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용 컴퓨터화 개방형 수학 시험 방식의 사용가능성 검증

        박주용(Jooyong Park),김용국(Yong-Guk Kim) 한국인지과학회 2010 인지과학 Vol.21 No.2

        In this study, a new open-ended format math testing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s been proposed. This system is an application of the recently proposed Constructive Multiple-choice Testing (CMT) system on math testing. The CMT system is a testing system in which the examinee has to respond to an item twice, first in an open ended format, and then in the multiple choice format. The advantages of this system is that process information can easily be obtained and that the examinee can receive feedback immediately after the test, based on his/her multiple choice responses. This open-ended format math testing system includes the manager mode, which allows the generation of the test items and student account management, and the testing mode, which allows the students to input their solution process using the menu bar and the keyboard. When two groups, one tested using the CMT system and the other tested using the paper and pencil test, were compar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verage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although the testing time was longer for the group tested using the CMT system.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open-ended format math testing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used effectively in the actual classroom setting.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위한 새로운 수학평가 시스템을 만들고 그 사용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이 시스템은 최근 제안된 구성적 선다형 방식(constructive multiple-choice testing system)을 수학에 확장한 것이다. 구성적 선다형은, 동일한 문제에 대해 먼저 개방형으로 반응한 다음 다시 같은 문제를 선다형으로 반응하게 하는 방식이다. 그 장점은 과정 정보를 나중에 확인할 수 있고, 수험자는 시험 종료 직후 선다형에 근거하여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시스템은, 수학 문제의 출제, 계정 관리를 위한 관리자 모드와 학생들이 실제 풀이 과정을 메뉴바와 키보드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시험 모드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방식으로 시험을 보게 한 집단과 중간 과정을 지필식으로 보게 한 집단을 비교했을 때, 시험 시간은 길어졌지만, 선다형의 집단 간 평균 점수 상에서는 차이가 없음이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본 연구에서 구현된 개방형 수학 시험 시스템이 실제 교실 평가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인지과학적 시뮬레이션을 통한 朝鮮 性理學의 禮교육 心性모델 개발(2)

