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채널 시대 TV방송 정치평론가 집단의 특성에 관한 연구

        송승호(Song, Sung Ho),김동규(Kim, Dong Gyu) 한국OOH광고학회 2018 OOH광고학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다채널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방송환경 아래서 ‘시사토크쇼’를 매개로 전례 없이 활성화되고 있는 TV방송의 정치평론을 주도하는 평론가들의 인구사회학적 배경은 무엇이고 평론가 데뷔 이전의 경력 상의 특징은 무엇인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첫째, 성별로는 남성평론가가 대다수를 차지하며 연령별로는 40~50대가 주축임을 보여주었다. 출신지역별로는 영남과 수도권 중심에로의 쏠림 현상이 있었다. 그리고 대부분이 대학졸업이상의 학력을 갖추고 있으며 박사학위 소지자가 전체의 38.1%를 차지하였다. 출신대학의 경우에는 서울소재 대학 출신의 비율이 압도적이며 그중에서도 서울대·연대·고대 등 소위 소수 명문대학 출신이 과반수이상을 점유하였다. 한편 대학은 국내에서 공부했지만 대학원은 외국대학에서 마친 소위 ‘유학파’ 평론가들이 상당수 분포하였다. 전공영역을 살펴본 결과 학부의 경우에는 특이하게도 법학전공이 가장 많았고 대학원의 경우에는 정치학 전공이 가장 많았다. 직업의 경우 현직의 변호사, 교수, 정당인, 신문사재직 언론인 등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정치평론을 직업으로 갖는 즉 전업 평론가는 전체의 10%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들 평론가들의 데뷔이전 핵심경력을 토대로 유형화를 시도한 결과, 현존 평론가그룹은 ‘언론경력 중심의 평론가’, ‘학계경력 중심의 평론가’, ‘정계경력 중심의 평론가’, ‘법조경력 중심의 평론가’ 등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각 유형별로 등장배경이나 활동영역 등에서 차별화된 특징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in a specific manner, who indeed are the political commentators leading TV broadcasting’s political criticism, which is unprecedently invigorated throughout the broadcasting area with the mediation of ‘current affairs TV shows’. The research questions are: What is the socio-demographic background of the political commentators on TV? Which career characteristics do they have prior to their debut as commentators? According to research outcomes, first, the majority of political commentators were male in their forties and fifties. Their hometowns were concentrated in the Yeongnam region or the capital area. In addition, most of them had a bachelor’s degree or higher; 38.1% had doctoral degrees, showing a high level of education overall. As for the place of undergraduate education, universities in Seoul accounted for the vast majority; a few prestigious universities such as Seoul National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and Korea University comprised the vast majority. Meanwhile, commentators who had completed undergraduate studies in Korea but had gone overseas for graduate studies were also substantial in number. As for their major areas, interestingly, law majors accounted for the most in undergraduate school, followed by political science majors in graduate school. The professions of commentators were mostly current lawyers, professors, members of political parties, and journalists employed at newspaper companies. Those whose profession is political commentator accounted for only 10% of all commentators. Second, by categorizing political commentators appearing on TV based on their major work experience, four types were drawn: commentators with journalism-oriented careers, commentators with academia-oriented careers, commentators with politics-oriented careers, and commentators with legal affairs-oriented careers. Differentiated common factors were found in each category.

