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진로연계교육 반영 양상 분석과 방향 탐색 - 고등학교 1학년 진로집중학기를 중심으로 -

        이민형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24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진로연계교육이 각 개별 교과 교육과정에 전폭적으로 반영되는 것에 맞춰 진로연계교육의 실질적 개념과 국어과에서의 반영 양상을 살피고 특히 진로집중학기로 명명된 고등학교 1학년 1학기에 국어 수업에서 진로연계교육이 실질적으로, 그리고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향을 예시를 통해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 문서에서 나타난 진로연계교육의 개념과 반영 양상을 분석하였다. 진로연계교육에서의 ‘연계’는 진로와의 연계, 학교급 간의 연계, 그리고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의 연계로 분석할 수 있으며 진로와의 연계에 집중한 기존의 ‘교과 연계 진로교육’과는 변별된다. 그리하여 진로연계교육의 중요한 두 가지 의미는 ‘학교급 전환기의 교과 연계 및 학습 적응’, ‘학습자의 진로 의식과 진로 설정 능력의 함양’으로 설명할 수 있으나, 현재 국어과에서는 기존의 교과 연계 진로교육의 관습을 따르며 ‘진로 탐색’ 부분에 초점화가 맞추어져 있다는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또한 진로연계교육 반영에 있어서 영역별로 편차가 있는 것도 발견되었다. 문법과 관련해서는 진로연계교육이 전혀 등장하지 않으며, 듣기·말하기, 쓰기 등은 진로 탐색에 도움이 되는 의사소통 기능으로 보고 주로 ‘도구’로 접근하고 있는 반면, 읽기와 문학에서는 정보 습득 및 안목 확대와 관련된 주제 탐색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교과 연계 진로교육과 차별화되는 진로연계교육을 교수·학습 차원에서 구현하기 위해 그 구체적인 방향을 설정하고 예시를 제시하였다. In accordance with the fact that career-linked education is fully reflected in the curriculum of each individual subject, this study examined the actual concept of career-linked education and aspects of reflection in Korean language departments. Particularly,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called the career-intensive semester, we aim to derive teaching and learning directions in which linked education can operate practically and effectively. Therefore, we analyzed the concept and reflection aspects of career-linked education present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document. “Connection” in career-linked education can be analyzed as a linkage between career paths, between school levels, and between subjects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it i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subject-related career education” that focuses on linkage with career paths. Hence, the two essential meanings of career-linked education can be explained as “curriculum connection and learning adaptation in the transition period of school level” and “cultivation of learners’ career consciousness and career-setting ability.” However, the existing practice of subject-linked career education has been established in Korean language departments. Nevertheless, the focus was on “career exploration.” Additionally, it was discover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reflections on career-linked education by area. Regarding grammar, career-linked education does not appear at all, and listening, speaking, and writing are viewed as communication skills helpful in career exploration and are mainly approached as “tools,” whereas reading and literature are used to acquire information and expand one’s perspective. It can be said that it is being approached by exploring topics linked to. Thus, in this study, specific directions were set, and examples were presented to implement career-linked educ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existing subject-linked career education at the teaching and learning levels.

