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판이론의 관점에서 본 기술과 교육의 관계-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의 이론을 중심으로 -

        홍은영 한독교육학회 2022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7 No.1

        Pedagogical discussions of technology can limit the proper understanding of technology and education by confining both only to a confrontational relationship.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techn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ritical theory of Horkheimer and Adorno; this theory reflects on the fundamental dilemma of education and bourgeois culture that divides culture into a dichotomous structure of means and ends. To this end, Chapter 2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s and ends which is presented in Horkheimer’s critique of instrumental reason, focusing on Rohbeck’s analysis of instrumental reason. Next, Chapter 3 explores Adorno’s understanding of technology that takes a position of intrinsic criticism, unlike Horkheimer’s thought that is somewhat conciliatory to totality. Notably, beyond the criticism of technology in the cultural industry, in aesthetics, technology is understood as a general concept that mediates the content and materials of artwork. This can be interpreted as an emphasis on the social properties of technology, and the intrinsic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content. Based on Adorno’s criticism on the theory of Halbbildung, the concept of education and culture does not mean anything noble that seeks elevation and harmony of human spirit; rather, it is implicated in adapting to the domination of nature in connection with reality. Further, the cultural industry has intensified the educational regression due to half-education. Now, notice here that recognizing the intertwined culture and technology requires more sensitive refle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technology as well as the internal debates about education itself. Subsequently, Chapter 4 posits that technology is not completely different from education; education is objectified within technology; technology is objectified education and the product of education. Then, technology can be understood as a social practice in that it contains an opportunity for the inevitable formation and mediation of Dasein (human existence). In this sense, education has technical properties.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 intrinsic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education for pedagogical thoughts about technology. This discussion centers on the criticism of the present; a review of technology and education concepts; technologization as conditions to criticize education; and a constant denial of humanistic education. 본 연구는 기술에 대한 교육학적 논의가 기술과 교육을 대립관계로만 환원하는 것은 기술과 교육에 대한 적절한 이해를 제약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문화를 수단과 목적의 이분법적 구도로 구분하는 부르주아적 문화와 교육의 근본적 딜레마를 성찰하는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의 비판이론의 관점에서 교육과 기술의 관계를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호르크하이머의 도구적 이성 비판에 나타난 수단과 목적의 관계를 로베크의 분석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3장에서는 총체성에 다소 유화적인 호르크하이머의 사유와 달리 내재적 비판의 입장을 취하는 아도르노의 기술 이해를 고찰한다. 이때 특별히 주목할 점은 문화산업적 기술 비판을 넘어 미학영역에서의 기술 개념은 작품의 내용과 재료를 매개하는 총괄 개념으로서 이해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기술의 사회적 속성과 기술과 내용 간의 내재적 관계를 강조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아도르노의 절반의 교육 비판을 통해 교육과 문화 개념은 인간 정신의 고양과 조화를 추구하는 어떤 고귀한 것을 뜻하지 않고, 오히려 현실과의 연관성에서 자연 지배에의 적응에 연루되고 있다. 절반의 교육으로 나타나는 교육의 퇴보는 문화산업으로 강화되고 있다. 여기서 강조될 점은 문화와 기술의 상호 얽힘에 대한 인식이 교육과 기술 관계에 대한 좀 더 예민한 성찰과 교육 관념 자체의 자기비판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4장에서는 기술은 교육과 완전히 다른 것이 아닌, 기술 안에 교육이 대상화되고, 기술은 객관화된 교육이자 교육의 결과물임을 논의한다. 기술은 인간 현존재의 불가피한 형성과 매개의 계기를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 실천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교육은 기술적 속성을 지니고 있다. 결론에서 기술과 교육의 내재적 관계가 기술에 대한 교육학적 사유에 줄 수 있는 함의를 현재에 대한 비판, 기술과 교육 개념의 재검토와 교육 비판의 조건으로서 기술화 그리고 휴머니즘적 교육의 쉼 없는 부정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기술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한국기술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

        손다미,노진아,김태훈 한국기술교육학회 201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1 No.1

