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기도 지역안전지수 분석 및 개선 방안

        봉태호,전소영,권재우 경기연구원 2020 경기개발연구원 기본연구 Vol.- No.-

        정부는 지자체 안전관리 책임을 강화하고 취약요인에 대한 자율적 개선을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5년부터 안전수준을 계량화한 지역안전지수를 공표하고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안전지수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마련을 위하여 안전지표별 통계자료를 수집하고 현황 및 타 지역과 비교를 통하여 지표별 안전수준을 정략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취약요인 도출하여 지역안전지수 개선을 위한 주요 안전사업 및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또한, 31개 시군의 지역안전지수에 대한 지역적 격차를 정확하고 상세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경기도 통계자료만을 대상으로 지역안전지수를 표준화하고 안전등급을 상세화하여 안전분야별 취약지역 및 지표별 변동성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경기도민의 안전의식 및 안전분야별 체감안전도, 지역안전지수 산정을 위한 지표별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도민의 안전의식 및 체감안전도를 조사한 결과 거주하는 시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개인 안전의식 평균은 75점, 분야별 체감안전도 평균은 65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 안전의식이 높다고 응답한 지역일수록 체감안전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의 지역안전지수를 분석한 결과 지표점수에 영향을 주는 주요인은 높은 인구수로 나타났으며 인구수를 기준으로 환산되는 취약지표와 경감지표는 모두 낮게 평가되어 취약지표(인구밀도 제외)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경감지표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약요인 중 가장 중점적으로 안전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는 대상은 재난약자, 독거노인, 고령 인구수에 모두 해당되는 고령층으로 경기도 내 노인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급속한 고령화에 따른 미래 사회의 안전수준 향상을 위해서도 노인에 대한 분야별 안전대책 마련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낮은 안전등급을 받은 범죄 분야의 주 취약요인은 인구밀도로 평균 대비 약 3.8배 높은 수준을 보이며 타 취약지표에 비하여 가중치가 높아 지역안전지수 하락의 주원인으로 나타났다. 취약요인 개선사항으로는 스트레스 인지율로 감소추세이나 타 도와 비교하여 여전히 높은 비율을 보임에 따라 심리적 요인에 대한 대책 마련을 통하여 범죄예방을 도모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감요인의 주요 개선사항으로는 범죄 분야의 기관/인력 인프라를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다양한 신도시가 형성됨에 따라 범죄 발생률, 인구밀도, 도시계획 등을 고려한 지역 파출소를 증설과 경찰 인력충원을 통하여 치안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지역 간 치안서비스 불균형을 해소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는 단기간 강화가 어려움에 따라 범죄예방 CCTV 증설, 자율방범대 운영지원 확대 등을 통하여 범죄 저감을 함께 도모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군별 안전수준 격차를 분석한 결과 28개 시의 경우 안전수준 격차는 변동계수 기준으로 교통사고 분야(21.4%)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다음 화재 분야(19.3%), 범죄 분야(17.6%) 등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안전분야별 경감지표 대부분은 지역적 격차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안전에 대한 균등한 예산투자보다는 지역균형을 고려한 안전사업 계획 및 투자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안전지수는 지자체의 안전에 대한 관심을 제고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갖는다. 하지만 전국을 대상으로 표준화함에 따라 지역 특성을 반영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각 세부지표의 중요도 또한 지역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세부지표의 종류는 지역안전지수 산출의 간편화를 위하여 제한적이며 전국을 대상으로 대표적 지표만을 고려함에 따라 지역 특성이 반영된 취약요인들은 고려되지 못하거나 중요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의 안전수준을 진단하고자 지역안전지수에 활용되는 41개의 통계자료만을 분석대상으로 취약요인을 진단하였으나 안전에는 매우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추후 경기도 지역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취약요인들을 검토하고 평가할 필요가 있다. Safety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quality of life, and it is a right that human beings deser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regional safety index in Gyeonggi province and to derive improvements to improve the safety level.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and to derive vulnerable factors when calculating the regional safety index. In addition, statistical data for each city and county in Gyeonggi province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gaps in safety level and safety infrastructure between regions. The regional safety index for 28 cities was re-standardized based only on Gyeonggi province statistical data, and the safety level has been detailed into 7 grades. As a result, the safety gap between cities and counties was quantitatively identified, and vulnerable regions for each safety field were derived. In addition, the vulnerable factors in Gyeonggi province were identified and improvements were suggested to improve the regional safety index and safety level. The regional safety index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increases the interest of the safety and induces voluntary improvement. However, as it targets the whole country, it is difficult to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importance of safety indicators used to derive regional safety index may differ from region to region.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only 41 statistical data which are used to calculate the regional safety index were analyzed to derive the safety level and vulnerable factors in Gyeonggi Province. However, since various vulnerable factors can affect the safety level, it is necessary to derive and evaluate vulnerable factors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in future studies.

