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네카 분노론의 철학실천적 변론

        이진남(Jin-Nam Yi)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22 철학논집 Vol.69 No.-

        이 글의 목적은 세네카 분노론이 철학실천적 측면에서 아리스토텔레스나 필로데모스의 분노론보다 오히려 더 현실적이라는 사실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제2절에서는 세네카 분노론의 이론적 측면인 분노의 정의, 원인, 발생 단계, 속성을 분석한다. 분노는 ‘부당하게 당한 불의에 대해 복수하려는 욕망’으로 정의되고 정념 혹은 악덕으로 분류된다. 분노의 원인은 불의를 당했고 자신은 잘못이 없다는 생각이고 자발적으로 동의한 악덕이다. 분노는 마음에 들어오는 단계, 숙고를 통해 생기거나 제거되는 단계, 통제 불능의 단계라는 세 단계로 구성된다. 분노는 통제 불능, 백해무익, 원인의 선천성과 후천성, 동의 의존성이라는 속성이 있다. 제3절에서는 세네카 분노론의 실천적 측면으로 분노 예방법, 치료법, 타인의 분노에 대한 대처법을 분석한다. 예방법으로는 격려와 훈계를 통한 훌륭한 성품 기르기, 자존감 높이기, 예상과 성찰, 환경 정비를, 치료법으로는 유예, 초기 진압, 논리적 반박을, 타인 분노 대처법으로는 초기의 기다림, 후기의 수치심과 두려움 유발 전략을 제시한다. 제4절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와 필로데모스의 분노론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세네카 분노론의 우수성을 보인다. 분노를 부당한 무시에 대한 복수의 욕망으로 규정하고 온화라는 일종의 중용을 추구한 아리스토텔레스와 분노를 헛된 분노와 자연적 분노로 나눈 필로데모스에 대해 분노 개념의 정리와 분노의 현실적 조절 불가능성을 주장한 세네카의 논리로 비판한다. 또한 전자의 이상적이고 넓은 의미의 분노 개념에 비해, 세네카의 현실적이고 좁은 분노 개념이 명확한 타게팅, 통제의 현실성, 구체적 방법론 제시, 자존감 강조라는 네 가지 측면에서 우수하다는 점을 밝힌다. 이 작업은 향후 세네카 분노론에 기반한 철학실천적 분노치료 개발을 위한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the use of contrasts and simplifications to aid understanding often makes some people ignore details and distort the arguments of certain thinkers. There has been misconception that Stoic philosophy is an unrealistic idea that imposes extreme self-denial and ignores emotions. Even in the case of Seneca's anger theory, his claim to thoroughly block anger can be misunderstood as an unrealistic method combined with the extreme impression of the Stoics. In this article, I try to reveal the fact that Seneca's anger theory is more realistic than those of Aristotle or Philodemus in terms of philosophical practice. For this, in section 2, I analyze the definition, cause, stage of occurrence, and attributes of anger, which are theoretical aspects of Seneca's anger theory. Anger is defined as “the desire to take revenge for unjustly done injustice” and classified as a passion or vice. The cause of anger is the idea that someone has suffered injustice and that he is not at fault and that he voluntarily agrees to it. Anger consists of three stages: the stage of entry into the mind, the stage that arises or is eliminated through deliberation, and the stage of out-of-control. Anger has the properties of being out of control, harmless, congenital and acquired of causes, and dependence on consent. In Section 3, as a practical aspect of Seneca's anger theory, methods for preventing anger, treatment, and coping with other people's anger are analyzed. As preventive methods, fostering good character through encouragement and admonition, increasing self-esteem, anticipation and reflection, and environmental maintenance are suggested. As treatment methods, probation, initial suppression and logical rebuttal are suggested. And as a method for coping with anger of others, initial waiting, later inducing shame and fear strategy is suggested. In section 4, I introduce Aristotle’s and Philodemus’ theories of anger and show the superiority of Seneca's theory of anger to them. In comparison with Aristotle, who defined anger as a desire for revenge for unjustified disregard, and who pursued a kind of moderation of mildness, and Philodemus, who divided anger into empty anger and natural anger, Seneca, who rearranged the concept of anger and held the realistic uncontrollability of anger, has more appeal. Also, compared with their ideal and broad concepts of anger, Seneca's realistic and narrow concept of anger is superior in four aspects: clear targeting, realistic control, specific methodologies, and emphasis on self-esteem. I expect that this article will be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philosophical practice anger therapy based on Seneca's anger theory in the future.