        유권종,박충식,장숙필 동양철학연구회 2004 東洋哲學硏究 Vol.39 No.-

        이 연구는 한국철학과 인공지능간의 학제간 연구의 방법을 통해서 문화와 그 문화를 공유하는 사람들의 마음의 역동적 상호관계의 틀과 내용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을 특히 시스템 이론에 입각하여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문화와 마음의 상호관계의 사실적 배경은 조선시대의 예문화와 그것과 상호관련 하에 구성해온 조선사람들의 마음에 관한 이론에서 찾는다. 이러한 연구를 하게 된 근본적인 동기는 한국인의 마음이 현대에도 유교적 심성을 잃지 않는 이유를 해명해야할 필요성에 기인한다. 이 연구는 현대 한국인의 유교적 심성은 조선시대부터 지속된 예문화체계와 조선시대 사람들의 마음간의 상호 인과적 상호 구성적 작용에 그 기반이 있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삼는다. 이는 일종의 근본적 구성주의의 관점인데, 이에 의하면 한국에서는 조선시대부터 예실천에 의한 심성 수양이 개인의 유교 도덕적 심성을 형성하고, 그러한 심성이 유교 예문화 체계를 재강화 재생산하는 모태가 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를 한국인의 마음에 관한 진실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한국인들이 구성해 온 마음과 그 마음에 관한 진실들은 오랜 문화 전통 속에서 구성된 실재(constructive reality)가 되는 것이다. 그러한 진은 조선시대 유학자들이 설명했던 마음의 구조와 작용에 관한 개념과 이론 속에 존재한다. 그러한 마음의 구조와 작용에 관한 개념과 이론들을 현대적 학문에서 논의 가능한 심성모델로 개발하고, 그 모델로써 한국인의 심성이 타 문화권 사람들의 심성과 비교되는 특성을 설명하는 이론적 기반을 삼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실증적으로 보완하기 위하여 개인의 인격변화와 예문화체계의 상호관계에 관한 인지과학적 시뮬레이션의 방법을 구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검증하고자 하는 것은 유교의 예를 실천하게 되면 왜 예에 부합하는 마음이 성립되고 유지되는가 하는 점이다. 이 시뮬레이션은 일종의 사회집단과의 관계 속에서 개인의 마음이 어떻게 변화되고 구성되는가 하는 과정에 관한 문제를 모의실험하는 것이다. 이 시뮬레이션을 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조선의 이황과 이이로 대표되는 대립적인 심성이론을 통합하는 심성모델을 제작하고자 한다. 이상과 같은 관점과 가정들에 입각하여 본 연구에서 다루는 내용은 다음의 네 가지이다. 첫째, 시스템 분석을 통하여 예 문화 체계의 요소들과 그것들의 상호관계와 작동 내용에 관하여 살핀다. 둘째, 특히 그 속에서 생활하는 개인들이 예 문화와 적합한 상호관계를 맺는 방식을 추정하고 그것을 모의실험한다. 셋째, 아울러 그러한 상호관계의 과정을 통해서 변화하는 사람들의 마음의 내용을 설명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유교의 예 교육으로써 구성되는 심성모델을 확정한다. 넷째, 궁극적으로 유교문화의 성숙과 개인적 인격 성취와의 관계를 논한다. Aim of this article is to develop a theory, specially due to system dynamics, that can explain the dynamic co-relation matrix of a kind of culture and its constituents minds. This article is made by an interdisciplinary study between Korean philosoph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he objective setting of the co-relation between a culture and minds are related to the culture of Confucian proprieties and its constituents' minds in Chosun Dynasty. The most important motive of this study is due to the necessity to explain the fact that modern Koreans do still keep a kind of Confucian mind and heart in their daily lives. Here is an assumption that modern Korean people's minds and hearts are constructed as a result of a co-relational dynamics and co-constructive workings with the systems of Confucian proprieties that have been continuing from the early Chosun Dynasty. This assumption is rooted in a kind of radical constructivism. From this, it will be reasonable that in Korea from Chosun Dynasty, training both bodies and minds by practice of Confucian proprieties is an important way to construct persons' moral mind, and such moral minds have reproduced and consolidated more and more the system of the Confucian proprieties. From the viewpoints of the truth of Korean people's minds, this constructed minds is sure to be a reality that has been constructed during so long cultural tradition. The reality and truth can be found in the notes of many Confucian scholars of the Chosun Dynasty. They had developed so important and specific conceptions and theories to explain their constructed minds. Their conceptions and theories can be developed to a modernized mind model that can be discussed in the fields of contemporary mind sciences, and the mind model will be a theoretical ground for explaining the features of Korean people's minds in comparison with other people's minds in the other cultural area. For scientific proof of this, a cognitive scientific simulation for the mutual rela???? between personality development and system of Confucian propriety will be made and operated. The simulation tries to explain why a Confucian mind that can be coincided with Confucian proprieties will be formed by practice of Confucian proprieties for a long time. In other words, this simulation aims to explain the construction of one's personal moral mind in the inevitable relations with the social group that one belongs to. This simulation needs a general mind model which is fitted for explaining Korean minds, so a synthesized mind model that concludes Yi Whang's mind model and Yi Is one will be proposed. The important contents of this article are four as follow. The first, the elements and their co-relational working of the system of Confucian proprieties will be explained by an analysis with theory of system dynamics. The second, personal minds processes to make and develop co-relations with the system will be simulated. The third, the realities of the minds will be explained and moral mind model constructed by Confucian education with Confucian proprieties will be decided. The fourth, in the end the relation between mature of Confucian culture and personal success of one's personality.

      • 통합샤시 제어시스템의 Fail-Safe 방안

        황운기(Woongi Hwang),이운성(Woon-Sung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06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The goal of global chassis control is to maximize chassis control performance by integrating and controlling individual chassis control systems in an integrated and compensatory manner. A global chassis control system thus requires high reliability, even in case of failure or fault. The system should be capable of detecting failure under various conditions, and responding to failure appropriately to guarantee uninterrupted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fail-safe strategy to improve reliability of the global chassis control system. We have implemented the global chassis control system in a way that a higher-level controller monitors driver intention and vehicle status, and then commands lower-level, chassis controllers to maximize vehicle performance. Depending on failure detection types of sensors and actuators in the control system, we developed different fail-safe methods: we combined actual hardware sensors and virtual algorithm sensors appropriately depending on whether other sensor signals can be used to determine failure of the sensor or not. Simulation results demonstrate the effective of the approach proposed in the research.