        이 연구는 기술교육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기술교육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한국기술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현재까지 발간된 228편의 논문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은 첫째, 한국기술교육학회지는 매년 2회의발행을 통해 일정량의 논문을 꾸준히 게재하고 있다. 둘째, 한국기술교육학회지의 경우 기술교육 논문이 공업교육이나 기타교육 관련 논문에 비해 주를 이루고 있으며,기술교과교육학 연구는 교수‧학습방법, 교육과정, 교육공학과 같은 일부 영역에 편중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기술교과내용학 연구에서도 제조기술과 통신기술에 치우친 연구를 하고 있음을 미루어 보았을 때 한국 기술교육의 연구는 특정 영역 중심으로 수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기술교육연구에 사용된 연구 방법으로는 조사연구, 문헌고찰/내용분석, 개발연구를 선호하고 있고, 사례연구는 거의 드물었다. 넷째, 연구자는 단독에 비해 공동연구가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특히 대학교에 소속을두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228 articles which have been published from the first edition of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the central part in Korean Technology Education,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 of the Korean Journal of Korean Technology. When it comes to the result from the conclusion, firstly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has steadily published a sort of the article twice a year. Secondly, in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the articles of Technology Education are published more than the other kind of the article such as vocational industrial education and the rest of education In the research of The Pedagogy of Technology Education it reveals that most of the studies researches on Teaching-learning method, Curriculum, Educational Technology. Also in the research of The Contents of Technology Education it reveals that most of the studies researches on Manufacturing Technology,Communications Technology. As we can see through, the research of Korean Technology Education has studied around of specific area. Third, the research methods which are used for the study of Technology Education are Survey Study , Literature investigation, Contents Analysis, development research but Case Study has been used rarely. Fourth, most of the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by co-research which especially belongs to the university more than one researcher.

      • KCI등재

        테크놀로지 체육수업의 필요성에 대한 중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연구

        주형철,김상범 한국웰니스학회 2018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bout using technology at physical education class by using qualitative research. To achieve this goal, first, to investigate why the technology is necessary for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second, figure it out about teachers’ perceptions and future directions on the use of technology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at using technology can be archived positive learning effect. Specifically, first, it can improve learning interest, fun and motivation. Second, technology can allows students to learn physical education inside the classroom. Third, physical education has become much smoother. Fourth, the knowledge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can be expanded. However, in order to obtain such positive effects, the following problems must to be solved. First, The functional problems of technology interfere with physical education. Second, the low functional stability of technology, lack of educational programs, and poor quality of education contents are limit on usability. Third, there is a need to prepare for the inability to control the class by using technology. Finally,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technology physical education class is as follows. First, support system for functional problems should be provided.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chnologies associated with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ird, educational content should be developed to cultivate cooperation and cohesion through technology. Fourth, the percep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technology will have to change.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연구를 통해 테크놀로지 체육수업에 대한 중고등학교 체육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앞으로 테크놀로지 체육수업이 나가야 할 방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테크놀로지 체육수업이 도입되어야 하는 이유와 필요성을 고찰하고, 실제 교육현장에서 체육교사가 느끼고 있는 테크놀로지 활용법에 대한 인식과 향후 방향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그 결과 체육교사들은 테크놀로지를 체육수업에 활용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학습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첫째, 학습흥미, 재미, 동기 등을 제고할 수 있다, 둘째, 교실 안 체육수업이 가능해진다. 셋째, 원활한 체육수업이 가능하다. 넷째, 체육 및 스포츠 지식을 확장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안정적인 테크놀로지를 활용해야 한다. 둘째, 테크놀로지가 갖고 있는 기능적 안정성과 교육용 프로그램 부재, 질 낮은 교육 콘텐츠 등으로 인해 활용성에 제약이 따른다. 셋째, 테크놀로지를 활용함으로써 나타날 수 있는 수업통제 불가능에 대한 대비가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테크놀로지 체육수업의 발전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적인 사후 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체육교육과정과 연계된 테크놀로지의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테크놀로지를 통해 협동심과 단결심 등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 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한다. 넷째, 체육수업 그리고 테크놀로지에 대한 인식이 변화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특수교육지원센터 보조공학 실태 및 요구 탐색을 통한 관련 서비스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김영걸 ( Kim Young-gull ),우이구 ( Woo Yi-goo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3

