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회적 소수자를 위한 임파워먼트 실천 교육 방향 모색

        김정진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1 한국사회복지교육 Vol.15 No.-

        The emerging of the NGO since 1987 and the influx of foreign workers since the Seoul Olympics have brought the aspect of diversification in Korea since then. The activities of NGO had became active since 1998. It made advocacy groups act and the social minority such as women, the disabled, sexual minorities, women sex workers, the homeless begin grouping in order to claim human rights and social welfare. They have achieved many social changes by expanding social welfare and by doing various self-help movements, also they have changed themselves by hiring social workers and by being one. But the social situations of minorities still have some problems such as oppression,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and it need to be intervened by the system of social welfare. This diversified and changed client demands changing of the social work practice and practical education. Under these needs, I proposed the empowerment educational methods in order to enhance the empowerment practice and practical skill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social inclusion and diversity with social minority. 우리 사회의 다양화 양상은 1987년 이후 시민사회가 대두되고 88 올림픽 이후 외국인근로자가 유입되기 시작하면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국민의 정부 이후 시민사회단체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외국인의 인권과 사회적 대응의 변화를 요구하는 다양한 옹호집단의 활동과 함께 그 동안 억압된 생활을 해오던 여성, 장애인, 성적소수자, 성매매여성, 한센인, 노숙인 등의 소수자가 집단화하면서 그들의 특성을 부각하고 사회변화를 요구하는 소수자운동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들은 다양한 자조적 운동을 통하여 사회복지를 확대하고 사회변화를 이루어가고 있으며, 사회복지사를 고용하거나 스스로 사회복지사가 되는 등 달라지고 있다. 하지만 소수자들의 사회적 상황은 여전히 억압과 배제, 차별이 존재하고 사회복지의 개입을 필요로 한다. 이처럼 다양화되고 달라지고 있는 클라이언트는 사회복지실천과 교육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소수자의 억압과 차별의 문제에 대응하고, 자조와 참여를 촉진하는 임파워먼트 실천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교육 방향과 임파워먼트 교수법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사회정의와 인권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윤인진 ( In-jin Yoon ),송영호 ( Young Ho Song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8 한국사회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사회정의와 인권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을 경험적으로 진단하고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인권 증진을 위한 정책을 제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7년 9월부터 11월까지 1,025명의 일반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정의를 인정, 공감, 공존의 관점에서 조명하고 사회정의의 실현 조건에 대한 인식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인은 사회정의의 실현을 위한 우선 조건으로 모든 사람을 인격적으로 대우하는 것을 1순위로 뽑았다. 사회정의를 분배의 문제로 보는 사회적 통념과 다른 결과였다. 하지만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가 우리 사회에서 인정받는 수준은 보통 이하라고 평가하였다. 특히 성소수자에 대한 관심, 친밀도, 권리 부여 정도가 낮다고 평가하였다.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에 대한 사회적 공감 정도 역시 낮게 평가하였다. 다수자와 소수자의 공존에 대해서 일반인은 이주민 집단을 사회 구성원으로 받아들이는데 일정 정도 한계를 가진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이주민들이 사회에 미치는 긍부정 효과를 동시에 인정하고 있지만 그들의 전통과 생활습관을 포기하도록 강요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인권 증진을 위한 정책으로 인권 관련 법 제도 시설의 보완과 강화, 사회적 약자/소수자와 일반국민의 인권의식과 다문화수용성 증대, 소수자-다수자의 접촉과 교류협력의 증진, 인권친화적 매스미디어의 개발,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역량강화를 제안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empirically South Koreans’ perceptions of social justice and human rights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minorities, and propose policy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ir human rights conditions. We conducted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survey of 1,026 ordinary Koreans and a survey of 35 professionals (researchers, activists, and organization leaders) during the period of September~November, 2017. In this study, we viewed social justice from the perspectives of recognition, empathy, and coexistence, and examined how ordinary Koreans prioritize prerequisites of social justice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minorities. Results show that ordinary Koreans chose ‘treating everybody respectfully’ as the first prerequisite. However, they evaluated that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minorities are not well recognized as equal persons in Korean society. Especially, sexual minorities were ranked the lowest in terms of social attention, intimacy, and respect for human rights. The level of social empathy toward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minorities was also evaluated low. Ordinary Koreans thought that there are limits to the coexistence between the majority and minority. Although they acknowledg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immigrants to Korean society, they did not demand the immigrants to give up their own traditions and ways of life.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opose as policy recommendations reinforcement of laws, systems, and facilities to protect human rights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minorities, enhancement of human rights consciousness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expansion of contact and mutual cooperation between the majority and minority, development of human rights-friendly mass media, and empowerment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minorities.