      • KCI등재

        세네카를 통해 본 감정론의 도덕 심리학적 고찰: <마르키아에 대한 위로>에 나타난 ‘슬픔’의 감정을 중심으로

        손병석 범한철학회 2016 汎韓哲學 Vol.83 No.4

        This paper illuminates Seneca’s view of emotion theory in relation to grief(aegritude) from the perspective of a moral psychology. By analyzing to Marcia on Consolation, I aim to achieve two objects. The one is to investigate Seneca’s understanding of grief and the meaning of human moral progress. Especially I explore how Seneca’s persuasive method for combating grief could make the moral progress between the fool and the wise possible. To do this work, I pay attention to Seneca’s use of exempla and the Stoic view of the death. The other aim is to illuminate that Seneca’s consolatory method on grief is not considered as eclectic one but the Stoic goal of apatheia. For this examination, I inquire a Stoic concern about human beings’ common circumstances and the knowledge of the logos of universe or the nature’s providence and their post mortem existence. 이 글은 세네카의 『마르키아에 대한 위로』(Ad Marciam de consolatione)에 나타난 “슬픔”(aegritude)에 대한 감정론을 도덕 심리학적 관점에서 조명한다. 크게 두 가지 목표를 갖고 『마르키아에 대한 위로』를 분석한다. 하나는 세네카가 생각하는 슬픔에 대한 이해와 슬픔의 극복을 통해 제시되는 인간의 도덕적 진보의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특히 세네카가 슬픔이라는 감정의 전환을 위한 설득방식이 어떻게 현자와 바보사이의 도덕적 진보(profectus)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는지를 고찰한다. 이를 위해 엑셈플라(exempla), 즉 예들을 통한 위로방식과 죽음에 대한 스토아 철학의 관점에 주목한다. 다른 하나는 『마르키아에 대한 위로』에서의 세네카의 슬픔의 극복을 위한 위로 내지 치료 방식이 감정의 순화(metriopatheia)와 같은 절충주의적인 방식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스토아적인 아파테이아(apatheia)적 원칙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세네카가 제시하는 인간의 공통된 실존조건과 자연법칙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 그리고 죽음이후의 세계에 대한 스토아적 설명을 검토한다.

      • KCI등재

        영혼의 치유로서의 철학 - 세네카의 <분노에 관하여>를 중심으로

        이영환 한국문학치료학회 2023 문학치료연구 Vol.66 No.-

        This paper discusses Seneca’s De Ira. The central question this paper raises is: “Are Seneca’s prescriptions against anger relevant and significant to the modern readers? If so, in what sense and under what limitations?” The Stoics define anger as the desire to punish the person by whom you believe you were unjustly harmed. Seneca’s position on anger is quite radical. He claims that anger is the most foul and frenzied passion of all and is the worst enemy of the reason. Anger, having no positive function, should be and can be completely eradicated from the soul. This paper briefly introduces Seneca’s prescriptions against anger and examines the Stoic philosophical background of those prescriptions. Afterwards, I discuss some limitations/qualifications of Seneca’s view mainly with an Aristotelian objection in mind. In the end, I mull over how and under what condition the philosophical therapy of the soul can be helpful. 이 논문은 세네카의 분노에 대하여 를 주제로 한다. 이 글의 중심 질문은 “ 분노에 대하여 에서 세네카가 개진하는 분노에 대한 처방은 과연 지금 현대를 사는 우리의 영혼의 치유로서 유의미한가? 만약 그렇다면 어떤 의미에서 어떤 한도 안에서 그러한가?”이다. 스토아 철학은 분노를 자신에게 부당한 일을 저지른 사람에게 복수하려는 욕망으로 정의한다. 분노에 대한 세네카의 입장은 상당히 극단적이다. 그는 분노가 모든 (나쁜) 감정 중에서도 가장 비천하고 광폭한 것이며 이성의 가장 큰 적이라고 말한다. 분노는 아무런 순기능이 없는 백해무익한 감정으로 영혼으로부터 축출시켜야 하며 축출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분노의 감정에 대한 세네카의 처방을 간략히 소개하고 세네카의 처방이 전제하는 철학적 배경을 논의한 후 세네카의 분노론이 가지는 몇 가지 문제에 대한 필자의 견해를 제시한다. 또한 그의 분노론을 현실에 적용할 때 가지는 의미와 한계에 대해서 논하고 이와 함께 철학적인 이론을 실천적인 정신상담과 치료에 응용하려는 시도가 가지는 한계를 논의한다.

