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ransformative Object Design: Unveiling the Characteristics that Foster Emotional Attachment between Individuals and Objects

        김민선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12

        This research explores the intricat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and individuals, specifically exploring transformative properties within objects that can engender emotional attachment. While previous studies have acknowledged the potential of transformative qualities such as “wearing away through use” in fostering connections between objects and users, a systematic investigation into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ransformation has been lacking.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ransformation, providing insights into the nuanced ways in which intentional transformations within objects contribute to enduring relationships toward users. The qualitative research design was utilized in this study in order to offer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key elements in object transformation. As a designer, the researcher offered how such transformation was applied in artifacts to discuss real-world instance of emotional attachment to objects. This enabled a cross-reference analysis of the primary research findings pertaining to the pivotal characteristics of transform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four characteristics of transformation: the slow and subtle transformation, constituting transformation, elevating positive transformation within object, and the active involvement of the user in the transformation process and showed that they foster emotional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and individuals. By grasping the nuances of these emotional attachments, designers and creators can not only craft functional objects but also create objects of profound personal significance, enriching the human experience. Designers and creators can use these insights to craft objects that not only serve their functions but also become deeply significant to users and prolong the life of objects. These findings contribute not only to the emotional design but also have broader implications for product design, marketing, and consumer behavior. Understanding how intentional transformations influence emotional bonding with possessions can empower designers to craft objects that transcend mere functionality, becoming profound sources of personal significance and enhancing the overall human experience. This research thus opens avenues for further exploration into emotional design and its potential to reshape the ways we interact with and cherish the objects in our lives.

      • KCI등재

        근 미래 웨어러블 기기 디자인에서 응용 가능한 형태변형 디자인 및 인터랙션 특징에 관한 연구

        최용순(Choi, Yong soon),신형철(Shin, Hyeong cheol),정현태(Jeong, Hyun Tae)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2

        본 연구에서는 문헌을 통해 변형이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를 디자인하는데 있어 형태적, 의미적, 행위적 메타포인 의복 디자인과 기계적 구조의 제품 디자인 및 웨어러블 제품에서의 형태 변형의 요인들과 특징들에 대해 이론적 맥락과 개념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근 미래에 웨어러블 기기에 응용 가능한 형태 변형 디자인의 특징과 인터랙션 방법을 찾기 위해 수업과 프로젝트를 통해 총 35개의 근 미래에 이용 가능한 형태 변형 웨어러블 기기에 대한 컨셉 아이디어를 사례 수집 후 분석하였다. 추출된 아이디어의 대부분이 눈으로 확인하며 손으로 형태 변형의 조작이 가능한 손목 및 팔 부위의 아이템이 많이 선호되었으며, 변형 요인은 기계적 제품디자인에서 보이는 형태 변형 요인들과 큰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기기를 변형하기 위해 조작하는 인터랙션 방법과 기기를 사용하는 인터랙션은 변형 요인과 아이디어에 따라 서로 다른 경우가 있었다. In this study, we have researched about the utilization of design and its interaction features from the transformation clothing design, transformation product design, and the representative transformation wearable product; slap-on as the literature studies since it are related on semantic and behavioral metaphor of transformation design of wearable device. Based on this, the case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the 35 concept ideas of future transformation wearable devices and usage scenarios through projects in classes and to analyze these concept ideas in order to find the features of design and interaction for wearable device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near future. Most concept ideas preferred the wrist and the front arm positions for easy manipulating of transformation and the transformation factors were not much different from the mechanical transformation design. The interaction ways for changing design of device were not always same with the interaction ways of manipulating device to control.

      • KCI등재

        인문디자인과 원불교

        조성환(Jo, Sunghwan)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8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5 No.-