      • KCI등재

        우리나라 지역안전의 공간적 패턴에 대한 연구

        임현철(Lim, Hyun-Chul),박윤환(Park, Yoon-Hwan) 한국지방정부학회 2017 지방정부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가 주목하지 않았던 전국 시군구 단위 지역안전의 공간적 패턴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227개 시・군・구에 대하여 화재・교통사고・범죄・안전사고・자연재해 등 5개 하위 안전 분야 자료를 사용하여 지역안전통합지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탐색적 공간자료분석(ESDA) 기법을 이용하여 지역안전의 공간의존성을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안전 수준은 재난과 안전의 유형 별로 도시와 농촌 간 상당한 격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분야 중 화재와 안전사고의 위험은 도시지역보다 농촌지역에 보다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통사고와 범죄에 쉽게 노출된 지역은 주로 도시권에 분포되어 있었다. 특히 지역안전통합지수의 경우 서울 수도권 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안전한 지역으로 파악되었다. 지역안전통합지수의 공간의존성은 매우 낮았는데 이는통합적 지표에 영향을 주는 개별적 재난 및 안전 요인들의 지리적 특성이 상이한 점이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방정부가 주도하는 지역기반 안전 및 재난관리 전략의 구체화 필요하며 미시적인 지리적 단위를 기초로 지역 내 위험도를 안전 분야 별로 측정하여 그 결과에 기초한 정책 수립이 요구된다는 점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regional safety in Korea to which previous literature has failed to pay scholarly attention. In order to measure the level of regional safety for entire 227 si-gun-gu units in Korea, this study utilized a series of data including fires, traffic accidents. crimes, safety accidents and natural disaster in 2015. This study visualized the level of regional safety in each si-gun-gu unit using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ESDA) technic and then measured spatial dependency of the regional safet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level of regional safety differs by not only types of disasters but also whether places are located in urban or rural areas. The fire and the safety accident are more serious in rural areas compared to urban areas, while cities tend to be exposed to more severe danger of traffic accident and the crime. In addition, Seoul metropolitan region appears to be much safer than the other regions in Korea. However, spatial dependency of the regional safety is significantly low because the composite measure of regional safety is composed of various sub-category indicators which may lead to offset the uniqu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regional safety. Finally, this paper emphasized the necessity of more proactive and place-based strategies by local government and suggested useful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

        GIS를 이용한 도시홍수에 대한 지역안전도 평가

        여창건 ( Chang Geon Yeo ),서근순 ( Geun Soon Seo ),송재우 ( Jae Woo Song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1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4 No.3

        Flood disasters on the metropolis where population and facilities were densely concentrated cause an enormous damag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find risk and vulnerable area for floods, and then mid-long term disaster reduction plan should be established by the results. However, there is no rational method which reflects urban characteristics to estimate the regional safety for flood.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standardized method of regional safety assesment due to urban flood. The proposed regional safety assesment model in this study was combined risk and mitigation score which consisted of three and two element, and 12 assesment factors which effect flood disasters were selected. And then the integrated regional safety was estimated by subtracting mitigation score from risk score. GIS tool was used to estimate the factor assesment and integrated regional safety. Developed regional safety assesment model was applied in Seoul to evaluate the suitability.