      • KCI등재

        초·중·고등학교 전환기 진로 연계 교육활동 분석

        구교정,김영권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4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stablishment of foundations, curriculum, and program support through the analysis of career-linked educational activitie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betwe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and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on 50 teachers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Incheon City. For any unknown parts in the questionnair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The research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operation of career-linked educational curricula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was approximately 50% across all school levels. Middle schools(52.0%) showed the highest application of curriculum integration with academic subjects, while elementary schools(35.7%) and high schools(77.7%) showed the highest application of curriculum integration with academic subjects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Second, although career-linked programs reflected career exploration and aptitude very well, activities related to advancement to higher-level schools were generally inadequate across all school levels. Therefore, curriculum specification and teacher training were identified as essential prerequisites for improving career-linked programs. Third,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career-linked activitie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students and parents from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sought guidance regarding higher-level schools, and teachers expressed the need for curriculum operation and manuals regardless of the school level. They also demanded financial support and institutional assistance such as online platforms. Fourth, regarding support for career-linked educational curricula, elementary schools preferred adjustments in the duration of academic subjects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while middle and high schools preferred the overall duration of activities after final exams. Program support was demanded in terms of socio-emotional adjustment by all school levels, an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showed a preference for activities that included element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arning integration and visits to desired school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directions for career-linked educational activitie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were proposed 본 연구에서는 초·중·고 전환기 진로 연계 교육활동 분석을 통해 기반 조성과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지원을 탐색하고자설문지를 개발하여 인천시의 초·중·고등학교 교원 50명을 대상으로 통계 분석하였고, 설문지 통계 분석으로 확인되지않은 부분은 교사, 학생, 학부모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환기 진로 연계교육과정의 운영은 학교급 모두 50% 정도이며, 중학교(52.0%)는 교과, 초등학교(35.7%)와 고등학교(77.7%)는 교과와창체 혼합 적용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환기 진로 연계 프로그램은 진로·적성을 매우 잘 반영하고있지만,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진로 연계 활동은 학교급별로 모두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환기 진로연계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학교급별 공통으로 교육과정 명시와 교사 연수가 선결과제로 대두되었다. 셋째, 전환기진로 연계 기반 조성을 위해 초·중학교의 학생 및 학부모는 상급학교에 대한 안내를 갈구하였고, 교사에게 교육과정운영 및 매뉴얼은 학교급을 막론하고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정지원 및 온라인 플랫폼 등의 제도적 지원 등을요구하였다. 넷째, 전환기 진로 연계 교육과정 지원에 있어서 초등학교는 교과와 창체의 조정 시수, 중·고등학교는기말고사 이후 전체이수 시간을 모든 교과에서 운영을 선호하였다. 프로그램 지원은 모든 학교급에서 정서 적응을요구하였고, 초·중학교는 초·중·고 학습 연계 요소가 포함된 활동, 진로 희망학교 탐방 등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환기 진로 연계 교육활동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진로연계학기 도입에 따른 국악 수업방안에 관한 연구

        박은주 한국문화교육학회 2023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 teaching plan for realizing career education linked to Korean Traditional Music as career-linked semesters are operated in the school curriculum in the future. In order to realize the purpose of this study, career-related education at the national level was reviewed from the 6th curriculum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previous studies on career education related to Korean Traditional Music were analyzed.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the necessity and implications of various career classes under the them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ere found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career-linked semester system. Based on this, this study developed a career exploration class under the them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In other words, it developed a process to understand, explore, and deepen the jobs of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stage directors, sound directors, lighting directors, and performance planners necessar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Specifically, the 7-session project career education was designed based on collaboration with local institutions. This study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plans for application in the career-linked semester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contents of this study will be actively applied in school career education, and the learners will be provided with an opportunity to explore the value of various jobs necessary in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in addition to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ers. 본 연구는 앞으로 학교 교육과정에서 진로연계학기가 운영됨에 따라 국악과 연계한 진로교육 실현을 위한 수업방안을 고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내 진로 관련 교육에 대하여 6차 교육과정부터 2022 개정 교육과정까지 검토하였으며, 국악 관련 진로교육의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진로연계학기 도입을 앞둔 시점에서 국악을 주제로 한 다각적인 진로 수업 개발의 필요성과 시사점을 발견하였다. 이를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국악 공연 잡(job)으러 가세를 주제로 진로탐구 수업을 개발하였다. 다시 말하여 국악 공연에서 필요한 국악 연주자, 무대감독, 음향감독, 조명감독, 공연기획자 등의 직업에 대해 이해, 탐색, 심화하는 과정을 개발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지역 기관과의 협업을 기반으로 7차시 프로젝트 진로교육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 진로연계학기에서 적용하기 위한 국악 수업방안의 개발 연구 성격을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내용이 학교 진로교육에서 활발하게 적용되고, 학습자에게 국악 연주자 외에 국악 공연에서 필요한 다양한 직업의 가치를 탐구하는 기회가 제공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우리나라 음악대학의 진로교육 프로그램과 교과목 현황 연구