        디자인(design)이란 본래 “사물에 기호(sign)와 그것에 담긴 의미(meaning)를 부여한다(de)”는 뜻으로, 그런 점에서 처음부터 인문학적 활동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다만 근대에 들어와서 산업화가 진행됨에 따라 디자인에 부여하는 의미가 기능과 효율이라는 과학적 또는 산업적 의미로 제한됨으로써 디자인이 본래 지니고 있는 인문학적 의미가 희석되었을 뿐이다. 그러나 오늘날은 단순한 기능이나 편리를 넘어서 새로운 가치 창조가 요구되는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제시된 개념이 인문디자인이다. 인문디자인에는 두 가지 종류를 생각할 수 있는데, 하나는 ‘술(述)’이고 다른 하나는 ‘작(作)’이다. 공자는 고대 성인들이 창조한(‘作’) 문물제도를 재해석했다는 점에서 ‘술’의 디자이너라고 할 수 있다. 반면에 세종은 이전에 없던 새로운 문물제도를 창조했다는 점에서 ‘작’의 디자이너라고 할 수 있다. 리버럴 아츠는 인문디자인을 실현하기 위한 고전적인 방법으로, 그것의 핵심은 자유정신의 추구에 있다. 한편 동아시아의 장자나 풍류도 자유정신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리버럴 아츠라고 할 수 있는데, 다만 마음공부를 통한 영성 수련도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영성적 리버럴 아츠’라고 할 수 있다. 19세기말에서 20세기초에 한반도에서 탄생한 개벽종교들은 기존의 세계관과는 다른 새로운 세계관을 디자인했다는 점에서 ‘술’이 아닌 ‘작’의 디자인을 했다고 할 수 있다. 원불교는 ‘일원’으로 상징되는 ‘하나’의 세계관을 디자인했고, 그것의 일환으로 물질개벽으로 상징되는 산업디자인과 정신개벽으로 대변되는 인문디자인의 병행을 지향하였다. 아울러 일원의 세계로 나아가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마음공부와 글쓰기, 그리고 말하기와 같은 영성적이면서도 인문학적인 리버럴 아츠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있고, 이러한 프로그램은 원불교가 ‘작’의 디자이너를 배양하기 위해 디자인된 종교임을 시사한다. Etymologically, ‘design’ means "to put new "sign" or it`s meaning into something." In that sense, design is a kind of humanities. But as industrialization proceeds in the modern age, the sign or meaning in the design has focused on scientific or industrial aspects. The concept of `liberal arts design` is designed to correct this imbalance. There are two kinds of liberal arts design. One is interpretation, the other creation. For example, Confucius interpreted sage-king`s creation, and so we can say Confucius did interpretative design. King Sejong in the Joseon Dynasty created Korean character Hangeul, and so we can say King Sejong did creative design. Western Liberal arts is a classical method to realize liberal arts design, and its essence lies in the pursuits of liberal mind. In the other hands, Zhuangzi in China and Pungryu(Wind-Stream) in korea can be said to a kind of `spiritual liberal arts` in that they contain spiritual cultivation. Gaebyuk(Great Transformation) religions in the Korea from 19th to 20th also did creative design in that they designed new world different from Confucian or Western world view. Won Buddhism designed `one` world symbolized by circle, and proposed spiritual liberal arts program to realize one world. This means Won Buddhism is a liberal arts based religion which discipline creative designers.