        보조공학은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 중 기본적인 서비스로서 장애아동의 기능적인 활동 증진을 위해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그래서 보조공학 기기와 서비스 관련 제반 업무를 시도교육청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인적, 물적 지원이 지속적으로 국가차원에서 이루어 지고 있다. 하지만 특수교육현장에서는 보조공학 관련 실제 요구를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제공받는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각 시도교육청의 특수교육지원센터 중 보조공학 관련 업무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17개 특수교육지원센터를 목적 표집하여 보조공학 실태를 조사하였고 보조공학 관련 서비스를 질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현실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보조공학 실태를 조사한 결과 보조공학 업무 공간, 보조공학 관련 서류는 대부분 갖추고 있었으나 보조공학 전문가와 관련 정보제공 정책을 몇몇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는 가지지 못하고 있었다. 각 특수교육지원센터마다 보조공학 관련 예산, 보유기기 유형과 수는 각기 다른 양상을 나타냈었다. 둘째, 효과적인 교육지원을 위해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의 보조공학 관련 업무를 담당해야 할 하는 당위성은 아주 높았으며, 보조공학을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적절하게 관련 업무를 진행하기 위하여 보조공학 전문가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보조공학 관련 예상의 편성 및 집행 필요성도 높게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특수교육대상자들에게 효과적으로 보조공학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실제적인 방안을 다양한 보조공학기기를 지원 환경 조성 측면, 전문성이 확보된 보조공학서비스 제공 체제 측면, 실제적인 보조공학 교육 및 프로그램 운영 측면, 국가수준의 보조공학 관리 체계 측면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Assistive technology is the basic services among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and must be considered for promoting functional activities of student with disabilities. Therefor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is in charge of all tasks related to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services, and human and material support for this is continuously being carried out at the national level. However,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t is difficult to receive the actual needs related to assistive technology at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In this study surveyed the 17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hat are continuously performing the assistive technology related tasks among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of each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 of assistive technolog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assistive technology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most of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assistive technology work space and the assistive technology were provided, but the assistive technology specialist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policy were not provided. For each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the AT budget, the type of equipment and number of devices were different. Second, there was a high degree of need for assistive technology related work at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effective educational support. It was recognized that an AT specialist was needed to systematically operate assistive technology and to carry out related tasks appropriately. Also, the need for budgeting and execution of AT budget was high. Third, in order to appropriately provide assistive technology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support a variety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to provide professionalize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and to provide actual assistive technology education and programs.

      • KCI등재후보

        ‘정보 통신 기술과 생활’ 단원에서 진로교육 수업자료 개발

        최지나,이용진 대한공업교육학회 2012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the teaching materials of career education for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Our Life' unit in the technology education. As preparation phase, in order to choose the suitable contents for career education, we analyzed the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our Life' unit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nd then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existing related researches. After content analysis of the teaching materials for career education, we mapped the contents into career education area. In the 'Design' step of teaching, we extracted the unit design components after analyzing 'Development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unit of eleven text books used in 2007 revised curriculum. In the 'Introduction', 'Activity', 'Arrangement' steps of teaching, by applying the SHIP model, one of career education program model, we develop the teaching materials. Then, we get expert evaluation using questionnaire and improve the suitability of the teaching material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First, our teaching materials reflect the development histo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ell, show the features of career education, and are suitable to middle school students as the teaching materials. Second, our teaching materials can help students to face various jobs related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o have more interests and exploring opportunities abou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ubject. Third, our teaching materials can help teachers to use it for the career educ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our Life' unit of 2007 revised curriculum in the class time. Our teaching materials can also be used in the extra activity related to career education and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Furthermore, since 2009 revised curriculum includes the career education unit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ubject, our teaching materials can be used partially as the teaching materials in the future.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교과의 ‘정보 통신 기술과 생활’ 단원의 진로교육 영역의 향상을 위한 수업자료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크게 준비, 설계, 개선의 3가지 단계로 진행하였다. 준비단계로서 단원을 선정하기 위해 기술교과 정보통신기술단원에서 단원분석과 교육과정 분석을 하였고, 진로교육 영역을 선정하기 위해 중학교 진로교육 영역을 기존의 연구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진로교육을 위한 수업자료의 소단원의 내용분석 후 진로교육 영역을 맵핑하였다. 다음은 수업의 설계 단계로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정’에서 2007개정 교육과정에 사용되고 있는 11종 교과서를 분석하여 단원 설계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진로교육 프로그램 모형 중 하나인 SHIP모형을 적용하여 ‘도입’, ‘활동’, ‘정리’의 단계로 수업자료를 개발한 후 설문지를 이용하여 전문가 평가를 받아 수업자료의 타당성을 높였다. 마지막으로 수업의 실행단계로서 충청북도 청주시 중학교 2학년 학생 3명을 대상으로 파일럿 테스트를 ‘도입’, ‘활동’, ‘정리’의 단계로 진행하고, 학생에 의한 평가 후 수정·보완 하여 최종 자료 개발을 완료하였다. 그 개발된 자료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된 수업자료는 기술·가정과 ’정보통신기술과 생활‘ 단원의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정 내용을 잘 반영하고 있고 중학교 진로교육 영역을 추출하여 개발하였기 때문에 중학생을 위한 수업자료로 적절하며, 중학교 진로교육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둘째.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정에 관련된 다양한 직업을 접하고 정보통신기술 단원에 더욱 더 관심이 생기고 진로 탐색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을 것이다. 셋째. 2007개정 교육과정의 ‘정보통신기술과 생활‘ 단원의 진로교육을 위한 수업자료로서 교사들이 교과시간에 수업자료로 부분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진로교육과 관련된 재량활동, 창의적체험활동에 학년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다. 2009개정 교육과정의 ‘정보통신기술’ 중단원에서는 정보통신기술의 진로교육에 대한 소단원이 배정되어 있으므로 소단원의 교과시간에 수업자료로 부분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 KCI등재

