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한 대학 신입생의 컴퓨팅 사고력 인식수준 분석

        송연옥(Song, Yeon 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신입생이 인식하고 있는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하고 관련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H대학교 ‘창의적사고와코딩’ 강좌를 수강하는 신입생 113명을 대상으로 컴퓨팅 사고력을 측정하였다. 자료수집은 2019년 9월 1주 동안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사용하여, ①t 검정을 통해 중요도와 현 수준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고, ②Borich 요구도 공식을 활용하여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수치를 산출하였고, ③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요구도가 높은 항목을 4사분면으로 구분된 좌표명편에 결과를 시각적으로 제시하였고, ④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HH영역과 LH영역에 속한 항목과 개수를 확인한 다음, 해당 개수만큼 Borich 요구도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표로 제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대학 신입생이 인식하고 있는 컴퓨팅 사고력의 중요도와 현 수준은 8개 하위 요소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생들은 자신이 인식하는 중요도 대비 현 수준을 매우 낮게 평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요구도의 최우선 순위는 ‘구현’과 ‘적용’이, 차 순위는 ‘정보 분석’, ‘모델 설계’, ‘알고리즘 표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이공계와 비이공계 학생 모두 공통으로 ‘구현’과 ‘적용’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한편, 이공계 학생의 경우 비이공계 학생과 달리 정보나 데이터의 특성을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 분석하여 핵심 요소를 추출할 수 있는 ‘정보 분석’에 대한 요구가 높다는 특징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에서 신입생 대상 컴퓨팅 사고력 교육의 가치 실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assessment of needs for computational thinking perceived by university freshmen, and provide basic data for relevant education. To this end, computational thinking of 113 freshmen taking the “Creative Thinking and Coding” course at H University was measured. Data were collected for a week in September 2019. Using SPSS 25.0, this study ① statistically analyzed a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and current level through a t-test, ② calculated the figures to set priority using the Borich needs formula, ③ visually presented the results on the coordinates in which items with high needs are divided into quadrants using the Locus for Focus model, and ④ checked the number and items that belong to HH and LH of the Locus for Focus model, and then prioritized the Borich needs to the relevant number and presented them in a table. Key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8 subfactors between the importance of computational thinking perceived by university freshmen and the current level—students tended to rate the latter much lower than the former, and the top priority needs were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followed by “information analysis,” “model design,” and “expression of algorithm.” Second, both engineering and non-engineering students showed high needs for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The difference was, unlike non-engineering students, the engineering ones showed higher needs for “information analysis” through which they can process and analyze information or data characteristics in various methods and extract key element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esents methods to fulfill the value of computational thinking education for freshmen in universities.

      • KCI등재

        교사의 지역교육공동체의식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권다남,김대현,정상원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4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achers' needs for a sense of local educational community and, through this, devise a plan to form a sense of local educational community. For this purpose, sample data from a total of 170 teachers in Region B were collected and the teacher's local educational community was identified through t-test in 4 areas such as locality, learning ability, relationship, and cooperation, Borich needs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need for consciousness was confirmed.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test, Borich requirements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 total of 4 factors were identified, including regional characteristics unique to our region, sharing of culture and values, respect for each other, and acceptance of the school's education needs. It was found that the following items were the highest priorities that should be considered first to form a sense of local educational communit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discussions focused on exploring ways to form teachers' sense of local educational community. 이 연구는 지역교육공동체의식에 대한 교사의 요구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지역교육공동체의식을 형성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지역의 교사 총 170명의 표본자료를 수집하여 지역성, 학습성, 관계성, 협력성 등 4영역에 대한 t검증,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 등을 통해 교사의 지역교육공동체의식에 대한 요구도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성, 학습성, 관계성, 협력성 등 지역교육공동체의식의 모든 영역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필요 수준과 실행 수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Borich 요구도 공식을 통해 서로에 대한 존중, 학교의 교육에 대한 요구 수용, 인적·물적 인프라 구축, 정서적 유대감, 학교와 지역 간 서로 의지하는 것 순으로 높은 요구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우리 지역만의 지역적 특성, 우리 지역만의 사회적 특성, 우리 지역만의 고유한 문화, 문화와 가치의 공유, 서로에 대한 존중, 지역사회 인적자원에 대한 신뢰, 민주적인 갈등 해결, 학교의 교육에 대한 요구 수용 등 총 8개 항목에서 요구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t검증, Borich 요구도 공식, The Locus for Focus 모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우리 지역만의 지역적 특성, 문화와 가치의 공유, 서로에 대한 존중, 학교의 교육에 대한 요구 수용 등 총 4개 항목이 지역교육공동체의식 형성을 위해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하는 최우선순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지역교육공동체의식을 형성하기 위한 방안 탐색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 결혼의향이 높은 미혼남녀의 예비부부교육 요구도 우선순위 분석: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 활용