      • KCI우수등재

        정책문제, 어떻게 ‘사실’로 구성되고 인지되는가?

        사공영호 ( Yungho Sakong ) 한국정책학회 2020 韓國政策學會報 Vol.29 No.2

        정책문제는 ‘구성’의 산물이다. 인간 의식의 ‘창조물’이다. 그런데 자연 대상에 못지않은 구체적인 ‘사실’인 것처럼 경험한다. 이에 대해 이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설명을 제시한다. 첫째, 우리의 신경시스템은 본래부터 추론과 구성의 결과를 진실인 것처럼 ‘생생히’ 경험하도록 작동하는 장치라는 점이다. 더듬듯이 주어지는 부분적이고 파편적인 정보로 부터 전체의 양상을 추론하여 그것이 진실하고 일관된 세계의 모습인 것처럼 생생하게 경험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실’이라 인식은 실재성과는 상관없이 외부세계를 다루고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을 획득할 때 발생한다. 둘째, 세계를 다루는 언어와 신경시스템이 ‘사실성’을 오해하도록 작동한다. 자연현상과는 달리 사회현상은 과정적이고 복잡하다. 개별 단위에 기초한 사실화가 곤란하다. 하지만 언어시스템을 매개로 자연세계의 존재론에 의지하면서 인지적으로는 사회세계도 자연세계처럼 다룰 수밖에 없게 된다. 복잡하고 과정적인 사회현상을 명사화하면서 사회현상 역시 마치 단위화가 가능한 현상처럼 오해하게 된다. 비동기적 사고단서라는 언어 자극의 특성은 신경시스템에 축적된 모든 지식과 경험을 활용하도록 하고, 자연세계의 은유에 비추어 사회현상도 이해하게 한다. 추상화된 언어가 말단의 지각까지 통제하면서 편견적인 해석체계를 고착화한다. 언어를 이용하여 세계를 해석하고 다루는 능력에 의지하여 ‘사실’이라는 인식은 발생한다. 정책문제는 파편적 정보로부터 기꺼이 추론기능을 수행하는 신경시스템과 탈맥락적인 방법으로 현상을 잘라내어 명사화한 언어구조가 함께 만들어낸 창조물이다. 사실성을 보장할 수 없는 하나의 인지적 환상이다. 생존을 위해 사실성을 믿어야 하는 신경시스템과 언어시스템에서 기원하는 인지적 착각이다. 경험주의의 기대와는 달리 인간의 경험은 세계의 진실을 접하는 창이 되지 못한다. Policy problem is an output of cognitive construction. It is a creature of human consciousness. We experience this created thing as something real fact in the world. This study offers two explanations. First, human cognitive neural system operates for us to mistake the outcome of inference and interpretation as a ‘vivid’ and ‘fact-like’ thing regardless of its actual reality. Human neural system plays the mysterious role to produce something real-like experience from randomly provided frag-like sense data. ‘Fact-like’ vivid experience emerges when human acquires the capability to deals with the target world well. Second, human language and neural language system works to mistake the factuality of the social world. Social phenomenon is complex and procedural. It is impossible to cut as a unit ‘fact’ without damaging real complexity. Language, however, makes it possible to cut the unit of thought regardless to inseparable reality. Through language, the ontology of dividable natural world invade to the perspective and assumption of social world. By nominalizing complex procedural phenomenon, social world is analysed as something which can divided by the words. Language is an unmotivated clue of thought. It does not directly provide any hint of referent world.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worlds, cognitive system needs to rely on accumulated knowledge of neural system which learned from natural world. Language transforms inseparable social world into dividable and observable unit like facts. According to this study, policy problem is a creature of human neural system and human language system. It is an illusion of human cognitive system. No matter how vividly perceived like a natural thing, it is an cognitive hallucination.

