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유적 출토 明代 자기에 대한 몇 가지 再考

        김은경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연구 Vol.70 No.-

        In the Joseon Dynasty, white ceramic culture continued to develop through active exchanges with China, which had a high level of ceramic culture. The pottery exchange with the Ming Dynasty continued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According to the records, especially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世宗), Chinese ceramics were handed down to the royal family of Joseon by Xuande(宣德) Emperor of the Ming Dynasty. The porcelain ware of the Ming Dynasty, unearthed in Korea, is quite specific and diverse, including when it was made, where it was produced, and what kind of products it was, which makes one guess at the active exchange of ceramics with the Ming Dynasty at that time. The absolute majority of Ming Dynasty ceramics introduced into Joseon are Blue and White Porcelains produced in Jingdezhen of Jiangxi Province, followed by Blue and White Porcelains and Wucai Porcelains produced in Fujian Province. There are some questions in this situation, and the most notable of them is the fact that no Porcelains from the Royal Kiln of Ming Dynasty has been unearthed. Until now, all of the Ming Dynasty ceramics from Korea are known to be privately produced, however Based on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Five Rites」(五禮儀), Presented by Xuande Emperor to King Sejong, and the official-style of Ming Royal Kiln in early Blue and White porcelain of the Joseon Dynasty,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porcelain of Royal Kiln of the Ming Dynasty came into Joseon through this fact. In this regard, a comparison between held the Vassal State of a foreign country of Joseon and other Vassal State of Ming Dynasty countries, can give a clue as to the inflow of porcelains of Royal Kiln or higher-level privately produced ceramics into Joseon. Next, many of the excavated relics are biased toward blue-and-white porcelain. The patterns and forms of blue-and-white porcelain are also limited to certain patterns, so it is not possible to see in Korea the variety of materials and types of colors that were popular in China during the same period. Only a small amount of Docai(鬥彩), Wucai(五彩) porcelains, which has exploded since the mid Ming Dynasty, was excavated in Korea, which is worth considering whether it was a result of the aesthetic feelings of the Joseon people at that time or for other reasons. Fortunately, a considerable number of Ming Dynasty ceramics have been reported in Seoul's consumer sites in recent years, providing important data to expand and move forward in previous research. In this study, intend to discuss a series of inflow situations and related issues that arise during the process of exchange of ceramics between Joseon and Ming Dynasty through accumulated data. 조선시대의 백자문화는 이웃 국가이자 당시 선진 자기문화를 이끌었던 중국과의 활발한 교섭을 통해 끊임없이 발전하였다. 명과의 도자교류는 조선 초부터 지속적으로 이어졌으며, 특히 세종년간에는 명나라 선덕제로부터 많은 도자기가 조선왕실에 전해졌음을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다. 현재 한국에서 출토된 명대의 자기는 제작 시기, 생산지, 종류 등 상당 구체적이면서 다양한 면모를 보이고 있어 당시 명과의 활발한 도자 교섭을 어느 정도 짐작케 한다. 조선에 유입된 명나라 자기의 절대 다수는 江西省 景德鎭窯에서 생산된 청화자기이며, 이어 복건성 일대에서 제작된 청화자기 및 오채자기들이 뒤를 잇는다. 이러한 출토상황을 살펴보면 몇 가지의 의문점이 따르는데, 그 중 가장 주목되는 상황은 바로 명대 관요품의 미출토이다. 지금까지 한국 출토 명대 자기 모두는 민요품으로 알려져 있지만, 『朝鮮王朝實錄』,「五禮儀」등의 문헌기록에서 선덕제가 직접 하사한 그릇이나 禮器 관련 기록, 조선 전기 청화백자에서 명 官樣 요소의 확인 등을 통해 명대 관요품이 전해졌을 가능성은 매우 높다. 이와 관련하여 外藩國의 지위를 가지고 있었던 조선과 명나라 藩國과의 비교는 당시 관요품 자기 혹은 이에 준하는 상급 민요품의 조선 유입에 대한 일말의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출토 유물의 상당수는 청화백자에 편향되어 있다는 점이다. 청화백자의 양식 및 기형 또한 특정 문양에 한정되어 있어 동시기 중국에서 유행하였던 다양한 문양소재와 기형들의 다채로움을 한국 내에서는 확인할 수 없다. 명 중기 이후 폭발적으로 증가한 유상채 자기인 두채, 오채 자기 역시 한국에서는 매우 소량만 출토되었는데, 이는 당시 조선인들의 미감에 의한 결과인지 혹은 다른 이유가 있는지에 대하여 한번 생각해 볼 만 하다. 다행히 근래 들어 서울 사대문 내의 주택지에서 상당한 수량의 명대 자기들이 출토 보고되고 있어 과거 기존 연구에서 한 단계 확장되어 나아갈 수 있는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 KCI등재

        명시대 조롱박 모양 병에 나타난 우의에 대한 연구

        이강,김승호 한국기초조형학회 2023 기초조형학연구 Vol.24 No.5

        Ming gourd-shaped vase is one of the traditional porcelain bowls made in imitation of gourds, and is classified as decorative porcelain. Previous research on gourd-shaped bottles has mainly focused on the period before the Ming Dynasty, focusing on modeling and ornamentation. At the modeling level, the research analyzes how the modeling characteristics of gourd-shaped bottle porcelain have been inherited and changed in the historical development before the Ming Dynasty, and at the level of ornamentation, the individual ornamentation of gourd-shaped bottle porcelain before the Ming Dynasty is classified, and the artistic expression and production techniques of ornamentation are analyzed. These are concentrated before the Ming Dynasty, so the symbolic analysis of the shape and ornamentation of the gourd-shaped vase in the Ming period needs to be improv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hape and ornamentation of gourd-shaped vase in the Ming Dynasty in order to understand the values of Ming citizens towards happiness and longevity. In this study, the iconographic research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auspicious meaning of gourd-shaped vase in the Ming Dynasty from three aspects: historical development, modeling, and ornamentation. First,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examine the meaning of the Ming Dynasty's gourd-shaped vase. In this paper, we use documentary data to examine whether the gourd-shaped vase before the Ming Dynasty contained specific allegorical elements. Secondly, this paper analyzes how the gourd-shaped vase of the Ming Dynasty imitates the shape of the real gourd to form the modeling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auspicious meaning that appeared under the influence of social customs and religion in the Ming Dynasty. Finally, this paper analyzes how the auspicious meaning of the Ming Dynasty gourd vase porcelain is reflected in various ornaments such as plants, animals, and fig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gourd vase in the Ming Dynasty is not only a simple ornament, but also carries a profound cultural and spiritual symbol, reflecting the ideal pursuit of happiness, health and longevity in the Ming Dynasty.

