications. Likewise, tutees we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in which tutors gave direct feedback on their essay assignments, and this in turn led to the improvement of their performance in the English writing course. However, the tutors perceived that the tutoring program needed more organized administrative and educative support from the university. In addition, both tutors and tutees reported that the absence metric of the latter should be increased and enforced with the help of school policy.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the program were also added: the importance of limiting the number of tutees, the need to obtain systematic administrative and educative support, and finally the provision of tutor training sessions. 본 연구는 대학의 영어 글쓰기 교과목과 연계된 튜터링 프로그램의 실태와 문제점을 알아보고 그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17명의 튜터 교수자와 95명의 튜티 학습자가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만족도, 문제점, 개선점에 관한 설문에 답변하였으며, 튜터 교수자는 추가로 면담에도참여하였다. 그 결과, 튜터 교수자는 영어 쓰기 교사 자질에는 부족함을 느끼지만 프로그램에 대해전반적으로 만족하였는데, 과제 첨삭과 교수 활동을 성실히 수행하고 자신의 영어 쓰기 학습역량이향상된 것에 큰 성취감을 드러냈다. 튜티 학습자의 경우, 튜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영어 쓰기 과목의주요 활동인 작문을 직접 첨삭 받을 수 있고 해당 과목의 복습을 통해 교과 성적이 향상된 것과 튜터의성실성에 큰 만족감을 표현하였다. 프로그램에 대해 제안할 점으로 튜터 교수자는 행정적, 교육적인지원을 절실히 요구하였고, 튜티 학습자의 낮은 출석률을 개선할 수 있는 제도적인 방침이 보완되기를희망하였다. 튜티 학습자 역시 출석, 수업시간 및 튜터링 기간에 관한 제도적인 뒷받침을 희망하였다. 마지막으로, 결과 분석에 따른 교수자 교육 및 행정적, 제도적 개선방안이 제안되었다.

      • KCI등재

        교양영어 교과목 관련 튜터링 프로그램 운영과 개선 방안

        유경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

        This study examined how a basic English tutoring program conducted by a local private university in Korea for the past three years has been operated and what improvements it has. In order for the program to be operated successfully, the following basic learning components were needed: learning materials, tutors and tutees, tutoring spaces, a program operation manual and assessment tools. Each semester the basic English tutoring program has been progressed for 8 weeks. The professor developed the learning materials, selected qualified senior students as tutors and conducted a workshop with tutuors for instructing how to teach tutees and how to deal with them. The tutors should keep a tutoring log and report it to the professor ever week. In order to check how well each tutor followed a tutoring procedure, there was a meeting in the middle of the program. At the end of semester, tutors should select the best tutees whose achievement was very high, and there was a final briefing session for awarding them. All tutees should take pre-and post- English tests to examine the effect of tutoring program on their English abilities and the results shown every semester revealed a significant mean improvement. As for the tutoring program improvements, more tutoring rooms should be provided, practical tips should be developed for recruiting tutees who really need basic English abilities and for tutors, there should be encouragement for materials development and use in order to have their active tutoring. 이 연구는 지방의 한 사립 대학교에서 2014-2학기부터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시행된 기초 영어 튜터링 프로그램이 어떻게 운영 되었으며, 효과가 있었는지, 또한 개선사항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교수활동 콘텐츠, 튜터와 튜티, 튜터링 공간, 프로그램 운영 매뉴얼과 평가도구 같은 기본적인 학습 구성요소가 필요하였다. 기초영어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은 매학기 8주 동안 실시하였으며 담당교수가 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일정한 절차를 통해 실력 있는 선배학생을 튜터로 선정한 후 워크숍 실시, 이 후 튜터링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튜터는 학습일지를 작성하여 매주 담당교수에게 보고하고, 중간 튜터 회의를 통해 튜터링 학습 상태를 점검, 학기 말에는 우수 튜티를 선정, 최종 보고회를 통해 우수 튜티들을 시상하여 튜터링 활성화에 힘쓰도록 하였다. 또한 튜터링 학습이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튜티들에게 사전, 사후 영어시험을 실시한 결과 매 학기 튜티들의 영어 평균점수가 유의미하게 상승했으며 튜터링 만족도 설문지 설문 결과 튜티들이 튜터링 프로그램에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영어 튜터링 프로그램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튜터링 공간 확보, 기초학습이 필요한 튜티 학습자 모집을 위한 방안 간구, 튜터들의 적극적 학습자료 개발 및 사용 독려등이 있다.