      • KCI등재

        《기획논문-2014년 춘계학술대회 발표》 : 분노조절에 대한 윤리상담적 접근 -세네카의 분노론을 중심으로-

        김대군 ( Dae Gu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4 윤리교육연구 Vol.0 No.34

        이 논문은 분노조절에 윤리상담이 기여할 수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분노조절은 심리학이나 의학이 담당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어온 것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윤리학이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내담자들에게 있어서 그 고민은 심리적 문제라기보다는 윤리적 문제라는 것에 착안해서 내담자들이 교정 받아야 할 것은 그 사람의 윤리적 사고와 실천임을 이야기 하고 있다· 윤리상담은 내담자들의 요청에 의한 자생적인 것으로 역사가 깊다· 이 논문은 일예로 스토아 학파에 속하는 ``세네카의 분노론``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심리 상담이나 치료와 구분해서 윤리상담을 말해야 하는 이유는 내담자들의 근본문제가 약물처방으로 접근할 수 없는 지점에 자리 잡고 있다는 점이다· 심각한 도덕적 갈등은 약물로 해결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윤리상담을 통해서 해결해야 하는 영역인 것이다· 세네카는 윤리학의 실천을 단지 학문적인 훈련이 아니라 자기 자신은 물론 타인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충고하며 상담사 역할을 하는 것으로 봤다· 세네카의 분노론, 행복론, 그리고 그의 잠언들은 마치 윤리상담을 하고 있는 것처럼 도덕적 기준들로써 위안을 주고 있다 이 논문은 세네카의 치유담론이 윤리적 치유 담론이라는 것과 그것이 윤리상담을 통해 분노제거, 분노관리, 분노예방의 실질적 조언으로 윤리상담에 쓰일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is asserting that ethics counseling can contribute to anger control. We have thought that psychology or medicine should takes charge of anger control. I think that ethics can contribute to anger control. Client`s pain is problem that is ethical preferably rather than psychologic problem. It is the person`s ethical casualty and practice that the clients should be cured. Moral principle consultation(Ethics counseling) has forming naturally through long history. Seneca`s ``De Ira`` belonging to Stoa school is case of moral principle consultation. Moral principle consultation is different from mind consultation or treatment. Reason, which must speak moral principle consultation, is that the client`s fundamental problem can not approach by drugs prescription. Serious moral discord can not be stabilized for medicine. It is area that should solve through ethics counseling. Seneca regarded ethics practice as consultor`s role. That ethics is not only theory study. Ethics advises to own and another person and acts as a consultor. Seneca`s De Ira, eudemonics, and his aphorisms is giving people the calm. Seneca`s healing discourse is ethical healing discourse. Seneca is showing through moral principle consultation that anger exclusion, anger management, anger courtesy call are possible.