      • 明代的“律贖”

        張光輝(Guanghui-Zhang) 경북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09 아시아연구 Vol.- No.5

        소위 贖刑이라는 것은, 죄인이 재물, 노역 혹은 관직으로 과해진 형벌을 면하는 것이다. 속형은 중국전통사회에서 매우 빨리 출현하였는데, 유학자들은 하상시기부터 시작되었다고 보거나, 서주시기에서 시작되었다고 보는 등 학자에 따라 그 견해가 다르지만, 속형은 일종의 제도로써 진시기에 성립되어 만들어 졌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다. 진 이후 한, 당, 송, 원, 명, 청 각 시기의 속형제도는 비록 같지 않았으나, 이러한 조항제도는 쇠퇴하지 않고 계승되어 청말까지 이어져 '大清新刑律'이 완성되고서야 폐지되었지만, 속형제도는 중국고대법제 중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명조속형의 실시는 이전보다 왕조가 더욱 광범위하고, 제도가 완비되며, 또한 많은 혁신한 부분이 있어, 명 한 시기의 법제 중 하나의 큰 특징이 된다. 명대의 속형제도는 大明律의 “律贖”와 역대왕조에서 반포한 鄭 “贖例”의 “例贖”, 두 부류로 나누어진다. “例贖”는 유연하고 잘 바뀌어서, 적용할 수 있는 대상이 매우 넓어서, 실제적인 정부의 필요에 따르는 일이 많았기에, 혹 재물, 예를 들어 쌀을 납속하거나, 말을 납속하거나, 여물, 벽돌 등을 받기도 하고, 혹은 노역으로 취해 대신하고, 무게는 재정적 실용을 보충하고, 사정이 대단히 복잡해서, 학계는 이러한 점에 대해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律贖”은, 명률을 홍무말년 부터 고정시킨 이후부터 명대 끝까지 변하지 않았고, 미미한 관련만이 있었다. 명대 “律贖”은 형벌을 신중히 하였고, 그 적용대상을 단지 노인과 아이, 신체장애자, 부녀 등에만 한정하였다. 그러나 재물의 수효가 “例贖”보다 아득하게 낮아서, 명대 속형제도의 양조를 병행하는 방식의 하나가 되었다. “律贖”의 법률은 大明律에 의거한 것이다. 大明律은 태조 주원장 재위하던 홍무시기에 완성되어, 홍무년간에 四部大明律, 즉 홍무7년률(1374), 홍무9년률(1386), 홍무22년률(1389)과 홍무30년률(1397)이 모두 제정되었으며, 속형내용을 구체화하여 차이가 있었다. 홍무 30년에 정해진 大明律은, 명초법률실천의 총결이자, 조훈적 성질을 갖추고 있으며, 주원장이 후사를 정하여도 변화가 없었다. 大明律로 인하여 법률에 의거한 “律贖”은 상대적으 로 온정성을 가지고 있어서, 우리들이 고찰하기 편하다. 하지만, 홍무시기의 전, 지폐, 은의 통용으로 말미암아, 차후 寶鈔이 큰 폭으로 값어치가 낮아져서, 律贖등을 조훈을 지키는 전제하에 이용하고, 특히 그 명중후기의 백은이 화폐로 유통되는 현실 하에서, 그에 상응하는 변화를 가져올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본문 머리말에는 홍무 30년의 大明律과 律解辨疑를 비교하고, 大明律直解소재의 홍무의 다른 시기에 완성된 大明律의 속형내용을 비교하여, “律贖”의 발전과정을 해명 한다. 그리고 나서 홍무 30년 大明律에 의거하여, “律贖”의 범죄, 주체, 형벌, 律贖의 내용, 律贖의 방식 등의 적용을 분석한다. “律贖”제도에 대해서 분석을 하는 동시에, 구체적 안건을 통해 사법 실천 중 律贖의 구체적인 실시 정황과 그 실시효과를 고찰하겠다. 그러한 후에 명대 화폐체계의 연혁을 통하여 “律贖”방식을 따라 납속된 동, 동전, 지폐, 은의 전환과 그 원인 등을 고찰하고, 동시에 “例贖”등 칙의 대조를 통하여, 지폐의 가치가 떨어지는 명대 사회형세변화와, “律贖”방식이 은의 전환으로 향하는 정황 하에서, “律贖” 등은 처음부터 끝까지 비교적 낮게 유지되어 휼형목적을 달성했다는 것을 밝힌다. Expiation of penalty means that one can expiates or atone a crime with property, penal servitude, or official position. The system of Expiation of penalty likely came into being in Xia-Shang dynasty, or West-Zhou dynasty, even Qin dynasty of China. Scholars’ opinions differ from each other. After the Qin dynasty, this system, which may ha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as carried on in Han, Tang, Song, Yuan, Ming and Qing dynasty, Until the late Qing Dynasty when The new criminal law of Qing was enacted. So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ncient China’s legal system. In Ming dynasty, the system of expiation of penalty, which came into maturity, and had many innovation, was put in practice more extensive than ever before. It was not only affected all levels of society of Ming dynasty, but also the society of Ming dynasty for many hundreds of years, because it was inherited mostly by the latter. So we can say that the system is of great significance. This paper makes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study on it. The system of expiation of penalty in Ming dynasty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one was according to Daming law, and another was according to statutes promulgated in reigning of many emperors of Ming dynasty. This paper emphasizes particularly on the former. Daming law was emended in reigning of Yuanzhang-Zhu, the first emperor of Ming dynasty. In reigning of Yuanzhang-Zhu, four Daming laws were promulgated respectively in the years or 1374, 1376, 1389, and 1397. The Daming laws promulgated in 1397 was the summary of legal practice of the early Ming dynasty. It was the ancestor’s prescript which must be abided by the latter emperors. So the system of expiation of penalty according to Daming law promulgated in 1397 of Ming dynasty was relatively fixed, and can be studied easily. In this paper, the recordation of expiation of penalty of three Daminhg law, which was embodied respectively in the Daming laws promulgated in 1397, “Law of Discrimination”, and “Minglv straight solution”, was compared firstly. Then, according to Daming law promulgated in 1397, provisions of the offence, the main penalty, content, method, etc. applied the expiation system, were analyzed. In the analysis of the system, Investigation of specific cases to judicial practice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expiation of penalty was carried on. Thirdly, thinking over the evolution of the monetary system in Ming Dynasty, the reason why the method of expiation of penalty changed from paying coins, bill, and silver, and so on.

