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내재적.외재적 전공선택동기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문제의 매개효과

        신선임(Shin Sun 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문제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고, 전공선택동기를 내재적 전공선택동기와 외재적 전공선택동기로 세분화하여 각각의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지역 4년제 대학생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했었다. 수집된 자료는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한 후,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변인들 간의 구조모형을 분석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문제는 내재적 전공선택동기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다. 둘째,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문제는 외재적 전공선택동기와 진로결정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지만, 외재적 전공선택동기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았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내재적 전공선택동기 및 외재적 전공선택동기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를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문제가 매개하는지를 살펴보았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ection motivation and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on career decision level among college students, and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on intrinsic major selection motivation versus extrinsic major selection motivation. Methods The surveys were conducted on undergraduate students. The data of 450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ere utilized. Th bootstrapping test was performed to test the mediation effects. Results The main results included: First,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career decision level. Second,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insic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career decision level, while extrinsic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did significantly affect career decision level. Conclusions This study sought to elaborate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in the relationship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to career decision leve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부지선정 방식 해외사례 분석

        김혜림,김민정,박선주,윤운상,박정훈,이정환 대한지질공학회 2023 지질공학 Vol.33 No.2

        Site selection processes for high-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ies in different countries differ in terms of local geology and degree of public engagement. There seem to be three alternative processes for site selection: (1) selection with community consent after government choice; (2) selection with continuous community engagement after exclusion of unsuitable areas based on existing survey data; or (3) site selection where communities have expressed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The Yucca Mountain site in Nevada, USA, was selected as the final disposal site by process (1) through six stages, but its development was suspended owing to opposition from the local governor and environmental groups. In Sweden, Switzerland, and Germany, process (2) is used and sites are selected through three stages. Sweden and Switzerland have completed site selection, and Germany is currently engaged in the process. The UK adopted process (3) with six stages, although the process has been suspended owing to poor community participation. In Korea, temporary storage facilities for spent nuclear fuel will reach saturation from 2030, so site selection must be promoted through various laws and systems, with continuous communication with local communities based on transparent and scientifically undertaken procedures. 본논문은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부지선정 과정의 해외사례를 알아보고, 각 나라별 부지선정 과정 각 단계에서 고려되는 항목을 알아보는 데 중점을 두었다. 부지선정 과정은 지역 주민들의 의견이 반영되는 시기와 각 나라별 지질학적 상황에 따라 선별기준이 서로 다르다. 처분 선도국의 경우 부지를 선정하는 방식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는데, 첫 번째는 정부 주도의 부지선정 후 주민동의를 통해 부지를 선정하는 방식이고, 두 번째는 기존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배제지역을 제외한 후 지역사회와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부지를 선정하는 방식이고, 세 번째는 자발적 참여 의사를 밝힌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부지선정을 하는 방식이다. 첫 번째 방식에 해당하는 미국의 경우 총 6단계의 부지선정 단계를 통해 네바다주의 Yucca Mountain을 최종 처분부지로 선정하였으나 주지사와 환경단체의 반대로 중단된 상태이다. 두 번째 방식에 해당하는 스웨덴, 스위스, 독일의 경우 총 3단계의 부지선정단계를 통해 부지를 선정한다. 스웨덴과 스위스는 부지선정을 완료했으며 독일은 현재 3단계 중 1단계의 Step 2를 진행 중이다. 세 번째 방식에 해당하는 영국의 경우 총 6단계의 부지선정 단계를 계획하여 선정 과정을 진행하다가 지역사회의 참여저조로 중단되었으며, 그 이후 지역사회와 협력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추진 중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2030년부터 원전 내 사용후핵연료 임시 저장시설이 포화 되기 시작하므로 부지선정 추진이 필요하다. 법과 제도를 확정하는 것을 우선으로 하여, 부지선정을 추진하고 이 과정에서 투명한 절차로 과학적 근거에 기반하여 지역사회와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부지선정을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어 교육을 위한 시 작품 선정 기준에 대한 고찰

