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의 교원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지각, 대인신뢰,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 간의 구조 관계

        이재운 ( Lee Jae-woon ),강경석 ( Kang Kyung-seo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교원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지각, 대인신뢰,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 간의 구조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인천·경기 지역에 근무하는 초·중등교사 950명을 대상으로 상관관계 및 구조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지각은 대인신뢰와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원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지각은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고, 대인신뢰와 조직몰입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만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원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대인신뢰와 조직몰입은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완전매개의 효과가 있었다. 또한, 교원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간접 효과에서 대인신뢰보다 조직몰입을 매개로 했을 때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er`s perception of the justice of teacher`s merit-pay, interpersonal trus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study verified the hypothetical path model, and analyze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eacher`s perception of the justice of teacher`s merit-pay, interpersonal trus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950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order to verify hypothesized model fit and the effects of the variables of the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pplied using maximum likelihood method.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 that teacher`s perception of the justice of teacher`s merit-pay doesn`t affect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directly. But teacher`s perception of the justice of teacher`s merit-pay affect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y interpers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also shows that to achiev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not only teacher`s perception of the justice of teacher`s merit-pay but also making positive climate interpers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school is important.

      • KCI등재

        장애통합어린이집 원장 서번트 리더십이 통합교사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동료교사와 협력의 매개효과

        손채형 ( Son Chaehyeong ),신혜원 ( Shin Hyewo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3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장애통합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통합교사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과 동료교사와 협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국공립장애통합어린이집에 근무하는 통합교사 19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Process Macro 4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본 연구 대상 통합교사의 일반적 배경 요인 중 연령과 총 교사 경력에 따라 전문성 인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원장 서번트 리더십은 동료교사와 협력과 통합교사 전문성 인식과 정적 상관이 있었고, 동료교사와 협력과 통합교사 전문성 인식은 정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원장 서번트 리더십이 통합교사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동료교사와 협력은 완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은 동료교사와 협력의 매개역할을 통해 통합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통합교사의 전문성 증진을 위해서는 원장이 서번트 리더십을 발휘하여 동료교사와 활발하게 협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통합교사의 전문성 인식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on the mainstream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 collaboration in the inclusive daycare center. The participants of study were 197 mainstream teachers working at inclusive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This study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and verified the mediation effects by using SPSS Process Macro Model 4.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was higher than median value, teacher collaboration and mainstream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much higher than median value. Second, the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was correlated with the teacher collaboration and mainstream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teacher collaboration and mainstream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were correlated. Thir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 collaboration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and mainstream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 that to improve the mainstream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the director should demonstrate servant leadership to support teacher collaboration.

      • KCI등재

        사회적 성공에 대한 교사의 인식

        신종호(Jong Ho Shin),조은별(Eun Byul Cho),이유경(You Kyung Lee),이혜원(Hae Won Lee),주은선(Eun Sun Joo) 한국교육심리학회 2012 敎育心理硏究 Vol.26 No.3

        성취결과에 대한 개인적 가치 인식인 ``성공관``은 사회문화적 영향 속에서 형성되며, 개인의 미래 행동은 물론 타인에게도 영향을 미치는 신념의 한 부분이다. 학생에게 의미 있는 타인으로서 교사가 갖는 성공관은 미래인재의 성공관 형성과 이에 따른 행동적, 심리적 변화에 영향을 주게 된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학생 개인의 심리요인에 집중하거나, 특정 사회가 공유하는 성공관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머물렀다. 이에 본 연구는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성공관의 특성을 밝히고, 교사의 성공관과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수도권의 초, 중등학교 교사 91명을 대상으로 성공관과 관련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성공관은 대체로 긍정적인 ``삶지향 성공관``을 추구하는 가운데, ``삶지향-성취지향`` 성공관을 균형적으로 추구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교사의 성공관에 대한 군집분석 결과,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성공관은 ``삶-성취 균형형``, ``삶 우선 지향형``, ``삶-성취 저수준형``의 3개 군집으로 유형화되었다. 또한 교사는 사회적 성공과 학업적 성공을 서로 다른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성공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갖고 ``삶지향 성공관``과 ``성취지향 성공관``을 균형적으로 높게 추구할수록 성공관과 관련된 교사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긍정적이고 균형적인 교사의 성공관은 삶의 질적 성장을 지향하는 가치관 형성의 중요한 요인으로서 ``삶-성취 성공관``을 조화롭게 지향하는 미래인재를 양성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Perception of success, which is the personal value of achievement, is formed in social-cultural context and affects other people`s as well as one`s own future behavior. Even though teacher`s perception of success influences student`s future goal or identity formation, th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ly on the students-related variables or characteristics of perception of success defined by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eacher`s perception of success and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rception on success and teacher efficacy. A questionnaire on the perception of success was completed by a total of 91 teachers from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mostly pursue "life-oriented" perception of success but also want to maintain a balance between "life-achievement oriented" perception of success. Cluster analysis of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perception of success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1) balanced group (high perception of success) 2) life-oriented group 3) balanced group (low perception on success). In addition, teachers believe that social success is different from academic success and teachers who pursue balance between life-oriented and achievement-oriented success have higher teacher efficacy related to perception of succes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eacher`s positive and balanced perception of success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stering students who value balance of life and achievement.