      • KCI등재

        명ㆍ청 교체기 대명 사신과 거주민의 교류 - - 최현의 『조천일록』을 중심으로

        정영문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2 한국문학과 예술 Vol.43 No.-

        Choi Hyun visited the Ming Dynasty as an envoy from August 3, 1608 to March 22, 1609 and left a diary in which he recorded his travel history in the meantime. The diary also recorded stories of people Choi Hyun had met in Joseon and in the Ming Dynasty. Since Choi Hyun did not have frequent contact with Ming officials or indigenous residents, his meeting with them did not form a close relationship as to be called ‘friendship’. Moreover, the official whom Choi Hyun met was a person who made Choi Hyun’s diplomacy conducting difficult by asking for bribes, and there was a limit in meeting with indigenous people because the method of communication with them was also limited. Therefore, there were not many specific details about the conversations with them in the 『Jocheon Ilrok』written by Choi Hyun. In spite of these limitations, the meeting between Choi Hyun and the people of the Ming Dynasty can be said as a valuable resource that conveys the situation in Northeast Asia in the early 17th century to the present. If we categorize the people of the Ming Dynasty that Choi Hyun met, we can classify them into merchants, Confucian scholars, and indigenous residents. Using the opportunity of the meetings with them, Choi Hyun revealed a difference in economic views not only with Joseon and Ming Confucian scholars, but also with local residents of the Ming Dynasty. Although he met the people who supported the Ming Dynasty, he also found the fact that the Confucian culture and customs of the Ming Dynasty were declining. Unlike the Ming Dynasty, Confucian culture and customs flourished in Joseon. The meeting between Choi Hyun and the people of the Ming Dynasty became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at although Joseon was devastated by the Imjin War(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Joseon could advance ahead of the Ming Dynasty in terms of culture. 최현은 1608년 8월 3일부터 1609년 3월 22일까지 명나라를 사행하고 돌아와 그동안의 행적을 기록한 일기를 남겼다. 그 일기에는 최현이 국내와 명나라에서 만난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도 기록되었다. 최현이 명나라 관리나 지역민과 자주 접촉한 것은 아니었기에 그들의 만남이 ‘교유’라고 부를 정도로 친밀감을 형성한 것은 아니었다. 더구나 최현이 만난 관리는 뇌물을 밝히면서 최현의 외교 수행을 어렵게 하는 존재였고, 지역민들과의 소통 방법도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만남에 있어서 한계가 있었다. 그러므로 최현이 기록한 『조천일록』에는 그들과의 대화도 구체적인 내용이 많지 않았다. 이런 한계를 지니고 있음에도 최현과 명나라 사람들과의 만남은 17세기 초 동북아시아 상황을 현재까지 전해주는 귀중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최현이 만난 명나라 인물을 유형화하면 상인, 유학자, 지역민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의 만남을 계기로 최현은 조ㆍ명 유학자만 아니라 명나라 지역민과의 경제관에 있어서도 차이점을 드러내었다. 그는 명나라를 지탱하는 인물들도 만났지만, 명나라의 유교 문화와 풍속이 쇠퇴하고 있는 실상도 발견할 수 있었다. 명나라와 달리 조선에서는 유교의 문화와 풍속이 융성하고 있었다. 최현과 명나라 사람과의 만남은 조선이 임진왜란으로 인해 폐허가 되었지만, 문화적인 측면에서 명나라보다 앞서 나갈 수 있다고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 KCI등재

        조선시대 양명학에 관한 연구의 과거, 현재, 미래 -조선시대 양명학 일반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김세정 ( Kim Sea-jeo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0 儒學硏究 Vol.52 No.-