        이가은(Gaeun Lee),김서영(Suh Young Kim) 한국가족정책학회 2022 가족정책연구 Vol.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의향이 높은 서울시 미혼남녀의 예비부부교육 프로그램 운영방식 선호도를 분석하고,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는 5단계 요구우선순위 결정방안을 토대로 예비부부교육 주제에 대한 요구 및 우선순위를 밝히는 것이다. 현재의 교제 상대와 결혼의향이 높은 서울시 미혼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운영방식 선호도는 기술통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주제에 대한 요구 및 우선순위는 필요수준과 현재수준 간 평균 차이를 검정하는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한 후, Borich 요구도 분석방법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상위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교육주제를 도출하였다. 프로그램 운영방식은 단회기, 회기 당 1시간, 주말 오후 및 오전 시간, 비대면, 쌍방향 실시간형을 가장 선호하였다. 예비부부교육 주제는 ‘부모됨’과 ‘재무관리’가 중복적으로 상위 우선순위로 도출되어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할 주제였다. 본 연구는 결혼의향이 높은 미혼남녀의 예비부부교육 요구도를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예비부부교육의 개발 및 보완을 위한 유용한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implementation method preferences for premarital education programs and to identify the needs and priorities among education content utilizing the 5-step procedure of systematic needs analysis. The data came from 500 unmarried individuals living in Seoul, who have high intentions to marry their current partner. To analyze the needs and priorities of seven premarital themes, we used paired sample t-tests, Borich priority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participants preferred when premarital education is a single session, lasts for an hour, holds on weekend afternoons or mornings, and uses virtual synchronous platforms. Among seven themes, parenting and financial management were the top priorities. This study provides useful data for premarital education programming by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needs and priorities of individuals with high marital intentions.

      • KCI등재

        대학생의 AI 교육 유무에 따른 디지털 학습역량의 차이 및 교육 요구도 분석

        조혜영,오세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1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AI 교육 유무에 따른 디지털 학습역량의 차이를 알아보고,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과 충청도 지역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281명을 대상으로 SPSS 23.0과 Exce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t-검증으로 차이를 분석하였고, IPA 분석,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model로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주요결과를 보면, 첫째, 대학생의 AI 교육 유무에 따른 디지털 학습역량 차이를 분석한 결과, 디지털 학습역량의 현재 수준인의사소통과 중요도의 창의성을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AI 교육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디지털 학습역량 요구도 분석결과, 집중관리 영역은 비판적사고이다. 현 수준과 중요도 간의 차이는 의사소통, 협업, 비판적사고, 창의성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났다. Borich 요구도 분석결과, 의사소통, 비판적사고, 창의성 순으로 나타났다. The Locus for Focus Model에서 1사분면인 HH영역은 비판적사고로 나타나 교육 우선순위에서 공통된 하위요인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비판적사고는 Borich 요구도 분석결과 2순위로 나타나 AI 교육경험이 있는 대학생은 비판적사고를 강화시킬 수 있는 지원 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을 시사하고 있었다. 셋째, AI 교육경험이 없는 대학생의 디지털 학습역량 요구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집중관리 영역은 비판적사고, 창의성이며, 현 수준과 중요도 간의 차이는 의사소통, 협업, 비판적사고, 창의성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났다. The Locus for Focus Model에서 1사분면인 HH영역은 창의성, 비판적사고로 나타났으며, Borich의 요구도 분석과 공통적인 요인이 창의성으로 나타나 이를 최우선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AI 교육 유무에 따른 교육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AI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digital literacy skills among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ir exposure to AI education. Additionally,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educational requirements associated with AI education. Methods To accomplish this, a total of 281 students enrolled in 4-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Chungcheong-do region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3.0 and the Excel program. The differences were analyzed using t-tests, and the educational requirements were examined through IPA, Borich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Results Based on the main results, First, we analyzed the difference in digital learning competencies between university students with and without AI education, and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ubdomains exceptcommunication, which isthe current level of digital learning competencies, and creativity, which is important. Second, the analysis of the digital learning competency need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AI education experience shows that critical thinking is a key area of focu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level and the importanc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ubfactors of communication, collaboration,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According to the Borich needs analysis, communication,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are the most important. In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first quadrant, HH zone, manifested as critical thinking. While no common sub-factors appeared in education priorities, critical thinking emerged as the second-highest priority in the Borich Needs Assessment. This suggests that university students with AI education experience may need support to enhance critical thinking skills. Thir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digital learning competency needs of university students without any prior experience in AI education are as follows.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are the focus are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level and importa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ubfactors of communication, collaboration,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The Locus for Focus Model shows that the first quadrant, HH, represents creativity and critical thinking, and the common factor with Borich's needs analysis is creativity. Therefore, ways to support them should be prioritized. Conclusions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support for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based on whether AI education is present or absent. Furthermore, I would like to propose effective measures to enhance the implementation of AI education.