        장은언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23 고등교육 Vol.6 No.1

        This article aims at informing the nee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music college and to improve and supplement professional training. There are three kinds of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a in music colleges in Korea. The curricula are composed of a curriculum for teacher certification, a curriculum for culture and art education instructors, and career-linked education courses. There are two types of career education courses. The career development-related department of the university is responsible for the education of all students, on one hand, On the other hand, the faculties of Music College have their own program for music students. This research examines the career-linked curricula and courses offered by music colleges. In doing so, the current situation of professional commitment for music students will be shown. To this end, 17 major music universities in Seoul and provincial areas were selected and investigat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in addition to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all students, the opening of career courses such as <Art Management>, <Performance Planning>, <Music and Jobs>, and <Start-up Seminar> for music majors is increasing. However, career courses with various titles opened by music universities overlap or deal with many contents, so it seems necessary to develop courses specialized for each major. 현재 우리나라 음악대학은 졸업 후 진로를 위해 연주자로서의 정규 교육과정 이외에 교직이수과정,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진로교육과정 등을 시행하고 있다. 그 중 진로교육과정은 진로교육 프로그램과 다양한 전공 교과목의 두 가지 형태로 나뉜다. 본 논문은 음악대학의 진로교육 프로그램과 교과목의 개설 현황 및 내용을 분석하여 음악전공생을 위한 진로교육의 현주소를 진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과 지방의 주요 음악대학 17곳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전체 학생 대상 진로교육 프로그램 외에 음악전공생을 위한 <예술경영>, <공연기획>, <음악과 직업>, <창업세미나>과 같은 진로교과목 개설이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음악대학이 개설하고 있는 다양한 제목의 진로교과목들은 교육내용이 중복되거나 많은 내용을 다루고 있어 전공별 진로에 특화된 교과목을 개발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 KCI등재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효과적인 진로 연계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내용 요소 및 운영 방안 탐색-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유현욱,강은영,권민효,김명곤 한국특수교육학회 2023 특수교육학연구 Vol.57 No.4

        본 연구는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효과적인 진로 연계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내용 요소 및 운영 방안을 탐색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학교급별 연계 및 진로교육을 강화하는 진로 연계 교육을 운영한다고 발표하였다. 진로교육이란 개인에게 매우 중요하지만, 특수교육 대상 학생에게는 학생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교육을 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효과적인 진로 연계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내용 요소 및 운영 방안 탐색을 위하여 특수교사(초, 중, 고) 15명을 대상으로 학교급별 초점 집단 면담(FGI)을 하였다. 연구 결과 효과적인 진로 연계 교육 내용 요소 분석 결과로 초, 중, 고를 모두 합하여 3개의 대주제, 7개의 소주제, 17개의 의미 단위가 도출되었고, 진로 연계 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과정 운영 방안 분석 결과로 초, 중, 고를 모두 합하여 10개의 대주제, 22개의 소주제, 60개의 의미 단위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효과적인 진로 연계 교육을 위한 학교급별 교육과정 내용 요소 및 운영 방안을 논의하고 시사점을 제안했으며,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창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중학교 가정교과연계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심현섭,박예라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3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5 No.4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청소년의 미래 사회에 대응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가정교과와 진로교육을 유기적 으로 연계한 중학교 가정교과연계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절차는 ADDIE 모형에서 실행단계를 생략한 분석, 설계, 개발, 평가의 4단계로 진행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가정교과와 진로교육을 유기적으로 연계한 단원과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교과서 분석결과를 토대로 창업가정신을 함양하기 위해 디자인씽킹 단계에 따른 학습주제와 내용을 선정하고, 전체적인 프로그램 과정을 설계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차시별 가정교과연계 진로교 육 성취기준과 학습목표를 설정하였고, 총 8차시의 가정교과연계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과정안과 총 23개의 교수⋅학 습 자료, 전문가 타당도 검증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전문가 9인을 대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전반에 대한 평가를 거쳤으며, 타당도 지수(CVI)가 0.94로 프로그램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통해 가정교과가 청소년의 창업가정신 함양에 중요한 역할을 해 나가도록 돕는 데 의의가 있으며, 창업가정신이 스스로 미래를 설계하고 자신의 의지로 삶을 선택하여 도전하도록 하므로 창업가정신을 함양한다는 것은 주체적이고 자기주도적인 삶을 영위하도록 돕는 가정교과의 목표와 맥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으로 가정교과 의 목표를 함께 달성해 나가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areer education program linked to home economics in middle school to improve adolescents’ ability to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future society. The research procedure was conducted in four step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and Evaluation. In the analysis step, related prior studie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units and contents that linked home economics and career education. In the design step, learning topics and contents according to the design thinking process were selected and the overall program process was designed to cultivate entrepreneurship based on the textbook analysis results. In the development step, the goal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school career education linked to home economics were set for each class, and a total of eight teaching and learning plans, twenty-three types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expert validity verification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In the evaluation step,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program was verified by nine experts. The developed program was verified for overall programs, and the validity of the program was 0.94. It is expected that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linked to home economics will contribute to foster the adolescents’ entrepreneurship so they can design their future on their own and allow them to manage their life proactively.