      • KCI등재

        종합편성채널 시사토크쇼의 정치현실 구성에 관한 연구

        김영빈(Yeongbin Kim),한혜경(Hyekyoung Han)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8 언론과 사회 Vol.26 No.3

        이 연구는 종편 시사토크쇼가 구성하는 정치현실을 루만의 계층분화형식과 기능분화형식 개념을 적용해 분석한다. 이를 통해 전근대적인 정치현실을 재생산하는 시사토크쇼는 오늘날 민주정치의 성숙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되어 비판하려 한다. 두 가지 체계분화형식의 차이를 적용하면, 종편의 시사토크쇼는 세 가지지점에서, 구체적으로 정치체계와 사회의 관계 변화, 정치체계의 코드화, 정치체계 내부의 커뮤니케이션 구조 변화 등에서 서로 다른 정치현실을 구성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분석 대상은 2016년과 2017년에 있었던 북한의 5차와 6차 핵실험 이후, 각 1주일 간 TV조선의 <이것이 정치다>와 JTBC의 <정치부 회의>의 뉴스다. 분석 결과, 상대적으로 <이것이 정치다>는 계층분화적으로, <정치부 회의>는 기능분화적으로 정치현실을 구성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중 전자의 특징을 도식적으로 언급하면, 첫째, 정치세력의 권력 변화에 집중하기에 사회의 다양한 문제들을 정치뉴스의 주제로 거의 보도하지 않았다. 둘째, 위기에 대처하는 정부·여당과 야당의 의사결정과정 자체를 대체로 경시했다. 셋째, 정치적 권리와 요구를 직접 표현하는 시민들의 정치적 행위를 부정적으로 보도하며, 이들을 국민과 구별되는 집단으로 나누었다. 결론적으로 계층분화형식에 따라 구성된 시사토크의 정치현실은 불필요한 정쟁을 계속하는 정치권과 불복종하는 시민집단의 이미지가 강한 반면, 다양한 의견과 행위들이 상호작용하는 민주적 정치의 이미지는 희박했다. This study analyzes the political realities constructed by political talk shows of general programming channels through Luhmann"s hierarchical differentiation form and functional differentiation form. With two system differentiation forms, political talk shows can show the different realities at three points(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system and society, the coding of political system, the communication structure within the political system). The analysis objects of this study are the news of TV Chosun’s <This is Politics> and JTBC"s <Political Conference> for a week after the 5th and 6th nuclear tests by North Korea. As a result, <This is politics> tended to construct political reality more in the form of hierarchy than <Political Conference>. First, while focusing on the power change of political forces, <This is Politics> did not take the various problems of society as the subjects of political news. Second, it has largely ignored the political decision-making process between the government with the ruling party and the opposition which deals with the crisis. Third, it negatively reported the political activities of citizens expressing political rights, and distinguished them from the people. In conclusion, the democratic politics was rare in the political reality constructed by <This is Politics>.

