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정책의 한계와 의미: A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신기왕,양애경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1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government-driven university-led afterschool policy was applied to the school field and what limitations it had, and to explore the practical meaning of policy promotion. For the research method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officials from the Office of Education, after-school lecturers, teachers, and after-school social enterpris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ogic of the private education market of competitive bidding at the lowest price was applied to university-led afterschool schools, and the original purpose and purpose of the policy were distorted. In order to properly establish university-led afterschool project,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financial support and support organizations for afterschool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interest in education. Second, afterschool should go to cooperative governance with schools, universities, local communities, and offices of education, rather than a bidding method. Third, It is necessary to find various ways for the university and the school to coexist, rather than the method in which the university directly operates the afterschool. Lastly,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afterschool system that activates the participation of universities for the development of afterschool, and to supplement the necessary legal systems. This study can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the university-led afterschool project to start again and giv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fterschool in the future. 이 연구는 이명박정부에서 정책적으로 추진한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업이 어떻게 현장에 적용되었고 어떠한 한계점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고 정책추진에 주는 실천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청 관계자와 강사, 방과후학교 담당 부장교사,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회적기업 관계자를 중심으로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회적기업 육성사업은 대학이 보유한 인적 물적 자원을 바탕으로 방과후학교 질 개선과 대학과 학교의 상생발전의 기회 갖도록 하고자 추진되었지만 최저가 경쟁 입찰이라는 사교육 시장의 논리가 적용되면서 사업의 본래 취지와 목적이 왜곡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프로그램과 강사의 질이 낮아지고 방과후학교의 목적과 가치를 공유하고 협력하는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보다는 학교와 업체라는 두 당사자 간의 거래로 간주되는 경향이 있었다.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업이 재출발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첫째, 교육의 공공성과 공익적 관점에서 방과후학교에 대한 재정지원 및 방과후학교 후원을 활성화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방과후학교가 위탁 입찰방식이 아닌 학교-대학-지역사회-교육청이 함께하는 협력거버넌스로 가야한다 셋쨰, 방과후학교에서의 대학의 참여는 방과후학교 운영 방식이 아닌 대학과 학교가 상생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찾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방과후학교의 발전을 위한 대학의 참여를 활성화 하는 방과후학교 체제를 마련하고 필요한 법적 제도적 보완을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초등학교 '방과후 학교'를 위한실과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정모근,박형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7 實科敎育硏究 Vol.13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practical arts education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afterschool. As a development study, it has involved pilot/field tests. The study was performed in three major phases: design, development, and improvement.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1)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based practical arts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afterschool(2) Development of technology studies based practical arts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afterschool(3) Development of homeeconomics based practical arts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afterschool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방과후 학교’를 위한 실과교육 프로그램 개발

        정모근,박형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7 實科敎育硏究 Vol.13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practical arts education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afterschool. As a development study, it has involved pilot/field tests. The study was performed in three major phases: design, development, and improvement.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based practical arts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afterschool (2) Development of technology studies based practical arts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afterschool (3) Development of homeeconomics based practical arts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afterschool

      • KCI등재

        온종일 돌봄체계 구축을 위한 범정부 공동 수요조사 개선 연구

        황준성,이희현 한국교육정치학회 2019 敎育政治學硏究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us and problems of ‘The Survey of Demand for Afterschool-Care by a joint team of related ministries’, which has undergone a process of gradual change since it was introduced in 2014 and to explore improvement measures to support successful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All-day Care System. To this end, the history and current situation of The Survey of Demand are analyzed through the relevant policy and literature analysis process and Text network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 discussion contents by conducting three targeted group interview ses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ly, the problems of The Survey of Demand in 2018 were the uncertainty of the purpose, the complicated contents, the unsystematic method and, low reliability and lukewarm utilization of results. Secondly, as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2019 survey, it was proposed of eliminating uncertainty from the purpose, enhancing consistency of survey content and objectives, active supplementation such as unifying the survey method, increase reliability of the results and so on. And this study proposed the introduction of so-called profiling as a mechanism for checking demand directly to students who need to be cared for by schools as a supplement to the current demand survey. 본 연구는 2014년 도입 이후 점진적인 변화의 과정을 거쳐 온 방과후돌봄 범정부 공동 수요조사에 대하여 2018년 기준으로 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터하여 온종일 돌봄체계의 성공적인 구축・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관련 정책 및 문헌 분석 과정을 거쳐 조사의 연혁과 현황 등을 분석하고, 학교현장 및 교육청 관계자와 교수-연구자 등 전문가 참여 표적집단면담을 3차례 실시하여 그 논의 내용을 대상으로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과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목적의 불명확성, 내용의 복잡성, 방식의 비체계성, 결과의 낮은 신뢰성과 미온적 활용이라는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2019년 조사를 위한 개선방안으로 조사 목적에서 불명확성의 제거, 조사 내용에서 목적과의 정합성 제고, 조사 방식에서 일원화, 결과 활용 측면에서 신뢰성 제고와 결과의 적극적 공유를 제시하였다. 또한, 조사 방식에서는 현 수요조사의 보완책으로 학교가 돌봄이 필요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직접 수요를 확인하는 기제로서 소위 프로파일링의 도입을 함께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방과후 돌봄 체제 비교 - 출발배경, 운영형태, 참여규모에서 -