      • KCI등재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 교사의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인식 연구

        김세미(Kim Se-Mi),이윤정(Lee Yun-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4

        목적 본 연구에서는 유아 교사들의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유아 교사의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8명의 유아 교사로 눈덩이 표집방법으로 선정하였으며, 2019년 7월부터 9월까지 반구조화된 질문지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Glaser & Strauss(1967)의 분석적 귀납 방법을 근거로 개방적 코당을 활용하여, 개념의 명명화, 범주 배치, 범주 간의 재조합, 핵심범주 도출, 유형화 단계를 거쳐 분석하였다. 결과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 교사의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인식은 첫째, 유아 교사는 사회적 소수자를 보는 관점이 다양하여, 사회적 소수자를 도움을 줘야하는 보호대상이나 피하고 싶은 대상으로 상반된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유아 교사들은 자신도 상황에 따라 사회적 소수자일 수 있다는 경험이 소수자에 대한 인식에 변화를 가져왔다. 셋째, 유아 교사는 교육 현장에서의 경험을 통해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하였고, 사회적 소수자를 위한 활동을 할 때 보람을 가졌다. 넷째, 유아 교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사회적 소수자 지도에 따른 과잉 업무와 이들을 위한 지나친 배려의 역차별성 가능성을 지적하였다. 다섯째, 유아 교사들의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서는 유아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적 소수자 이해교육 강화, 부모와의 소통, 예비 유아 교사의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의무 교육 실시, 누리과정에서의 사회적 소수자 내용 보완, 사회적 소수자를 위한 사회적 지원을 필요로 하였다. 결론 유아 교사의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인식은 다양한 관점을 가지고 있었으나, 현장에서의 경험과 교육읕 통해서 긍정적으로 전환됨 볼 수 있었으며, 인식 개선 방안으로는 유아 교사의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강화와 사회적 소수자를 반영하는 누리과정 보완과 예비 유아 교사를 대상으로하는 사회적 소수자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children in social minority group and to develop measures for improvement of their perception and education. Methods After eight teachers were selected by snowball sampling method at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from July 2019 to September 2019 from which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analytical induction method of Glaser & Strauss(1967). Results First, the teachers have so diverse perception on the children in social minority, imlpying for necessity to expand and clarify their perceptions. Second the participants had both burden on and excitement of teaching the children in social minority. Third, teachers’ persornal experiences as social minorities changed their perceptions of children in the social minority group. Fourth, they pointed out over-burden on the teachers to take care of the minority children and potential risk of reverse discrimination against normal children arising about of too much care for the minority group. Fifth, they noted that teachers’ perception bias could be alleviated or removed by further education of teachers on how to understand minority students. commnication with parents, compulsory education of the prospective teachers with respect to minority students, revision of the Nuri curriculum on minority students, and social support for the minority group. Conclusions Diverse perceptions of teachers on minority students could be positively turned by onsite experiences of teaching the children, and also by continuing education of teachers, revising the Nuri education program, and introducing a new teacher development program covering minority education.