      • KCI등재

        탈중심화로 본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시대의 공공디자인 요소 분석

        박변갑 ( Park Byeon-gap ),지용규 ( Chi Yong-ky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1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 전반에 걸쳐 거부할 수 없는 거대 흐름으로 나타나고 있는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현상이 공공디자인 영역에 가져올 변화를 탈중심화의 관점에서 논의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공디자인에서 다루어지는 공공성의 개념과 시대에 따른 공공성 변화 과정을 돌아보고, 디지털 전환의 시기에 공공디자인에 있어 공공성 발현의 가치와 수용체의 인식 변화에 따른 적용 요소의 변화에 대해 논한다. (연구방법) 서론에서는 연구배경과 목적 및 연구 방법과 범위를 밝힌다. 2장에서 문헌자료 조사를 통해 공공디자인에서 공공성 개념의 계보학적 분석과 공공디자인에서의 공공성 개념 변화를 다루고, 탈중심적 접근을 통한 공공디자인 분석에 관해 고찰한다. 3장에서는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현상으로 대표되는 뉴노멀 시대의 특징에 대해 논하고 공공디자인에서의 디지털 전환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현재의 신공공성에 대해 살펴본다. 4장에서는 사례분석을 위한 기준과 범위를 밝히고 분석 요소를 도출한다. 개방적 공적 공간을 사례분석을 위한 범위로 삼고, 디지털로 구현된 디자인 사례를 소개하고 각 사례를 도출된 탈중심적 요소로 분류하고 분석한다. (결과) 탈중심적 시각에서 공공디자인 분석을 위한 기준으로 4가지 요소를 도출하였다. 주체화 과정의 탈중심화를 주체의 ‘해체성’으로, 타자와의 관계를 통한 탈중심화 양상을 계급, 젠더, 민족,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타자성’으로, 타 영역과의 접속을 통한 의미 생산과정의 탈중심화를 ‘상호작용성’으로, 미디어와 사이버 공간에서 허구적 실재로 탈중심화되는 현상을 ‘가상성’으로 구분하였다. 13건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상호작용성과 가상성은 거의 모든 사례에서 구현되고 있는 반면 새로운 가치 주체로서의 개인을 의미하는 ‘해체성’과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고려하는 ‘타자성’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새로운 가치로 떠오른 주체의 개인화와 경계의 혼성 등의 변화를 담아내기 위해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은 해체성과 타자성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점을 문헌 고찰과 사례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2020년을 변곡점으로 앞당겨진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시대에서 탈중심적 관점의 해체성과 타자성은 공공디자인의 가치를 지켜낼 주요 요소로 기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and analyze from the perspective of decentralization the changes that the digital transformation phenomenon, which appears as an irresistible enormous flow across society, will bring to the public design area. To this end, the concept of publicity dealt with in public design and the process of changing publicity according to the times will be reviewed, and the value of publicity expression in public design at the time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e change of application factors according to the change of perception of receptors. (Method) In the introduction,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and the method and scope of the study are disclosed. In Chapter 2, the genealogical analysis of the concept of publicity in public design and the change in the concept of publicity in public design are dealt with through literature data research, and the analysis of public design through a decentralized approach is considered. Chapter 3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normal era represented by the phenomenon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examines the current new publicity required in the process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public design. Chapter 4 clarifies the criteria and scope for case analysis and derives analysis elements. Using an open public space as a scope for case analysis, design cases implemented digitally are introduced, and each case is classified and analyzed as a derived decentralized element. (Results) From a decentralized perspective, four elements were derived as criteria for public design analysis. The decentralization of the subjectification process is the'decentralization' of the subject, the decentralization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is the'otherness' that recognizes the diversity of class, gender, ethnicity, and culture, and the meaning through connection with other areas The decentralization of the production process is classified as'interactivity', and the phenomenon of being decentralized as a fictional reality in media and cyberspace is classified as'virtuality'. As a result of analyzing 13 cases, it was found that interactivity and virtuality were implemented in almost all cases, but'decomposition', which means individual as a new value subject, and'otherness', which considers various classes, were found to be insufficient. (Conclusions) In order to capture changes such as the personalization of the subject emerging as a new value and the hybridization of boundaries, deconstruction and otherness should be additionally considered. In this study, this could be confirm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which has advanced to an inflection point in 2020, it is expected that the decentralized perspective of deconstruction and otherness will function as the main elements that will protect the value of public design.

      • KCI등재

        지속가능성을 모티브로 한 지속적 트랜스포머디자인에 대한 연구 - 변신을 주제로 한 디자인 활용사례를 중심으로 -

        심수연 ( Shim Su-yeon ),김희현 ( Kim Hee-hyu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9 No.-

        현대사회는 대중의 니즈도 다양해지고 다변화되어 한 가지 효용만으로는 개인의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없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모티브로 변신로봇에서 착안한 트랜스포머디자인을 지속적 트랜스포머디자인(ST디자인)이라 명명하여 이에 따른 연구를 통해 디자인의 생존미래를 제시하고자 한다. ST디자인은 사례와 가설을 통해 개념을 분석한 결과 수동방식(manual way)과 자동방식(automatic way), 관념의 전환방식(idea way), 친환경 방식(Eco-friendly way)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이것은 외관디자인의 변화 뿐 아니라 성능의 개선도 포함한다. 또한 디자인 단계에서 재활용이나 수리가 용이하게 디자인하여 친환경적 수명연장의 의미가 있다. 장기적인 경기 침체가 지속화될수록, 새로운 수요를 원하는 디자인 요구가 가속화될수록 디자인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진다. 따라서 변신과 친환경적 지속가능성을 주체로 개념을 통찰하고 현황을 분석하여 지속적 트랜스포머디자인(ST디자인)이라는 모델을 연구하였다. ST디자인의 변신메커니즘과 친환경적메커니즘의 융합은 소비자의 의도와 달리마케팅전략으로 과잉생산 과잉소비 되는 악순환을 제한할 수 있다. 이것은 디자인의 수명을 연장하고, 개발을 쉽게 하며, 소비자의 권리를 보호함으로서 디자인의 생존미래를 제시하는 대안이 될 수 있다. In modern-day society, it is not possible to improve satisfaction of the public only with one utility due to the diversified needs of the public. For this reason,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survival future of design by denominating transformer design based on a motif of transformer robots as “ST Design (Sustainable Transformer Desig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cept using the hypothesis with the case, the ST design can be arranged in four ways: manual way and automatic way, idea way, Eco-friendly way. This includes not only changes in appearance design but also performance improvements. Moreover, at the stage of design, the product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recycling and easy repair, giving meaning of environment-friendly life extension. The importance of design becomes bigger when economic recession prolongs and the needs of design wishing new demands become stronger. With this in mind, Sustainable Transformer Design (ST Design) model was studied by making in-depth approach to concept of transformation and environment-friendly sustainability and analyzing the current state. The fusion of transforming mechanism of ST Design and environment-friendly mechanism can contribute to restricting vicious cycle of overproduction and overconsumption caused by marketing strategy, regardless of intention of consumers. This can serve to be an alternative to proposal of survival future of design, by extending life of design, developing in an easy way and protecting rights of consumers.