      • KCI등재

        세네카와 후마니타스

        이창우(Lee, Chang-Uh) 한국서양고전학회 2013 西洋古典學硏究 Vol.50 No.-

        ‘자아의 내면화’는 세네카의 철학적 산문의 한 주제이기는 하지만 우리는 이 말 위에 과장된 내포를 얹어서는 안 된다. 우리는 세네카적 자아를 데카르트적 자아, 즉 사적인 자의식과 유사한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 된다. 그렇다고 해서 세네카적 자아를 플라톤주의적 전통에 따르는, 육체 피구속적인 내면적 공간으로 보아서도 곤란하다. 세네카의 신체-감옥 메타포는 신체와 영혼 사이의 존재론적 이분이 아니라, 참된 가치와 의사(擬似) 가치를 이분하는 평가적 기능을 수행하며, 나아가 우리를 도덕적 성장과 투쟁의 길 위에서 전진할 수 있도록 인도하는 윤리적 기능을 수행한다. 세네카의 자아 아이디어에는 세 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 자아는 소유적 욕구 행위의 대상이다. 그리고 바로 이 점에 인간 자아의 개별성 및 고유성이 근거한다. 세네카는 우리 각자에게 자신을 소유할 것을 혹은 소유하고자 욕구할 것을 명령한다. 둘째, 자아는 내적 불일치라는 근본 특징을 갖는다. 이 불일치는 이중적이다. 한편에서 현재적 자아와 규범적 자아 사이에, 다른 한편에서 현재적 자아와 현재적 자아 사이에 불일치가 존재한다. 그런데 바로 이 불일치 경험을 통해 인간은 자신이 특정하고도 개인적인 존재라는 사실을 깨닫는다. 성장의 길을 걷는 인간은 자신의 개별적 고유성을 자아 동일성 경험이 아니라 자아 비 동일성 경험을 통해 깨닫는다. 셋째, 인간적 자아는 언제나 특정 장소적 좌표점에서 구현된 어떤 것이다. 인간은 자아의 파편화도 경험하지만 바로 이런 파편화 경험을 통해 자신의 구체적 구현성을 지각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 구현성 지각은 인간의 자기완성에 대한 희망을 싹트게 한다. 그렇지만 주의해야 할 것은, 자아에 관한 세네카의 생각과 말은 이론적 목적이 아니라 치료적 목적을 노리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자아에 관한 그의 이야기에서 자아 이론은 없고 자아의 의미는 있다. Even if we may indeed say that the self Seneca talks about is something interiorized, yet we cannot say that it is something similar to the Cartesian self, i.e. the private self-consciousness. Furthermore, we should not see the Senecan self as the body-shackled internal space in accordance with the Platonic tradition. Seneca’s body-prison metaphor plays not the role of an ontological dichotomization between soul and body, but that of an evaluative one between true and pseudo values and, at the same time, that of an ethical function. There are three features in the idea of the Senecan self. First, the self is the object of the activity of possessive desire. This is the very point on which the individuality and uniqueness of the human self is grounded. Seneca strongly recommends each of us to possess ourselves or to desire to do so. In this respect, the Senecan self is performative.Second, the self has inner discord as its fundamental feature. This discord is dual. There exists discord in the human being, on one side, between the occurent and the normative self, and on the other, between an occurent self and another one. It is through his experience of this very discord that a human being realizes himself as a particular and unique being. Those human beings on their way on moral development and struggle come to realize their uniqueness not through the experience of self identity but through that of self nonidentity. Third, the human self is always something embedded at a particular specific place-point under some natural or social coordinate system. The human being indeed experiences the fragmentization of his self, but, through this experience, perceives himself as embedded at a concrete point. And this very perception of his mbeddedness brings him some hope of the perfection of his self. However, Seneca’s talk about the self is aiming at a therapeutic objective, not a theoretical one. In his talk about the self, therefore, there is no theory but a meaning of it.

      • KCI등재

        Humanitas in Imperial Age: Some Reflections on Seneca and Quintilian

        Andrea Balbo 韓國西洋古典學會 2012 西洋古典學硏究 Vol.47 No.-

        The paper begins with a short discussion of a well-known passage of Aulus Gellius, NA 13.17, that concerns the correct meaning of humanitas and continues with a short lexicographic survey about the history of the exegesis of the word. The survey deals mainly with Thesaurus Linguae Latinae, Oxford Latin Dictionary and Neue Pauly’s voices. Afterwards, the paper focuses on the meaning of humanitas and inhumanitas in I century AD, taking as case studies Seneca the Philosopher’s works and Quintilian’s Institutio. After having briefly studied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humanitas and inhumanitas in the two authors, the paper analyses with particular attention some passages (Ep. 65.7, 88.29-30, 95.51-53, 115.3, De tranquillitate animi 15.5; Quint. Inst. 2.2.9-10, 6. pr.10, 12.11.15-17) and aims to show that the educational sense (the Greek “paideia”) is quite absent in Seneca’s works and in Quintilian’s Institutio oratoria. Humanitas concerns in Seneca mainly the domain of philanthropy, the sense of humanity and of mutual connection of human beings and includes both technical meanings (as the Platonic idea of man) and broader sense expressions. For Quintilian also we have to state that the educational sense of the word humanitas seems absent and that it remains at the philosophical level, without specific cultural meaning, but with a practical attitude connected to his activity as a rhetor. Moreover, the analysis shows that, sometimes, the word is connected with adjectives with negative meaning, as in the case of vitiosissima humanitas (Inst. 2.2.9-10). The commented passages aim only to show some results of a work in progress and to propose examples of the rich usage of the word in the above quoted authors and in the Latin literature of the imperial age. As also the former bibliography shows, the research on the sense of the word from Ist to Vth century AD should be continued and improved; this paper aims to be a first step of this inquiry on humanitas during Roman empire, a research that should concern also the periphrasis of the concept, well highlighting the evolution and the changes in the usage of the word during the centuries.