      • KCI등재

        일제시기 사회사업 연구의 동향과 과제

        예지숙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3 嶺南學 Vol.- No.86

        이 글은 지금까지 수행된 일제시기의 사회사업 분야의 연구 성과를 정리하고 향후의 과제를 제시하는 것은 목적으로 하였다. 이 분야의 연구는 2000년대 이후로 활성화되었는데, 대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식민지 근대성론의 영향 하에 정책사, 제도사 방면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를 통하여 ‘식민지 통치성’에 대한 논의가 가능해졌으며, 또 구제로 시작한 조선총독부의 사회사업이 도시 사회정책, 농촌 사회정책, 노동력 수급사업, 빈민 구제 등으로 진전되어 간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둘째, 사회 영역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 ‘사회성’을 해명하는데 진전된 연구 시각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간 총독부와 기독교 선교사를 자선과 사회사업의 주요 행위자로 하였던 데서 나아가 재조일본인, 조선사회를 부각함으로서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가능해졌다. 셋째로 마이너리티 연구에서 큰 진전이 있었는데, 국가와 사회의 사회사업적 실천이 이들을 차별하고 배제하는데 작용하였음을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향후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간 소홀히 취급된 농촌 사회사업에 대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근대 사회사업이 도시화, 산업화를 배경으로 한다지만 식민지 조선에서는 농업, 농촌이 절대적으로 우위에 있었음을 명심해야 한다. 둘째 사료와 연구 방법의 확장이 필요하다. 그간 주요 활용된 관찬사료를 위주의 지배정책사에서 나아가 생활사, 일상사 연구에서 활용되는 일기나 수기, 회고록 등의 자료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하여 제도와 정책, 기구와 시설 등에서 살피지 못한 당대의 실상을 드러내야 한다. 셋째, 1930년대 중후반에서 전시체제기를 다룬 연구 성과가 여전히 부족하다. 식민권력의 정책뿐 아니라 사회 영역에서 수행된 구체적인 실천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내용을 확보하고 해방 후와 연결지점을 찾아야 할 것이다. his article introduces research achievements in the fields of social work history and social policy histo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ince the 2000s, when social policy history research became more active, and suggests future challenges. Research in this field has been greatly revitalized since the 2000s. Th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the fields of policy history and institutional history under the influence of the theory of colonial modernity. This has made it possible to discuss ‘colonial governmentality' and to genealogically examine the evolution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s social work from relief to urban social policy, rural social policy, labor supply, and poverty relief. Second, various studies on the social sphere have allowed for a more advanced research perspective on the elucidation of "the social." Moving away from a focus on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Christian missionaries as agents of charity and social work, the emphasis on Japanese settlers and Korean societies has allowed for more in-depth research. Third, minority studies has made great strides in exploring the role of social policies in discriminating against and excluding minorities. Future challenges include First, we need to study rural social work, which has been neglected. Although modern social work is based on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we should keep in mind that agriculture and rural areas were absolutely dominant in colonial Korea. Second, we need to expand our sources and research methods. It is necessary to utilize materials such as diaries, memoirs, and memoirs that are used in the study of life history and daily history, as well as the history of ruling policies, which have been mainly utilized. This should reveal the realities of the period that have not been examined in terms of institutions, policies, organizations, and facilities. Third,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on the wartime period from the mid to late 1930s. Through research on colonial power and the social sphere,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contents of social work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find a connection with the post-liberation period.

      • KCI우수등재

        사회 자본과 사회적 관용 - 단체 참여와 유형별 소수자에 대한 관용의 관계 -

        김진 ( Jin Kim ),강혜진 ( Hye-jin Kang ) 한국정책학회 2019 韓國政策學會報 Vol.28 No.4

        본 연구는 다양성이 증가하는 한국 사회의 소수자 집단에 대한 관용을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단체 참여라는 사회적 자본이 이주 외국인, 북한 이탈주민, 동성애자 등에 대한 사회적 관용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실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 구성원들이 자신과 다른 집단을 포용하지 않는다면 한정된 사회자원을 배분하는 과정에서 갈등과 긴장이 심화되므로 관용의 결정 요인은 매우 중요한 주제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5년간의 사회통합실태조사를 활용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첫째, 2013년에서 2017년에 이르기까지 한국인의 사회단체 참여 추세와 다양한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관용의 인식 등을 기술하였다. 둘째, 회귀분석 결과 사회적 단체 참여는 유형에 따라 소수자에 대한 사회적 관용에 차별적인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도의 변화에 따라 영향 여부와 방향이 변한 참여의 유형도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determinants of social tolerance toward social minority groups in Korean society where diversity is increasing recently. It would be meaningful to identify these factors in that conflict and tension are caused in the political and policy process of the distribution of limited social resources unless the members of society embrace groups different from the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social capital as a key determinant of tolerance toward emigrant foreigner, a North Korean defector, and homosexual. Specifically, utilizing large N-survey over the past five years,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voluntary association and social tolera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t first, we describe the trend of Korean`s participation in social group from 2013 to 2017 and changing of their perception of tolerance toward various social minorities. Second, h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social participation has a discriminatory influence on social tolerance, depending on the type of participations and minorities. Third, this study find that the influence of group participation also depends on the change of year rather than on consistenc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ole of social capital may not be fixed.