      • KCI등재

        한국 보자기를 활용한 가변적 패션디자인 연구

        윤세나,곽태기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22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Vol.24 No.2

        The Hallyu wave based on K-pop and K-culture has increased the global interest in Korean culture. Therefore, to satisfy consumer demand, there is an attempt to develop a variable fashion design using traditional Korean culture. Transformable fashion design causes changes in form and meaning according to various situations and needs and can induce active participation of consumers. Therefore, we intend to propose a transformable fashion design that is based on traditional Korean culture but appears in a new form and meets the needs of consumers of fashion design. Amo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wrapping cloths, bojagi are practically used by ordinary people until now, and their shape and use change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This study intends to derive expression characteristics by examining the expression tendencies of bojagi and to develop transformable fashion designs through the derived dat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nd propose transformable fashion designs in real life using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bojagi. As the method of this study, we first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Through this, a case study of empirical production was conducted in parallel with the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transformable fashion designs using bojagi. A total of three illustrations and six variable fashion designs were developed. Two of the six works are transformable fashion design that change through movement and expansion of the square shape, the prototype of the bojagi, and two works are modular, bringing changes in function through combination and separation. The work was produced as a multi-purpose transformable fashion design that can be used as clothes or a bag.

      • KCI등재

        Study on the digital transformation stratagies of design magazine - Focusing on design 360° digital magazine case analysis -

        송단니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4 문화와예술연구 Vol.24 No.-

        I n recent year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ternet, digital multimedia magazines have gradually become the focus of people's attention. Digital multimedia magazine, using multimedia technology, integrates video, audio, gif, Flash animation, Html5 page and 3D special effects in one, everywhere reflects its excellent interactive characteristics and multimedia characteristics, showing an amazing development trend. Taking Design 360° Magazine as an example, this paper makes a preliminary discussion on the concept, development process and development strategy of multimedia digital magazine, mainly using design aesthetics, communication science, interactive experience and other related theories, to put forward some suggestions for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magazin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magazines, their comparison with paper magazines, and the change of people's reading habits, the traditional paper media is now facing the dilemma of urgent need of transfor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Design 360° Magazine, the preliminary transformation strategy, digital communication path and visual design ideas are propos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gazine itself.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e study of this paper, the communication effect of the magazine can be effectively improved.

      • KCI등재후보

        에코디자인 개념을 도입한 에코 트랜스포머디자인의 융합과 수용에 따른 연구

        심수연(Shim, Su Yeon),김희현(Kim, Hee Hyu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2