        권현숙(Kwon, Hyun-sook)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5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아랍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학 교육에서 시장르의 작품 선정 기준에 대해 제언하는 것이다. 시는 자연이나 인생에서 일어나는 느낌과 생각을 짧고 압축된 말로 노래하듯이 표현한 글이다. 시는 짧고 압축된 말로 표현되어 난해성과 모호성이 있고 그로 인해 이해하기 힘든 장르라고도 하지만, 다른 문학 작품보다 텍스트가 짧기 때문에 쉽게 암기할 수 있다. 그리고 반복적인 운율이 있어 리듬이 있고, 놀이를 하는 것처럼 학습에 쉽게 접근해서 수행 활동이 가능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현재 출판되어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여 시 작품을 통한 문학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증가하고 있는 아랍어권 학습자들에게 문학 장르 중 시를 통한 문학 교육을 위해서 어떤 작품을 선정해야 하는지 그 기준을 살펴보고 제언하고자 한다. 먼저 초급 단계에서는 첫째, 시의 의미보다 언어 형태에 중점을 둔 작품을 선정해야 한다. 둘째, 짧은 어구가 반복되는 작품을 선정해야 한다. 셋째, 리듬감이 많은 작품을 선정해야 한다. 그리고 ‘동시’가 이 세 가지 선정 기준에 부합된다고 강조하였다. 중급 단계에서는 첫째, 가족의 사랑과 결속에 대한 작품을 선정해야 한다. 둘째, 지조와 의리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작품을 선정해야 한다. 셋째, 가난과 같은 아픈 시대 상황을 보여주는 작품을 선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고급 단계에서는 첫째, 한국의 전통과 문화를 배울 수 있는 주제의 작품을 선정해야 한다. 둘째, 한국현대의 여성상을 보여주는 작품을 선정해야 한다. 셋째, 남녀의 아름다운 사랑을 노래하고 있는 작품을 선정해야 한다. 넷째, 삶과 죽음을 주제로한 작품을 선정해야 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election criterion of poetry i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for Arabic learners. Poetry is a form of literature that expresses the emotions and thoughts of daily life with aesthetic and rhythmic qualities of language. Some say poetry encapsulates many words into short language so it is abstruse and difficult to understand, but since it is short in its form, it is easier to memorize compared to other form of literature. And with the use of assonance, poetry is rhythmical, allowing learners to easily access and enjoy learning. Therefore, this study first analyzed the Korean Culture Education, particularly with the poetry from the existing Korean learning materials and based on the analysis, suggests selection criteria of adequate poetry for growing number of Arabic speakers. First, for the beginners, it is best to select poems that are more focused on its form than the meaning. Second, poems with repeated short phrases should be selected. Third, rhythmical poems should be selected. The study suggests the poem that meets the three criteria is the ‘Dong-si (children’s poem)’.For Intermediate level learners, first criterion is that the poem should be about love and unity of family. Second, the poem that shows loyalty and high-principled attitude should be selected. Third, the one that reflects miserable situations such as poverty should be selected. For learners in the advanced level, the poem with a theme that helps them to learn about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custom should be selected. Secondly, the one that shows modern images of women in Korea should be selected. Thirdly, the poem that speaks about beautiful love between men and women should be selected. Last criterion of adequate poem should be the theme of life and death.

      • KCI등재후보

        치기공과 학생의 전공선택확신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전문직업성의 매개효과

        정효경,곽동주,최주영 대한치과기공학회 2015 대한치과기공학회지 Vol.37 No.4

        Purpose: The following study analyzes the mediating effects of professional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election conviction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dental technology students. It is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the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and an effective way to train professionals of the college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dental technology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18.0.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reliability, frequency, multiple-way ANOVA,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To test for significance on each item, p<0.05 has been decided as a standard. Result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students’ age and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brin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jor selection conviction, career decision level and professionalism. Professionalism has been found to bring significance mediating effects in relation to major selection conviction and career decision level. Conclusion: To improve the quality and pride as a professional as well as satisfaction with major selection can be expected to raise the standard of the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 KCI등재