      • KCI등재후보

        중등학교 사회과 교사의 사회적 소수자 관련 수업 실태

        이정우(Jungwoo Lee)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4 현장수업연구 Vol.5 No.1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urrent experiences of secondary school social studies teachers in teaching lessons related to social minorities,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way social minorities are addressed in the curriculum, textbooks, and lessons. To achieve these goals, I conducted a survey and interviews. 66 secondary school social studies teachers nationwide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5 in the interview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interviews, the current secondary school social studies teachers are teaching “dry” classes that rely on textbooks and avoid controversy as much as possible due to their caution towards students who belong to social minorities and students who have negative attitudes towards social minoritie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t is suggested that more detailed guidelines for teaching about social minorities should be provided. Secondly, I suggest that the way in which social studies textbooks address ‘values issues’ needs to be reviewed and revised. 본 연구는 현재 중등학교 사회과 교사가 사회적 소수자와 관련된 수업을 할 때 어떤 경험을 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교육과정-교과서-수업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에서 사회적 소수자 관련 내용을 어떻게 다루는 것이 좋을지 그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설문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는 전국의 중등학교 사회과 교사 66명이, 면담에는 5명이 참여하였다. 설문조사와 면담 결과를 종합하면, 현행 중등학교 사회과 교사는 사회적 소수자에 속하는 학생, 사회적 소수자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지닌 학생에 대한 조심스러움으로 인해 교과서 의존적이면서 논쟁을 최대한 피하는 ‘건조한’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연구 결과가 시사하는 바를 사회과 교육과정, 교과서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첫째, 사회과 교육과정과 관련해서는 사회적 소수자 관련 지도의 지침을 보다 상세하게 제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사회적 소수자 관련 수업에서 ‘유의’ 혹은 ‘지양’해야 하는 것을 넘어서, ‘어떻게’ 접근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한 안내가 필요하다. 대안적인 접근 방법에 대한 1-2줄의 추가 설명을 제시하고, 필요한 경우 교사 연수 혹은 자료집 개발 등의 방법을 통해서 해당 내용을 더 깊이 있게 접근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둘째, 사회과 교과서가 ‘가치문제’를 다루는 방식을 점검하고 수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현행 교과서는 사회과 가치교육의 방법 중 언어적 교훈주의에 해당하는 접근 방법을 취하고 있다. 가치분석 접근법이나 배려와 감사의 윤리교육과 같은 다양한 가치교육 방법을 통해 가치문제에 접근할 수 있도록 교과서 본문과 탐구활동이 재구조화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사회적 낙인 인식이 성소수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강병철 ( Byung Chul Ka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1 사회복지연구 Vol.42 No.2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how satisfied sexual minorities are with their lives. This study focuses on how sexual minorities perceive social stigma, the social influences involved in its perception, and the effects this perception has. Using stress-coping theory, this study looks at how social stigma, as a perceived stress, affects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how the stigma influences the degree to which individuals come out in an effort to cope, and the resultant effects of this coping mechanism on life satisfaction. The data used if from a sample of 478 individuals who self identify as gay, lesbian or bisexual. It was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Using SEM, the quality was evaluated by analyzing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relationship of the variables included in the theoretical model was verified by analyzing the structural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ocial stigma directly affects the life satisfaction of Korean sexual minorities. It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social support they receive(from family and sexual minority peers), and their self-esteem. The degree to which the individual comes out is shown to affect life satisfaction as well. In contrast, the mediating effect of heterosexual support is shown to be insignificant. Based on the analyses, practical strategies regarding social stigma,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coming out are suggested for sexual minorities. The social stigma should be reduced and society-scaled campaigns promoted in order to improve their level of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institutional protection should be developed and specialized educational courses on human rights provided which will empower these minorities with self-help mechanisms. Furthermore, issues such as establishing support system and providing a social welfare system for the sexual minority community are discussed.