        우리는 점점 다양한 제품을 사고, 더 많은 물건을 포장하고, 점점 더 자주 이동하고, 더 많이 소비하고 있다. 한 예로 우리는 1년 만에 지구가 백 만년 동안 축적한 석유 량만큼을 소비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조건 속에서도 여전히 과잉생산하고 새로 만들어 내는 것에 가치를 부여해야 할까? 이제 우리는 디자인 자체를 기여(寄與)의 분야로 만드는 일부터 시작해야 할 것이다. 아끼고 순환하는 속에서 변신 로봇의 개연성을 갖고 결합하고 해체하면서 작은 공간을 활용하는 창의력을 발휘하는 친환경적인 디자인을 고민하게 되었다. 그것이 각박한 환경에 안정을 주고 환경과 함께 공존할 수 있는 미래가 될 것이라 생각되었다. 따라서 에코디자인의 환경친화적 요소와 트랜스포머디자인의 변신로봇의 개연성을 융합한 다기능 다용도 에코 트랜스포머디자인을 생각하게 되었다. 이는 어느 성인의 무소유 정신만큼 위대하지는 않지만 필요한 수요를 충족시켜 주면서도 차선의 지향점에 도달할 수 있어 함께 공존하고 발전할 수 있는 재 소유 모델이 되지 않을까 사유해 본다. 그러한 이유로 연구자는 디자인에 있어 고유한 사고절차를 고민하게 되었고 첫 번째 모형을 수용하는 단계로 필요를 관찰하고, 두 번째 일상적인 고정관념에 변용을 주고, 세 번째 이 모든 것이 실행가능한가 타진해 보고 문제의식을 가져보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열린 존재로 스스로 답을 낼 수 있는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이로써 창조적이고 새로운 영역이 확장되어 우리가 할 수 있는 기회와 현실적인 대안이 될 것이라 사유해본다. We are getting to buy a variety of products, package the more stuff, spend the more item, and move more distance. For example, we should spend the oil accumulated over a million of years in only one year. Even in these conditions, do we still need to add value for overproduction and new production? So I think we"ll have to start doing something for the designs contribute to the environment. Like a Transformer through the coupling and disassembly, we will consider the transformation of Eco-design that brings out the creativity in the use of space, with retrenching and circulation. I think it will be a future that can coexist with the environment to give stability to the exigent circumstances. I think a versatile multi-purpose and Eco-transformer design. It is a fusion of environmental elements and principles of the design for “Transformer”. I thinks, it is not better than Ven. Beop Jeong’s ‘Non-Possession’, but would be a "Re- Possession" model. It could be how we can meet the required demand and reach the aim of the a second-best solution. So I propose a new step of designs. The first step is “Observation”, second step “Breaking stereotypes” and last step is “To think of the viability and issues”. In the process, we will be looking to the experience that you can give the answer of their own. I think it would be a chance that expand into new areas with this realistic alternative.

      • KCI등재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에 디자인씽킹 기반의 혁신적 브랜딩 프레임워크 및 프로세스에 관한 융합 연구

        김 선 주,김 종 선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2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0 No.2

        This study started from the need for a study that needs to look holistically from the design thinking base in order to establish innovative branding as a branding process for new value creation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branding framework and process by utilizing the design thinking of an innovative approach that can build innovative branding as a strategic tool as a strategic tool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of the era in which humans and technology coexist. Therefore, this paper attempted an exploratory study through case studies and expert interviews of qualitative research within the scope of research focusing on the expansion of brand experience that conveys brand identity in the innovative branding process. The research results and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consider the necessity of innovative branding, a theoretical study was conducted through precedent research on changes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innovative branding, and design thinking. Second, through the case of innovative companies, an exploratory research proces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of design thinking-based innovation and the elements of brand experience, and to seek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framework. Third, based on the previous exploratory review of the framework, innovative branding based on design thinking was proposed as a conceptual framework. Fourth, the usable process of the proposed framework was summarized into the first stage brand identity and the second stage brand experience, and application examples were presented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expected that innovative branding framework and process proposal that considers human, technology, and business perspectives holistically based on design thinking in the context of innovation can be used as a convergence tool that can be implemented in practice. 본 연구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에 새로운 가치 창출을 위한 브랜드화 과정으로 혁신적 브랜딩을 구축하기 위하여 디자인씽킹 기반에서 총체적으로 바라보아야 한다는 연구의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과 기술이 공존하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혁신적 브랜딩을 구축할 수 있는 혁신 접근 방식의 디자인씽킹을 전략적 도구로 활용하여 혁신적 브랜딩 프레임워크와 프로세스를 제안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혁신적 브랜딩 과정에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전달하는 브랜드 경험 확장에 주목한 연구 범위 내에서 질적 연구 방법의 사례 연구 및 전문가 인터뷰를 통하여 탐색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적 브랜딩의 필요성을 고찰하기 위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의 변화, 혁신적 브랜딩, 디자인씽킹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한 이론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둘째, 혁신 기업 사례를 통해 디자인씽킹 기반의 혁신 구성 요소와 브랜드 경험의 구성 요소 간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프레임워크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탐색적 연구 과정을 거쳤다. 셋째, 앞서 진행한 프레임워크의 탐색적 검토를 바탕으로 디자인씽킹 기반의 혁신적 브랜딩을 개념적 프레임워크로 제안하였다. 넷째, 제안한 프레임워크의 활용 가능 프로세스를 1단계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2단계 브랜드 경험으로 정리하여 적용 사례와 제시함으로써 연구결과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혁신 맥락에서 디자인씽킹 기반으로 인간, 기술, 비즈니스 관점을 총체적으로 고려한 혁신적 브랜딩 프레임워크 및 프로세스 제안을 통해 실무적으로도 수행할 수 있는 융합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경영을 위한 챗GPT 사용자 경험(UX) 디자인 평가 -오픈AI 챗GPT와 마이크로소프트 빙 챗GPT 교차활용을 중심으로-