      • KCI등재

        정치리더십 선호 배경 분석: 기초지방자치단체장 선거를 중심으로

        이성우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2022 亞細亞硏究 Vol.65 No.1

        This article analyzes that basic local government heads and candidates have to build how their career for political leadership is selected and that those who are elected have some specific jobs. Based on candidates of basic local elections 1th~ 6th, this article found that voters preferred some political leadership of basic local government elections in each election. There are careers of local public administrators and basic local government heads to win elections. And based on the two significant jobs of each candidate, two complex variables - political activity+local government head, public official+local assembly – have substantial effects on the win of the election. This article has significant meaning because this article analyzes voters who have preferred some careers for basic local government through exploring candidates’ careers. 본 논문은 기초지방자치단체장으로 선출된 이들과 후보자들이 주로 어떻게 경력을 쌓아오는지와 주로 어떤 경력을 가진 이들이 기초지방자치단체 리더십으로 선출되는지를 분석했다. 1~6회까지의 기초지방자치단체장 선거 후보자들을 분석하여 시대별 흐름 속에서 기초지방자치단체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어떤 정치 리더십을 대중들이 선호하는지 확인하였다. 당선확률이 높은 경력은 행정공무원과 지자체장 경력이다. 경력을 혼합하여 살펴봤을 때, 당선 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경력들은 <공무원+지방의회>, <정치활동+지자체장>이다. 이 분석 결과는 유권자들이 기초지방자치단체장 선출에 있어서 어떤 경력 배경을 선호하는지를 보여준다. 이 연구는 그동안 국내에서는 시도되지 않았던 지방자치단체 리더십의 배경을 분석하여 유권자들이 어떤 경력을 만들어온 후보자들을 더 선호하는지를 경험적으로 보여주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윤리적 행동-커리어 성공의 연계성과 조직 정치의 지각이 커리어 관련 모티베이션에 미치는 영향

        강대석(Kang, Dae Seok),김하연(Kim, Ha Yeon) 한국인사관리학회 2008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윤리적 행동-커리어 성공의 연계성과 조직정치 지각간의 관계와 이들의 커리어 몰입과 훈련에 참여하려는 동기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개념들간의 관계는 기존 문헌들에 근거하여 가설화되었으며, 수도권에 위치한 15개 대기업에 근무하는 477명의 사무직 종사자들로부터 설문을 통해 검증되었다. 구조방정식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SEM)은 윤리적 행동-커리어 성공의 연계성이 조직정치 지각에 대한 강력한 예측변수가 될 뿐만 아니라 이들 두 변수들은 구성원들의 차후 커리어 몰입과 훈련에 참여하려는 동기에 대해서도 직접 또는 간접적인 효과가 있음을 입증했다. 즉, 윤리적 행동-커리어 성공의 연계성은 커리어 몰입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력이 없었지만 지각된 조직정치를 통해 커리어 몰입과 훈련에 참여하려는 동기에 각각 부(-)의 영향을 미쳤다. 조직정치의 지각은 커리어 몰입 및 훈련에 참여하려는 동기에 대한 직접효과 외에도 훈련 참여 동기에 대해서는 커리어 몰입을 통한 간접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ethical behavior-career success association is a significant correlate of organizational politics perception and how the two perceptional variables affect career commitment and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raining. Relationships among the constructs are predicted based on relevant literature, and are tested using survey result form 477 employees working in fifteen of the leading corporations in South Kore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shows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ethical behavior and career success is a significant predictor in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As a mediator, each perception also affects employees' career commitment and their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raining. The implications for theory and practice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중간관리자들의 커리어 및 조직몰입에 대한 조직정치지각의 영향: LMX와 LLX의 조절효과 검증