      • KCI등재

        실시간 기상 및 대기 데이터를 활용한도시안전서비스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황현숙,서영원,전태건,김창수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8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Vol.21 No.5

        As natural disasters are increasing due to the unusual weather and the modern society is getting complicated, the rapid change of the urban environment has increased human disasters. Thus, citizens are becoming more anxious about social safety. The importance of preparation for safety has been suggested by providing the disaster safety services such as regional safety index, life safety map, and disaster safety portal applic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pplication framework to predict the urban safety index based on user's location with realtime weather/atmosphere data after creating a predication model based on the machine learning using number of occurrence cases and weather/atmosphere history data. Also, we implement an application to provide traffic safety index with executing preprocessing occurrence cases of traffic and weather/atmosphere data. The existing regional safety index, which is displayed on the Si-gun-gu area, has been mainly utilized to establish safety plans for districts vulnerable to national policies on safety. The proposed system has an advantage to service useful information to citizens by providing urban safety index based on location of interests and current position with realtime related data.

      • KCI등재후보

        기초자치단체의 교통안전성 강화를 위한 방안 연구

        오주택,황보희,박준석 한국교통연구원 2009 交通硏究 Vol.16 No.4

        Despite its rapid economic growth, Korea is classified as underdeveloped country of traffic safety which sustains huge damages due to traffic accidents among OECD members. Thus, the government amended the Traffic Safety Act which is the framework of the policy on traffic safety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raffic safety as developed countries. Of those amendments, the most representative thing is to strengthen municipalities’ traffic safety systems. It caused positive results which municipalities could have opportunities driving traffic safety policies and projects more actively and could find the most suitable traffic safety policies of their environments and characteristics. However, most municipalities still have difficulty searching budgets on traffic safety. Besides, effectiveness of traffic safety policy is still insufficient because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of master plans for regional traffic safety were not performed properly due to lack of interest in traffic safety policies, experts on traffic safety, relevant driving force and organizations. In this paper we aimed to understand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current systems for implement traffic safety policies suitable for regional situations and compare with the policies of the USA and other developed countries’ regional traffic safety. We also suggested a substantive alternative to strengthen municipalities’ traffic safety system and enhance their traffic safety. 우리나라는 급속한 경제 성장에도 불구하고 OECD 가입국가 중 교통사고로 막대한 피해를 입고 있는 교통안전 후진국에 분류되어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교통안전부문을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교통안전정책의 기틀이라 할 수 있는 「교통안전법」을 개정하였고, 그 중 가장 대표적인 내용으로 지방자치단체의 교통안전 추진체계 강화를 꼽을 수 있다. 즉, 지방자치단체가 보다 적극적으로 교통안전정책 및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계기 마련과 지역 환경 및 특성에 맞는 교통안전정책을 발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매우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는 교통안전관련 예산 확보가 어려우며, 교통안전정책에 대한 관심 부족, 교통안전 전문가 부족, 추진체계 및 조직 부실 등의 이유로 여전히 『지역교통안전기본계획』의 수립 및 이행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교통안전 정책의 실효성이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초자치단체가 지역 실정에 맞는 교통안전정책을 수립ㆍ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현행 제도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미국 등 주요 선진국의 지역교통안전정책의 현황을 비교ㆍ분석하여 기초자치단체의 교통안전 추진체계를 강화시키는 동시에 기초자치단체의 교통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노인 손상환자의 손상외인과 지역안전등급 간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정욱(Jeong-Wook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9