      • KCI등재

        대학 교양기초교육 운영 모델 개발

        배상훈,박정하,한송이,황수정,이규린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1

        The study aimed to develop the model for effect implementation of general education in college.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d what sub factors of the model need to be improv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was performed to validate the theoretical model that was established by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was conducted to suggest numerical priorities for each sub factors of the model. The final model includes 12 factors from four categories - organization, human resources, curriculum, and quality assurance. IPA found that establishing the academic organization to support general education in college, quality assurance systems, administrative office, equipment, and facilities to support general education are important among all other factors. Quality assurance was found to be important but need to be further improved. Based on AHP, the study suggests that priority may be given to provision of authority to the committee for general education in decision-making process, establishment of the systems to improve the quality of general education, the number of teaching staff, and running academic organization for general education. 본 연구는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교양기초교육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행·재정적 지원 요소를 탐색하고 모델화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아울러 교양기초교육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분야를 분석하여 정책적으로 시급한 개선이 필요한 분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문헌 분석과 전문가 의견을 토대로 이론 모델을 수립한 후 타당성 검증을 위해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계층화 분석법(AHP)을 통해 모델을 구성하는 하위 요소 간 가중치를 도출한 후, 이를 반영한 최종 모델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조직-인사-교육과정-질 관리’의 4개 영역과 12개의 하위 요소로 구성된 대학 교양기초교육 운영모델을 제시하였다. 중요도-실행도 분석 결과, 교양기초교육 전담 조직 설치, 교육과정 및 내용의 질 제고 시스템 운영, 전담 행정조직 및 지원시설의 확보 등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요성에 비추어 실행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요인으로는 ‘질 관리’ 영역의 하위 요소들이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계층화 분석법에 따른 가중치 분석 결과, 교양기초교육 관련 의사결정기구의 실질적 권한 확보, 교육과정 및 내용의 질 제고 시스템 운영, 전담 교강사 확보 정도, 전담 학사 조직의 보유가 상대적으로 중요한 분야로 밝혀졌다.

      • KCI등재

        소방공무원의 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방안 - 서울ㆍ경기지역 소방공무원을 중심으로 -

        이주호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5 Crisisonomy Vol.11 No.10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직무역량영역에 있어 가장 시급하게 집중투자가 필요한 정책과제가 무엇인지 분석하기 위하여 IPA분석을 실시하는 한편, 이들 영역의 우선순위를 파악하기 위하여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한 우선순위 분석을 함께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연구의 방법론적 측면에서 IPA매트릭스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은 X축과 Y축을 구성하는 지표에 차이를 토대로 요구되는 투자 및 교육 우선순위를 선별하는데 있어 각각 유용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Borich 요구도의 결과값의 활용은 우선순위의 서열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각각의 연구방법이 향후 소방공무원 등 현장대응 역량을 강조하는 조직의 인적자원개발 분야에 있어 그 직무의 특수성을 고려할 때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performed IPA analysis in order to find policy issues that require intensive investment urgently in connection to fire officers’ job competency areas and, at the same time, performed priority analysis using Borich’s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in order to set priority among the areas. In the dimension of research methodology, the IPA Matrix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showed that there were useful differences in setting the priority of required investment and education based on differences in indexes forming axes X and Y, and in particular, the use of the outcome of Borich’s formula made it easy to set priority. In this sense, these methodologies are believed to be highly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in organizations emphasizing field response competency as required of fire officers due to the peculiarity of their job.