      • KCI등재

        TV 드라마 <마왕>의 쇼트 및 시점 구성 방식 연구

        김소은 한국극예술학회 2008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27

        TV drama “The Devil” tried to present the problematic condition and the truth of human society that is difficult to understand and is unable to explain. This drama dealed with an affair about the problem of the strong and the weak, and, of the normal state and the irregularity in a life regarding as ‘the uncomfortable truth’. To do this, this drama organise a system for a construction and a presentation of an image that is able to draw a social consensus. In this drama, a construction and a display of a shot, a frame and a point of view is concerned to a thematic sense. Therefore this study focus on an analysis of these units to research a thematic sense. First, a shot is concentrated to form an image of ‘an extinction’ and ‘be locked’. For this, it is used by a over-the-shoulder shot, a division of scene and a space etc to present an extinction about a communication between a character and character, between a character and a world. Especially, it is used by a technic of editing and camera working to recall an unsolvable problem of past. This helps a viewer come in a fictional world. By the way, second, unstable camera construct a third gaze as an indivisual of an organic body. And a camera construct not only an image of devil but also a point of view of hell. As soon as a crain shot as a point of view of heavens is formed, after breaking a point of view of hell, unstable state turn into a stable state. A construction and a display of a shot, frame, a point of view is the root and the system to present an image. In this, it is intervened in an ideology, an intention and a plan by a producer. This drama transformed pre-sense of a shot into a new formation to draw a thematic sense. TV 드라마 <마왕>은 이해하기 어렵고 설명하기 불가능한 인간 사회의 문제적 상황과 진실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 드라마는 ‘불편한 진실’로서 간주되는 삶의 정상성과 비정상성의 문제, 강자와 약자의 문제를 다룬다. 이를 위해서 이 드라마는 사회적 합치를 도출해 낼 수 있는 영상적 표현과 구성에 주력하는데, 이 때 쇼트, 프레임, 시점의 구성과 배열은 이 드라마의 주제적 의미를 드러내기 위한 주요한 장치로 활용된다. 따라서 본고는 이 사실을 바탕으로 <마왕>에서 주제 의미를 드러내기 위해 영상적 표현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 보았다.우선 쇼트는 ‘단절’과 ‘갇힌’ 이미지를 형성하기에 집중한다. 이를 위해서 인물과 인물 간의, 인물과 세계 간의 의사소통의 단절을 표현하기 위한 오버 더 숄더 쇼트, 화면분할 그리고 공간의 분할 등이 활용된다. 특히 과거의 해결되지 않은 문제를 호출하기 위해 싸이코 메트리의 시선 구성과 같은 편집과 여러 카메라 기법들이 활용되는데, 이것은 시청자로 하여금 허구의 세계 속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불안정한 카메라가 유기적 개체로서의 제3자의 시선을 구성하면서 불안하고 공포스러운 상황을 연출한다. 게다가 카메라는 마왕의 이미지뿐만 아니라 지옥의 시각을 형성하면서 ‘불편한 진실’을 드러내기에 주력한다. 그러나 천상의 시각으로서 크레인 쇼트가 형성될 때, 지옥의 시점은 소멸하고 불안정한 상황은 안정된 상황으로 변화하면서 세계의 정황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한다.쇼트, 프레임, 시점의 구성과 배열은 영상을 표현하기 위한 근거이자 방식이다. 이 표현 구성 방식에는 창작자의 이데올로기, 의도 그리고 계획이 개입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쇼트의 구성은 선택적이고 의도적이다. 이와 같이 TV 드라마 <마왕>에서는 주제 의미를 도출해 내기 위해 기존의 쇼트가 지닌 개념을 변형, 왜곡하면서 새롭고 독특한 영상적 표현과 미학을 성립하였다.

      • KCI등재

        디자인 부분해답 방법론을 이용한 경찰방패 개발연구

        정승호(Chung, Seung Ho)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6 No.-

        경찰은 범죄의 예방과 범죄자 검거라는 임무 외에도 사회 집단의 정치적 주장과 서로 간의 경제적 이해관계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집회 및 시위의 질서를 유지하고 계획적 혹은 우발적으로 발생하는 폭력 시위를 진압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소모하고 있다. 이때 가장 많이 사용되어지는 도구가 진압방패이다. 그러나 지나친 무게, 잘 미끄러지는 손잡이 등 인체공학적인 측면이 배려되지 않은 진압 장비의 비효율적인 디자인은 사용자의 힘을 낭비하게 되고 조직적인 진압 역량을 떨어뜨리게 된다. 이에 따라 지휘관의 명령에 따른 임무 수행 동작 외의 불필요한 동작들로 인해 과잉진압의 시비가 제기될 수 있는 실정이다. 과격, 폭력 시위를 효과적으로 제압하고 질서 유지임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경찰 진압 방패의 디자인 개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경찰 방패 디자인과 관련된 재료, 형상가공, 손잡이, 접착기술 등 각 요소에 대한 문헌 조사와 해외 자료 조사를 실시하며 사용자에 대한 설문조사 및 환경 분석과 사용자 요구분석을 하고, 이를 토대로 브레인스토밍 등 아이디어 발상기법을 활용하여 도출된 디자인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며, 부분해답을 통해 각 세부문제해결을 종합하여 시스템구성으로 구체화한다. 시스템구성을 통하여 기존 방패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사용하기 편하고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강화된 새로운 형태의 방패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며 이것이 연구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Police is consuming a lot of time and effort in order to prevent crime, to catch criminals, to keep order of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betiding because of political claims and economic interests of social groups, to quell violent protests betiding intentionally or accidentally. At that time, suppression shield is used commonly. But, inefficient design of fighting equipment that doesn’t reflect ergonomics make user"s power waste and let down systematic suppression capability. For example, excessive weight and slippery grip and so on. As a result, the mission commander"s command, other unwanted behavior due to the actions that can be raised over the merits of fighting in Korea. Extremism, violence and suppression in order to effectively perform maintenance tasks in order to effectively suppress the police need to improve the design of the shield increasing. The purpose of the study is related to the police shield design materials, shape processing, handles, adhesive technology, and foreign literature for each element of survey data and a survey of users and user needs analysis and environmental analysis, which, based on brainstorm the idea originated by utilizing such techniques to derive a solution to the design problem, and details of each sub solution to solving the problem summary of the system construction of concrete. Through the system construction can solve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shield, and light weight, easy to use, yet a new type of shield strength is enhanced to propose design guidelines and this is said to be the purpose of the study.