      • KCI등재

        국악 연계 초등학교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 방안

        박주만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2 국악교육연구 Vol.16 No.2

        최근 학교 진로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 강화되면서 초기의 진로교육인 초등학교 단계에서의 경험을 매우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이러한 초등학교 시기의 진로교육 방향은 학생들의 진로탐색과 인식을 위한 적절한 환경 조성과 그에 따른 다양한 교과와의 연계 및 통합에 의한 학습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의 활용을 위한 국악수업 연계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은 진로발달이론과 초등학교 진로교육 목표, 성취기준 및 음악과 교육과정을 토대로 국악 활동을 통한 긍정적인 태도 형성 및 자기 존중감 형성을 위해 설계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의 중심내용은 다양한 국악인 및 국악 관련 직업 탐색을 통해 직업에 대한 고정관념을 극복하고 더 나아가 자신의 소질과 적성에 맞는 진로 계획을 스스로 수립할 수 있는 기초역량 신장에 주안점을 두었고, 이러한 프로그램의 방향과 목적을 위해 프로젝트 학습방법에 기반을 둔 활동 중심 및 경험 중심의 교육방법을 지향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된 프로그램의 대상은 초등학교 5~6학년이며, 전체 프로그램의 차시는 진로 영역에 따라 각 2차시씩 총 8차시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에 반영된 진로 관련 영역은 ‘자아이해’, ‘일과 직업의 세계 이해’, ‘직업정보의 탐색’, ‘진로 계획과 준비’이며, 이를 적용하여 개발한 국악 연계 초등학교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세부 활동명은 ‘나를 국악기 소리로 표현한다면?’, ‘국악 관련 직업이 이렇게 많다니!’, ‘나도 국악 명인이 될 수 있을까?’, ‘나의 꿈 계획하기’이다. 이와 같이 설계된 국악 연계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목표와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구체화하여 개발하였기 때문에 초등학교 음악 교과수업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더 나아가 창의적 체험활동 및 집단 상담시간 등에서도 다양한 교과 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하나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2022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 총론 개정안의 쟁점과 과제에 관한 시론적 탐색

        조용,홍후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3

        목적 이 연구는 최근 발표된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 사항(2021.11.24)이 중학교 교육과정 운영 경험에 비추어 초래할 문제와 쟁점을 살펴보고 나아가 개선 과제를 탐색하여 그 대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주요 사항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2015 교육과정 운영 경험에 비추어 비판적으로 이해하였다. 개정 발표에 따르면, 중학교교육과정은 총론적으로 디지털 기초소양과 정보교육 확대, 자유학기와 진로연계학기의 연결,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축소, 연 68시간의 학교자율시간 확보와 학교선택과목 개설 확대 등에서 특징을 드러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학교 현장 운영 경험을 반영하는 것이 또 다른 시행착오를 줄일 것으로 본다. 결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디지털이 기초소양이라면 이에 맞게 정보 과목의 부족한 시수로부터 같은 교과(군)에 속한 과학, 기술 과목이 정보교육의 역할을 분담하여 이공계 교과목에 정보 교육내용을 다수 포함하고, 기술과 가정 교과 분리하여 중학교 기술교육에서 인공지능, 메이커 등 IT 융합 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코로나와 겹쳐 학력저하 등을 초래하는 1학년의 자유학기(학년)제를 아예 폐지하고 실질적인 진로지도가 교과 안(속)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3학년 2학기에 진로연계교육를 제대로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포함하여 창의적 체험활동의 체육형 클럽활동 등을 여러 곳에 분산하기보다 ‘체육’과 속에 모두 통합해야 할 것이다. 넷째, 학년당 68시간으로 확보한 학교자율시간의 사용을 활용하여 모든 교과에 적용하기로 한 민주시민교육, 생태전환교육, 노동인권교육이 강제적 주입이나 교화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보이텔스바흐 협약에 맞게 정치시민교육이 이루어지도록 유념할 필요가 있다. 결론 따라서 중학교 교육과정 총론 개정은 학교급 목표, 인간상, 핵심역량 등의 중복을 대폭 줄이고, 학교자율시간을 적극 이용해서급락한 기본학력을 끌어올리며, 사실과 과학적 내용을 중심으로 하되, 굳이 논쟁적인 내용은 보이텔스바흐 협약을 도입하여 세뇌와주입을 피하며, 현장의 운영 경험과 지혜를 반영하면 더 나은 개정이 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