        기업의 공급업체 선정 시 FTA 관련 요인의 중요도 수준에 관한 연구

        김재하,이정윤 한국물류학회 2019 물류학회지 Vol.29 No.4

        Many companies are putting a lot of effort into selecting good suppliers to generate more profits and gain a comparative advantage. Traditionally, factors such as low supply prices and compliance with lead time were recognized as important elements in supplier selection. However, with the recent brisk signing of FTA agreements and rapid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at home and abroad, the possibility of companies making new decisions, such as changes in suppliers, is widening.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FTA-related factors to traditional factors that companies considered important in selecting suppliers in the past. To this end, the company’s supplier selection factors were divided into four main items and 12 detailed item factor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interviews with purchasing experts, and were stratified into two levels. Based on this, the purchasing managers’ survey and AHP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se the relative location and importance of FTA-related factors among the factors selected by existing suppliers and to derive their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FTA-related factors are seen as factors for selecting new suppliers in terms of enhancing price competitiveness by utilizing tariff favors and raising service levels by sharing information of origin. This shows that the factors of selecting a company’s suppliers can vary depending on the change in the business environment and changes in their importance and priorities, an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practical decision-making process for strengthening the company’s competitiveness in a rapidly changing trade environment. 오늘날 기업은 보다 많은 이윤창출과 비교우위 획득을 위해 우수한 공급업체 선정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통적으로 낮은 공급 가격, 납기 준수, 양호한 품질 같은 요인은 공급업체 선정에서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최근 FTA 협정이 활 발하게 체결되고 국내⋅외 경환경도 급변함에 따라 기업들이 공급업체 변경과 같은 새로운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이 확 대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이런 변화 추세를 고려하여 기업의 공급업체 선정 요인을 분석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이 과거 공급업체 선정에서 중요하게 고려했던 전통적인 요인들에 FTA 관련 요인들을 추가하여 이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구매 전문가 인터뷰 등을 통해 기업의 공급업체 선정 요인을 4개의 주 항목과 12개의 세부 항목 요인으로 구분하여 2단계로 계층화하다. 이를 토대로 기업 구매 담당자 및 구매 의사 결정자 설문과 AHP 분 석을 수행하여 기존 공급업체 선정 요인 속에서 FTA 관련 요인들의 상대적 위치와 중요성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다. 분석 결과, FTA 관련 요인은 관세 특혜를 활용한 가격경쟁력 제고와 원산지 정보 공유를 통한 서비스 수준 제고 측면에서 새로 운 공급업체 선정 요인으로 주목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환경 변화에 따라 기업의 공급업체 선정 요인이 다양해 지고 이들의 중요도와 우선순위에 변화가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에 금번 연구 성과는 급변하는 교역환경에서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실질적인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이해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진로스트레스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구영애,서명선,안성식 한국취업진로학회 2020 취업진로연구 Vol.10 No.4

        대학생들은 다양한 경험과 주변환경들로부터 영향을 받아 진로를 결정하여 성숙한 사회인으로 준비 하는 중요한 과정으로 직업 및 사회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오로 지 대학의 입학을 위한 입시 위주의 교육 풍토로 인해 중ㆍ고등교육 단계에서 체계적인 진로지도가 이 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는 본인의 적성이나 흥미에 대한 이해보다는 성적에 따른 합격 위주의 진학을 목표로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대학 입학 후에도 진로에 대한 준비 및 결정 단계에서 정서적ㆍ심리 적 스트레스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이처럼 대학생들은 학교의 사회적 인지도나 성적에 맞추어 전공을 선택하여 진학을 하다보니 개인의 가치관이나 적성, 성격이 배재되는 등 자신이 속한 전공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대학생들은 미래를 준비하고 장래 자신의 직업을 결정해야 하는 시기로 진로문제가 가장 큰 스트레스로 작용하는데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다양한 전공선택요인들에 대해 충분 히 고려하지 않은채 입학하여 진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거나 진로미결정 상황에 직면하는 등 진로스트레스와 불안감을 동시에 받게 될 수 있다. 최근 우리나라는 심각한 경제적 침체로 인하여 취업률이 점점 낮아지고 있는 시기로 대학생들은 자 기 정체성을 파악하고 미래지향적 사고와 자신감을 의미하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중요하다. 진로결 정 자기효능감은 진로발달에 큰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적극적인 구 직활동을 유지해 나가고자 하는 자신감의 정도라 할 수 있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결정수준, 진 로탐색 등의 관계 연구에서 진로스트레스를 설명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연구되어지고 있다. 대학에 진학하는 최종 목표는 자신의 적성과 흥미에 따라 자신에게 맞는 직장에 취업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속해 있는 전공에 불만족한 경우도 많으며, 취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거 나 직업선택이 이루어지는 중요한 시점에서 진로 미결정 상황에 직면하기도 한다. 이는 곧 개인의 미래 가 결정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취업은 자아정체성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대학생 들의 전공선택동기와 진로 및 진로스트레스의 각 변인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많이 있지만 전공선택동기 와 진로스트레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진로결정수준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변인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중요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공선택동 기와 진로스트레스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연 구를 진행한 결과, 전공선택동기와 진로스트레스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College life is an important process of determining a career path and preparing as a mature social person, influenced by various experiences and surroundings, and a stage that affects job and social life. However, Korea cannot make systematic career guidance in the middle and high education levels due to the educational climate, which is focused solely on college entrance. In many cases, therefore, the goal is often to enter the school based on grades rather than to understand one's aptitude or interest, causing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ress in the preparation and decision-making stages of one's career even after entering college. As college students choose their majors according to their social recognition or grades, there are cases where the individual's value, aptitude, and personality are excluded and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major. College students have to prepare for the future and decide their future career, and career problems are the biggest stress. Most college students enter the school without fully considering various major selection factors and may experience both care stress and anxiety at the same time, such as having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their career paths or facing undecided situations. Recently, the employment rate has been decreasing due to the severe economic downturn in Korea, so it is important for college students to understand thei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which means future-oriented thinking and confiden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s a variable that greatly affects career development and is the degree of confidence to maintain an active job search with faith in one's abil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s being studied as an important variable explaining care stress in the related studies such as care decision level, career exploration, etc. Although the final goal of entering college is to get a job that suits them according to their aptitude and interest, many students are dissatisfied with their major, sometimes facing undecided situations at an important time when they are preparing to get a job or when their career choices are made. Employment is an important part of self-identity because this is where the future of an individual is determined. Although there are many prior studies on major selection motivations of college students and each variable of career and carer stress, the research on major selection motivations, carer stress,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is insufficient, and the need to predict career decision level is becoming more important. As a result of this study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career stress affecting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it was found that the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career stress affect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 KCI등재