        서혜전 ( Suh Hyejeo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8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방과후 돌봄 체제를 출발 배경, 운영 형태, 참여 규모면에서 미국의 방과후 돌봄 체제와 비교하고 한국의 방과후 돌봄 체제 운영 방향에의 함의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양국의 방과후 돌봄 관련 선행 연구와 정책 자료를 토대로 비교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비교분석은 베레데이(G. Bereday)의 방법론에 따라 한국과 미국의 방과후 돌봄 체제에 대해 국가별로 기술과 해석을 한 후, 주제영역에 따라 비교연구 차원에서 상호 병치하여 비교하는 2단계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한국과 미국의 방과후 돌봄 체제가 시작된 시점은 차이가 있으나 도시 방과후 저소득층 자녀와 거리 배회 아동의 보호 차원에서 시작되었다는 점,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대와 빈곤에 대한 국가적 대처라는 비슷한 시대적 상황이 방과후 돌봄의 제도화와 확대에 영향을 주었다는 점, 방과후 돌봄이 학교 밖 장소에서 지역사회 기반 민간 주도로 시작되었다가 학교 내 공간을 활용한 방과후 학교로 확대된 것은 유사하다. 그러나,각 국의 사회적 상황 등의 변화에 따라 방과후 돌봄 체제의 목표와 운영 방향등이 달라졌다. 또한 두 나라 모두 학교기반의 방과후 돌봄 체제가 활성화되어 있으나 그 운영에 있어 미국은 학교기반 방과후 돌봄이 학교라는 장소에서 이루어지기는 하나 지역사회 단체가 방과후 프로그램 운영을 주도하고 맡고 있는 형태가 많으며, 한국은 대부분의 학교에서 학교 자체적으로 방과후 돌봄을 운영하고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그리고 양국의 방과후 돌봄 체제의 참여 규모는 차이가 있으나 두나라 모두 공적 방과후 돌봄 체제가 마련되어 있음에도 여전히 방과후 방치되는 아동이 많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국의 방과후 돌봄 체제 운영 방향에 대한 함의점을 제시하였고, 지역사회 주도의 학교내 방과후 학교를 운영하고 있는 미국의 경우 안전 관리, 역할 분담, 예산 관리 등에서 학교와 지역사회 단체간에 어떻게 협업하고 있는지 등을 조사한 연구가 추후 진행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resent situation of afterschool care system between Korea and United States in terms of starting background, operation type, participation size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Korea’s afterschool care policy. This study was compar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policy data of afterschool care system of both countrie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is study is based on G. Bereday’s methodology. After Korea’s and USA’s afterschool care systems were analyzed by country, they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in terms of subject areas. As a result of this study, although the starting time of the after-school care system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as differ, it started from the dimension of protection of low-income children and street children. A similar situation in which women’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and national response to poverty affected the institutionalization and expansion of afterschool care system of two countries. Also it was similar in both countries that afterschool care system started out as a community - based private initiative outside the school and then expanded into afterschool care using the space within the school. However, changes in the social situation of each country have changed the goals and direction of the afterschool care system. And in the United States, school-based afterschool care is conducted at school, but there are many forms in which community organizations lead and manage afterschool programs. On the other hand, most schools in Korea have their own afterschool care.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ize of participation of after-school care system in both countries, but although both countries have a public after-school care system, there were still many children left after schoo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suggested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afterschool care of village community type in Korea and suggessted further study.