      • KCI등재

        개인의 지역소속감이 사회 소수자 포용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참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경화(Kyeong-hwa Pak),이승혁(David Lee) 한국지방행정학회 2024 한국지방행정학보 (KLAR) Vol.21 No.2

        지역사회의 구성원이 다양해지면서 잠재적 갈등수준이 높아지는 바,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정체성이 다양한 이질적인 집단을 포용하는 방향으로 발현되는지 확인하고, 사회 포용성 수준을 높이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논의를 이끌어내는 데 있다. 따라서 사회 정체성 이론 및 사회 자본의 유형별 논의를 활용하여, 지역정체성이 사회 포용성이 미치는 영향과, 나아가 사회 포용성 수준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서 사회참여의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행정연구원의 2023년 사회통합실태조사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역정체성(소속감)과 사회 포용성은 부정적 관계를 보였다. (2) 결속형 참여 중 동창회・향우회 참여는 (1)의 관계에 유의하지 않은 영향을 미친 한편, 지역사회 참여는 긍정적으로 조절하였다. (3) 교량형 참여는 사회 포용성 및 (1)의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는 사회 소수자 집단에 대한 포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지역정체성 및 사회 참여의 유형에 대한 세심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an individual’s local identity and the inclusion toward social minorities, explor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Applying Social Identity theory,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on whether local identity expresses as a common in-group identity. Using data set from the ‘Social integration survey’ on 2023, this study shows the following results; (1) local identity(sense of belonging) and social inclusion toward social minorities shows a negative relation; (2) local participation out of bonding participation has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social inclusiveness, while alumni association has non-significant effect; (3) bridging participation has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social minor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attributes of social participation as well as individual’s sense of belonging toward local community, in order to enhance social inclusion for social minority groups.

      • KCI등재

        소수의 의견은 항상 침묵하는가? 댓글의 예의·무례함과 소수 의견 지지비율이 소수 의견 입장자의 의견표현 의지에 미치는 영향

        구유모(Gu, Yumo),이장근(Lee, Jang Geun),김용환(Kim, Yonghwan)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댓글의 예의·무례함과 소수 의견 지지비율이 소수 의견 입장자의 의견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소수 의견 입장자가 어떠한 상황에서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고자 하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부정적 정서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개인의 심리적 요인의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연구가설과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2(예의 있는 댓글/무례한 댓글) × 3(소수 의견 지지비율 15%/30%/45%)의 집단 간 실험 설계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무례한 댓글보다 예의 있는 댓글이 많을수록 소수 의견 입장자의 의견표현의지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수 의견 지지비율이 15%일 때보다 소수 의견 지지비율이 30%와 45%일 때 의견표현 의지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소수 의견 지지비율이 30%와 45%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예의 있는 댓글 환경에서 소수 의견 지지비율이 30%일 때 다른 지지비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의견표현 의지를 나타냈다. 하지만 무례한 댓글 환경에서는 소수 의견 지지비율이 45%일 때 의견표현 의지가 가장 높았다. 매개효과 검증 결과 부정적 정서는 댓글의 예의·무례함과 소수 의견 입장자의 의견표현 의지간의 관계를, 소수 의견 지지비율과 소수 의견 입장자의 의견표현 의지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의 경우 소수 의견 지지비율과 소수 의견 입장자의 의견표현 의지의 관계에서만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논의했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civility/incivility of comment and the percentage of minority opinions affect the willingness to speak out for minority opinion holders. By doing this, we explored the conditions for the minority opinion holders to speak out. We focused on how civil and uncivil comments online affect the willingness of minority opinion holders to express their opinions on social media. We also examined the impact of the proportion of similar opinions in the comment section on the minority opinion holders" willingness to speak out. In addition, the mediating role of negative emotions and social support was examined in the proposed relationship. The present study utilized a 2 (comment civility: civil vs. uncivil) × 3(minority-supportive opinion proportion 15% vs. 30% vs. 45%) factorial desig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ivil comments significantly led to higher likelihood of minority opinion holders’ willingness to speak out compared to uncivil comments. Second, minority opinion holders in the condition of 15% of supportive comments were less likely to express their opinions, compared to 30% and 45% of supportive comments. But there are no major differences between 30% versus 45% conditions in the willingness to speak out. Third, in the case of civil comments, minority opinion holders in the condition of 30% of supportive comments were most likely to speak out in public, compared to conditions of 15% and 45%. However, in the case of uncivil comments, those who read the 45% supportive comment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willingness to express their opinions than conditions of 15% or 30%. In addition, negative emotions, caused by uncivil comments discouraged the minority opinion holders’ willingness to speak out. Likewise, the higher presence of supportive opinions led to higher social support, which in turn increased the willingness to express their opinions publicly. On the other hand, civility of comments did not affect social support, and thus exerting no effect on the willingness of public expression.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findings.

