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돌봄교실의 효율적 운영과 내실화 방안

        양애경(Yang, Ae kyeong),양윤이(Yang, Yoon Yi)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8 방과후학교연구 Vol.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돌봄교실의 추진과정, 운영성과, 정책 추진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조사하고, 만족도 높은 초등돌봄교실의 효율적 운영과 내실화 방안을 제언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정책보고서와 선행연구 등을 문헌분석 하였다. 또한 초등돌봄교실 업무를 3년 이상 담당한 관계자와 학부모 그리고 학계 등의 돌봄 전문가를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법(FGI)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초등돌봄교실은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2004년 초등돌봄교실이 도입된 이후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교육부에서 2014년 ‘초등 방과 후 돌봄 확대・연계 운영 계획’을 발표하면서 이용 학생 수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초등돌봄교실의 양적 확대와는 달리 아직도 관련된 법적 근거조차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 등을 극복하고 만족도 높은 초등돌봄교실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초등돌봄교실의 질제고 및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자원 연계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gress, operational performance, and problems found in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of elementary care classroom and propose efficient operation and improvement strategies of elementary care classroom with high satisfaction. For this study, the related policy reports and the preceding studies were analyzed in literature. In addition, it conducted a survey on officials in charge of elementary care classroom, parents and academic care professionals who worked for more than three years in this field. As a result of this study, since the introduction of elementary care classroom in korea in 2004, the number of elementary care classroom has been expanding worldwide. In particular, the number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elementary care classroom has increased highly since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Korea announced its plan to expand elementary care classroom in 2014. However,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quantity of elementary care classroom is achieved, the elementary care school has not yet a legal basis. This study proposed strategies to improve quality of elementary care classroom and to link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of communities in order to overcome divergent problems and to achieve efficient operation of elementary care classroom.

      • KCI등재후보

        Analysis of the Construction and Effectiveness of Precision- Targeted Classroom Based on Analysis of Students’ Real Learning Situation

        Chao Xiong,Xiuyun Yu,Jiaxin Chen 한국수학교육학회 2022 수학교육연구 Vol.25 No.4

        In response to the current educational situation of students’ heavy workload, the author constructs the precision-targeted classroom based on Precision Teaching (PT), Network Pharmacology, and Treatment Based on Syndrome Differentiation. The precision-targeted classroom can solve the current problems of PT and the phenomenon of the heavy academic burden on students, achieve the reduction of the burden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education. The precision-targeted classroom includes five key points: targeted goals, childlike thinking, precise intervention, intelligent homework, and stereoscopic evaluation, and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precision-targeted classroom is built from three aspects: before, during and after class. In addition, the author applied it to the actual mathematics classroom to test its teaching effect,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recision-targeted classroom significantly improved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and thinking level; considerably improved students’ classroom learning status, and facilitated teaching personalization and realized homework quantity control and quality improvement.

      • KCI등재

        Impact of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on school improvement-an analysis at Bangladesh standpoint

        Kazi Enamul Hoque,Gazi Mahabubul Alam,Abdul Ghani Kanesean Abdullah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Vol.12 No.3

        This study seeks to describe th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in Bangladesh and explores the hypothes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traditional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and school improvement. Data from a representative sample of City secondary schools from Bangladesh (n = 127) were gather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127 principals and 694 teacher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in this research. This study found significant impacts of some of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on school improvement. Also found that the maximum school improvement can be achieved if schools put more emphasis on teachers' collaboration, in-service training and classroom observation and less emphasis on individual action enquiry.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policy makers, educational managers and especially for the headmasters and teachers concerned with the improvement of teachers' quality in secondary schools of Bangladesh. This study adopts a concurrent approach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 KCI등재