        인공지능 통번역프로그램을 활용한 판매중국어 교육방안 탐색

        한희정,정유선 중국어문논역학회 2019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44

        Due to the interest in and necessity of Chinese education, the demand for Chinese learners is increasing day by day. The first Chinese immersion school where two languages in English and Chinese are used will be established this year. This shows that the world is aware of the need for learning Chinese. In the near future, it is expected that Chinese will be adopted as a global business language. As for existing Chinese learning, school-record-centered evaluation for college admission education has been progressed as grade-centered learning. As a result, there has always been a lot of controversy due to educational problems because it takes result-based evaluation method. In the future, future education at the school site should be focused on process-oriented learning of learners rather than result- based learning, and education reflecting the collaborative network should be provided. This educational foundation is expected to be the foundation of education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ugmented reali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mo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will make our life convenient and enriched as the core technology of the future society, and the education field is changing rapidly. As various media using mobil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of ubiquitous-based environment have been recently developed,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s in particular provide information of the real world through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s supporting multi-sensory elements along with virtual reality. The smartphones the learners can directly manipulate are being used as a new educational medium for them to experience directly. As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s extended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ranslation programs mount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re emerging. While text-based translation technology was possible to support in the past, more convenient and faster translation combined with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voice support, artificial neural network translation, and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technology is now possible due to the development of translation technology. It was announced that ‘GenieTalk,’ a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ranslation program, will be presented at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next year. The translation service for language communication between domestic people and foreigners has the potential to change the flow of language education in the future. As for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translation programs, there are Google’s ‘Word Lens’, Naver’s ‘Papago’, Systran, Flitto, and ‘Hancom Malang GenieTalk’ co-developed by Hangul and Computers and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ETRI). As for the case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applying th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English and Chinese bilingual learning program based on augmented reality currently has been developed in Hong Kong. In domestic research, there is a case study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of Chinese education, targeting bilingual users of Chines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is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by orienting a new direction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is new paradigm shift of educational paradigm, this study aims to examine teaching-learning plans for Chinese educational field of high schools by apply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dvanced in th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to Chinese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현재 판매업계 분야 현장인 백화점과 면세점에서도 외국인 고객의 편안한 쇼핑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돕기 위해 인공지능 통번역 기술을 활용하기 시작했다. 우선 인공지능 통역 기술은 쇼핑 로봇을 사용하여 사용자 고객의 음성을 통해 정보를 얻고, 기본적인 대화를 나누고, 쇼핑 서비스를 제공해 주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 번역 기술은 스마트폰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쇼핑하는 외국인과 대화를 하고 쇼핑 관련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는 현장에서 외국인과의 대화에 필요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번역된 번역텍스트의 결과물을 보여 주고 받으면서 의사소통을 한다는 편의성을 가지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 통번역프로그램은 이와 같이 향후 중국어 교육의 흐름을 바꿀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 현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교육의 패러다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여러 분야에서 4차 산업혁명에 관한 연구가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중국어 교육에서 이를 활용한 연구 사례가 많지 않아 중국어 교육 관련한 새로운 교수법과 강사 양성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장성이 가장 두드러지는 판매중국어를 중심으로 인공지능 통번역 기술을 활용한 중국어 교육방법을 탐색해 보았다.