      • KCI등재후보

        일본의 방과후 아동교실 정책과 운영사례 분석

        김수동 한국일본교육학회 2015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일본의 방과후 아동교실 정책과 방과후 아동교실 학교 현장 운영사례 분석과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한국의 방과후 돌봄교실 학교 현장 운영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일본의 방과후 아동교실 정책 동향과 방과후 아동교실 정책의 대표적인 특징을 추진배경, 법과 제도, 목표, 책무성과 효과, 운영주체, 위탁형태, 교육장소, 지도강사, 지도강사 자격기준, 재원, 프로그램 내용의 측면에서 알아보았다. 또한 일본의 방과후 아동교실 학교 현장 운영 사례 중 지역의 인적?물적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2가지 운영 사례를 8가지 항목으로 특징을 분석하고, 최근 동향을 살펴보았다. 이들을 종합적으로 논의하여 우리나라 방과후 돌봄교실 학교 현장 운영에 주는 시사점 13가지를 도출했다. 결론에서 우리나라의 방과후 돌봄교실 학교 현장 운영 개선방안을 ① 희망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되 수용 정원을 초과할 경우 학교 자체 선정 기준에 의거하여 선정한다. ② 수강료는 많든, 적든 수익자 부담을 원칙으로 한다. ③ 향후 돌봄이 더욱 확대될 경우 대비책 마련이 필요하다. ④ 지역돌봄협의회 등과 정보공유 및 협력을 도모한다. ⑤ 가정의 교육적 기능을 강화하고 학교의 업무 부담을 줄여주는 효과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⑥ 지역사회의 인적, 물적 자원을 활용하여 학교와 교사의 업무부담을 줄인다. ⑦ 초등돌봄교실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수집, 평가 및 환류 시스템을 구축한다. ⑧ 학부모에게 초등돌봄교실 운영의 취지와 방안에 대한 인식제고를 위하여 홍보를 강화한다. 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overviews the afterschool child classroom policy of japan and reviews analyses and recent trends of the afterschool child classroom school field implementation cases of japan. On the basis of these, this study is to derive concrete implications and improvement strategies which are related to the afterschool childcare classroom school field implementation of korea.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reviews the afterschool child classroom policy trends of japan. The features of afterschool child classroom policy of japan are examined in terms of eleven categories. Also, the features of 2 school field implementation cases of japan which use positively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of community are analysed in terms of eight categories. In addition to it, recent trends of the afterschool child classroom school field implementation cases of japan which use positively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of community are reviewed. By synthesizing these, 13 concrete implications which are related to the afterschool childcare classroom school field implementation of korea are suggested. In conclusion, 7 improvement strategies for the afterschool childcare classroom school field implementation of korea are suggested. That is, ① students who wish to participate beyond the carrying capacity of school need to be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criteria of the school itself. ② the principle of burden of the beneficiaries needs to be applied. ③ precautions are necessary if the afterschool childcare classroom is further expanded in the future. ④ promoting regional information sharing and cooperation with the Care Council is needed. ⑤ strengthening the educational function of the home is needed, and there is a need to explore of reducing the burden of school. ⑥ utilizing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of the community to reduce the burden on schools and teachers is needed. ⑦ establishing a systematic data collection, evaluation and feedback system for