      • KCI등재

        문학교육 담론에서의 생태학 적용 시도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이원영(Lee, Won-Young) 문학과환경학회 2022 문학과 환경 Vol.21 No.1

        본고는 생태학을 문학교육에 적용하려고 시도하였던 주요한 논의들의 내용 및 방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통해 문학교육에서의 생태학 도입을 위한 새로운 시사점들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고는 이를 위해 문학교육에서의 생태학 적용 논의들을 ‘생태학적 사유 체계 도입’노선, ‘생태주의 이념의 구현을 위한 체제 구성적 접근’ 노선, ‘생태주의 이념의 구현을 위한 제재 구성적 접근’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생태학적 사유 체계 도입’ 노선은 분절적 문학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게 한다는 의의가 있다. ‘생태주의 이념의 구현을 위한 체제 구성적 접근’ 노선은 거시적이고 근본적 차원의 생태주의 도입을 가능하게 한다는 의의가 있다. ‘생태주의 이념의 구현을 위한 제재 구성적 접근’ 노선은 가장 적용 가능성이 높은 전략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각각 노선의 의의만큼 한계 역시 분명하게 확인되었으며, 이에 본고는 생태학의 문학교육적 적용을 위한 새로운 전략으로서 생태 비평의 ‘동일 개념 변위 전략’을 검토할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review the contents and methods of major discussions that attempted to apply ecology to literature education, and to draw new implications for the introduction of ecology in literature education. To this end, this paper divides the discussions on the application of ecology in literature education into the ‘introduction of an ecological thinking system’ route, the ‘system constructive approach for the realization of the ideology of ecologism’, and the ‘materials-constructive approach for the realization of the ideology of ecologism’ and reviewed. The route of ‘introduction of an ecological thinking system’ is meaningful in that i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articulated literary education. The route of ‘system constructive approach for the realization of the ideology of ecologism’ is meaningful in that it enables the introduction of ecology at a macroscopic and fundamental level. The route of ‘materials-constructive approach for the realization of the ideology of ecologism’ can be the most applicable strategy. However, limitations were also clearly identified as much as the significance of each route, and this paper suggested that the ‘strategy to displace the same concept’ of ecological criticism could be reviewed as a new strategy for the application of ecology literature education.

