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적 양육 문화의 변화 - 자녀 양육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

        천희영 ( Chun Hui Young ),이현철 ( Lee Hyunchul ) 한국다문화 디아스포라학회 2017 다문화와 디아스포라연구 Vol.11 No.-

        한국 사회 내 문화의 변화 중 가족과 자녀양육의 측면은 전통적인 가치에 비하여 현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영역이다. 특별히 한국적 양육 문화 속에서 아버지의 역할에 대한 논의는 새롭게 조명되어야 하며, 한국적 문화 내에서 아버지의 활동들이 어떠한가에 대한 논의는 시의적절한 문제의식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가 만 3세부터 만 5세까지 종단적으로 변화하는지, 만3세 시기 아버지의 자기효능감, 우울, 결혼만족도 및 온정적 양육방식이 만5세까지의 아버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문제 해결을 위하여 본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2011년도(4차)∼2013년도(6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잠재 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한국 사회 내 아버지의 양육 문화와 관련된 사항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한국 아버지 양육 문화의 일 특성으로서의 양육스트레스 증가 정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우선 유아기 초기에 아버지의 자기효능감, 가족관계에서의 결혼만족도와 온정적 양육방식의 수준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유아기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는 아버지의 부모역할 수행에 대한 인식의 전환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 trajectory and determinants of parenting stress of preschooler’s fathers in Korea. To accomplish this study, we organized two research models and verified our hypothesis from the research models based on Latent Growth Modeling. In this process, we have searched the issues related to the father’s parenting culture in Korean society.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the 3 waves of panel data (2011-2013) collected from 1,643 were analyzed. This nationwide data was provided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perform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KIC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ing stress of preschooler’s fathers showed a linear increasing pattern, and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in intercept.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self-efficacy,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attitude are factors tha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parenting stress of preschooler’s fathers as time passes. These results suggest the longitudinal and structural relationships related to parenting stress of preschooler’s fathers. Also, results provide the need to offer more practical preschooler’s fathers programs and realistic support to relieve parenting stress of preschooler’s fathers in Korea.

      • KCI등재

        영유아기 양육형태가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최경덕,안태현 한국노동연구원 2018 노동정책연구 Vol.18 No.2

        Using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ype of early child care on children’s development. To assess the causal influences of child care choices, we implements the system GMM (Generalized Method of Moments) model, a dynamic panel data estimator. The estimation results reveal that formal child care has positive influences on communication, gross motor, and personal-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compared with parental care. However, informal care has no significant effects on children’s development. The positive impacts of formal care on children’s development are salient among girls and children in lower-income and less-educated households.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 1〜3차 조사를 활용하여 영유아기 아동 양육형태가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양육형태와 아동발달 간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실증분석으로는 동적패널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시설양육은 부모양육에 비해 아동발달에 긍정적 효과가 있지만, 조부모양육 및 조부모 제외 개인 대리양육은 부모양육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양육은 아동의 의사소통, 대근육운동 및 개인․사회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시설양육의 이러한 긍정적 효과는 특히 여아, 소득이 평균 미만인 가구, 저학력 가구의 아동들에게서 두드러졌다.