        안무정,강태임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9 No.2

        The advent of OpenAI’s ChatGPT has brought about significant changes throughout various aspects of society, leading a new innovation in the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by generating desired information through interactive conversation, moving away from the traditional approach of information retrieval. Companies are attempting to transform their work processes to artificial intelligence by integrating ChatGPT into their current operations. As the goal of digital transformation is automation and intelligence, ChatGPT is a crucial tool for successful digital transformation. Additionally, companies recognize ChatGPT from a corporate management perspective in order to innovate their working culture utilizing ChatGP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evaluate User Experience elemen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rough conversational ChatGPT technology and to provide guidelines and factors for improving and refining ChatGPT UX design as the use of this technology spreads rapidly throughout various industries. 16 of the evaluation factors of prior papers that studied user experience design in the fields of mobile apps, VR, video conferencing, payment, kiosks, chatbot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ere classified. Through expert survey interviews with 15 AI service developers from Microsoft, Google, Big Tech and startups, the factors to consider first in designing the ChatGPT user experience were usefulness, reliability, performance, fairness, social responsibility and usability. Using the selected six factors, evaluated the user experience design of OpenAI’s ChatGPT which is currently providing a stable service and examined the cross-utilization behavior of Microsoft Bing’s ChatGPT. In the evaluation of ChatGPT user experience design, there were generational differences in the order of people in their 50s, 20s to 30s, and 40s and confirmed that operational tasks had the highest usage among the types of work.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the type of work also influenced the cross-utilization behavior. In this study, by identifying the components of ChatGPT user experience design it have provided guidelines for future ChatGPT user experience design. 오픈AI 챗GPT 등장은 사회 전반에 큰 변화를 미치고 있으며 전통적인 정보검색 방식에서 챗GPT는 찾고자 하는 정보를 대화형으로 생성하는 방식으로 인공지능 활용에 새로운 혁신을 이끌고 있다. 기업은 현행 업무 프로세스에 챗GPT를 융합하여 업무 기반을인공지능으로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지향하는 목표가 자동화와 지능화임에 따라챗GPT는 성공적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한 핵심적인 도구이다. 또한, 기업은 챗GPT를 활용한 일하는 문화를 혁신하기 위해 전사 경영관점에서 챗GPT 를 인식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화형 챗GPT 기술이산업 전반에 폭발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챗GPT 사용자 경험 디자인 요소를 도출 및 평가를 통해 효과적인 챗GPT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고도화를 위한 요소와 디자인 가이드를 제시하고자 한다. 모바일 앱, VR, 화상회의, 결제, 키오스크, 챗봇, 인공지능 분야의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연구한 선행논문 평가 요소 중16개를 분류하였다.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빅테크, 스타트업의 AI 서비스 개발자 15명과 전문가 설문 인터뷰를 통해 챗GPT 사용자 경험 디자인에 우선적으로고려할 요소는 유용성, 신뢰성, 성능, 공정성, 사회적책임, 사용성 순이었다. 선정된 6가지 요소를 활용하여 현재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픈AI의 챗GPT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평가하고 마이크로소프트빙(Bing) 챗GPT 교차활용 행태를 살펴보았다. 챗GPT 사용자 경험 디자인 평가에서 50대, 20~30대, 40대순서로 세대 간 차이가 있었고 업무 유형에서 운영업무가 가장 높았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업무 유형이교차활용 행태에도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본연구에서는 챗GPT 사용자 경험 디자인 구성요소를파악함으로 향후 챗GPT 사용자 경험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