      • KCI등재후보

        역사교사의 갑신정변 인식과 역사수업

        권정애 한국역사교육학회 2008 역사교육연구 Vol.- No.7

        Teacher is the main for the overall determination and the leading in the history teaching. The contents, materials and methods of teaching depend on how teachers understand the history, therefore historical perception of the teachers have an direct influence on the teaching conten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perception of teacher how to have an effect on the teaching by analys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ing content and appraisal on the same historical matters The reformist revolution in 1884 was selected as a model, and by the qualitative study method, the teaching contents were examined and analysed how to teach for the three different teachers who have dissimilar perceptions This study showed that previous knowledge on the reformist revolution in 1884, one's view of text, degree of load on the examination for admission and mode of understanding on the students have an influence on teaching content, teaching material and special emphasis. However, some other explanation that of own perception was observed by the load on the examination for admission. The examination for admission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teaching of teachers in academic high school. The teacher's perception on the specific matter was incorporated by the teacher's value on the text and the degree of load on the examination for admission rather than exactly what they thought in the view of text description rather than own perception, otherwise the teachings of "Kwon" and "Kim" were proceeded by the each own perception. And own views of teachers were carefully expressed in teaching about controversy parts in academic world. Such a case was revealed in teacher Kim's classroom. This fact show that teachers still have heavy load on new development for historical knowledge and they places main reliance on the studies of historian. Although shackles of the examination for admission, teacher's thoughts on academic studies and subject what is called history were well brought out in this study. I could be convinced that through me intention of "Kwon" is teacher's historical view should be actively expressed on students, and that of "Kim" is the purpose of historical teaching is the supports of democratic development of society by having more desirable perception about realistic problem. 역사 수업의 전반적인 모습을 결정하고 이끌어나가는 주체는 교사이다. 교사가 어떤 식으로 역사를 이해하고 있느냐에 따라 수업의 내용, 자료 방법은 차이가 나며, 교사의 역사인식은 수업내용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역사적 사실을 다루는 수업의 내용이나 수업에서 다루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평가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교사가 가지고 있는 역사인식이 수업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체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갑신정변’을 사례로 선택하고, 서로 다른 인식을 가진 3명의 교사를 선정하여 학생들에게 어떻게 가르치는지 질적인 연구 방법을 통해 수업 내용을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같은 주제를 가지고 수업을 진행한 세 교사의 수업 내용은 모두 같거나 비슷하지 않았다. 교사마다 자신이 갖고 있던 갑신정변에 대한 선행지식, 교과서에 대한 관점, 입시에 대한 부담정도, 학생에 대한 이해 방식 등에 수업내용, 자료, 강조점은 서로 달랐다. 그러나 입시 부담 등으로 자신의 인식과는 다른 설명을 하는 경우도 눈에 띄었다. 인문계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수업은 입시에 커다란 영향을 받는다. 특정 사건에 대한 교사의 역사인식은 수업에 그대로 반영되기보다는 교사의 교과서관과 입시에 대해 느끼는 부담 정도에 따라 다르다. ‘이’ 교사는 자신의 인식보다는 교과서의 서술 시각에 따라 수업을 진행하고, ‘권’ 교사와 ‘김’ 교사는 대체로 자신의 인식에 따라 수업을 진행하는 것에서 이를 알 수 있다. 그리고 교사가 학계에서 논란이 되는 부분을 수업할 때, 자신의 견해를 매우 조심스럽게 표현하고 있었다. ‘김’ 교사의 수업에서 이런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이것은 교사가 여전히 새로운 역사지식 창출에 큰 부담을 갖고 있으며 주로 역사학자들의 연구 결과에 의존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역사라는 학문과 교과에 대해 갖고 있는 교사의 생각은 입시라는 굴레 속에서도 분명히 나타나고 있었다. 교사의 역사관을 학생들에게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권’ 교사와 역사교육의 목적이 현실 문제에 대해 좀 더 바람직한 인식을 가짐으로써 사회의 민주적 발전을 돕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김’ 교사의 예를 통해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교사의 조직공정성 인식과 조직시민행동이 교사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경석(Kang Kyung-seok),홍철희(Hong Cheol-hee) 한국교육행정학회 2008 敎育行政學硏究 Vol.26 No.2