        본 연구는 노인 손상의 발생이 특정 지역 내 공간의 안전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에 있는지를 실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 수행을 위해 퇴원손상심층조사와 지역안전지수 자료를 결합해 6,572명의 노인 손상환자를 대상으로 손상의도성, 손상발생장소, 손상 시 활동, 손상기전에 따라 지역안전등급의 평균 차이가 있는지를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통계 검증 결과 손상의도성의 하위집단별 지역안전등급의 평균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손상발생장소는 화재(t=-2.513, p<.05), 교통(t=-2.387, p<.05), 안전사고(t=-3.627, p<.001), 자살(t=-3.364, p<.01)의 4개 분야에서 집단 간 평균 차이가 있었다. 손상 시 활동은 화재(F=5.972, p<.01), 자연재해(F=6.454, p<.01), 안전사고(F=11.726, p<.001)의 3개 분야에서 집단 간 평균 차이가 있었다. 손상기전은 화재(F=9.267, p<.001), 교통(F=7.759, p<.001), 안전사고(F=3.285, p<.05), 자살(F=8.973, p<.001), 감염병(F=3.109, p<.05)의 5개 분야에서 집단 간 평균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지역 안전지수의 개별 분야를 연구 소재로 삼은 선행연구의 보고 내용과 비교해 논의한 후 공간의 안전성 차원에서 노인 손상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발생률을 억제하기 위한 3가지의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도출해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a geriatric injury would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spatial safety within a specific region.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to verify difference in mean value of regional safety grade, depending on the injury intentionality, injury location, activities at the time of injury, and injury mechanism, in 6,572 geriatric injury patients by combining the National Hospital Discharge Patients Injury Survey data and regional safety index data. The results of statistical validation suggest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ean value of regional safety grade by sub-group with respect to the injury intentionality. Howeve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erms of the mean value of regional safety grade in each sub-group with regard to the injury location, activities at the time of injury, and injury mechanism in connection with some areas of the regional safety index. Based on the results of such analysis, we derived and presented 3 implications related to policies and practice for the prevention of geriatric injury and a reduction of its occurrence rate in light of spatial safety after a discussion of the results through a comparison with previous studies that examined individual areas.

      • KCI등재

        초등학교 사회과에서의 안전·방재교육의 탐색 - 일본 소학교 사회과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

        심민수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5 사회과교육 Vol.54 No.3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how safety and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was dealt with in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of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s in Japan, which had a similar system to the Republic of Korea, and make an inquiry into safety and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as a new direction to be taken in the social studies subject in the nation. In Japan, they deal with safety education at both the subject education level and the entire school education level to get rid of various risks found in children’s behaviors or external environments with a special focus on the prevention of disasters and calamities and the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due to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the nation involving many disasters and calamities. One of the important goals of safety and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in Japanese elementary schools is to help children develop the abilities of predicting risks they face in daily life and avoiding them. The social studies subject provides safety and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with a focus on measures to be taken in case of natural disaster, fire, and traffic accident with intensive education for the third and fourth graders. In the third and fourth grade social studies textbooks in Japan, the units related to safety and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are organized with a focus on the systems for close collaboration with the activities of concerned agencies and the efforts to prevent accidents so that the students will be alert to safety and disaster prevention and cultivate the qualities required from the members of community. In the Republic of Korea, there is a need to reinforce safety and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in the education of social studies in order to help the students establish their own perspectives for safety and cultivate the concerned functions and offer an opportunity for the entire society to raise the sensitivity level to safety.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체계를 가지고 있는 일본의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안전·방재교육이 어떻게 다루어지는지 살펴보고 우리나라 초등 사회과에서 새롭게 취해야 할 방향의 하나로서 안전·방재교육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일본의 안전교육은 어린이 스스로의 행동이나 외부 환경에 존재하는 다양한 위험을 제거하고자 교과교육뿐만 아니라 학교교육 전체수준에서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재해·재난이 많은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그 예방과 관련된 방재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일본 초등학교 안전·방재교육의 중요한 목표는 어린이들이 일상생활에서 직면하는 위험을 예측해서, 피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그 중 사회과에서는 자연재해·화재·교통사고의 대책을 중심으로 안전·방재교육이 실천되고 있으며, 특히 3·4학년에서 중점적으로 가르쳐지고 있다. 일본의 3·4학년 사회과 교과서의 안전·방재교육 관련 단원은 안전·방재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지역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자질을 기를 수 있도록 관계 기관의 활동에 긴밀히 협조하기 위한 체제, 사고 방지의 노력에 중점을 두어 구성되었다. 앞으로 우리나라의 사회과 교육에서도 안전·방재교육을 강화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안전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수립하고 기능을 함양할 수 있게 하며 나아가 사회 전체의 안전 민감도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소방분야 종사자들의 안전의식에 관한 연구 - 충남지역 소방분야 종사자를 중심으로 -