        코바야시타카코 ( Kobayashi Takako ),김하연 ( Ha Yeon Kim ),강대석 ( Dae Seok Kang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1 HRD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중간관리자급 직원들이 지각하는 조직정치의 부정적 영향을 다중몰입 관점과 개발적 시각에서 설명하고자 했다. 즉 커리어 및 조직몰입에 대한 지각된 조직정치의 상대적 영향력을 검토함과 동시에, 이들 간의 관계에서 조직정치, 부서장 LMX(leader-member exchange)의 이원상호작용(two-way interaction)과 부서장-경영진간 LLX(leader-leader exchange)를 추가한 삼원상호작용(three-way interaction)을 검토했다. 연구에 사용된 표본은 수도권에 소재한 4개(금융, IT서비스, 자동차제조, 건설)의 대기업에 근무하는 (부서장이 아닌) 213명의 과장급 이상의 직원들로부터 획득되었다. 분석 결과, 조직정치지각은 커리어몰입과 조직몰입 모두에 대해 부정적인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특히 커리어보다는 조직몰입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가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예상과 달리 부서장 LMX는 지각된 조직정치와 중간관리자급 직원들의 커리어 및 조직몰입간의 관계를 조절하지 못했다. 지각된 조직정치, LMX, 그리고 LLX의 삼원상호작용 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하지만 두 몰입 변수들에 대한 LLX의 강한 주효과를 발견함으로써 질 높은 LLX가 중간관리자급 직원들의 조직내 태도형성에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mparative influenc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on career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xamines the interac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politics×immediate supervisor`s relationship with middle managers (i.e., leader-member exchange, LMX) and the three-way interaction term, which added executive`s relationship with the immediate supervisor (i.e., leader-leader exchange, LLX). Valid and reliable self-report evaluation measures were administered to 213 middle managers working in four of the leading corporat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organizational politics perceptions had negative impacts on both commitments to career and organization. Furthermore, perceived politics had a significantly greater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career commitment. The moderation effect of LMX on the predictor-outcome relationships was not found, and nor was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However, a strong main effect of LLX on the two commitment variables was found, which implies that LLX may play a major role in shaping middle managers` attitudes in an organization.

      • KCI등재

        여성의원 경력지속성

        김원홍(Kim, Won-hong),이현출(Lee, Hyun-chool),배선희(Bae, Seon-hee),전선영(Jeon, Sun-young)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2 아시아여성연구 Vol.51 No.1

        본 연구는 지난 2010년 제5회 지방선거에서 나타난 여성 당선인들의 의원 경력지속성 장애요인을 분석하고, 실질적으로 여성의원 경력 지속 및 확충 방안을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이번 선거결과 여성의원 비율은 기초의회 21.6%, 광역의회 14.8%로, 2006년 지방선거 당시 기초의회 15%, 광역의회 12%에 비하여 다소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재선거에 성공한 여성정치인은 10명 중 2명에도 못 미쳤다. 지방정치가 생활정치로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은 상황에서 지방의회 여성의원의 경력지속 및 확충은 중요한 문제이다. 또한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은 여성의원의 수적 증대를 바탕으로, 여성정치인의 전반적인 역량 강화가 이루어짐으로써 증대될 수 있다는 측면도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의회로의 진출 첫 번째 관문인 정당공천에서 여성이 더 많은 공천을 받을 수 있는 제도적?사회문화적 환경 마련이 필요하며, 이 관문을 통과하고 당선된 여성정치인들의 경력을 지속시킴으로써 그들의 경험과 전문성을 공적 자원으로 활용하여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을 강화하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한 과제 도출을 위해 본 연구는 제5회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여성의원 739명 전원을 대상으로 “경력지속 및 확충”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지방선거 당선경력이 있는 대표적 전?현직 여성정치인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여성할당제 보완 및 양성평등한 공천제도 마련, 정당차원에서 여성후보 발굴 및 육성을 위한 노력 강화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ried to examine women"s political representations and a way of continuing and expanding career of female assemblymen in local congress in 2010. The result of the 5th local election shows that percentage of female assemblymen is 21.6% out of basic local assemblymen, 15.1% out of metropolitan assembly. These figures are found to have increased a little, compared to those 15.0% out of basic local assemblymen, 12.0% out of metropolitan assembly on 4th local election in 2006. On the other hand, 80.2% out of total elected female assemblymen are elected for the first time. It is assumed to take some time for newly-elected female members to get accustomed to their schedule and activities in the assembly. Therefore, it is truly loss of political and societal cost to cut the career of newly-elected female assemblymen. As a result, it is critical to continue and expand the career of female members in the local assembly under the circumstances of having many agenda resolved, to have local politics smeared in our life politics. To overcome the obstacles above, we have three agendas. Firstly, this study proposes introduction and expansion of female ration in the perspective of institutional system, Secondly, we suggest developing and managing a gender-equal nomination system. And finally, efforts for discovering female candidates and raising them to the level of political competence are needed.