      • KCI등재

        구성적 선다형 검사 방식에서 배점 조작의 효과

        박주용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2 No.4

        The Constructive Multiple-choice Testing (CMT) system is a new computerized testing system developed to supplement the weaknesses of the multiple-choice (MC) format. The CMT system involves having the examinee respond to the stem first in the short answer format and then in the MC format. Therefore, one can see whether or not the examinee chose the correct option in the MC format because he or she actually knew the answer by checking the short answer portion of the examinee's response. The curr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scores obtained from the CMT test as opposed to the short answer or the MC tests. Two hundred and twenty seven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were randomly assigned to 2 groups. In Experiments 1 and 2,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he performance of the group who took the test in the CMT format and that of the group who took the test in the short answer format. In Experiment 1, where the instruction for the CMT test was that the two portions would be graded separately, the mean of the short answer portion of the CMT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short answer format group. However, in Experiment 2, the examinees were told that the short answer portion would be weighed 9 times as heavily as the multiple-choice portion (90% vs. 10%).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eans of the short answer responses between the two groups. In Experiment 3, the means of the multiple-choice responses were compared between the CMT group and the multiple-choice group. The CMT group was given the same instruction as in Experiment 2.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mean of the MC portion of the CMT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MC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erformance is not affected by having the examinees respond twice if more points are allotted to the short answer portion of the CMT format. 구성적 선다형 검사 방식은 선다형 방식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새로운 컴퓨터화 검사 방식이다. 이 방식에서는, 하나의 발문에 대해 먼저 단답식으로 반응하도록 한 다음, 다시 동일한 발문에 대해 선다형으로 반응을 하도록 한다. 따라서 선다형에서 정답을 선택했더라도 단답식 반응을 통해 정답을 알고 선택했는지 모르고 선택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방식을 사용한 선행 연구에서, 구성적 선다형으로 본 집단과 단답식으로만 본 집단의 단답식 수행을 비교하였을 때, 단답식으로 본 집단이 더 높은 점수를 얻는다는 것이 반복적으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구성적 선다형의 단답식 수행과 단답식으로만 보았을 때의 수행간 동등성을 확보하기 위해, 구성적 선다형의 단답식 점수 배점을 높이는 조작이 실제 수행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초등학교 6학년생 227명을 대상으로 3개의 실험이 수행되었다. 실험 1과2에서는, 무선적으로 나뉘어진 두 집단을 대상으로, 한 집단은 구성적 선다형 방식으로, 다른 집단은 단답식으로 보게 한 다음 수행을 비교하였다. 각각 따로 채점된다고 지시를 준 실험 1에서는 구성적 선다형에서의 단답식 반응이 단답식으로만 반응하게 한 경우보다 낮았다. 그렇지만 단답식과 선다형의 배점을 90% 대 10%로 했을 때에는 두 집단간에 단답식 점수의 차이가 사라졌다. 실험 3에서는, 점수 배점이 90% 대 10%일 때, 구성적 선다형 집단과 선다형 집단의 수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오히려 구성적 선다형 집단의 선다형 점수가 높아짐을 발견하였다. 이 결과는 구성적 선다형에서 단답식의 비중을 크게 하면, 두 가지 반응을 하게 하더라도 그로 인해 따로 따로 반응하게 했을 때에 비해, 수행이 저하되지는 않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공공부문 BSC의 시행경험 분석

        강윤호(Kang Yunho)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社會科學硏究 Vol.27 No.2

        본 연구는 BSC를 시행하고 있는 한국과 미국의 지방정부들을 대상으로 하여, BSC의 구성체계, 운영과정, 그리고 도입효과 등의 세 가지 측면에서 운영경험을 조사분석하여 평가 하였다. 분석에 따르면, 개별지방정부에 따라 편차는 있지만 전반적으로 볼 때, BSC의 도입효과, 체계, 운영 등 세 가지 측면 모두에서 약간의 긍정적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어느 것 하나도 확실하게 잘되고 있는 부분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BSC의 구성체계 및 운영 측면의 평가결과가 도입효과 측면의 평가결과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 기초할 때, 공공부문의 BSC는 전반적으로 큰 문제없이 무난하게 운영되고 있지만, 어느 것 하나 확실하게 잘되고 있는 부분은 없으므로, 향후 공공부문의 BSC가 소기의 성과를 초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노력과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experience of implementing BSC in local governments of both Korea and America. The analysis is focused on the three dimensions of the effects, operating process, and constructive system of the BSC. The analysis indicates that overall, the BSC has little affirmative results in all three dimensions of the effects, process and system, although there exists difference according to each respective local government. However, no dimension of the three has sure and true affirmative results. The results in the constructive system and operating process of the BSC are better than those in the effects of implementing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