      • KCI우수등재

        이주외국인과 성소수자에 대한 ‘사회적 관용’의 구조와 정책적 함의: 탐색적 비교연구

        원숙연 한국행정학회 2017 韓國行政學報 Vol.51 No.3

        In Korea, as new policy target groups, foreigners and homosexuality cause social conflict, given that the former is contrary to uni-ethnic traditions and the latter is contrary to heterosexuality as a social norm. In addition, policy responses toward these groups are more likely to be considered a“ wicked problem,” as there is a lack of related policy experience and policy legacy. In order to make relevant policy decisions and to ensure policy compliance to resolve social conflict surrounding foreigners and homosexuality, it is important to uncover perceptions of foreigners and homosexuality among the general public as taxpayers and majority groups. Keeping this in mind, this study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explores public perception of foreigners and homosexuality and factors related to this perception, paying special attention to the concept of “social tolerance.”This empirical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World Value Survey (WVS) Wave 6 of 1200 members of the general public.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perceptual differences of the majority concerning foreigners and homosexualit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public are not tolerant of either foreigners or homosexuality. In particular, homosexual people are deemed as “abnormal or pathologic” rather than a mere “minority group.” Second, factors that affect tolerance are differentiated by group. Educational attainments, age, and trust in people are related to social tolerance regardless of the group; employment status, religion, and belief in fairness are related to tolerance of foreigners alone; while gender and political ideology are related to tolerance of homosexuality. Theore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for the findings are discussed, especially in terms of differentiability in theory of and policy responses toward social minorities. ‘새롭게’등장한 소수집단으로 이주외국인과 성소수자는 단일민족과 이성애라는 지배적 가치관에 배치됨으로써 사회적 갈등을 내포한다. 또한 관련된 정책경험이나 ‘정책유산’이 축적되지 않아 공공난제(wicked problem) 가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들 집단에 대한 효과적이고 실효성 있는 정책대안을 만들고 정책순응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다수집단이면서 정책비용의 (잠재적) 부담자인 일반국민이 이들 집단에 대하여 갖는 인식의 구조를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 정책은 진공상태가 아닌 다양한 행위자(집단)의 상호작용에 의해 선택되고 구성되는 사회적 산물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 연구는 사회적 관용(social tolerance)에 주목하여 이주외국인 및 성소수자에 대한 수용인식과 그러한 인식과 관련이 있는 요인을 이론적으로 논의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의 경험적 타당성을 1200명의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한 제6차 세계가치조사에 기초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이주외국인과 성소수자에 대한 인식의 차별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에서 이주외국인 및 성소수자에 대한 관용은 전반적으로 낮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가 발견되지 않는다. 특히 성소수자는 단순한 소수자를 넘어서 ‘비정상적인 집단’으로 인식되는 상황이다. 둘째, 이주외국인과 성소수자에 대한 사회적 관용과 관련이 있는 요소에 동질성과 차별성이 공존한다. 교육수준, 연령, 인간에 대한 신뢰는 두 집단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관련된다. 그러나 이주외국인에 대해서는 고용지위, 종교 그리고 공정성에 대한 믿음이, 성소수자에 대한 관용은 성별과 정치이념에 따른 차이가 발견되었다. 셋째, 이처럼 이주외국인과 성소수자에 대한 사회적 관용과 관련된 요인이 차별적이라는 점은 두 집단에 대한 인식의 속성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한다. 이러한 차별성은 소수집단과 관련한 개념적 분화와 정책적 대응의 분화필요성을 강하게 제기한다. 이상의 결과가 갖는 의미와 정책적 함의를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