      • KCI등재

        초등학교 전이과정에서 나타나는 아동의 행복감 변화유형: 취학 전 아동 및 부모 특성을 중심으로

        안수빈,은선민,이강이 육아정책연구소 2018 육아정책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patterns of children’s self-rated happiness during the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attern. To achieve these goals, 7th (7-year-old) and 8th(8-year-old) year data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were used for investigat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hildren’s overall happiness had significantly been lowered during the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Second, a cluster analysis revealed four distinct patterns of change in children’s happiness: high-maintaining, high-to-low, low-to-high, and low-maintaining. Third, the aspects of an individual child’s school readiness, parents’ parenting behavior, parents’ subjective happiness, and children’s peer play behavio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ubgroups. Specifically, school readi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igh-maintaining than in high-to-low; affective parenting was higher in high-maintaining than in low-maintaining or high-to-low. Children in groups of high-maintaining and low-to-high had higher levels of parental happiness in preschool period, compared to that of high-to-low and low-maintaining. High-maintaining children were higher in positive peer interaction but lower in play cessation. The results provide theoretical rationale of individualized intervention approach that would support children’s happy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전이를 경험하는 아동의 행복감 변화 유형을 살펴보고, 각 유형 별 취학 전 시기의 아동 및 부모 특성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조사 7차년도(7세)와 8차년도(8세) 자료(N=1,480)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전이기를 거치며 아동의 행복감은 유의하게 낮아졌다. 둘째, 아동의 행복감 변화유형은 높음 유지형, 상승형, 감소형, 낮음 유지형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초등학교 전이기 아동의 행복감 변화 유형에 따라 학교준비도, 부모 양육행동 및 행복감, 또래놀이행동이 달랐다. 구체적으로 높음 유지형이 감소형에 비해 학교준비도가 높았으며, 낮음 유지형과 감소형에 비해 부모 양육행동이 온정적이었다. 또한 높음 유지형과 상승형의 부모 행복감이 높았으며, 높음 유지형이 감소형에 비해 긍정적 또래놀이행동이 높았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로의 행복한 전이를 위한 지원 및 개입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of 9-Year-Old Children on a Nation-Wide Survey: Effects of Gender and Socioeconomic Status

        오소정(So Jung Oh)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9세 아동의 화용언어능력을 부모가 작성하는 아동화용언어체크리스트(CPLC)를 통해 알아보고 아동 및 가정 환경의 요인에 따라 화용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한국육아정책연구소의 대규모 종단연구인 한국아동패널 조사에 참여한 전국의 9세 아동 1,386명을 대상으로 부모보고 설문지인 CPLC를 작성하게 하였다. 전체 아동의 CPLC 총점과 영역별 점수의 기술통계와 성별, 어머니 학력, 가정 소득수준, 거주지 규모별로 CPLC의 총점과 영역별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 두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 화용언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결과: 전반적으로 9세 아동은 CPLC의 총점과 담화관리, 상황에 따른 조절, 의사소통 의도, 비언어적 의사소통에서 양호한 수준을 나타냈으며 가장 낮은 점수를 보인 영역은 담화 관리 영역이었다. 아동의 성별과 사회경제적지위(어머니의 학력과 가정의 소득수준)가 높을수록 아동의 화용언어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용언어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어머니의 학력과 아동의 성별이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성별과 SES 요인이 언어발달 후기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며 언어의 의미나 형식뿐 아니라 의사소통 능력에도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여주며, 학령기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의 평가와 중재 시에도 이러한 요인을 고려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Improvement of convers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has often been regarded as a major feature of language development during school-ag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of 9-year-old children. The current study also examined whether these abilities vary according to the child’s gender and socioeconomic status (SES), and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on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Methods: Performance data on the Children’s Pragmatic Language Checklist (CPLC) and information regarding child and family characteristics were collected from 1386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of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otal and subtest scores of the CPLC were obtain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one-way ANOVA and t-test were used to compare group differences, as well a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seeking affecting factors for performance on the CPLC. Results: In general, 9-year-old children obtained good scores in CPLC total and subtest scores. Discourse management was relatively difficult when compared to the other sub-areas. The children’s gender and SES (education level of mother, monthly family income) brought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as well as the size of their residential areas. The educational level of the mother alone, along with the child’s gender, affected the pragmatic abilities of 9-year-old childre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9-year-old children have fair pragmatic, communication skills, and suggested that child gender and SES should be considered in assessment and intervention of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 KCI등재

        아동 중심 수업과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 효과

        심현숙(Hyunsook Shim),박경빈(Kyungbin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6

        본 연구에서는 아동 중심 수업과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KICCE)의 한국아동패널(PSKC) 8차년도(2015년) 교사와 만6세 시점인 아동의 데이터 중 결측치를 제외한 총 1,031명의 자료를 SPSS Statistics 18.0과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매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아동 중심 수업은 교사의 효능감과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교사의 효능감이 높을수록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 적응에 도움이 되었다. 셋째, 아동이 주체가 되는 교사의 수업방법인 아동 중심 수업은 교사의 효능감을 높여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초기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유⋅초 교육이 연계되어 아동이 중심이 되는 수업을 지향하고, 의무교육을 처음 시작하는 아동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교사효능감과 연관 지어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데에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entered class and elementary school first graders’ adjustment in school. For this, a medi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18.0 and Process Macro with data from a total of 1,031 teachers and six-year-old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part of the 8th(2015)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of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KICCE). Data with missing values are exclud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 centered clas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s’ efficacy. Second, the higher the teacher s efficacy, the more helpful it was for first graders to adjust in school. Third, child centered classes, which is a teaching method where children are the principal agents of learning, increased teachers’ efficacy. Thus, it was confirmed that child centered classes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elementary school first graders’ adjustment to schoo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implications of the positive effect of child centered classes, and linking the influence of teacher efficacy with school adaptation of children who first start compulsory education.