        1970년대부터 시작한 조선시대 양명학에 관한 연구는 지난 50년간 양적인 면은 물론 질적인 측면에서 괄목할 만한 눈부신 성과를 이루었다. 필자는 지난 50여 년간의 연구 성과를 모아 <조선시대 양명학 관련 연구 문헌 목록>을 제작하였다. 이 목록에 수록된 자료는 저서 78권, 원전 번역서 46권, 외국문헌 번역서 2권, 박사학위논문 97편, 석사학위논문 213편, 학술논문 1,287편을 포함 총 1,719종에 달한다. 이 방대한 자료에 대한 분석을 몇 단계로 나누어 진행할 예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조선시대 양명학 연구의 전체적인 윤곽을 조망할 수 있는 ‘조선시대 양명학 일반’에 관한 연구 성과물과 관련한 목록에 수록된 자료들(저서 16권, 박사학위논문 8편, 학술논문 93편)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시대 양명학 연구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를 살펴보았다. 총 16권이 간행된 저서 부분은 크게 조선시대 양명학 연구의 기틀을 마련한 시기인 1980년대, 조선시대 양명학 연구의 심화 시기인 1990년대와 2000년대, 조선시대 양명학 연구의 국제화시기인 2010년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반부는 양명학의 전래와 수용과 전개라는 조선시대 양명학 일반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면, 후반부에서는 이러한 연구 내용과 더불어 조선시대 양명학과 성리학의 교섭과 융섭을 다룬 연구가 많아지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아울러 저서의 주제와 관점과 내용이 다양화되고 심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조선시대 양명학 일반을 다룬 박사학위논문의 경우에는 8편으로 양적으로 많은 편은 아니지만, 철학은 물론 역사학, 정치학, 종교학,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박사학위논문이 나옴으로써 조선시대 양명학을 다양한 관점에서 조망할 수 있도록 해줌과 아울러 조선시대 양명학을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한국양명학 연구 기반을 풍성하게 만들어주었다고 하는 점이 주요한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총 93편이 간행된 학술논문의 경우는 크게 3시기로 나누어 살펴봤다. 첫 번째 시기는 1980년대까지에 해당하는 시기로 조선시대 양명학 연구의 토대 마련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시기는 1990년대로써 조선시대 양명학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진행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세 번째 시기는 2000년대와 2010년대로써 조선시대 양명학 연구의 성숙기라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 양명학 일반에 관한 괄목할 만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해결해야할 과제들이 남아있다. 첫 번째로 총론에 해당하는 조선시대 양명학 전반을 조망하는 연구 작업에 각론에 해당하는 개별 양명학자에 대한 연구 성과 및 시기별·분야별 연구 성과들을 반영해야 할 필요성이다. 두 번째는 조선시대 양명학 전반을 다룬 연구 성과물이 대체로 철학 분야에 치중되어 있는 바, 문학과 사학과 철학 분야에서의 균형 있는 연구의 필요성이다. 그래야 조선시대 양명학을 입체적으로 그려냄으로써 조선시대 양명학의 진면목을 제대로 드러낼 수 있다. 셋째, 조선시대 양명학 연구는 오늘날의 시대문제와 관련하여 보다 적극적인 논의를 전개할 필요가 있다. 조선시대 양명학자들이 보여준 수시변역(隨時變易)과 권도(權道)의 주체성과 시대정신, 실심(實心)과 감통(感通)의 애민정신과 실천정신을 온전히 계승하고 현실에 맞게 되살리는 것이 조선시대 양명학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가 되어야 한다. The research on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which started since the 1970s has achieved amazingly remarkable results i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during the last 50 years. The author has collected those achievements and made a “List of Works on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The works in that list include 78 books, 46 translations from original texts, two translations from foreign works, 97 doctoral dissertations, 213 master's theses, and 1287 academic papers, totaling up to 1719. The author intends to carry out the analysis of that huge compilation in several stages. In this paper as the first stage, the author considers a part of writings contained in that list (15 books, seven doctoral dissertations, 94 academic papers) which are related to the ‘general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that can draw a general outline of the research on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at, the author makes some evaluation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that research and the outstanding problems that must be resolved. In those works, 15 published books can be divided according to the time of publication: the 1980s when the research on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established its first base, the 1990s and 2000s when that research developed, and the 2010s when that research was internationalized. While the first half of them provide a foundation to the research on the general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i.e. the introduction, reception and development of Yang-ming studies, in the second half we can see that the research focuses more on the negotiation and interconnection between Yang-ming studies and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he subjects, viewpoints and contents of those books show the diversification and improvement. For the doctoral dissertations on the general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it can be said that those eight dissertations are not much in quantity, but the variety of academic areas they are in - philosophy, history, politics, religious studies, literature, etc.-shows that the main results they obtained are the consideration of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from various aspects, the profound knowledge of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and the enrichment of the base for the research on Korean Yang-ming studies. For the 93 academic papers, they can be divided into 3 parts according to their publication time. The first one is the papers published until the 1980s when the research on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started to be established. The second one is the papers published in the 1990s when the research on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was regularly carried out. And the third one is the papers published in the 2000s and 2010s when that research reached maturity. Despite the remarkable results, the research on general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still has problems that must be solved. Firstly, the results of research according to the time and domain, and the research on each scholar of Yang-ming studies must be reflected in the research showing the outline of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Secondl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the general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that focused much on the philosophical aspect must be balanced among all philosophical, literal, and historical aspects. Only so can Yang-ming studies be fully described and their true character be shown. Thirdly, it is necessary to advance arguments about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in the connection with problems of the present era. The ultimate aim should be that the research on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must completely succeed and revive, in the present reality, the self-control and independence and the spirit of time that were showed in ‘variation according to time (隨時變易)’ and the ‘way of adaption (權道)’, the spirit of loving the people and the spirit of practice that were showed in the terms of ‘sincere mind (實心)’ and ‘empathy (感通),’ i.e. the spirit of Yang-ming studies that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manifested.

      • KCI등재

        고려말권근(高麗末權近)의 사행(使行)과 그 의의

        김동석 ( Kim Dong-suk ) 온지학회 2017 溫知論叢 Vol.0 No.50

        權近은 1389년 6월에 고려를 떠나 남경에 갔다가 9월에 돌아온다. 당시 이성계는 위화도 회군으로 정국을 주도하고 있었고, 왕실은 이성계와 첨예한 대립을 하고 있던 시점이었다. 권근은 남경에서 자문을 가지고 왔지만 대신들과 함께 열어보지 않고 직접 열어본다. 이 열어본 자문에서는 우왕과 창왕이 왕씨가 아니라는 것이 쟁점이 된다. 『明實錄』에는 우왕과 창왕이 왕씨가 아니라는 언급은 없었다. 자문 사건이 일어날 때 우왕은 이성계를 제거하려고 하였지만 실패한다. 이어 이색과 조민수가 실권에게 물러나게 되고, 우왕과 창왕이 처형된다. 모두 권근이 남경에 다녀온 후 몇 달 사이에 발생한 일연의 사건이다. 권근의 『奉使錄』을 보면 이동하는 노정에 따라 각기 다른 감회를 보이고 있다. 요동을 지나 북경에 들어갈 때는 四海一家, 崇明같은 말을 자주한다. 진흙에서 꽃을 피우는 연꽃을 동경하며 자신의 심회를 보이기도 한다. 다시 通州에서 남경으로 갈 때에는 스스로를 泛梗에 비유하기도 하고, 산동을 지날 때에는 공자와 증점의 일화를 떠올리며 긴장된 자신의 마음을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남경에서 고려로 돌아올 때는 崇明에 대한 말은 하지 않고 고향과 부모를 그리워하는 말만 한다. 고려에 거의 다가올 무렵인 ?蘭店驛에서는 앞으로 펼쳐질 운명을 낙관적으로 점치기도 한다. 권근은 남경에 다녀오면서 보고 들었던 사실을 『봉사록』에 기록하고 있다. 전쟁이 치열했던 당시 요하를 건널 때 수많은 배를 목격하였고, 운하를 건너면서 운하와 지명에 대한 상세한 기록을 남기기도 한다. 전란의 시대 국경을 건너 명나라에 살고 있는 고려 사람을 만났고, 산동성蓬萊驛에서 배를 타고 旅順口에 도착할 때와 고려 근처에서 당시 있었 던 왜구의 참상을 노래하기도 한다. 권근이 운하를 통하여 남경에 간 것은 훗날 崔溥가 표류하여 조선으로 되돌아 올 때까지 고려와 조선의 다른 사신들은 이 운하로 다녀간적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육로의 牛家莊은 청나라 때 통행이 금지된다. 牛家莊은 산동의 登州와 萊州로부터 遼河를 거쳐 동북지역으로 올 때군사적 요충지였기 때문이다. 권근이 우가장을 지날 때에는 이미 北元이 몰락했을 때였다. 『奉使錄』을 통하여 『고려사』와 『고려사절요』를 권근이 사행한 시점에 묶어 두고 살필 수 있으며, 한 개인으로서 권근이 겪고 있던 시대적 고민과 현안 문제를 가장 가까이에서 살필 수 있다. GuanKun[權近] had been to Ming[明] dynasty as an envoy. BongSaLok[奉 使錄] is the document written by GuanKun[權近] during his journey. Through this book, we could read what is happening during his journey. Above all things, Ming[明] dynasty has involved in the change from The Koryo Dynasty to Chosun Dynasty. Through this research, may be from this time Chosun Dynasty came to close to Ming[明] dynasty. He received a report delivered by the head of Ming government on affair of Goryeo dynasty. But GuanKun[權近] opened a report delivered by the head of Ming government[咨文], maybe collect it. The amended document contains that king of Wo and Chang is not the descent from Goryeo blood. In the Annals of the Ming Dynasty only shows that after this accident Goryeo report to the Ming dynasty that the king of Wo and Chang is not the descent from Goryeo blood, so they had to purge. During his journey to the NanJing he had meet Goryeo drifting people who are the military man involved in the War between Ming and Yuan dynasty. GuanKun[權近] wrote many poem about what he has seen and thinking, feeling in his BongSaLok[奉使錄]. And at that times many envoy writing poem is universal partly because that Many literary person in Goryeo would like to write poem after military coup. During Goryeo envoy journey to the NanJing they would take the land route come back by sea in order to espionage the Ming country. At onetime the king of principal Joo in Ming dynasty complained about this. It means that Ming dynasty have paid great attention to trifles of Goryeo. The route by the sea Which Goryeo envoy used is an important military operations route. When the king of principal Joo in Ming dynasty browbeat Goryeo, he usually mentioned this seerout to attack Goryeo attack miliotary boat from allover his country such as by MingZhou[明州], WenZhou[溫州], Quanzhou[泉州], TaiChang[太倉], GuangDong[廣東] SiChuan[四川] etc. Within BongSaLok[奉使錄], GuanKun[權近] say that admire Ming dynasty about its culture and its civilization which is against many officials in Goryeo who are still take side the Yuan dynasty.