        본 연구는 교사의 조직공정성 인식과 조직시민행동이 교사의 혁신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봄으로써 학교조직의 주요 구성원인 교사가 학교혁신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결과 조직공정성과 혁신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대체로 남교사, 교직 경력이 높은 교사, 중ㆍ소도시의 교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교직 경력별로는 21년 이상의 경력 교사에서 인식 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특히, 경력이 짧은 교사집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교사의 조직공정성 인식과 교사의 혁신행동, 교사의 조직시민행동과 교사의 혁신행동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교사의 조직공정성 인식 중 절차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이 교사의 혁신행동 하위변인인 혁신성, 혁신태도에 모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고 있으며, 교사의 조직시민행동의 하위변인인 정당한 행동, 참여적 행동은 교사의 혁신행동 및 그 하위변인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정당한 행동, 참여적 행동을 제고함으로써 교사의 혁신행동을 더욱 높게 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줄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organizational justic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innovation behavior.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study explored the differences of teacher's perception level on teacher's organizational justic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innovation behavior. The study also analysed the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organizational justice and innovation behavior,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innovation behavior. Finally,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eacher's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n innov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eacher's perception level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innovation behavior is higher than an average, also more positive recognition is shown in male, high career teacher, and teacher in medium-small sized city. Teacher's organizational justice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eacher's innovation behavior. Teach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lso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eacher's innovation behavior. In addition, teacher's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ffect teacher's innovation behavior respectively.

      • KCI등재

        초등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소진의 관계에 대한 학생문제행동 지각의 매개효과

        박희철,김민정 교육종합연구원 2018 교육종합연구 Vol.16 No.2

        Teachers’ burn-out has been an issue in society and teacher’s stress coping style is suggested as a factor to influence on burn-out.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teacher’s perception of student’s problematic behavior ma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tress coping style and burnout in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To investigate the hypotheses, questionnaires of stress coping style, perception of student’s problematic behavior, and burnout were completed by 304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analysed using SPSS Macro program and AMOS program. The result showed that problem-focused coping reduced burn-out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perception of student’s problematic behavior. Social support seeking and emotional relief coping directly increased burn-out and had no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f student’s problematic behavior. Wishful thinking coping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both the perception of student’s problematic behavior and burn-out. The result implies high problem-focused coping and low social support seeking and emotion relief cop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fluence on low burn-out. Plus, this study implies high problem-focused coping influences on low perception of student’s problematic behavior, and thus reduces burn-out.

      • KCI등재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교권인식이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

        박효경,김상림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9 No.5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young children’s right and teachers’ right on their implementation of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55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4.0. As a result, the higher the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young children’s right and teachers’ right, the higher the level of their implementation of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 In additio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young children’s right and teachers’ right were found to be predictable variables on their implementation of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a need to enhan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not only on young children’s right but also on teachers’ right to enhance their implementation of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