      • KCI등재

        초등 전환기 아동의 행복감 변화 양상 분석: 아동 및 부모 요인을 중심으로

        한지원,곽은복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3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 전환기 아동의 행복감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변화 유형에 따른 입학 전 시기의 아동 및 부모 요인을 알아보았다. 방법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아동패널조사 7차(7세)와 8차(8세) 자료(N=1,469)를 사용하였고, 군집분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행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초등 전환기를 거치며 아동의 행복감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아동의 행복감 변화 유형은 높음 유지형, 상승형, 극단적 감소형, 낮음 유지형, 감소형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초등 전환기 아동의 행복감 변화 유형에 따라 학교준비도, 사회적 기술, 부모 양육행동 및 자녀와의 상호작용이 달랐다. 구체적으로 높음 유지형, 상승형이 극단적 감소형에 비해 학교준비도가 높았으며, 높음 유지형이 극단적 감소형에 비해 사회적 기술을 더 잘 사용하였다. 또한 높음 유지형, 상승형, 감소형의 부모가 극단적감소형보다 더 온정적이었다. 마지막으로 높음 유지형이 극단적 감소형보다 부모와의 상호작용이 활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으로의 행복한 전환을 위한 지원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 in children’s happiness during the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and to identify the preschool factors in relation to children and parents. Methods The 7th (seven-year-old) and 8th (eight-year-old) year data(N=1,469)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were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hildren’s happiness level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Second, the patterns of change in children’s happiness were classified into high-maintenance, low-to-high, extreme high-to-low, low-maintenance, and high-to-low. Third, the aspects of an individual child’s school readiness, social skills, parent’s parenting behavior, and interaction with children were significantly among clusters. Specifically, school readi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igh-maintenance or low-to-high than in extreme high-to-low; social skill was higher in high-maintenance than in extreme high-to-low. Children in groups of high-maintenance or low-to-high or high-to-low had higher levels of affective parenting in preschool period compared to that of extreme high-to-low. High-maintenance children were higher in positive parent interaction.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rationale of individualized intervention approach that would support children’s happiness during the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 KCI우수등재

        유아 기질과 또래놀이행동의 관계에서 아버지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윤희진(Hee-Jin Yun),천세정(Se-Jung Chun),이경옥(KyungOk Lee) 한국아동학회 2021 아동학회지 Vol.42 No.5

        Objectives: Understanding peer play behaviors in young children is crucial because children’s personal characteristics influence their peer play behavior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temperament (4 years old), fathers’ parenting behavior (5 years old), and peer play behavior (6 years old) using longitudinal data from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fathers’ parenting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temperament and peer play behavior was investigated. Methods: A total of 1,070 children and their fathers were extracted for analysis from the Korean Children’s Panel Study (PSKC) 2012 (Year 5) to 2014 (Year 7).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relevant variable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fathers’ parenting behavior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5.0. Results: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children’s emotionality and sociability were associated with fathers’ parenting behavior, whereas their sociality and activity were associated with their play disturbance. Next,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fathers’ warmt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temperament and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s. The full mediating effects of the fathers’ 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s temperament (emotionality and sociability) and peer play behaviors such as disruption and disconnection were confirmed. Children’s activity had a direct effect on their peer play interaction and disruption. Conclusion: Peer play behavior revealed the importance of fathers’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temperament, especially in peer play disruption and disconnection. In particular, we confirmed the influence of father’s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 on children’s sociability and emotionality temperament.