        소득 수준별 기부 행동 변화에 관한 연구

        강철희(Kang, Chul Hee),박태근(Park, Tae Kuen),이수연(Lee, Soo Yeon) 한국사회정책학회 2017 한국사회정책 Vol.24 No.1

        본 논문은 한국 시민의 소득에 따른 기부행동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는 가구소득에 따른 소득수준(income level)별 시민의 기부행동을 연구한다. 기존의 연구들은 소득의 변량과 기부행동의 변량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에 초점을 둔 경향이었으나, 본 논문은 시민 개인에 초점을 두고 각 개인이 속한 소득수준을 각 개인의 가구 소득, 구체적으로는 가구소득 구간으로 측정하면서 각 구간에 따른 기부의 참여 및 기부 규모의 차이가 어떠한 양상을 나타내는지를 헤크만 선택모형을 통해 세부적으로 분석한다. 본 논문은 단일 시점의 자료를 활용한 분석을 행하는 것을 넘어 소득수준별 기부행동의 양상의 경향성을 보다 분명하고 객관적으로 이해해 보려는 시도에서 2011년과 2013년, 2015년의 ‘사회조사’ 자료를 동시에 활용하여 순수 자선적 기부(secular giving)에만 초점을 두고 분석한 결과, 가구소득별 기부참여는 시점에 상관없이 일관적으로 가구소득과 비례하는 양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구소득별 기부규모 역시 기부참여와 마찬가지로 일관적으로 소득과 비례하는 양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적 분석을 통해 한국 사회에서의 소득구간에 따른 기부 참여와 규모의 차이에 대한 이해 그리고 경제적 지위에 따라 기대되는 양상과 현실과의 차이 혹은 일치 등에 대한 이해를 제고시켰다. 본 연구는 전국단위의 국가자료를 활용하여 한국 시민의 기부행동을 소득수준의 측면에서 세부적으로 조명하여 이에 대한 이해를 제고 및 심화시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를 갖는다. 동시에 기부문화 구축의 과정에 놓여 있는 우리 사회에서 소득수준의 측면에서 볼 때 과연 어떤 과제가 존재하는지를 논의하는 점에서 사회변화를 위한 실천적 의미도 갖는다.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citizens’ giving behavior by household income level. Particularly, it focuses on participation and amount of secular giving by using ‘Social Survey’in 2011, 2013, and 2015 from the Bureau of Statistics and employing Heckman selection model for statistical analysis. This study shows that citizens’ participation has a proportional tendency by their income level. Similar to participation of secular giving, citizens’ giving amount has also a proportional tendency by their income level. However, the degree of proportional tendency seems not to be significant in the case of amount of secular giving. This empirical analysis promotes understanding of participation and amount of secular giving by citizens’ income section in Korea by showing the differences. This paper provides meaningful empirical understanding regarding citizens’ secular giving behavior by their income level. In addition, it offers important clues to motivate relevant prospective studies and develop social agenda which contribute to strengthening giving culture in Korea.