      • KCI등재

        세네카 위로 편지에 나타난 철학상담적 함의: ‘헬비아에게 보내는 위로’를 중심으로

        김진아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4 철학·사상·문화 Vol.- No.44

        본 논문은 세네카가 추방당했을 때 어머니에게 보낸 위로 편지를 분석하고 그 안에 담긴 철학상담적 함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네카는 간통 혐의로 기원후 41년 코르시카로 추방당했는데, 아들의 추방 소식을 듣고 슬픔에 잠긴 어머니를 위로하기 위해 쓴 편지가 ‘헬비아에게 보내는 위로’이다. 세네카는 이 편지에서 추방의 의미를 철학적으로 기술하면서, 추방은 중요하지 않다고 말한다. 따라서 자신은 불행하지 않고 그렇기 때문에 어머니가 슬퍼할 이유가 없다고 위로를 전한다. 세네카의 위로 편지를 통해 하나의 스토아적 삶의 태도를 엿볼 수 있다. 사태 자체보다는 사태를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지가 고통과 슬픔을 극복하는 실천방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세네카의 편지로부터 통찰할 수 있다. 세네카의 편지에 나타난 위로 기법은 구체적이고 명료하다. 본 논문에서는 세네카의 위로가 오늘날 현대인들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지 확인해본다. 이를 위해 ‘추방’, ‘자연’, ‘덕’, ‘철학’이라는 4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편지 내용을 구체적으로 분석한 뒤, 세네카의 위로 편지에 드러나고 있는 철학상담적 함의를 밝히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Seneca's comfort letters to his mother during his banishment and shed light on their implications for philosophical counseling. Seneca was banished to Corsica on a charge of adultery in 41 AD and wrote Consolation to Helvia to comfort his mother that was sorrow-stricken to hear the news of his son's banishment. In this letter, Seneca talks about the meanings of banishment philosophically and says that banishment is not important. He is not thus unhappy, and his mother has no reason to get sad. This was his way of comforting his mother. Readers can take a peek at his stoic attitude toward life in his comfort letter. One can get an introspection that how to accept a situation can be a way to overcome human pain and sorrow rather than the situation itself from Seneca's letter. His technique of consolation in his letter is specific and clear. The present study examined if his consolation could be applied to modern people today by analyzing specifically the content of his letter with a focus on four keywords including "banishment," "nature," "virtue," and "philosophy" and figuring out his comfort letter's implications for philosophical counseling.

      • KCI등재후보

        『바울과 세네카의 편지』의 목적에 대한 재고: 변증적 목적

        김주한 ( Kim Joo Han ) 개혁신학회 2017 개혁논총 Vol.43 No.-

        본 논문은 신약 위경인『바울과 세네카의 편지』의 목적을 재고하며, 그 일차적인 목적이 기독교 변증적 목적이 있음을 논증한 글이다. 전통적으로 학자들은『바울과 세네카의 편지』는 내용이 없으며 무의미한 위경 문서로 취급했다. 그러나 이는 진위성(역사적 바울과 세네카의 교류)의 문제에 있어서 그러한 것이지, 이 문서 자체가 갖는 역사적 가치를 평가했던 것은 아니다. 이제 분명히 위경 문헌으로 밝혀진 여러 문헌들의 역사적 가치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으로 진행되면서 해당 문헌들의 의미를 새롭게 규정하는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학자들이 제시하는『바울과 세네카의 편지』의 출현 시기와 더불어 본 편지들의 내용에 근거하여 본 편지 모음집이 기독교 핍박(대 박해)이 심하던 주후 4세기초, 로마 당국으로부터 호의를 얻고 기독교를 변증하기 위해 스토아주의의 대표인 세네카와 기독교의 대표 사도 바울의 가상적 교류를 설정하여 작성된 편지임을 제안한다. In rethinking the aim(s) of the Correspondences of Paul and Seneca, I suggest its primary purpose to be apologetic. Most scholars have treated this letter collection to be without-content and useless forgery. In fact, such evaluation was often based on the issue of its authenticity(were Paul and Seneca really contacted in the first century C.E.?), not on its historical value and meaning(s). However, in recent years apocryphal and pseudepigraphal writings have been re-evaluated in terms of it historical value and meaning(s). Agreeing that all writings have their own value and meaning(s) in their times, I insist in the basis of the internal evidence(i.e. analysis on letters) that this letter writer composed it in the times of “Great Persecution” or a little bit later(ca. 300 C.E.) in order to get a favor from Roman authorities and defend the Christianity through creating a fictitious relationship between Seneca a great teacher of Stoicism and Paul a great apostle of Christianity.