        홍영호 한국화재소방학회 2015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29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awareness survey for safety and fire fighting safety of lives and generalsafety for fire-fighting sector workers of Chung-nam region.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questionnaire survey. Thequestionnaire respondents were 534 people such as fire-fighting public officials, fire-fighting company worker and safetyrelatedpublic officials.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were subjected to statistical processing, such as frequency analysisusing SPSS win 19.0.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in this study is a Cronbach’ α = 0.710~0.807. According to thesurvey results, Only 15% of the surveyed are think that peoples safety consciousness was high, the remaining respondentsthink the low level of safety consciousness of peoples.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e fire-fighting related safety consciousness,fire-fighting public officials safety consciousness level was 4.2 at standard 5 and safety-related public officialswas 3.59. Safety consciousness level order was fire-fighting public officials > Fire-fighting company workers > safetyrelatedpublic officials. According to the survey, the efforts to decrease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for safety is required. 본 연구는 충남지역 소방분야종사자를 대상으로 일반안전, 생활안전 그리고 소방안전에 대한 의식조사를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는 설문조사로 진행되었으며 설문응답자는 소방공무원, 소방업체종사자, 안전관련 공무원 등 534명이다. 설문결과는 SPSS win 19.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등의 통계처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문의 신뢰도는 Cronbach’α = 0.710~0.807이다. 조사결과에 의하면 국민의 안전의식수준이 높다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전체 응답자의 15%로 소방분야종사자들은 국민의 안전의식수준이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소방안전의식에 대해 소방공무원은 5점 기준 4.2의 인식을 가지며, 안전관련 공무원은 3.59의 안전의식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안전의식수준은 소방공무원 >소방업체종사자 >안전관련 공무원 순으로 조사되었다. 조사결과에 의하면 안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있다.

      • KCI등재

        Will the European Experience Help to Establish a Better Regional Financial Safety Net in East Asia?

        채희율 한국국제금융학회 2019 국제금융연구 Vol.9 No.1

        The East Asian financial safety net, which is now built on the institutional framework of the CMIM and the AMRO, has made considerable progress during the last decade. But it has still serious shortcomings and might not be effective to prevent and resolve financial disturbances in the region. There was no effective regional financial safety net either in Europe right after the GFC and the European fiscal crisis. Europe, on the other hand, has effectively provided provisions to overcome crises by swiftly introducing new systems and improving existing ones. Europe has also shown peculiar example of cooperation between the IMF and regional institutions.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this paper outlines the history of establishing regional financial safety net in the two regions respectively with critical assessments, and draws four lessons from the European experience for East Asia’s safety net in terms of the predictability, the fund size, the surveillance, and the cooperation between the IMF and regional institutions.

      • KCI등재

        일본 나가사키현의 식품안전 정책과 시사점

        전촌선홍 ( Tamura Yoshihiro ),이병오 ( Byung Oh Lee ) 한국식품유통학회 2005 食品流通硏究 Vol.22 No.4

        Recent years consumers are very sensitive to food safety because of the animal diseases and food accidents. In Japan food safety control systems were changed to Risk Analysis System in 2003 after BSE. Also Japanese local governments have conducted various activities to take food safety in their reg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o the food safety system in Japanese local governments. Particularly this study focuses on the Nagasaki Prefecture, to 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food safety system. This study will give some suggestions to Korean local governments to reinforce their food safety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