      • 對일본 중소기업 기술수준의 결정요인과 정책 수요 연구: ICT 기업을 중심으로

        전승표(Seung-pyo Jun)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9 No.11

        최근 대두되고 있는 일본 수출규제와 같은 지정학적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특정 국가에 대한 기술 의존을 축소해야 한다. 이 연구는 이런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중소기업의 對일본 기술수준 제고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기술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찾아 효율적 정책 수립에 일조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對일본 기술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로 기업과 기술의 특성, 경쟁력, 연구개발 비용이나 인력 외에도 세계대비 기술역량들을 고려했으며, 특히 ICT 분야 여부를 같이 고려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국내 R&D 중소기업의 일본 대비 기술수준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최근 ICT 기업은 개선의 가능성을 보였다. 최량 부분집합 선택 기반의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둘째, R&D 중소기업의 對일본 기술수준은 높은 수준의 기술을 연구하면서, 제조가공 능력을 겸비한 ICT 기업 중 국내 지식재산권을 다수 보유한 기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ICT 기업으로 한정하면, 오히려 신생기업과 규모(연구인력)가 적은 기업이 오히려 기술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국내 R&D 중소기업의 對일본 기술수준의 결정요인이 산업별로 다를 수 있음을 보였고, 결정요인뿐만 아니라 정책적 요인을 같이 분석함으로써 두 가지 차원에서 정책적 함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술수준의 결정요인 파악을 통해서 향후 정성적 기술수준 평가를 보완할 계량적 기술수준 평가에도 기여했다. In order to cope with geopolitical risks such as Japan"s recent export regulations, it is necessary to reduce technological dependence on specific countries. In order to cope with these problems, this study intends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echnology level of SMEs compared to Japan. In this study, in addi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companies and technologies, competitiveness, R&D costs and manpower, factors related to technology level compared to Japan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best subset selection method, first, although the technology level of R&D SMEs is decreasing compared to Japan, ICT companies have recently shown the possibility of improvement. Second, in researching high-tech technologies, R&D SMEs with a large number of domestic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mong ICT firms with both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capability were found to have a higher level of technology than Japan. Third, when limited to ICT firms, startups and firms with smaller scale (research personnel) were found to have higher level of technology. This study showed that the determinants of technology level of domestic R&D SMEs compared to Japan may differ by industry, and policy implications can be obtained in two dimensions by analyzing not only determinants but also policy factors. It also contributed to quantitative technology level evaluation, which will complement the qualitative technology level evaluation in the future by identifying the determinants of technology level.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전공선택동기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임민숙,이상민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ed to determine factors that affect nursing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20 students of nursing science department, S university in K city, from whom this research collected data through convenient sampling. And then, the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the SPSS WIN 20.0 program, especially through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it was turned out that the factor having the greatest effect on nursing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was self-efficacy, followed by major satisfaction and age in order. Also, it was found that those three factors accounted in total for 28.5% of that leve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upportive measures such as helping nursing college students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get more career information be taken to improve their career decision level and that further research be made to clarify nursing college students’ social supports, motives for major selection and career decision level.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K시에 소재한 S 대학 간호대학생 22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편의표집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 program을 이용하여 피어슨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의 영향요인으로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연령으로 나타났다. 설명력은 28.5%였다. 진로결정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본인 스스로 자기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 진로에 대한 정보를 많이 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과 사회적지지, 전공선택동기와 진로결정수준을 확인하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Genetic Improvement of Some Traits in Four Strains of Silkworm, Bombyx mori L.

        ( S. H. Hosseini Moghaddam ),( N. Emam Jomeh K. ),( S. Z. Mirhosseini ),( M. R. Gholamy ) 한국잠사학회 2005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Vol.10 No.2

        A breeding plan was carried out on four commercial strains of silkworm (Bombyx mori L.) 101, 102, 103 and 104 to improve some important traits. Genetic gain or response to selection (△G), heritability of cocoon shell weight (CSW) and specific combining ability effects were estimated to determine the strains that can be improved. Strain 101 had lowest heritabitity, △G and viability. Strain 102 was acceptable in selection response but its viability was low. Therefore these two strains were not suitable for more selection. As a result, only lines 103 and 104 were chosen for further improvement. Intra population selection based on independent culling level method practiced from third to sixth generation for both productive and viability traits simultaneously. While CSW and CW had increasingly enhanced during primary generations, they went slightly up after third generation. According to negative genetic correlation, viability decreased during primary generations, but after third generation that paid attention to balanced development of both productive and viability traits, viability increased so that the pupation rate reached to 91% in 103 and 97% in 104 for last generation .(G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