        초보 단계 한국어 교사의 수업 능력 제고를 위한 교사 일지 탐구

        김지혜 동남어문학회 2019 동남어문논집 Vol.1 No.47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losely examine the daily class logs of no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to identify areas that will practically assist Korean language teacher retraining programs to improve their classroom skills. Being a successful teacher is the most important task that teachers have among the various responsibilities they must carry out as members of education institutions. Novice teachers lack educat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and it takes a long period of time for them to obtain expert-level classroom skills. As such, education activities for teachers, such as assistance from experienced teachers or retraining programs run by educational institutions, must be continually provided to teachers. Most teacher training is conducted through top-down teacher training programs or teacher evaluations. This kind of training has been insufficient to quickly resolve the difficulties novice teachers face in the classroom. The daily class logs recorded by novice teachers include information about how they structure their classes and provide their honest self-reflection on how their classes are run. This means that an analysis of these daily class logs can provide guidelines for the creation of a bottom-up teaching education program. Ultimately, such a program will help in improving the classroom skills of teachers and heightening the quality of how classes are run by educational institutions. 이 연구의 목적은 초보 단계 한국어 교사들의 수업 일지 내용을 면밀히 살펴봄으로써 한국어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에서 초보 교사들의 수업 능력 제고를 위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만한 사항들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교육기관의 일원으로서 교사들이 수행해야 할 여러 가지 일 중에서 교사라는 직무를 고려해 볼 때 가장 중요한 일은 성공적인 교수활동일 것이다. 초보 교사들은 교육적 지식과 경험이 부족한 상태이므로 전문적인 수업 능력을 갖추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 그러므로 초보 교사에게는 경력 교사의 도움이나 교육기관의 재교육 프로그램 등과 같은 교사 교육 활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간의 교사 교육이 대부분 상향식 교사 교육 프로그램이나 교사 평가를 위해 이루어졌기 때문에 초보 교사들이 현장에서 마주하는 어려움을 단시간에 해결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었다. 초보 교사들의 교사일지에는 수업 구성과 내용을 비롯한 수업 운영 전반에 관한 진솔한 자기성찰이 수반된다. 따라서 교사 일지 분석은 하향식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데 지침이 될 것이며 궁극적으로 교사의 수업 능력은 물론 교육 기관 수업 운영의 질을 높이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초등교사들이 교수-학습지도안 작성 시 고려하는 "좋은" 수업 특성

        고창규 ( Chang Gyu Koh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論叢 Vol.31 No.-

        본 연구는 학생 중심의 탐구과정을 중시하는 교실 밖의 ‘좋은’ 수업과, 실제 이루어지는 교실수업이 왜 차이가 나는지를 탐색하기 위해 초등교사들이 교수-학습지도안 작성할 때 고려하는 ‘좋은’ 수업 특성을 문화기술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등교사들이 ‘좋은’ 수업이라고 보는 수업은 학생중심의 수업으로서 학생들의 수준과 능력, 흥미와 관심, 그리고 실생활에 바탕을 둔 자기주도적 학습과 협동학습, 수준별 학습, 창의적 학습을 강조하는 수업 그리고 수행평가가 이루어지는 과정중심의 수업이라고 볼 수 있었다. 그렇다면, 실제 수업이 교사에 의한 결과중심의 수업이 되는 것은 교사의 최적화행동의 결과라고도 설명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이 계획한 ‘좋은’ 수업이 순간순간의 학생들과의 상호작용과정을 통하여 구성되는 실제 수업맥락에서 구체화되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관점에서 설명하려고 하였다. This article identifies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spectives about ‘good’ instruction found in lesson planning in order to explore the reason why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good’ instruction outside classroom valuing student`s inquiring process and actual instruction in classroom. The participants were sev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Data were gathered through free description on points to be duly considered in lesson planning. The results showed that ‘good’ instructions consider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tudent-centered instruction valuing self-directed 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level learning, and creative learning, and process-centered instruction. If so, the reason why actual instructions were changed into result-centered instructions by teachers can be explained by teachers` optimized behaviors. In addition, This article tried to explain the above reason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he difference between instructions outside and inside classroom was due to the failure that teachers could not concretize ‘good’ instruction planned by teachers in the actual instruction context of teacherstudents interaction.

      • KCI등재후보

        의사소통적 한국어 교재 분석

        김혜영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07 한국어문화교육 Vol.1 No.1

        이 글에서는 먼저 출판된 네 종류의 한국어 교재 집필원리를 살펴봄으로써 그 교재들이 의사소통적인 방향으로 집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교재의 실제 구성을 분석함으로써 집필원리에 맞는 교재가 설계되었는 지 살펴본 결과 실제 교재는 집필원리에서 추구하는 방향과는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집필원리에 맞도록 다음과 같은 교재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제시되는 본문이 다양하게 제공되고 실생활이나 사회문화적 맥락과 맞닿아 있어야 한다. 본 단원에서 문법 학습이 꼭 상세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생각을 버려야 할 것이고, 또한 구조 중심의 배열 방식에서 벗어나야 할 것이다. 덧붙여 학습자들의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시도가 교재 내에 구현되어야 할 것이고 교재는 실제적 자료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어 교실에서 진정한 의사소통적 수업이 가능하도록 교재에 대한 개선작업이 계속되어야 하겠다. In this paper, the writing principle of Korean textbooks has been checked up and this work confirmed the books' communicative orientation. However, Korean textbooks' virtual design has been proved not to coincide with the textbooks' orientation. Therefore, the Korean textbooks' improvement plan representing the writing principle to the right way was presented here. Firstly, the diverse conversations and narrations should be offered and reflect on real life. Curriculum planners should free themselves from the idea that grammar teaching must be given to the students in detail and throw away the structure oriented arrangement. Moreover, curriculum planners had better make diverse trials for learners' motivation and textbooks should be organized by authentic materials. Curriculum planners must continue Textbook improvement process for the proper sense of communicative classroom.