      • KCI등재

        분노해결기법과 사례연구 - 세네카의 <분노에 대하여>를 바탕으로 -

        손동선 대한철학회 2017 哲學硏究 Vol.144 No.-

        In this essay, I modify and improve an anger-solving approach based on Seneca’s theory of anger. Seneca proposed his own theory on anger and its therapy in his book, De Ira. Jin-Nam Yi developed five-step-anger-solving approach based on Seneca’s theory and John Dewey’s problem-solving steps. I show that Yi’s approach is restricted in preventive short-term therapy with a constricted concept of anger. I also propose that we should treat controllable anger on preventive levels and uncontrollable anger on therapeutic levels. Adding the sixth step, ‘jumping’ in order to treat counselees with uncontrollable angers, I suggest a new anger-solving approach with clinical examples. 세네카는 <분노에 대하여>를 통하여 세네카 특유의 분노의 특성과 분노의 예방・치유법을 제시했다. 이진남은 세네카의 분노 개념과 치유법에 존 듀이의 문제해결기법을 결합하여 다섯 단계의 분노해결기법을 고안했다. 그리고 이 기법으로 분노를 조절하고 제어하는 임상모델을 제시한다. 하지만 이진남의 시도는 분노를 제한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예방적 단기치료라는 한계점을 노정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필자는 세네카가 구분한 분노 1,2단계는 통제 가능한 분노, 분노 3단계는 통제 불가능한 분노로 구분한다. 통제 불가능한 분노를 분노 자체인 분노와 분노로 인해서 유발된 문제를 함의하는 분노로 규정한다. 그리고 통제 불가능한 분노 중 분노 자체로서의 분노는 예방적 차원으로, 분노로 인해서 유발된 문제는 치유적 차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분노해결기법의 3단계인 ‘이해’의 단계를 수정하고 ‘도약’ 이라는 6단계를 추가하여 기법을 보완한다. 이를 기반으로 통제 불가능한 분노에 노출된 내담자의 실제 사례를 임상모델로 제시하며 철학상담의 효과성과 정체성을 제시할 것이다.

      • KCI등재

        분노해결기법과 사례연구

        손동선(Son, Dong-seon) 대한철학회 2017 哲學硏究 Vol.143 No.-

        세네카는 〈분노에 대하여〉를 통하여 세네카 특유의 분노의 특성과 분노의 예방 치유법을 제시했다. 이진남은 세네카의 분노 개념과 치유법에 존 듀이의 문제해결기법을 결합하여 다섯 단계의 분노해결기법을 고안했다. 그리고 이 기법으로 분노를 조절하고 제어하는 임상모델을 제시한다. 하지만 이진남의 시도는 분노를 제한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예방적 단기치료라는 한계점을 노정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필자는 세네카가 구분한 분노 1,2단계는 통제 가능한 분노, 분노 3단계는 통제 불가능한 분노로 구분한다. 통제 불가능한 분노를 분노 자체인 분노와 분노로 인해서 유발된 문제를 함의하는 분노로 규정한다. 그리고 통제 불가능한 분노 중 분노 자체로서의 분노는 예방적 차원으로, 분노로 인해서 유발된 문제는 치유적 차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분노해결기법의 3단계인 ‘이해’의 단계를 수정하고 ‘도약’ 이라는 6단계를 추가하여 기법을 보완한다. 이를 기반으로 통제 불가능한 분노에 노출된 내담자의 실제 사례를 임상모델로 제시하며 철학상담의 효과성과 정체성을 제시할 것이다. In this essay, I modify and improve an anger-solving approach based on Seneca’s theory of anger. Seneca proposed his own theory on anger and its therapy in his book, De Ira. Jin-Nam Yi developed five-step-anger-solving approach based on Seneca’s theory and John Dewey’s problem-solving steps. I show that Yi’s approach is restricted in preventive short-term therapy with a constricted concept of anger. I also propose that we should treat controllable anger on preventive levels and uncontrollable anger on therapeutic levels. Adding the sixth step, ‘jumping’ in order to treat counselees with uncontrollable angers, I suggest a new anger-solving approach with clinical examp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