      • KCI등재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조대연(Cho, Dae-Yeo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9 敎育問題硏究 Vol.0 No.35

        요구분석은 HRD 프로세스의 첫 단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에서 올바른 요구분석을 실천한 연구를 찾아보기 힘들며 우선순위결정을 위한 노력은 더욱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는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 결정방법을 고찰하고 이들의 단점을 극복함과 동시에 장점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합리적인 과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실제 데이터를 가지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과정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을 통한 요구분석 우선순위결정을 위한 과정으로 t 검정, Borich의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중복성을 활용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기존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t 검정을 통해 전반적인 경향성을 파악하고, Borich의 요구도 값을 산출하여 우선순위를 파악한 후, 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HH분면 항목과 개수를 확인하여 그 개수 만큼 최종적으로 Borich 요구도 순위와 중복된 항목을 최우선 순위군으로 결정한다. 또한 한쪽에만 나타난 항목들은 차순위군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우선순위결정을 위해 3가지 기법을 통해 5가지 과정을 활용한다면 요구분석 결과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있어 이해관계자와 의사결정자에게 보다 설득력 있는 결과를 제시할 수 있다. Need analysis is the first step in the HRD process. Nevertheless, few previous studies investigated true gaps between 'what is' and 'what should be.' Rather, there has been limited to use some appropriate methods of prioritizing needs. This study proposed a more systematic procedure to set priority of needs based upon t-test, Borich need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at are popularly used when data are collected with a survey. In particular, the proposed procedure is a way to minimize the weaknesses, at the same time, to maximize the strengths of these methods. The procedure proposed in this study included the following steps: (1) screening the tendency of needs(=gaps) through t-test, (2) prioritizing needs by using Borich's educational need equation, (3) identifying needs and its numbers fell into the HH sector of a scatter diagram, (4) double checking the rank orders of Borich's equ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needs fell into the HH sector, and (5) identifying the highest priority among needs if needs are appeared as highly ranked on both methods and the second priority with needs that are shown as highly ranked on only one method. Finally the simulations supported this systematic procedure. some implications for both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re discussed.

      • KCI등재

        신인 보험설계사의 교육요구도 분석

        두민영,허희옥 한국기업교육학회 2015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raining needs of new insurance agents based on the competency model of insurance agents. Many insurance agents start insurance sales career in around mid-40 years old with career-break. For this reason, the significance of training has been emphasized in order to enhance the insurance agents’ competencies and productivity in insurance companies. Sixty one new insurance agents participated in one set of surveys developed using the competency model for insurance agents with a week interval; one inquired the current practice level of behavior indices and the other surveyed the importance of each behavior index. As a result, goal orientation was ranked the highest needs for training while customer orientation to the lowest level in general. However, different training needs of the new insurance agents were analyzed by age and career-break period. According to their age, new insurance agents who are under the age mid-40 indicate the training need for sales-force attitude, and self-discipline and management, and the power of execution for insurance sales. By contrast, it is necessary to train sales-force attitude and goal orientation strategies to those who are over mid-40 year. In addition, while those who experience career-break under 1 year indicate the training need for sales-force attitude and goal orientation, those who have long career-break for longer than 1 year ask for goal orientation, consulting skills, and self-discipline and management. The results indicate a need to develop training programs for new insurance agents according to their age and career-break period. 본 연구는 신인 보험설계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요구도를 조사하는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61명의 신인 보험설계사를 대상으로 보험설계사 역량 및 행동지표에 대한 현재 실행수준과 중요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t-검정, Borich의 요구도 분석 모델,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이용하여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보험설계사에게 필요한 역량 중에서 목표 지향성과 관련된 행동지표가 가장 높은 교육요구도를 나타냈으며, 교육요구도가 가장 낮은 역량은 고객 지향성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보험설계사의 연령별, 경력단절 기간별 비교 분석에서는 집단별 차이가 있었다. 즉, 연령별 분석에서 40대 중반 이전의 경우, 영업 마인드, 자기계발 및 관리, 활동 실행력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고, 40대 중반 이후의 신인 설계사들은 영업 마인드와 목표 지향 마인드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았다. 한편, 경력단절 기간별 분석에서 12개월 이하의 경력단절 기간을 가지고 있는 신인 설계사들은 영업 마인드와 목표 지향 마인드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았으며, 13개월 이상인 설계사들은 목표 지향 마인드, 고객 컨설팅, 자기계발 및 관리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신인 보험설계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정서역량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김은정 한국교육방법학회 2020 교육방법연구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implications by conducting a need analysis for developing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y programs of university students. To this end, the data was gathered by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through questionnaire and focus group interview. For the need analysis through the questionnaire, first, t-test was verified statistically with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sired level and the current level. Second, Borich's needs were also derived using formulas. Third, the needs were presented using the The Locus for Focus model. Fourth, these were aggregated to derive the top and second priority items. In addition, the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twice for a total of 10 university students. As a result, we were able to obtain meaningful data by transcription of qualitative data based on students' experiences. Based on the survey and interview analysis, it was found that university students felt the most need for self-regulation and self-awareness competencies among the five sub-competencies of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y: self-awareness, self-regulation, social-awareness, relationship regulation, and responsible decision-making.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in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표는 대학생의 사회정서역량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을 실시하여 사회정서역량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시사점을 얻는데 있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 일대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정서역량의 요구수준을 설문과 초점집단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조사하였다. 설문을 통한 요구분석을 위해 첫째, t검증을 통해 바람직한 수준과 현재수준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둘째, Borich의 요구도 공식을 사용하여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셋째,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요구도를 좌표평면을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넷째, 이를 종합하여 최우선 순위 항목과 차 우선순위 항목을 도출하였다. 또한 초집집단인터뷰(FGI)를 실시하여 대학생 총 10명을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초점집단인터뷰(FGI)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경험에 기초한 질적 자료들을 통해 의미 있는 결과들을 도출하였다. 설문과 인터뷰를 통한 요구분석을 종합한 결과 대학생의 경우 사회정서역량의 다섯 가지 하위역량인 자기인식, 타인인식, 자기관리, 관계관리, 책임 있는 의사결정 중에서 자기관리와 자기인식 역량에서 가장 많은 필요성을 느꼈으며 그 다음으로 관계역량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과 추후연구에서의 제안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태양광 발전 설비 분야 전문교과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우선순위 분석 연구