      • KCI등재

        식민주의와 민족주의 사이 -세 중국인 육상 선수를 사례로-

        이동진 ( Lee Dong-ji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6 No.-

        이 연구에서는 대만과 관동주(만주) 출신의 3명의 중국인 육상 선수를 사례로 해서 근대스포츠가 식민주의와 민족주의 사이에서 어떻게 길항하였는가를 살펴보았다. 세 명의 육상 선수는 于希渭, 劉長春, 張星賢이다. 우휘위와 유장춘은 관동주 출신으로서 관동주에서 초중등학교를 다녔고, 심양에서 대학을 다녔다. 장성현은 대만 출신으로 대만과 중국(대만총독부 관할 지역)에서 초중등학교를 다녔고, 일본에서 대학을 다녔다. ‘9ㆍ18 사변’ 후 우희위와 유장춘의 운명이 갈렸다. 두 사람은 모두 중국 대표로 1932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출전 자격을 취득하였으나 유장춘만 참가할 수 있었고, 우휘위는 만주국에서 민생부에 근무하면서 만주국대표 선수로서 활약했다. 장성현은 일본 대표로 로스앤젤레스올림픽에 출전하였다. 유장춘과 장성현은 1936년 베를린올림픽에도 출전하였다. 우휘위는 비록 올림픽에는 출전하지 못하였지만 중장거리 달리기에서 발군의 실력을 발휘하였다. 대만과 관동주라는 일본의 식민지에서 올림픽 대표 선수가 출현하였다는 것은 스포츠라는 근대주의가 식민주의와 연루되어 있었음을 나타낸다. 이들의 육상 경력은 정치 경력이 덧붙여져서 생애 과정이 서로 달랐으며 현재 다르게 기억되거나 망각되어 있다. 세 중국인 육상 선수들의 육상 경력과 정치 경력은 곧 근대적인스포츠가 식민주의와 민족주의의 경계 위에 서 있었음을 나타낸다. 식민주의가 스포츠에 미친영향은 단지 스포츠의 전수를 통해서만이 아니라 식민주의와 대항하는 민족주의를 고양하는과정을 통에서 식민지의 스포츠를 발전시킨 점에서 식민주의자와 식민지인에게 모두 스포츠는 ‘양날의 칼’과 같았다. 곧 식민주의자와 식민지인은 서로 의존하면서-식민주의자는 우월감을 과시하기 위해서, 식민지인은 열등감을 벗어나기 위해서-근대로 진입하였다. This study will examine how modern sports interacted between colonialism and nationalism with the cases of three Chinese track-and-field athletes from Taiwan and Guandongzhou(關東州) of Manchuria. They are Wuxiwei(于希渭, 1908~1980), Liuchangchun(劉長春, 1909~1983) and Zhangxingxian(張星賢, 1910~1989). Wuxiwe and Liuchangchun were from Guandongzhou and then went to a university in Shenyang of Manchuria; Zhangxingxian was from Taiwan and went to a university in Tokyo. The happening of ‘9ㆍ18 Incident(Manchurian Incident)’ led Wuxiwe and Liuchangchun to go down different paths in their careers. They were both the members of the Chinese national team, earning the qualification for the 1932 Los Angeles Olympic Games. However only Liuchangchun could participate in the Games; Wuxiwe, who was working for the ministry of people’s livelihood of Manchukuo, played for the puppet state. Meanwhile Zhangxingxian, a graduate of a Taiwan primary school and of a Chinese secondary school, had been a member of Waseda University athletic sports team, and competed in the 1932 Olympic Games for Japan. Liuchangchun and Zhangxingxian also took part in the 1936 Berlin Olympic Games. Even though Wuxiwe failed to enter any contests in the Olympic Games, he demonstrated his extraordinary ability in long and middle distance races. Along with political careers, their sports careers took very different paths and are currently remembered differently or forgotten altogether. The sports and political careers of the three runners vividly show that modern sports were on the border between colonialism and nationalism. Sports were a double-edged sword not only for colonialists but for the population in colonies in that colonialism influenced in the development of sports by passing down the skills and know-hows as well as by inspiring nationalistic passion resisting colonial rule. In short, colonizers and colonized people entered the modern era, depending on each other-the former to show off their sense of superiority; the latter to shake off their feeling of inferiority.