      • KCI등재

        중ㆍ고등학교 기술교과 교육과정에서 시기별 통신기술의 교육목표와 내용의 분석

        이상봉(Sangbong Yi),임휘(Huiy Lim) 한국기술교육학회 2022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2 No.1

        제 4차 산업혁명에서 정보통신기술은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주어진 정보를 가공하여 처리하고 활용하는 능력은 현대 사회에서 갖춰야 할 기본적 소양이다. 이를 위한 교육이 중학교, 고등학교 기술교과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고 있는지 기술교육 시기별로 통신기술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의 변천을 분석하여 상호 관련성을 알아봄으로써 통신기술 관련 기술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기술교육 시기별 중학교,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문헌 연구를 통해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의 관련성을 밝힘으로써 통신기술 교육의 방향과 지향점을 제안하였다. 중학교 기술교육 제1기에서 제3기까지는 제도, 전기 및 전자 관련 교육이 주를 이루며 공업 교육적 성격이 강하다. 반면, 제4기부터는 본격적으로 통신기술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을 강조하기 시작하였으며, 제8기부터는 정보통신에 초점을 맞추어 정보 처리 능력, 정보통신 관련 기술적 문제해결 능력 등을 강조하였다. 고등학교 기술교육 또한 제1기부터 제3기까지는 전기 및 전자 관련 교육이 주를 이루며 공업 교육적 성격이 강하다. 반면, 제4기부터는 본격적으로 컴퓨터와 정보통신 관련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을 제시하고 제6기와 제7기에는 ‘정보’ 관련 과목이 독립 과목으로 신설되어 ‘기술’ 교과에서 통신기술을 다루지 않았다. 제8기에는 정보통신기술 관련 문제해결 체험활동, 제9기에는 정보통신기술 시스템을 통해 기술교육의 특성에 맞는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을 제시하였으나 그 비중은 굉장히 적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중학교, 고등학교 기술교과에서 통신기술의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이 기술학에 터한 체제적 접근으로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의 선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일반교육으로써의 통신기술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의 방향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directions for communication technology-related technology education by analyzing transition in communication technology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contents. From the first to third technology education in middle school, electrical and electronic-related education is the main focus, and industrial education is strong. On the other hand, from the 4th period,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instructional contents of communication technology began to be emphasized, and from the 8th period, the ability to process information and solve technological problems related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was emphasized. High school technology education is also dominated by electricity and electronics-related education from the 1st to the 3rd, and has a strong industrial education character. On the other hand, from the 4th period,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instructional contents related to computers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were presented in earnest, and in the 6th and 7th periods, information related subjects were newly established as independent subjects, so communication technology was not dealt with. In the 8th period, problem-solving experience activities related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ere presented, and in the 9th period,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instructional content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 education were presented, but the proportion was very small. Based on this study,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selected based on a systematic approach to technology in middle and high school technology subjects, and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instructional contents as general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 KCI등재