      • KCI등재

        Mother-child Interactions and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s in Christian Households: The mediating role of Communication

        조윤주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3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8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mother-child interactions on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s in Christian households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354 young children from Christian families were analyzed using the 7th wave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20.0,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pplied. The results showed that mother-child interactions influenced young children's communication, which in tur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xternalizing behavio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s mother-child interactions become more active, children's communication skills improve, leading to a reduction in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lso, the direct effect was significant, indicating that mother-child interactions play a crucial role in mitigating externalizing problems. To prevent young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within Christian households, it is important to foster maternal interaction based on Christian values and faith. This can lead preschoolers to develop an appropriate understanding of social situations and express their intentions effectively. The importance of matern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was emphasized, and various interven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만 6세(만 5세반) 유아의 시간사용 유형화 연구

        김문정,이예진,도남희 한국아동권리학회 2018 아동과 권리 Vol.22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fe of the preschooler and to find out the implications and policies for the well-being of the preschooler through understanding of daily time use, which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quality of preschoolers’ life. Methods: We used data from the 7th wave (2014)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6 year old children slept 9.8 hours during weekdays and stayed 7.2 hours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Second, as a result of extracting time use types, preschoolers were divided two patterns: institution-dependent type and institution-compensated type. The former stays longer in an institution and the latter spends more time in indoor and outdoor playing, and private tutoring.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of families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between those two types, which differ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family has a dual-income. Conclus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family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in providing proper policy according to the type of time use.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아의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하루 시간사용에 대한 총체적인 실태 파악을 통해 유아의 삶을 이해하고 유아의 웰빙을 위한 시사점 및 정책적지원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패널 자료 중 아동이 만 6세가 되는 해인 7차년도(2014년) 자료를 사용하여 유아들의 주중 하루 시간사용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유형화하여 유형별 가족 및 지역사회 특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첫째, 만 6세(만 5세반) 유아들은 주중 수면시간이 9.8시간이었고 유치원⋅어린이집 등 반일제 이상 기관 이용시간은 7.2시간이었다. 맞벌이 가정 유아의 경우 외벌이 가정에 비해 기관이용시간이 더 긴 반면, 수면⋅실외놀이 시간은 더 짧았다. 둘째, 유아의 하루 시간사용 유형을 맞벌이 가정과 외벌이 가정 각각 추출한 결과 두 경우 모두 기관이용시간이 긴 기관의존형과 기관이용시간이 짧은 대신 실내⋅외 놀이시간과 사교육시간이 긴 기관보완형으로 구분되었다. 셋째, 두 시간사용 유형 간에 가족 및 지역특성의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맞벌이 가정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결론: 이러한 가족 및 지역사회 특성에 따른 유아의 시간사용 유형화 현상을 고려한 각 특성에 적절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아동패널(PSKC)을 활용한 연구동향: 복합자료(Complex Sampling Survey Data) 분석의 방법론적 고찰을 중심으로

        임혜성 ( Hae Sung 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을 이용하여 2011년부터 2015년까지 학술등재지에 게재된 170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설계에 기반한 접근법(design-based approach)을 분석틀로 하여, 기존의 논문들이 복합자료의 특성을 방법론적으로 고려하였는지에 주목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아동패널을 활용한 연구는 종단연구보다는 횡단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연구주제로는 부모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다음이 영·유아였으며, 사회적 지원이나 육아지원기관에 관한 연구는 극히 소수였다. 또한 소수 연구자들이 다수의 논문을 쓰는 편향현상도 발견되었다. 방법에 있어서는 복합자료의 특성을 반영하여 가중치(sampling weight)를 적용하였거나 결측치(missing data)를 현대적인 통계방법으로 처리한 사례가 매우 드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설계에 기반한 접근을 통해 복합자료의 특성을 반영하는 새로운 방법론적 접근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in whic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data was employed. The study subjects included 170 journal articles from 2011 to 2015. With design-based approach,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whether the journal articles took the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related to analyzing complex sampling survey data structure into account. The findings suggested that 85.3% of research was conducted with cross-sectional design while 14.7% was longitudinal studies. Moreover, majority of studies took model-based approach, which specified statistical models without considering the complex sampling survey data structure (e.g., unequal selection probabilities, stratification and clustering). Specifically, most of the studies did not apply sampling weight, nor did they apply modern missing data handling technique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that promote design-based approach for analysis of complex sampling survey data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