      • KCI등재

        독일의 학교민주주의와 시민교육에 대한 연구

        이상오(Sang-O Lee) 한독교육학회 2014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9 No.2

        독일의 학교민주주의는 크게 내용적-실질적 차원과 형식적-제도적 차원으로 구분된다. 전자는 학생들의 상급학교 진학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민주적 의사결정이 이루어진다는 사실이 대표적이다. 즉 학생의 진로결정은 학교 법상 당사자들인 학생, 학부모(또는 후견인), 담임교사 그리고 교장의 합의에 의해서 결정된다. 물론 독일의 학교민주주의는 놀이에 참여함으로써 태어나서 처음으로 공동체생활을 익히는 유치원시절부터 참여민주주의 습관을 쌓게 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또한 기초학교(초등학교)에 입학하면서부터는 아이들은 자신이 졸업한 유치원과 학교 사이에 만들어 놓은 ‘교육로’를 오가면서 담당교사와 많 은 대화를 하면서 시작하기도 한다. 이러한 교육전통이 훗날 대화와 토론을 일상화하고 있는 독일교실문화의 기초 토대가 된다. 반면, 후자 즉 형식적-제도적 차원의 학교민주주의는 독일인들의 오랜 소망이었던 통일학교의 구상에서 비롯된다. 1969년 종합학교의 탄생은 통일학교구상의 현실적 절충이며 타협이지만, 특히 귀족과 천민간의 신분계급의 차별 없이 모두에게 교육의 기회를 평등하게 제공한다는 민주주의 이념의 실현이다. 한편, 독일의 시민교육은 학교교육에서부터 성인교육까지 정치교육이라는 이름으로 오래 전부터 실천되어 왔다. 이는 우리가 ‘교육은 정치적으로부터 중립’이라는 말을 빌미로 교묘하게 ‘정치적 방치’를 조장하고 있는 우리의 경우와는 극명하게 대비되는 대목이다. School democracy in Germany is divided in the real-practical dimension and the formal-institutional Dimension largely. The former (the real-practical dimension) is recognized in that there are always democratic processes in decision-making for the student s school careers. The raw of education in Germany states that the career decision of a student should coincide in opinion of student, teacher, parents and school master. Of course, school democracy in Germany begins from the time of Kindergarten that gives to young children the chance to learn the community life by participating in the play naturally. Here, they get in to a habit of participating democracy for the first time of their lives. In addition, children who go on to elementary school have a talk with teacher in keeping going and coming to the educational road which is constructed between their elementary school and the Kindergarten that they visited in the past. Such an educational tradition makes the foundation of German school culture represented by dialog and discussion later.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the formal-institutional dimension) is completed form the ideal plan that the German had wished for a long time. Although the comprehensive school (1969) was a realistic and alternative compromise for the unified school system, it means a realization of the democratic ideal which should give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all without class distinction between the nobility and the humble people. Meanwhile, citizen education in Germany has been realized under the name of political education from school education to adult education for a long time. However, we are approving the political leave under the plea of obeying the principle that education should keep the political neutral . At least, school must give to the children the opportunities to learn how to hold a discussion and to join the debate.