        이찬주,이병욱 한국직업교육학회 2012 職業 敎育 硏究 Vol.31 No.4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and priority about educational contents of training program for vocational teachers related to the field of PV facility oper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importance level and their ability level for educational contents of 3 educational domains recognized by vocational teachers. And also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e priority as the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Borich’s educational need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First, the importance level of 28 items for basic learning PV was 4.02 and the ability level was 3.16. The high priority items of educational needs are 5, (A-1, C-2, C-3, C-4, D-2), and the lower priority items are 8(D-1, D-3, D-4,D-5, D-6, D-7, D-8, D-9). Second, the importance level of 23 item for solar cell module was 3.66 and the ability level was 2.63. The high priority items of educational needs are 5, (F-8, G-1, G-4, G-5, H-1), and the lower priority items are 3(F-7, H-5, H-7). Third, the importance level of 17 item for practice of PV system was 4.04 and the ability level was 2.86. The high priority items of educational needs are 5, (K-1, K-3, M-1, M-2, M-3), and the lower priority items are 4(L-1, L-2, L-3, M-4). 이 연구의 목적은 태양광 발전 설비 분야의 전문교과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학습요소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산출하고, 이에 대한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결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3개 영역(태양전지 기초, 태양전지 모듈 제조, 태양광 발전 시스템 실무)의 학습요소에 대해서 전문교과 교사들이 인식하는 중요도와 자신의 능력 수준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Borich의 교육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우선순위를 제안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양광 기초의 학습요소 28개 항목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교사가 인식하는 중요도는 4.02, 자신의 능력 수준은 3.16으로 나타났다. 교육요구도의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연수를 위한 교육요구도의 우선순위 항목은 5개(A-1, C-2, C-3, C-4, D-2)이고, 차순위 항목은 8개(D-1, D-3, D-4, D-5, D-6, D-7, D-8, D-9)로 나타났다. 둘째, 태양전지 모듈 제조의 학습요소 23개 항목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교사가 인식하는 중요도는 3.66, 자신의 능력 수준은 2.63으로 나타났다. 교육요구도의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연수를 위한 교육요구도의 우선순위 항목은 5개(F-8, G-1, G-4, G-5, H-1)이고, 차순위 항목은 3개(F-7, H-5, H-7)로 나타났다. 셋째, 태양광 발전 시스템 실무의 학습요소 17개 항목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교사가 인식하는 중요도는 4.04, 자신의 능력 수준은 2.86으로 나타났다. 교육요구도의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연수를 위한 교육요구도의 우선순위 항목은 5개(K-1, K-3, M-1, M-2, M-3)이고, 차순위 항목은 4개(L-1, L-2, L-3, M-4)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