      • KCI등재

        교육인류학의 수업 이해 과정과 그 의의에 관한 질적 사례 기술 연구

        서근원 ( Ghun Won Suh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1 교육인류학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학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수업 관찰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수업의 근본적인 개선을 모색하기 위한 대안적인 방안으로서 교육인류학의 수업 이해가 어떤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그것은 어떤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 어떤 과제를 해결해야 하는지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서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기존의 수업 관찰 방법은 대체로 관찰자의 관점에 의해서 사전에 만들어진 범주에 따라서 이루어짐으로써 수업을 충실히 이해하는 데 제약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제한된 이해를 결과로 이루어지는 수업 개선의 노력에도 실효를 거두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질적인 수업 관찰방법이 모색되기도 하지만,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의 관점을 고려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등장한 것이 교육인류학의 수업 이해다. 이 방법은 관찰자로 하여금 수업을 학생의 관점에서 이해하도록 함으로써 수업을 바라보는 관점을 근본적으로 전환시키고, 교사로 하여금 그러한 전환된 관점에서 자신의 수업을 성찰하고, 학생에게 적합한 수업의 방법을 스스로 모색해 갈 수 있는 역량을 형성한다. 또한 그 과정에서 교사들 사이의 대화를 활성화함으로써 학교의 문화를 전환해간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nother way to improve the classroom lessons in Korea. Lately,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trying to improve classroom lessons by implementing teacher`s ability improvement measurements including classroom lesson ability measurements. But this produces many negative side effects such as the credibility issues of the result of the measurements and conflicts among teachers. To solve this problem we should look for alternative ways, especially in classroom lesson observation method. The observation methods to classroom lesson known to us in general have observer watch classroom lesson from his or her own viewpoint within pre-determined categories. Above all, most of the observation methods do not let the observer see the student`s experiences in classroom lessons. So, there is the possibility of misunderstanding and missed prescription for classroom lessons. Checklist observation method used in the classroom lesson ability measurement is a typical case of such a problem. "Classroom lesson understanding of anthropology of education" is a classroom lesson observation method to overcome this problem. This method enables the observer to look into the pupil`s experience in a classroom lesson from a pupil`s viewpoint, and converts his or her viewpoint applied to see a classroom lesson from teacher`s to pupil`s. And this method help the teacher-observer reflect his or her classroom lesson, and develop the ability to find out the proper way to improve his or her classroom lesson by himself of herself. Through this process, the method can spark conversation among teachers, and transform the culture of silence into culture of conversation in Korean schools.

      • KCI등재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교과교실제 운영 효과 비교 연구

        임유나(Lim, Yoo-Na),김대석(Kim, Dae-Seok),민부자(Min, Bu-Ja),홍후조(Hong, Hoo-J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4 敎育問題硏究 Vol.27 No.3

        교과교실제는 교과의 특성과 목적 및 그 내용과 방법에 맞게 수업을 하기 위해 시설과 설비를 재구축하는 중요한 교육개혁안으로 전국의 중등학교에서 확대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교실제 운영의 효과가 얼마나 큰가에 따라 교과교실 확충의 시급성과 중요성을 확정할 수 있다고 보고 중등학교에서 교과교실제 실시 여부에 따른 수업 효과나 만족도의 차이를 교과별(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학교급별(중학교, 고등학교)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중학교의 경우 교과교실과 일반교실 사용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변인과 교과에 있어서 제한적인 효과를 보이는 경향이 있지만, 고등학교에서는 교과교실과 일반교실에서 학습하는 학생들이 모든 변인과 5개 교과 대부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교과교실의 효과가 분명히 드러났다. 또한 전반적으로 중학교에 비해 고등학교에서 교과교실 사용 집단과 일반교실 사용 집단 간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교과교실은 중학교보다 효과가 큰 고등학교에서 본격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The subject-tailed classroom system is currently promoted for secondary schools in nationwide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educational reform plans and it is for preparing classrooms and facilities suitable for subjects to be taught in such classrooms and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differences between teaching effects and satisfactions of a subject-tailored classroom and a general classroom for 5 subjects and school levels. The study shows that there is almost in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ubject-tailored classroom and the general classroom in case of middle schools. Howev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for almost all 5 subjects and all survey questionaries between the subject-tailored classroom and the general classroom in case of high schools. Also, such difference is more significant in the high school than the middle school. Thus, it should be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subject-tailored classroom system should be promoted and employed for the high school rather than the middle school.