        기술교육과 신입생들의 입학 동기 및 중‧고등학교 기술수업에 대한 인식

        김성일,김기선 한국기술교육학회 2015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s about recognition of secondary schools' technology lesson and admission motives of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The 30 questionnaires of 6 parts (admission motive, recognition about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before admission, recognition of technology teachers, technology laboratory environment, technology classes, and satisfaction in secondary school days) were collected by 72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freshmen of 3 universities and analyzed by using SPSS(Ver. 2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45.8% of students heard about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by relatives and 48.6% heard from secondary school teachers, school senior's, and friends. They could choose their majors from senior of high schol to the period of early action. It is shown that about 60% of students had teacher in their family and their parents preferred students to become a teacher. The graduate students from natural sciences were 72%, liberal arts graduate students were 21%, and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 students were 7%. Second, the highest motive they chose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is possibility(M=4,22) of becoming a teacher. On the other hand, freshman showed that students do not have enough information before entering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M=2.40), thus more information about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are requested. Third, students have higher preference level(M=3.58) than normal about technology teachers. The recognition of laboratory environment is almost normal (M=3.11). Even though they have high level of interests and concerns(M=3.33), the other students who do not choose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evaluated low(M=2.81). Students with high satisfaction level had lots of practical lessons at laboratory than theoretical lesson when they were in middle school. As a result, It is shown that in order to increase interest and attention in technology clas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laboratory environment's importance are needed. In conclusion, students did not know about technology education before entering and were likely to know about this major mainly through teachers and relatives. Many students has relatives who are teachers. The admission motive of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was high possibility of becoming teachers even the education curriculum is difficult than other departments.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technology lesson, technology classes should include a lot of practice lessons than theoretical lessons. Technology teachers should select an appropriate theme in each practice lessons at technology laboratory.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교육과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기술교육과 입학 동기와 중‧고등학교 시절의 기술수업에 대한 인식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3개 대학교 기술교육과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6개 영역(대학 입학 동기, 입학전 기술교육과에 대한 인식, 중등학교 시절의 기술교사와 기술수업환경, 기술수업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30개 문항으로 작성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얻어진 72명의 데이터를 SPSS(Ver. 20)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교육과를 알게 된 경로는 친척이 45.8%, 학교 교사와 선배, 친구가 48.6%였고, 대학 학과 선택시기는 주로 고 3 ~ 수시원서 접수 전이었다. 친척 중에 교사가 있는 학생은 60% 정도이며, 교사 집안에서 교사를 선호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고등학교별 출신은 일반계 고등학교 이과 72%, 일반계 고등학교 문과 21%. 전문계(특성화)고등학교 7%이다둘째, 기술교육과를 선택한 동기로는 교사가능성이 가장 높기(M=4,22) 때문이다. 기술교육과가 주위에 잘 알려져 있다는 응답은 보통 이하의 수준(M=2.40)이다. 따라서 주위에 기술교육과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대책이 요청된다. 셋째, 기술교사에 대한 호감도 인식은 평균(M)이 3.50 정도로 보통 보다 높은 편이며, 수업환경 평균(M)은 3.11로 보통 수준, 기술수업에 대한 흥미와 관심에 본인은 보통 이상(M=3.33)이지만, 주위 학생들은 보통 이하(M=2.81)이라고 하였다. 기술교육과를 입학한 학생들 중 수업에 만족도가 높은 학생은 중학교 때 기술교사가 수업을 담당하고, 기술실에서 준비된 실습재료로 이론보다는 실습시간이 많았던 학생들이었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은 대학 입학 전에는 기술교육과에 대해 거의 모르는 편이었고, 기술교육과를 알게 된 동기는 주로 교사와 친척이다. 많은 학생들은 친척 중 교사가 많은 편이며, 입학 동기는 공부는 조금 어렵더라도 타 학과보다 교사 가능성이 많아서였다. 기술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려면 기술교사들은 기술실을 활용하여 적절한 시간에 맞는 주제를 선정하고 이론 보다는 실습수업을 더 많이 하여 기술 수업을 책임질 수 있는 역량을 높여야 한다.