      • KCI등재

        일본의 방과후 아동교실 운영에서 지역교육력 활용 사례의 특징 및 시사점

        김수동(Kim, Sood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일본에서의 지역교육력을 활용한 방과후 활동 중 방과후 아동교실 사업에 대한 출현 배경과 주요 내용 및 운영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방과후 아동교실 운영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기반으로 지역교육력을 활용한 방과후 아동교실 현장사례를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초등학교 방과후학교의 돌봄교실과 특기적성교육에서의 지역교육력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일본의 초등학교 현장사례 분석은 일본 문부과학성에서 편찬한 방과후 아동교실 우수사례집에 수록된 4개의 학교와 연구자가 직접 방문한 1개의 학교를 합하여 총 5개의 방과후 아동교실 사례를 조사하였다. 각각의 사례는 지역교육력의 요소인 ① 지역 인재, ② 지역 시설, ③ 특색 있는 지역 문화 자원, ④ 지역의 자연적 환경, ⑤ 지역의 사회적 교류를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일본에서의 방과후 아동교실과 연관된 지역교육력의 특징이 우리나라 초등학교 방과후학교의 돌봄교실과 특기적성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7가지 일반적인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일본 지역교육력의 5가지 하위 요소에 따른 일본 방과후 아동교실 사례의 주요 특징과 이것이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방과후학교의 돌봄교실과 특기적성교육에 주는 구체적인 시사점 5가지를 제시하였다. 5가지 결론은 방과후학교법 제정, 지역사회 기관과 시설 활용, 지역사회 문화자원 활용, 지역사회 자연환경 활용, 지역사회에서 아동의 폭넓은 사고와 인간관계 개발이다. This study is about the background and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afterschool activities in Japan, especially the afterschool child classroom. Also, the researcher wants to elicit implications related to the usage of community educational capabilities in Korean elementary afterschool activities, especially in childcare classroom and extracurricular educational activities by analyzing excellent afterschool child classrooms of the elementary schools which use community educational capabilities well in Japan. In analyzing the afterschool child classroom cases of five elementary schools in Japan, the researcher selected four of them, which were graded as excellent afterschool child classroom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of Japan. The five afterschool child classroom cases are summarized by the five elements of community educational capabilities: Community human resources, community material resources, community cultural resources, community natural environment, and community social interchange environment. The Japanese afterschool child classroom which uses community educational capabilities gives twelve implications for Korean elementary afterschool especially in childcare classroom and extracurricular educational activities. Seven implications are general and five implications are specific. In conclusion, this study is about the five implications, which are specific. That is, afterschool law institutionalization, community agencies and facilities usage, community cultural resources usage, the natural environment of community usage, and the wide thinking and human relations of community children usage.

      • KCI등재

        초등학생 자녀를 방과후학교에 참여시키는 취업모의 동기와 방과후학교에 대한 만족도

        오아림 ( Ah Rim Oh ),유계숙 ( Gye Sook Yoo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서울시 초등학교 저학년생 자녀를 방과후학교에 참여시키는 317명의 취업모를 대상으로 자녀를 방과후학교에 참여시키는 동기와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에 대한 취업모의 만족도를 살펴보고, 자녀를 방과후학교에 참여시키는 동기가 취업모의 방과후학교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주성분분석 결과, 취업모가 초등학생 자녀를 방과후학교에 참여시키는 동기는 ``자녀의 발달도모에 대한 동기``, ``타인의 권유 및 자녀의 학업 성취에 대한 동기``, ``교사의 돌봄과 지도에 대한 동기``, ``일-자녀양육 양립에 대한 동기``, ``프로그램의 질·운영시간에 대한 동기``, ``저렴한 참여비용에 대한 동기`` 등 6가지로 나타났으며, ``일-자녀양육 양립에 대한 동기``와 ``프로그램의 질·운영시간에 대한 동기``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방과후학교에 대한 취업모의 만족도는 대체로 높았으며, 방과후 보육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고, 보육+교과프로그램, 보육+특기·적성프로그램의 순으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중다회귀분석 결과,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방과후학교에 참여시키는 취업모의 동기는 방과후학교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working mothers`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afterschool programs on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s. Data were collected from 317 working mother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s. On the basis of the recommendations from literature review,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scale of working mothers`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afterschool programs and the satisfaction scale with afterschool program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dentified six motivation factors of working mothers for sending thei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afterschool programs; promotion of their children`s development, advice of others on afterschool programs and promotion of children`s academic accomplishment, teachers` caring and guidance, work/child rearing balance, quality and flexible hours of programs, and inexpensive tuition. Second, working mothers reported mid to high levels of motivation for afterschool programs and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s. Finall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working mothers` motivation for afterschool programs significantly affected the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s.