      • KCI등재

        미래교육에 대응하는 초등학교 학습공간구축 연구 - 서울시 ‘꿈을 담은 교실’ 환경개선사업 평가 -

        김영훈,남경숙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20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9 No.5

        In this study, the comparison of the utilization evaluation between the general classroom and the 'Classroom with Dreams' showed that both students and teachers generally show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and evaluation of the 'Classroom with Dreams' as a significant result.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items. The satisfaction level of ‘Classroom with Dreams' was high in all categories, but the gap between the general classroom and the ‘Classroom with Dream's was wide, especially for spaces where people can engage in various activities and play with friends. In addition, the satisfaction level for color and material planning was high, followed by the satisfaction level for mining and facilities. In the future, elementary school planning should provide a variable space for developmental stages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students can grow together in collaboration, communication, creativity, and emotion. 본 연구는 2017년부터 서울시가 운영중인 ‘꿈을 담은 교실’의 공간평가와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일반교실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미래학교 학습공간계획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결과분석은 SPSS/WIN 22.0을 활용하여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단순상관관계분석과 t-test를 활용해교실환경 요소별 상관관계와 만족도, 필요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모든 항목에서 '꿈을 담은 교실'의 만족도가 높았으나 특히 활동공간과 놀이공간에 대해 일반교실과 '꿈을 담은 교실'의 만족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둘째, ‘꿈을 담은 교실’은 일반교실에 비교하여 색채, 재료, 채광, 설비에 대한만족도가 높았다. 셋째, 학생의 발달 특성에 따른 공간 활용도에서는 신체· 운동발달, 인지발달, 정서적 발달, 사회성발달 모두 '꿈을 담은 교실'에서 높은활용도를 보였다. 분석결과로 제시하는 본 연구의 시사점은 사회적 변화의흐름에 맞는 교육공간으로 변화하기 위해 발달단계에 따른 공간계획이 필요하다는 점과 통합적 사고능력을 위한 교육공간으로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점이다. 또한 발달 단계에 맞는 가변성 있는 공간을 통해 학생들의협업·소통·창의성·감성 발달을 위한 교육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 KCI등재

        교육적 성장의 관점에서 본 교사 수업 경험의 의미

        구원회(Gu, Wonhoe) 한국열린교육학회 2011 열린교육연구 Vol.19 No.1

        연구자는 두 명의 고등학교 사회과 교사의 수업을 관찰하면서 교사의 수업 경험은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 수업 경험에서 교육적 성장의 내용은 무엇인지 분석하고, 교육적 성장의 관점에서 수업 경험의 의미를 해석하였다. 두 교사들이 수업 경험을 통해 교육적으로 성장해가는 과정에는 교직 입문 전의 기대가 작용하지만, 교직 입문 전의 기대는 교직에 들어온 이후로 그들의 기대와는 사뭇 다른 실제를 경험하고 충격을 받고 혼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교사는 이러한 충격과 혼란을 극복하기 위해 교직에 적응하려고 노력하였는데, 그러한 노력은 생존을 위한 적응, 적응 과정에서 겪는 갈등에 대한 성찰, 한계를 극복하려는 노력 등이 중요한 의미로 파악되었다. 두 교사는 다종다양한 수업 경험을 통해 학생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되고, 교직에 대한 이해도 깊어지게 되었다. 교사가 수업을 하고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하는 경험이 성장의 계기로 작용하고, 성장의 과정에서 학생과 교직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켜 나가는 것이 수업 경험의 교육적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The researchers observed the classes of two high school teachers for social science and analyzed the process which the teachers experienced in their classrooms as well as the contents of educational development derived from such an experience. Moreover, the researchers interpreted the meaning of classroom instru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development. While expectation prior to commencement as a teacher operates during the process of developing educationally on the part of the two teachers as they experience providing classroom instruc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y become confused because they are shocked to find that the reality, which they face after commencing their profession as teachers, differs markedly from their expectation. The two teachers tried to adapt to the teaching profession in order to overcome such a shock and confusion, and this study recognized that those efforts had meaning as adaptation for survival, introspection on the tension faced during the process of adaptation, a way to overcome limitations, and so on. The two teachers were able to understand the students and the teaching profession more deeply after gaining varied experience from classroom instruction. This study interpreted that the experience which the teachers gained by providing classroom instruction and teaching students acted as an opportunity for development and that deepening their understanding of students and teaching profession during the process of development formed the educational meaning of classroom exper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