      • KCI등재
      • KCI등재

        공공조직 구성원의 주관적 경력성과에 관한 연구 : 성별에 따른 정치적 기술의 역할

        김진선 ( Kim Jinseon ) 한국행정연구원 2020 韓國行政硏究 Vol.29 No.4

        본 연구는 조직사회를 ‘정치적 장’으로 규정하고, 공공조직 구성원들의 경력성과(경력만족, 경력 몰입)에 미치는 정치적 기술의 영향력을 실증하였다. 구체적으로 성별에 따른 정치적 기술의 효과 차이를 검증함으로써, 공식조직 이면에 작동하는 사회·정치적 영향력의 실재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중앙·지방공무원 389명을 대상으로 집단별 구조모형 및 다중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치적 기술의 하위요인으로서 네트워킹 역량은 성별을 불문하고 경력만족, 경력몰입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이와 달리, 표면적 진실성은 남성 집단에서만 경력만족, 경력몰입에 정(+)적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기질적 특성으로 이해되는 대인관계 영향력과 사회적 기민성은 주관적 경력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가설화된 경로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효과 차이는 ‘표면적 진실성과 경력만족’의 관계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공공조직 경력성과 맥락에서 정치적 기술이 갖는 이중적 속성을 고려하여 분석결과를 해석하고, 현실정합성 높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defines the organizational society as a ‘political field’ and demonstrates the influence of political skills on the career outcomes(career satisfaction, career commitment) of public officials. Specifically, by verifying the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political skills by gender, it was intended to confirm the reality of the social and political influences working behind the official organization. In this study,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multi-group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389 central and local public officials. Findings revealed that regardless of gender, networking ability had a direct effect on career satisfaction and career commitment. Also, apparent sincer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satisfaction and career commitment only in the male group. In addition, Interpersonal influence and social astuteness as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subjective career outcomes. In the hypothesized path above,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ect according to gender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arent sincerity and career satisfaction’. Finally, this study interpreted the results in consideration of the dual agenda of political skills in the context of the career outcomes of public organizations, and provided policy implications that were highly consistent with reality.

      • KCI등재

        공인회계사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관한 연구

        정순여,장은주,이승환 대한경영학회 2005 大韓經營學會誌 Vol.18 No.5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 career success of CPA. In the past, career success has been defined by the number of promotions a person receives, annual compensation or position level. But as today's organizations no longer offer lifelong employment, individuals put stress 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with his overall career and employ ability in the open labor market rather than rapid promotion or high compensation in an organization. That is, shift in employment contracts from relational to transactional infers a paradigm shift in career success. Therefore, in this thesis subjective career success was measured in terms of two dimensions: career satisfaction and employ ability.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predictors of career success were categorized into two sets: personal characteristics(i.e., growth needs, political behavior disposition) and person-job fitness. S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these affect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which focused on the CPA. In this thesis, we also consider the type of task of CPA as modera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olitical behavior disposition and person-job fitness had positive effects on career satisfaction. Especially, person-job fitness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career satisfaction. Second, factors affecting employ ability include growth needs and person-job fitness. Person-job fitness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f employ ability, same with career satisfaction. Third, it was investigated that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can not be a moderating variable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areer success was defined by career satisfaction and employ ability, which reflect the change of employment contract, people's value, etc. Second, it was meaningful to investigate how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ffect career success of CPA. 본 연구는 공인회계사의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경력성공을 객관적 경력성공(임금, 승진, 직급 등)에 포커스를 맞추어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IMF이후 고용에의 불안정이 높아짐에 따라 경력성공의 개념이 달라지고 있다. 한 조직에서의 높은 임금이나 빠른 승진보다는 노동시장에서의 고용가능성과 자신의 경력에서 느끼는 심리적 만족이 경력성공의 기준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경력만족과 고용가능성을 중심으로 공인회계사의 경력성공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연구 과제를 수행하였다. 첫째, 개인특성(성장욕구, 정치적 행동성향)과 개인-직무 적합성이 공인회계사의 경력만족 및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둘째, 공인회계사가 담당하고 있는 업무유형에 따라 개인특성 및 개인-직무 적합성과 경력성공간의 관계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 회계법인에 근무하고 있는 공인회계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회수된 100부의 설문 중 90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분석방법으로는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인회계사의 정치적 행동성향과 개인-직무 적합성은 경력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개인-직무 적합성은 경력만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그리고 고용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공인회계사의 성장욕구와 개인-직무 적합성으로 나타났다. 고용가능성 역시 개인-직무 적합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독립변수인 성장욕구, 정치적 행동성향, 그리고 개인-직무 적합성이 경력만족에 영향을 미칠 때 업무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공인회계사들이 담당하고 있는 업무유형에 따른 차이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