      • KCI등재후보

        예비 유아교사의 교권 및 교권침해에 대한 인식

        안지은,김소향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3 초등교육연구 Vol.3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related to teacher’s right and author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y examin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right and authority for teacher and infringement of right and authority for teache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perception of teacher’s right and authority, 77.6% knew about teacher’s right and authority. As for the right to teacher’s right and authority, the right to education was the highest. 44.4% knew only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 regarding the law related to teacher’s right and authority. Teachers had the highest share of curriculum decisions at 55.8%. Teaching method decisions were similar at 33.6% for children, 33.2% for teachers, and 33.2% for administrators. Teachers were the highest at 77.8% in early childhood guidance evaluation decisions. Teachers were the highest with 55.8% of early childhood guidance discipline determination. As for the right to status, 44.4% were aware of the non-arrest privilege. As for the request to guarantee the right to status, the right to hold status was the highest at 44.6%. Recognition of guaranteeing the right to property was the highest at 55.6% for welfare benefits. As for the request for guaranteeing the right to property, the claim for remuneration was the highest at 44.4%. The need for the role of teachers' organizations was 89%. As for the role of teachers' organizations, efforts to improve treatment and welfare were the highest at 55.6%. Second, looking at the perception of infringement of teacher right and authority, the highest understanding of infringement of teacher right and authority was violation of personality, privacy, and physical freedom due to status reasons at 77.8%. Parents were the biggest subject of infringement of teacher right and authority, with 66.8%. 100% of the opinions were that they were being infringed upon. As for the type of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 and authority, transfer of full responsibility and excessive demand for compensation due to safety accidents were the highest at 33.4%. As the main cause of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 and authority, the social atmosphere of neglecting teacher’s right and authority was the highest at 66.6%. Regarding the form of parental infringement, parental interference related to the original operation was the highest at 44.4%. In the form of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 and authority, 33.4% of class interruption and 33.2% of assault were found. Regarding the type of infringement on teacher’s right and authority, the authoritative teaching culture was the highest at 44.2%. In case of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 and authority, following the instructions after reporting to the right holder was the highest at 55.6%. The difficulty in dealing with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 and authority was the highest in passive response due to insecurity of status. In the case of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 and authority, efforts to protect teacher’s right and authority were always the highest, and professionalism was always the highest. Support from the Office of Education was the highest in response to requests for follow-up measures against infringement of teacher right. As for what should be preceded for the prevention and protection of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 and authority, the social atmosphere that respects teachers was the highest. As for the request for the prevention of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 and authority and the protection of teacher’s right and authority, the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and prote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ight and authority was the most highly recognized. Accordingly, the necessity of teacher educ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ight and authority and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 and authority was discussed. 본 연구 목적은 예비 유아교사의 교권 및 교권침해에 대한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예비 유아교사의 교권 관련 교사교육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울산과 부산, 김해 양산지역의 예비 유아교사 500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을 통한 설문 조사를 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권은 보통 정도의 인식수준이었고, 교권에 대한 권리는 교육의 권리가 가장 높았다. 교권 관련법은 유아교육법을 알고 있었고, 교육과정 결정은 교사가 가장 높았고, 교수법 결정은 유아, 교사, 관리자 순이었다. 유아지도 평가 결정과 유아생활지도 훈육 결정은 교사가 가장 높았다. 신분에 대한 권리는 불체포 특권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었고, 신분에 대한 권리 보장 요구는 신분 보유권이 가장 높았다. 재산에 대한 권리 보장 인식은 복지 후생 요구가 가장 높았고, 재산에 대한 권리 보장 요구는 보수 청구권이 가장 높았다. 교원단체 역할의 필요성 인식은 높았고, 교원단체 역할은 처우 개선과 복지 증진을 위한 노력이 가장 높았다. 둘째, 교권침해에 대한 이해는 인격, 사생활, 신체의 자유 침해가 가장 높았고, 교권침해의 가장 큰 주체는 학부모였다. 교권침해는 모두가 받고 있다고 인식하였고, 교권침해 유형은 사고발생으로 인한 책임 전가와 배상요구가 가장 높았다. 교권침해가 발생하는 주된 원인은 교권을 경시하는 사회적 분위기였고, 학부모의 교권침해 형태는 원 운영과 관련된 간섭이 가장 높았다. 유아의 교권침해 형태는 수업방해와 폭행이었고, 관리자의 교권침해 형태는 권위적인 교직문화 강요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권침해 발생 시 교권보호를 위해 노력해야 하는 사항은 전문성 향상 노력이 가장 높았고, 교권침해 예방 및 보호를 위해 선행되어야 할 사항은 교사를 존중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교권침해 예방 및 교권보호 요구는 유아교사의 교권에 대한 제도적 보완과 보호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예비 유아교사의 교권 및 교권침해에 대한 교사교육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고등학교 장애이해교육 내용구성에 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탐색