      • KCI등재후보

        방과후학교정책의 학교교육 기능 강화 가능성 탐색: 정규 수업과 방과후학교 수업 비교를 중심으로

        김정현,박소영 한국교육정치학회 2012 敎育政治學硏究 Vol.19 No.2

        본 연구는 방과후학교 정책이 학교교육 기능 강화라는 정책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방과후학교의 수업 준비, 실행, 성과 수준을 정규 수업과 비교, 검토하였다. 학생의 교육적 요구에 맞춰 개설되는 방과후학교수업은 정규수업보다 실행과 성과 면에서 더 나은 결과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으나 연구결과 오히려 방과후학교의 경우 수업 준비, 실행 및 성과 수준이 더 낮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서울시 소재 일반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지만, 방과후학교 정책에 다음의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학교교육 기능 강화의 의미를 재정립하고 이에 맞게 방과후학교의 역할과 기능을 재편할 필요가 있다. 둘째, 방과후학교가 학교 교육 강화 기제로 작동하지 않는 원인을 찾고, 원인별 해결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셋째, 방과후학교의 목표 달성을 위해 정책 환경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f afterschool programs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schooling. The research question is raised from the doubts about functions and meanings of afterschool programs in a school. In other words, afterschool programs are questioned if they rather interfere with regular classes by increasing teachers' workload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afterschool classes are compared with regular ones in terms of teachers' preparation, classroom practices, and students' outcomes. The results show that afterschool classes are overall worse perceived than regular ones in terms of preparation, practices, and outcomes. On the one hand, the results that regular classes are better than afterschool classes become a good sign because they mean that the schools are working well.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give a warning to afterschool programs. These conflicting interpretations urge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r and afterschool classes for better schooling. Based on the well-defined afterschool functions in a school, effective policy implementation of afterschool programs is expected.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중등학교 교과외 활동과 방과후 특기,적성교육활동의 연계에 대한 고찰

        김수동 ( Soo Dong Kim ) 안암교육학회 2014 한국교육학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일본의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교과외 활동과 방과후 특기·적성교육활동의 연계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교과외 활동과 방과후학교의 특기·적성교육활동의 연계에 대한 시사점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관련 국가 교육과정, 연구보고서, 저서, 논문 및 세미나 자료집, 일본 방과후학교 사례 탐방 국외연수 보고서, 일본 문부과학성의 보고서 및 국립교육정책연구소 보고서 등을 활용하는 문헌 연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국가 수준 교육과정과 일본의 국가수준 교육과정인 학습지도요령 문서에 있는 교과외 활동을 개관한다. 이와 함께 한국과 일본의 방과후 활동을 개관한다. 둘째,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교과외 활동과 방과후 특기·적성교육활동 간의 연계 정책의 현황과 문제점을 탐색한다. 셋째, 일본의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교과외 활동과 방과후 특기·적성교육활동 간의 연계 정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본의 활동과 노력을 중심으로, 한국의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교과외 활동과 방과후학교의 특기·적성교육활동 간의 연계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본 연구의 결론은 교과외 활동과 특기·적성교육활동 간의 연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본의 활동과 노력을 중심으로 언급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제언은 교과외 활동과 방과후학교의 특기·적성교육활동 간의 연계가 향후 더욱 의미있게 발전하기 위하여 필요한 중장기적인 추수 연구 과제를 중심으로 제시한다. This study expects to elicit implications which are related to the linkage between extra-curricular activity and afterschool activity of secondary school in Korea by analysing the linkage between extra-curricular activity and afterschool activity of secondary school in Japan. And specific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analyse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secondary school level which are presented in the nation wide level``s curriculum of Korea and Japan. Second, to review secondary school level’s afterschool activities in Korea and Japan. Third, to analyse policy states and problems of secondary school level’s afterschool activities which are linked to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Korea and Japan. To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the linkage between extra-curricular activities & afterschool activities of secondary school level in Korea. Fiv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based on the activities and efforts of Japa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linkage policy betwee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after school activities. Six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based on the activities and efforts of Japa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linkage policy betwee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after school activities. At the same time, the six conclusions of this study include development directions and development strategies of korea for linkage policy betwee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after school activities. The six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re systematic after school related laws need to be institutionalized. Second, excessive work burden of secondary school & teacher need to be reduced by the help of volunteers and visiting lecturers. Third, human & material resources of community should be supported more positively. Fourth, extra-curricular activities implementation support,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regional office of education and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re required. Fifth, needs and interests of students need to be reflected more positively in the linkage program between extra-curricular activities & afterschool activities of secondary school level. Sixth, in korea, because the educational conditions among regions and provisions are remarkably different, considerable efforts are needed to reduce the gap among the educational situations of regions & provisions. Especially, small farming & fishing villages need to use afterschool activities more positively. Lastly, three suggestions are presented. And, this study is performed by literature review, that is, by reviewing the nation wide level``s curriculums, related research reports, books, articles, seminar materials of Korea and Japan and so 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