      • KCI등재

        신라시대 과학 기술교육의 세 가지 통로

        안경식 ( An Gyeong-sik ) 한국교육사학회 2021 한국교육사학 Vol.43 No.1

        이 논문은 신라시대의 과학 기술교육의 통로로서 교육 시스템에 대한 글이다. 신라시대의 과학 기술의 종류는 매우 다양했으며, 관련 교육 시스템 역시 다양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가운데 현재 학계에 알려져 있고, 논의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교육 시스템은 국학이라는 학교와 조정의 해당 관서 등 두 가지다. 이 논문의 본론에서는 불교 사원의 불사 관련 부서를 또 하나의 통로로 보고 모두 세 가지 교육 시스템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제Ⅱ장의 1절과 2절에서는 기존 두 통로에 대해 재검토하였다. 특히 신라의 과학 기술교육을 중국과 일본의 사례와 함께 검토하여 동아시아 3국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제Ⅱ장의 3절에서 또 하나의 통로로 사원에 주목하였는데, 이는 당시의 사원 불사에 첨단 과학기술이 집약되었기 때문이다. 당시의 큰 사원의 불사에는 성전, 도감전, 속감전 등의 관련 부서를 설치하였으며 주종(鑄鐘)이나 조탑(造塔) 등에서 기술직 박사의 호칭이 사용되었음을 주목하였다. 이는 여기서 관련 교육이 이루어졌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 검토한 신라의 과학 기술교육의 세 가지 시스템은 모두 국가가 간여하는 인재 양성제도다. 이들은 모두 통일기인 7세기 이후에 성립한 제도이며, 특히 통일 후인 성덕왕, 경덕왕대에는 당(唐)과의 활발한 교류 속에서 과학 기술교육의 전성기를 맞았다. 의학, 산학, 천문학 등 각 방면에서 중국의 교육체제와 텍스트를 도입하여 동아시아 보편적 과학 기술교육체제에 동참하게 되었다. 신라를 비롯한 동아시아의 과학 기술교육에는 유학교육에 비해 차별적 시선이 있었다. 이는 유학이 통치의 술(術)로 인정받은 데 비해 과학 기술은 말예(末藝)로 취급받았기 때문이다. his paper is an article on the educational system as a pathway for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in the Silla era. It is estimated that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Silla era was very diverse, and related educational systems were also diverse. Currently, there are two educational systems that scholars are debating: the school called Gukhak(國學) and the related government offices.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add the architectural department of a Buddhist temple as another educational system. The reason why I paid attention to the temple as another educational system is that the high-tech science and technology of that time were concentrated in the temple's architecture. At that time, when a large temple was built, a supervisory office such as Seongjeon(成典), Dogamjeon(都監典), and Sokgamjeon(續監典) was established, and there were several professional doctors in this office. This suggests that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took place around this government office.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system in Silla era was established after the 7th century. In particular, the times of King Seongdeok and King Gyeongdeok were the heyday of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in the Silla era. During this period, Chinese education systems and texts were introduced in various fields such as medicine, mathematics, and astronomy, and based on this, they joined the universal trend of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in East Asia. However, generally speaking,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was treated differently than Confucian education. This is because while Confucian education was recognized as a discipline of king,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was treated as insignificant.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system in the Silla era, established after the 7th century, lasted for more than 10 centuries until the late Joseon era, when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was introduced.

      • KCI등재후보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기술교사의 인식과 교육요구도 분석

        김영민,김현정,이창훈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2 實科敎育硏究 Vol.18 No.4

        이 연구는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기술교사들의 인식과 교육요구도를 분 석하여 형식 기술교육과 비형식 기술교육의 체계적인 연계방향과 비형식 기술교육 프 로그램의 효과적인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개발된 설문지는 권역별 기술교사들(28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회수된 189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대부분의 기술교사들은 현재의 기술교육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었다. 하지만 기 술교육이 공학과 기술에 대한 흥미를 부여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기술교사들은 현재의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낮은 만족도를 갖고 있었다. 타 교과에 비해 비형식 교육 프로그램이 적고,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이 필 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 기술교육의 제한점을 해결할 수 있고,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과 기술교사 연수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 다. 비형식 기술교육 기관의 기술교사 연수 주제로는 ‘생활 속의 기술’과 ‘최신 공학 기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기술교사들은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 운영 시 교사, 산업체 기술자, 연구원, 교수들의 인사들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8~16시간의 체험이나 캠 프 유형의 프로그램과 ‘생활 속 기술’, ‘최신 공학 기술’ 관련 주제의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 램은 학생들에게 기술교과나 이공계 진로에 대해 흥미를 줄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oundational information about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by analyzing perceptions and educational needs of technology teachers.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survey. 280 sheets were sent to technology teachers and 189 of them were col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technology teachers were not satisfied with present technology education. But, they perceived that technology education motivates students to be interested in engineering and technology. Second, survey results showed that technology teachers had a low level of satisfaction about present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And they perceived that technology subject have less informal education program than other subjects do. Thus, they answered that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in technology subject is very necessary. Third, technology teachers have a perception that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s can solve some restrictions of current technology educations and various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lso, they perceived the high levels of needs for various teacher-training-programs related to 'technology in living' and 'advanced engineering technologies'. Fourth, technology teachers perceived that teacher, engineer, researcher and professor should be utilized for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s. Also, when conducting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s,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institutes should develop and operate some kind of informal programs including camps and subjects related to 'technology in living' and 'advanced engineering technologies'. At the end, they perceived that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will motivate students to be interested in the technology subject and science and engineering care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