        장혜명,김동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0 지적장애연구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general and special teacher’s perceptions of the contents of high school disability awareness. The concept mapping was used to identify teacher’s level of perception and cluster of disability awareness contents, not methods or forms. Seven general and eight special teachers were interviewed, and their ideas statement extracted. Ten general and ten special teachers have classified the similarities in the statement. As a result of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of similarity classification, the general teacher was named ‘education focus’ axis and ‘education domain’ axis in two dimensions. The first dimension was composed of ‘Macro-Micro content’ and the second dimension was composed of ‘Cognitive-Affective domain’. Special teachers were also named same as general teacher’s axis, and the first dimension was ‘Micro-Macro content’ and the second dimension was ‘Affective-Cognitive domain’.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using coordinate values calculated through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the general teacher’s perception was named six clusters and special teacher’s was four. The most important statement from a general teacher was ‘I know myself and anyone around me can be disabled.’, and special teacher’s was on social discrimination and equality relate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xamining teacher’s perception of the content composition of high school disability education and verifying the actual content composition through statements. Also, by comparing the perception of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teachers,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e composition of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that reflects not only the special teachers but also the general teacher’s view in the integrated education environment. 본 연구는 고등학교 장애이해교육 내용구성에 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을 탐색하기 위하여 개념도 방법을 통해 인식의 차원 및 군집을 확인하였다. 일반교사 7명과 특수교사 8명이 아이디어 진술문 생성에 참여하였으며, 아이디어 진술문을 일반교사 10명과 특수교사 10명이 유사성에 따라 분류하였다. 또한, 일반교사 50명과 특수교사 50명이 아이디어 진술문의 중요도를 평정(5점 척도)하였다.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분류한 유사성 자료에 대한 다차원척도 분석을 통해 장애이해교육 내용구성 인식의 차원, 군집을 확인하였다. 또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진술문 중요도 평균을 산출하여 차이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최종적으로 52개의 진술문이 도출되었다. 유사성 분류에 대해 다차원척도 분석을 한 결과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모두 2차원에서 X축은 ‘미시적-거시적 내용’ 진술문이 양극단에 분포하였으며, ‘교육 초점’으로 명명하였다. Y축은 ‘인지적-정의적 영역’ 진술문이 양극단에 분포하였으며, ‘교육 영역’으로 명명하였다. 다차원척도분석을 통해 산출된 좌표값 군집 분석 결과 일반교사는 6개의 군집, 특수교사는 4개의 군집을 확인하였다. 진술문 중요도 평정 결과 일반교사는 ‘장애의 사회적 이해’, 특수교사는 ‘장애학생과 관련된 보호제도’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CCTV인식이 영유아권리존중과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김경인,구은미 한국아동권리학회 2019 아동과 권리 Vol.23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CCTV에 대한 인식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과 교사 자존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이들 요인들의 상호관계를 파악함으로써 효율적인 CCTV관리방안과 진정한 의미의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실현과 더불어 교사의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어린이집 교사 333명을 대상으로 Pearson 적률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보육교사가 CCTV를 인식할수록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수준이 높으며, 자존감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진정한 영유아권리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CCTV설치만이 아니라 교사 대 아동비율을 줄이거나 교사 스스로 자부심을 느끼고 일할 수 있는 환경개선과 같은 제도적 변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CCTV 설치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장치와 보육교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개선과 인권보장에 대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hild care teacher’s recognitions about 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on respecting children’s rights and teachers’ self-esteem and to provide effective implications of CCTV management, realization of respecting for children’s rights, and implications for teachers' self-esteem. Method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and the influences of child care teacher’s recognitions of CCTV, respecting children’s rights and teacher’s self esteem. Results: The higher the level of teacher’s recognitions of CCTV, the higher the level of perception on respecting children’s rights. The higher the level of teacher’s recognitions of CCTV, the lower the level of teacher’s self-esteem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children’s rights, it is necessary to install CCTV and systematic changes such as reducing the ratio of teachers to children, and improving self-esteem and working environment. These findings suggest safety devices that minimize the side effects of CCTV installation while improv social recognition of child care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