      • KCI등재

        대학의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튜터의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배성아(Bae, Sung Ah),노수림(Noh, Soo R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튜터들의 경험을 토대로 대학의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의 현황과 발전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A 대학의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튜터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면담 조사를 병행하였 으며, 설문에 참여한 117명 중 19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에 대한 튜터들의 인식조사결과, 튜터들은 전반적으로 자신이 튜터 역할을 잘 수행하였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튜터로서 프로그램에 참여한 것에 대한 만족도도 높았으나, 학교 측의 프로그램 운영 및 관리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인식을 보였다. 둘째, 튜터링 과정에서 튜터들이 경험한 난점에 대해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튜터들이 학업지도의 어려움과 튜티 와 학습시간 맞추기 및 튜터링을 위한 학습공간 확보하기에서 어려움을 직면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심층면담 결과, 튜터들은 ‘튜티의 참여의지 부족’으로인하여 많은 난관에 봉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대학의 동료 튜터링 프 로그램 활성화 방안에 대한 튜터들의 의견을 살펴본 결과, 이들은 ‘튜티와 시간 맞추기’와 ‘학습공간 확보하기’ 문제 해결을 위한 학교의 지원 확대, 튜터교육의 개선, 그리고 튜티의 참여의지 제고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 과는, 향후 대학의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의 내용 및 운영 개선의 방향을 제안한 자료로써 대학의 학습공동체 발전을 위해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student tutors who were part of a peer tutoring program at a university. A survey was distributed to university student tutors (N=117) who participated in the peer tutoring program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ased on a sub-sample (n=19) of the participants. There were three significant findings from this study. First, tutors had positive perceptions on their tutoring performance and peer tutoring program participation, but they had relatively negative perceptions of program management. Second, tutors perceived that a lack of teaching skills and logistical difficulties (i.e., scheduling, finding available space) were the most challenging aspects in tutoring. In particular, in-depth interviews revealed that tutors perceived a “lack of motivation” of tutees as the biggest obstacles in tutoring. Lastly, tutors believed that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should support programs by providing protected tutoring hours and space for this service, improved training for all tutors. Finally, tutors felt that the administration should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of tutees. The current research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utor training support, of improving training programs for tutors, and of encouraging tutees’ active participation.

      • KCI등재

        전문대학 튜터링 프로그램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 규명

        김민정(Kim, Minjeong),강명희(Kang, Myunghee) 한국교육방법학회 2016 교육방법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전문대학 튜터링 프로그램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변인간의 영향력을 파악하여 튜터링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2014학년도 1학기 A전문대학에서 진행된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202명의 튜티를 대상으로 튜티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튜티에게 인지된 튜터의 학습내용 제공자로서의 역할 및 상호작용 촉진자로서의 역할, 튜티의 인지실재감과 사회실재감, 튜티에게 인지된 성취도 및 학습지 속의향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튜티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인지실재감과 사회실재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이를 매개로 하여 인지된 성취도와 학습지속의향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튜티에게 인지된 튜터의 학습내용 제공자로서의 역할과 상호작용 촉진자로서의 역할 역시 인지실재감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며, 이를 통해 성취도와 학습지속의향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튜티에게 인지된 튜터의 학습내용 제공자로서의 역할과 상호작용 촉진자로서의 역할은 사회실재감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이를 통해 학습지속의향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효과적인 튜터링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자기주도학습능력 신장 프로그램 및 훈련 도구의 제공과 효과적 학습내용의 제공 및 상호작용의 증진을 위한 상시적 튜터 훈련 프로그램의 제공이 제안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levant variables and performance of college tutoring program to offer the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designing effective tutoring program. 202 tutees of A college tutoring program on the spring semester of 2014 wa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erceived role of tutor as the content provider and interaction facilitator, cognitive and social presence, perceived achievement, and the intention to persist of tutee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ose variables. Result showe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directly affected cognitive and social presence and indirectly affected perceived learning and the intention to persist. Also, perceived role of tutor as the content provider and interaction facilitator had direct effect on cognitive presence and indirect effect on perceived learning and the intension to persist. Moreover, perceived role of tutor as the interaction facilitator directly influenced social presence and indirectly influenced the intension to persist. Providing effective programs and learning tools to enhanc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utee and appropriate training program to empowering the competencies of tutors as the content provider and interaction facilitator were recommended.

      • KCI등재

        대학생들의 학습양식에 따른 튜터링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효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이은준,김태형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1 교육과학연구 Vol.42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the effects of the tutoring program after finding the existence of subgroups by learning styles among participants.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by the four dimensions of Felder and Silverman’s learning tyles-perception, input, processing, and understanding of information-four different subgroups were found. In general, the degree of tutees’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was high and the active learners’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among the subgroups of tutees classified by learning styles. In addition, they evaluated more positively the effects of the tutoring program than others did. In the case of tutors, their overall degree of satisfaction was moderate,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ubgroups in terms of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analyses of the effects of the tutoring program explaining the degrees of satisfaction suggested that significant effects related to satisfaction were different by the subgroups of learning styles among both tutees and tutors. 이 연구는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 사이에 존재하는 학습양식에 따라 분류되는 군집을 밝혀내고, 그 군집에 따라 나타나는 튜터링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효과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우선,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을 정보인식, 정보입력, 정보처리, 정보이해의 학습양식의 차원에 따라 분류한 결과, 4개의 서로 다른 양식의 군집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튜티 학생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활동적 정보처리의 성향이 두드러진 특정군집의 학생들에게서 프로그램에 대한 높은 만족도가 발견되었다. 이들은 여러 가지 튜터링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해서도 다른 집단보다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튜터 학생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중상 정도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평가에서도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튜터링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효과를 분석한 결과, 튜티 학생들과 튜터 학생들 모두에게서, 만족도와 관련 있는 유의미한 효과가 군집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 KCI등재