      • KCI등재

        明·오이라트 通貢·互市의 양상과 성격

        조원(Cho, Won) 한국몽골학회 2021 몽골학 Vol.- No.67

        이 연구에서는 15세기 명과 오이라트 간의 조공 무역과 호시를 중심으로 경제 교류의 양상과 특징을 살펴 보았다. 명은 초기부터 북원을 견제하기 위해 몽골 초원 서부 오이라트, 요동지역의 우량카이와 경제 교류를 시작했다. 특히 명과 오이라트의 관계는 土木堡의 변이 발발하기까지 거의 반세기에 걸쳐 규모나 다양성의 측면에서 경제 교류가 확대되어가는 양상을 보였다. 1408년 오이라트는 명과의 공식적인 조공 관계를 맺었고 이로서 조공 형식의 絹馬 교역을 시작했다. 이후 오이라트의 지도자가 된 토곤은 명에서 유입된 물자가 오이라트 수령의 중요한 물적 기반이 된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더욱 적극적으로 명과의 조공 무역을 개진했다. 토곤이 초원에서 동몽골을 몰아내고 몽골 초원을 장악한 이후 사절단의 규모와 진공품의 수가 급증하는 양상이 나타났으며, 상품도 다양화되어 말과 낙타뿐 아니라 다양한 모피가 진상되었던 점이 주목된다. 명과 오이라트의 경제 교류는 조공무역의 일환으로 會同館 무역이 전개되었다. 명과 오이라트는 조공 무역이 개시될 무렵부터 부정기적인 馬市 교역을 진행되었고, 몽골인들의 경제적 욕구과 명의 변경 방위비 부담의 절감이라는 의도가 맞물려 1438년 大同 지역에 공식적인 馬市가 개설되었다. 에센 시기 명을 상대로 오이라트의 조공 무역은 조공 사신단과 조공품 규모의 측면에서 더욱 확대되었고 이는 명에게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했다. 에센 시기 조공 무역 확대의 이면에는 당시 오이라트의 칸이었던 톡토부카의 세력 확대가 에센에게 위협으로 작용했기 때문이었다. 에센은 명과의 朝貢을 통해 자신의 정치적·경제적 입지를 다질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에센 시기 대명 조공 무역의 확대는 에센과 무슬림 상단의 연합의 측면도 고려되어야 한다. 조공 사신단에는 상당수의 무슬림 상인들이 포함되어 있었음이 확인되는데 이는 에센세기 하미에 대한 오이라트의 정치적 지배력이 미치고 타림분지로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하미를 비롯하여 중앙아시아 무슬림 상인들이 명에서 상업 활동을 할 수 있는 활로를 마련해주었기 때문이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conomic exchanges between the Ming dynasty and the Oirads in the fifteenth century by focusing on the tribute trade(朝貢) and border market(互市). The Ming dynasty began to trade with the Oirads from the west Mongolian plains and the Uriyangqai from the Liaodong region to hold Northern Yuan in check. The economic relations between the Ming dynasty and the Oirads, in particular, expanded in terms of scale and diversity for a half-century until the outbreak of the Tumu(土木堡) Crisis. In 1408, the Oirads officially became a tributary state of the Ming dynasty and began trading horses and silk goods. Togon, who later became the leader of the Oirads, realized that the goods from the Ming dynasty served as an important material basis for the Oirad leadership and actively promoted the tributary trade with the Ming dynasty. The size of the envoys and the number of gifts increased after Togon drove East Mongolia out and took complete control of the plains, and the gifts were diversified to include horses and camels, and various types of furs. The economic exchange between the Ming dynasty and the Oirads took place at the Huitongguan(會同館) as a part of the tributary trade. Through the Huitongguan trade, the envoys purchased daily necessities from China using the luxury goods they received from the Ming dynasty. The Ming dynasty and the Oirads also traded horses in occasional horse markets from the beginning of the tributary trade, and the official horse market was opened in the Datong(大同) region in 1438. Trade between Mongolian nomads and the Han Chinese took place at this market, and it is noteworthy that goods prohibited from trade by the Ming dynasty, including military weapons and ironware, were also traded secretly. Tributary trade between the Oirads and the Ming dynasty during the reign of Essen expanded in terms of the number of envoys and the scale of tributary gifts, which placed a considerable burden on the Ming dynasty. Behind the expansion of tributary trade during Essen’s reign was that Essen was threatened by the growing influence of Tokto-Buka, the Khan of the Oirads. Esen needed to send tributes to the Ming dynasty to reinforce his political and economic position. The coalition between Essen and the Muslim merchants was another factor that led to the expansion of tributary trade during the reign of Essen. A considerable number of Muslim merchants were included in the envoys, as the Oirads gained political dominance over Hami and their influence on Tarim Basin increased, which enabled the Oirads to provide the Muslim merchants in the Central Asian region, including Hami, to conduct commercial activities in Ming China.