        전문대학 재학생의 사교육비 결정요인 분석

        김지하,김한경 한국교육행정학회 2019 敎育行政學硏究 Vol.3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mount of the private education expenses for 2~3 years college students and to suggest the implications for related policies. The private education expenses are composed of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and general expenditure for college education. The expenditure for private tutoring is divided into private tutoring fees for English and other languages and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for job preparation. The general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is divided into directly education-related expenses and indirectly education-related expenses. This study applies the method of the Probit and regression for analyzing the private tutoring expense and quintile regression for analyzing the general private expens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ollege major, student’s grade, parents’ income, participation in job, college location and siz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job support program of the college, the amount of the government funding program. On the other hand, general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directly related with college education is strongly affected by the gender, major field, parents’ income, college location and size, the amount of scholarship and government funding programs. The general education expenditure indirectly related with college education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major, parents’ income, college size and location.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here. 본 연구는 전문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과외사교육비와 일반사교육비 지출 실태를 파악하고 결정요인을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2014년 11월부터 2015년 4월까지 2-3년제 전문대학 114개교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1,805명의 표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과외사교육 참여여부 및 사교육비 결정요인 분석을 위해 프로빗과 토빗모형을 사용하고 일반사교육비 결정요인 분석을 위해서는 분위회귀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186천원이며 이중 156천원(83.8%)이 일반사교육비이고, 세부항목별로는 교통비(29.2%), 주거비(26.2%), 주교재비(17.3%)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생 1인당 월평균 과외사교육비는 30.3천원으로 영어 관련 사교육비가 14.5천원(47.9%), 취업관련 사교육비는 15.8천원(52.1%)이었다. 또한 과외사교육 참여와 사교육비 지출 결정요인 분석 결과, 휴학 경험, 성적, 직장 소득 유무, 가계 소득, 대학 소재지, 대학 내 취업지원 만족도, 학생 1인당 재정지원 사업 수혜액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일반사교육비 중 교육관련 사교육비는 성별, 전공계열, 학자금 대출 유무, 대학소재지, 학생 1인당 장학금 수혜액 등에 유의미한 영향을 받았고, 교육관련 외 사교육비에는 가계소득, 부모와의 동거 여부, 대학 소재지 및 규모, 학생 1인당 장학금 수혜액과 대학 재정지원 사업 수혜액 등이 영향을 주었다. 이상의 결과에 기초한 정책적 시사점으로서 과외사교육 수요를 완화하기 위해 대학 내 취업지원 활동의 내실화와 학생 맞춤형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운영, 대학 재정지원 사업 수혜 범위의 확대 및 비수혜 대학과의 연계 협력 강화를 제안하였고, 저소득층 학생의 일반사교육비인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한 대학 내 기숙사 시설 확충, 대학 소재지와 부모와의 동거 여부 등을 고려한 생활비 대출 한도액 설정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과외 사교육 참여와 사교육비 지출 규모의 계열별 차이 분석

        이정미(Jung-Mi Lee)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0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9 No.2

        이 논문은 대학의 전공계열에 따라 대학생 과외 사교육 참여 정도 및 총 사교육비(일반 사교육비 및 과외 사교육비 포함) 지출 규모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계열별로 대학생의 사교육 참여 유형 및 사교육비 지출의 주요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체계적인 유층비율군집표집을 통해 총 5,946명(최종분석대상 사례수)을 대상으로 사교육비 조사를 실시하여 도출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대학생 1인당 연간 사교육비는 약 339만원이며, 예체능>의약>인문>사회>공학>자연>교육계열 순으로 지출 규모가 컸다.둘째, 대학생의 과외 사교육 참여는 성별, 학년, 성적, 부모의 학력, 부모의소득, 대학 또는 전공 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대학생의사교육비 지출 규모는 성별은 의약계열에서, 학년은 인문․의약계열을 제외한 계열에서, 부모의 소득은 자연계열을 제외한 모든 계열에서, 부모와의 동거 여부는 모든 계열에서, 전공 만족도는 인문, 사회, 자연계열에서 집단간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대학교육 소요경비를산출하고, 생활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려하여 학자금을 차등 지원하고, 저소득층에 대한 학자금 지원을 강화하고, 대학교육의 내실화를 기하고,전공계열별 사교육비 조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할 것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extentof private tutoring and the size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per university student by year was about 3.39milion. I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was estimated by field, the highest field was the music and arts. 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ivate tutoring of universities students by sex, grade, GPA, level of education of parents, parents' income and satisfaction of major. 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ize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of universities students by sex(the medical college), grade(except the humanities an the medical college), parents' income(except the natural sciences), live-in parents(all fields) and satisfaction of major(the humanities, the social sciences and the natural science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1) calculate necessary expenditure of college education, support differentially student aid considering influential factor to living expenses, support the low income students, advance the colleg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