      • KCI등재

        조선시대 한중일(韓中日) 관계와 상호인식(相互認識)의 추이

        한명기 ( Han Myunggi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0 No.57

        원대 이전까지 중국의 일본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이었다. 견당사 등으로 왔던 일본 관인, 승려들과의 접촉 경험을 통해 일본을 ‘예의지국’, ‘군자지국’으로 보았다. 하지만 왜구가 발호하면서 중국의 대일인식은 몹시 부정적으로 바뀐다. 조선도 14세기 중반 이후 극심한 왜구의 침략을 겪으면서 일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고조되었다. 15세기 회유책이 효과를 발휘하여 왜구가 잦아지면서 일본에 대한 인식은 바뀌는 조짐을 보인다. 그런데 조선은 大國으로 자처하면서 일본에 대해 문화적 우월감을 드러냈다. 조일 양국의 상호 인식과 태도를 규정하는 바탕에는 양국의 명에 대한 태도와 인식의 차이가 자리 잡고 있었다. 15~16세기 조선 지식인들은 명과의 빈번한 접촉과 친연성을 바탕으로 일본에 대한 우월의식을 드러냈다. 일본은 神國임을 내세우면서 명에 대해 맞서거나 사대를 거부하는 ‘자주적인’ 자세를 바탕으로 조선을 멸시하려고 덤볐다. 임진왜란을 계기로 조명관계에서는 전쟁 이전의 事大와 字小를 표방했던 ‘軟性的인 관계’가 사라졌다. 명은 왜란을 계기로 자신들의 안보가 위협받자 조선에 대해 거칠고 부정적인 태도와 인식을 드러냈다. 왜란 이후 조선은 명을 ‘再造의 恩人’으로, 일본을 ‘萬世의 怨讐’로 규정했다. 또 전쟁 기간 일본의 武力과 잔학함을 목도하면서 일본에 대한 두려움도 확실히 지니게 되었다. 정묘, 병자호란 이후 조선에서는 일본을 ‘원수’가 아니라 청에 맞서기 위해 협력해야 할 우방으로 여기는 인식이 싹텄다. 명 또한 청의 위협에 맞서 조선이 일본과 협력하여 청을 견제해 주기를 기대했다. 19세기 들어 일본에서는 정한론이 대두된다. 실제로 일본의 힘이 다시 커지고 조선에 대한 위협이 증대하면서 청의 위기의식도 고조된다. 운양호 사건, 임오군란을 겪으면서 청의 양무관료들은 조선을 구미 열강과 立約하도록 勸導하는 한편 조선을 직할령으로 통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 와중에 흥선대원군을 납치하고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을 강압적으로 체결하고, 원세개의 독단적인 행보까지 더해지면서 19세기 후반 조선에서는 반청감정이 비등해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명과 청은 조선을 ‘충순한 번국’이란 운운했지만 일본이 양국 관계에 끼어들 경우 조선에 대해 거칠고 강퍅한 태도와 부정적인 인식을 드러냈다. 15세기 명의 신료들이 조선과 일본의 접촉에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였던 것, 임진왜란 시기 명군 지휘부가 조선에 대한 직할통치론을 주장했던 것, 임오군란 이후 청의 양무관료들이 조선을 속방으로 만들려고 했던 것 등이 그 생생한 실례였다. 1894년 청일전쟁을 계기로 조선에서는 排日, 斥日論이 확산되고 대다수 관료와 민인들이 청군의 승리를 전망하거나 희구했다. 청이 패하자 조선에서는 당혹감과 함께 청의 허약한 실상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이 대두했다. 청의 지식인들도 패전을 계기로 일본을 배워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조선시대 한국인들의 중국 인식과 일본 인식은 ‘끼여 있는 존재’라는 한반도의 지정학적 조건과 안보 상황 속에서 형성되었다. 나아가 그것은 한반도를 둘러싼 중일 양국의 역학 관계의 추이를 비롯한 상황의 변화에 따라 서로 길항하고 연동되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The three countries of Korea, China and Japan are often referred to as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Zone” and “Confucian Culture Zone” or “Sinosphere” to emphasize the cultural commonality of the three countries. However, in the past, the interactions and exchanges between the people of the three kingdoms were cut off. This was because all three countries strictly forbade the movement of their subjects between the respective countries. Under this restriction, it was impossible for the majority of the residents, except for the envoys, interpreters, and some merchants, to contact people in other countries. The Chinese perception of Japan was positive before the advent of the Yuan Dynasty. Through contact with Japanese officials and monks who had been envoys, Japan was regarded as a “country of courtesy” and a “country of virtues”. However, Japanese pirates became a major problem for China by the end of the Yuan dynasty, China's perception of Japan became the opposite. The Joseon Dynasty in the late 14 <sup>th</sup> century, also suffered heavily from frequent invasions of the Japanese pirates, started to regard the Japanese with contempt. This antagonistic sentiment is shown in the terms that were used to describe Japan such as “The Island Barbarians”, “The Japanese Enemy” and “The Wicked Scoundrels”. However, since the middle of the 15 <sup>th</sup> century, the ensuing success of the policy of appeasement with the Japanese pirates and the resulting decrease of the invasions, the Korean perception of the Japanese changed, this time for the better. However, Joseon's attitude that they were a Great country and Japan was a subordinate nation continued as before . Joseon Dynasty in the 15 <sup>th</sup> century, had frequent contacts with the Japanese nation while concealing them from the paternal Ming dynasty. The Ming Dynasty did in fact were opposed to Joseon having communication with Japan. 15<sup> th</sup> to 16 <sup>th</sup> century intellectuals of Joseon touted that Joseon was the “most loyal subjectnation” to the Ming Dynasty and the “honoured pupil of the Great Chinese Civilisation” therefore they treated Japan as “barbarians” and a “country yetto-be-reformed”. On the other hand, Japan asserted itself as a “God's nation”, and rejected being a tributary state to the Ming Dynasty and scorned the Joseon Dynasty. The geographical difference between Joseon and Japan in relation to China, that Joseon peninsula(the Korean peninsula) is attached to the Chinese continent and Japan is separated from the Asian mainland by ocean, caused the difference in their attitude and perception towards China and this furthermore affected the mutual perceptions they had of each other. In the wake of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Imjin War 1592-1598) contacts between peoples of the three kingdoms increased explosively. First of all, after the war, the mutual perceptions of Joseon and Ming revealed a new face. As the military and geopolitical importance of Joseon emerged after the war, Ming recognised Joseon as their “front” and “defense base”. Ming pressured Joseon and even planned to colonise it. On the other hand, after the war, the Joseon Dynasty recognised the Ming Dynasty as “saviours” despite the serious havoc the military of Ming created in Joseon. But then, they perceived Japan as an “eternal enemy”. In addition, the Joseon Dynasty experienced the formidable prowess of the armed forces of Japan through the war which raised fears. It was through the Imjin War that hostility and fear toward Japan were made to coexist. With the replacement of the Ming Dynasty with the Qing Dynasty, the mutual perceptions of Joseon and Ming, and Joseon's perception of Japan showed signs of change. In particular, through the Later Jin invasion of Joseon (Jeongmyo-Horan 1627) and the Qing invasion of Joseon (ByeongJa-Horan 1636-1637) their perception towards Japan showed sings of change. Some intellectuals began to perceive Japan as an ally to cooperate with in the fight against the “barbarian forces of Qing”, not “the eternal enemy” they once thought Japan was. In the 19th century, the approaching threat of the West gave impetus to Japan's national defence efforts and they were of the opinion that Korea had to be conquered. Indeed, as Japan's power grew again, Qing's sense of crisis toward Japan also grew. In particular, some of Qing's officials who believed that Japan conquering Joseon would prove to be dangerous for Qing, argued that Joseon should be ruled directly. In 1882, during the riots of Joseon soldiers, Qing militarily intervened in the country, established military rule and attempted to make Korea a colony. The situation changed after the First Sino-Japanese War (1894-1895). Anti-Japanese sentiment spread in Joseon as Japan occupied the Gyeongbokgung Palace, oppressed peasant forces and attempted to colonise Joseon. During the war, the Qing Dynasty was overwhelmed in the face of the superior force of Japan, but many intellectuals in Joseon hoped for the victory of the Qing. However, when Qing was defeated in the First Sino-Japanese War, Joseon through embarrassment was forced to recognise Qing's waning power over the East. Qing's intellectuals also recognised that through the loss of the war they were to learn from Japan. In conclusion, Korean perceptions of the Japanese and of the Chinese during the era of Joseon Dynasty were formed under the geopolitical conditions and security conditions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is sandwiched between the Chinese continent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And they appeared to antagonise or facilitate each other depending on the changes of relationship and situations between Korea and the two countries of China and Japan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mutual perceptions, “country of courtesy”, “country of virtues”, Japanese pirates, the “most loyal subjectnation” to the Ming Dynasty, Imjin War, “defense base”, “the eternal enemy”, the Later Jin invasion of Joseon, ‘the situation sandwiched between the Chinese continent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 KCI등재

        鄭夢周與明人的交遊 - 以 ≪圃隱集≫ 為中心 -

        여국강(Yu Guojiang) 포은학회 2014 포은학연구 Vol.14 No.-

        원나라부터 명나라까지 왕조가 바뀐 후에 명나라는 동아시아의 조공 체계를 신속하게 재건하였다. 하지만, 이 체계는 홍무(洪武) 연간에 결코 공고하지 않았고 건국 초기에 명나라와 고려의 관계가 여러 번 풍파를 겪은 것이다. 바로 이런 상황에 정몽주가 외교 사절로 명나라에 여러 차례 가서 두 나라 관계의 정상화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외교 사절로써 명나라에 가는 도중 정몽주는 매우 많은 시문을 지었는데 사행길에서 따라 보고 들은 모든 것을 매일 반드시 시문으로 기록하였다. 명나라의 사신이 고려에 갔을 때에 정몽주도 여러 차례 시로 화답하였다. 그 시문들이 당시 사람들의 높은 평가를 받았다. 예를 들면 이색(李穡)은 그 교유시들이 바로 시사라고 평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포은집(圃隱集)』에 수록된 시문들을 통해 정몽주가 교유했던 명나라 사람들을 확인한다. 이 사람들 중에는 고려에 간 명나라 사절도 있고, 정몽주가 외교 사절로 명나라에 갔던 도중에 지났던 지역의 군사장관, 문신, 고승, 사대부들도 있다. 이를 통해 정몽주가 명나라 인사들과 광범하게 교유한 것을 알 수 있다. 정몽주의 교유시 중에는 명나라와의 외교 정치 요구에서 비롯하여 명나라의 전국 통일, 화이(華夷)지서를 재건하기, 명나라 대신들의 문재무공, 자기가 성세를 친히 만나 보는 것들을 표현하는 작품들도 있고, 정몽주 자신의 기호와 취향을 표현하는 작품도 있다. 명나라 인사들의 인품과 덕성에 대한 흠복과 앙모를 표현한 것이다.『포은집(圃隱集)』중의 시문들을 통해 중국측 사료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할 수도 있고, 고려 쪽의 관련 시문들과 함께 대조하면서 읽을 수도 있다. 특히 정몽주가 고손지 등 인사들과 사상에 대해 교류한 시문들은 정몽주의 생애과 사상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아주 특별한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포은집(圃隱集)』이 시사로써도 가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After replaced the Yuan Dynasty, the Ming government quickly rebuilt the tributary system in East Asia. However, this system was not stable enough. In the Hongwu (洪武) period, there were a lot of problems between the Ming Dynasty and Goryeo. In this case, Jeong Mong-ju was appointed to the Ming Dynasty as the envoy, and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repai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On the way to the Ming dynasty, Jeong Mong-ju wrote a large number of poems. When the Ming dynasty envoys visiting Goryeo, Jeong Mong-ju also wrote many poems. At that time, people spoke highly of these works. For example, Ri-Sag (李穡) said these poems “can be called historical poetry (詩史)”. According to Puyin Ji (圃隱集), this paper has carried on the textual research of the figures in the Ming Dynasty who made a contact to Jeong Mong-ju. Some of these people is the Ming Dynasty envoy to Goryeo, another part is the Ming Dynasty military governors, ministers, buddhists and other hermits. We can find that Jeong Mong-ju had contact with a lot of people in the Ming Dynasty. These poems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On the one hand, Jeong Mong-ju wrote some poems for political needs. The contents include the unity of the Ming Dynasty, the reconstruction of Sino-foreign country system (華夷秩序), the great achievement of the Ming Dynasty, the joy of a golden age, and so on. On the other hand, Jeong Mong-ju also wrote some personal poems. He expressed his own likes and ambition, or admiration for the figures in the Ming Dynasty. These poems have great significance. They can make up for the inadequacy of Chinese historical materials, and also prove the relative historical materials of Goryeo. Especially some of them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search on Jeong Mong-ju’s life and thought. Therefore, we think Puyin Ji (圃隱集) is of great value as a historical poetry (詩史).

      • KCI등재

        ‘列聖御製別編’에 나타난 對明義理論의 전개

        안장리 열상고전연구회 2014 열상고전연구 Vol.42 No.-

        본고는 두 가지를 밝히려고 하였다. 첫째는 조선 역대 왕의 글을 모은 列星御製 에 別編이 존재하는 이유와 존재양상이며, 둘째는 열성어제별편에 표출된 대명의 리론의 국왕별 전개양상이다. 열성어제별편은 청나라에 저촉되는 글만 모아 진상․보관용으로 두고 반사하지 않았으며, 숙종, 영조, 정조, 순조, 익종 등 5명만 남겼다. 별편 시문의 분량을 보면 숙종은 시가 많고 문이 적으며 문은 숙종, 영조, 정조 순으로 확대되다가 순조․익 종 대에는 현격히 줄어들었는데 이는 대명의리론의 전개와 연계되어 있었다. 본고에서는 대명의리론의 전개를 왕대별로 형성기, 정립기, 확대기, 강화기로 각각 나누었다. 대명의리론 형성기의 숙종은 대명의리보다는 청나라에 대한 분노 와 북벌의지가 컸고, 명나라에 대해서도 再造之恩의 대상인 神宗을 제향하는 대 보단을 세우는 등 신종 중심의 어제를 남겼다. 대명의리론 정립기의 영조는 신종 뿐 아니라 명나라 마지막 황제인 毅宗 그리고 명나라 태조에 대한 의리를 강조하 여 대보단에 이 세 황제를 향사하게 함으로써 단순히 재조지은에 대한 감사가 아 니라 명나라 전체에 대한 의리를 강조하였다. 즉 이 시기에는 재조지은보다 尊周 大義의 이념이 더 중시되었다. 대명의리론 확대기의 정조는 조선을 존주대의의 정신을 이은 나라로 보고 더 나아가 존주대의의 혈통을 이은 명나라 후손을 표창 함으로써 대명의리론의 범주를 현저히 확대해 나갔다. 대명의리론 강화기의 순조 와 익종은 명나라 황제에 대한 불손한 언행을 징치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 시기 대명의리론은 의심의 여지없는 당대 이데올로기로 강화된 것이다.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wo things. One is to find out why there is a separate publication to Yeolseongeoje, a collection of writings by the kings of Joseon Dynasty, and the status of the existence of the collection. Second is to examine how Joseon's loyalty to the Ming Dynasty developed by king's reign in Yeolseongeoje-byeolpyeon. Yeolseongeoje-byeolpyeon contains the writings of Kings Sukjong, Yeongjo, Jeongjo, Sunjo and Ikjong and says that writings unfavorable to the Qing Dynasty were separately published and then tributed to kings or kept instead of being distributed. As for poems and proses in Yeolseongeoje-byeolpyeon, the collection includes more poems by King Sukjong than his proses. The number of proses by kings in the collection topped in King Jeongjo's reign, followed by Yeongjo's reign and Sukjong's reign. The figure sharply decreased in the reigns of Kings Sunjo and Ikjong.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Joseon's loyalty to the Ming Dynasty is divided into four stages by king's reign: forming stage; establishing stage; expanding stage; and enhancing stage. According to Sukjongeoje-byeolpyeon, King Sukjong's reign was the period when resentment against the Qing Dynasty and the willingness to conquer the north were strongly prevailed. In addition, the view to regard the Ming Dynasty, specifically Ming emperor Sin-chong, as the one who saved Joseon from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ppeared, resulting in the formation of Joseon's loyalty to the Ming Dynasty. In King Yeongjo's reign, such view was intensified, emphasizing loyalty to the entire Ming Dynasty including Taejo and the last emperor Uijong. That is, during this period, respect for Zhou Dynasty that represents sinocentrism was more emphasized than repaying the Ming Dynasty's help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This is the essence of the argument for Joseon's loyalty to the Ming Dynasty, so King Yeongjo's reign is considered as the period when Joseon's loyalty to the Ming Dynasty was established. King Jeongjo regarded Joseon as the nation that had inherited the spirit of respecting Zhou Dynasty that represents sinocentrism and commended the descendants of the Ming Dynasty who inherited the spirit of respecting Zhou Dynasty that represents sinocentrism, significantly expanding the scope of Joseon's loyalty to the Ming Dynasty. In the reigns of Kings Sunjo and Ikjong, Joseon's loyalty to the Ming Dynasty was enhanced as the absolute ideology of the time, and therefore insolent words and behaviors towards the Ming Dynasty were subject to punishment. This period, therefore, is considered as enhancing stage.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rough Yeolseongeoje-byeolpyeon that Joseon's loyalty to the Ming Dynasty initiated from resentment against the Qing Dynasty and then developed from the movement to repay emperor Sin-chong's help in the Japanese Invasion to loyalty to the entire Ming Dynasty based on the respect for Zhou Dynasty that represents sinocentrism. Joseon's loyalty to the Ming Dynasty was further intensified through the reigns of kings Jeongjo, Sunjo and Ikjo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