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Ⅲ

        윤철경,최인재,김강호,유성렬,김태화,손희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의 목적은 학업중단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학업중단 이후의 삶과 경험 실태 및 가치관의 변화에 대한 패널조사를 통해 이들의 학업 중단 이후의 실태와 이행경로를 파악하고, 필요한 정책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 문헌자료를 통해 학업중단 현황 및 국내·외학업중단 예방 및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정책 현황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협동연구를 통해 연구의 질적 효율성을 제고 하였다. 또한 3개년에 걸친 패널조사를 분석하고 관련 전문가 및 정책 담당자들의 자문을 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일반 학업중단 청소년에 대한 3개년 변화 추이를 보면, 중·고등학교 중단 상태 267명(54.0%), 중·고등학교 재학 중 68명(13.8%), 중·고등학교 졸업 상태 19명(3.8%), 대학진학 135명(27.3%)이었다. 3년간 복교율은 34.4%, 재중단율은 20.0%로 나타났다. 검정고시 공부 경험 및 직업기술 훈련 경험은 점차 낮아졌으며, 하루 8시간 이상 일한 경험률은 점차 늘었다. 둘째, 학업중단 청소년의 중단 후 이행경로와 경로별 특성을 살펴보면, 학업중단 후 3년째에 학업형이 50.4%, 직업형이 32.4%, 무업형이 11.1%, 비행형이 6.0%로 추정되었다. 자아존중감, 학업중단사유, 학업중단 시 제공받은 정보, 중단 후 성인 멘토를 만나는 기관, 청소년의 교육기대수준 등이 중단 후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 학업중단 청소년과 보호관찰 학업중단 청소년의 비교결과 충동성은 일반청소년이 3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한 반면 보호관찰 청소년은 2차년도에 약간 감소하였다가 다시 높아져 일반청소년보다 높아졌다. 사회적 낙인감은 보호관찰 청소년이 느끼는 사회적 낙인감이 일반청소년보다 높았으나 3차년도에는 일반청소년과 비슷해졌다. 양 집단 모두 부모의 경제적 지원과 학대가 3년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친구 비행 성향 역시 양 집단 모두 감소경향을 나타냈다. 식습관은 3차년도에는 양 집단 모두 유사한 수준으로 급격히 나빠지는 양상을 보였고, 비행관련경험은 중비행의 경우 양 집단 모두 감소하였다. 이 중 중비행 감소의 경우 보호관찰 청소년이 일반청소년에 비해 현격히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향후 진로결정 여부에 대해서는 일반청소년의 진로결정 비율이 더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여섯 개의 영역에서 모두 16개의 세부과제를 제시하였다. 여섯 개의 영역은 첫째, 대상자 발굴 및 연계 강화 영역 둘째, 학업중단 청소년의 이행경로를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영역 셋째, 더 많은 청소년이 직업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지원체제 구축 영역 넷째, 학업중단 청소년의 진로교육 및 생활지도 영역 다섯째, 학업중단예방 영역 여섯째, 정책기반 강화 영역 등이며, 각 영역별 세부과제들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ditions and life course of teenagers who drop out of school through a panel survey of their post-school lives and their changed value systems, and to make policy recommendations. For this purpose, existing literature was reviewed, including materials pertaining to the current status of the dropouts, measures both in and outside of Korea to prevent teens from dropping out, and existing public policy designed to help those who are not attending school. A cooperative study was conducted to enhance the qualitative effectiveness of the findings. This study is also based on a three-year panel survey and consultation with experts and policy-makers in the relevant area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study of junior high and high school dropouts over a period of three years shows that 267 (54.0%) were still out of school, 68 (13.8%) were currently in school, 19 (3.8%) had graduated from school, and 135 (27.3%) went on to college. During this three-year period, the school reinstatement and repeat-dropout rates were 34.4% and 20.0%, respectively. Over time, a smaller number of teenagers studied for the qualification examination or took vocational training, while a larger number were working eight hours of more per day. Second, a study of the course of their lives and their characteristics shows that 50.4% returned to study in the third year after dropping out of school, 32.4% took a job, 11.1% had neither returned to study nor taken a job, and 6.0% had become delinquents. Factors that influenced what course they took were self-esteem, their reason for dropping out, the information they had received, the institutions where they were matched with an adult mentor, and their educational aspirations. Third, a comparison of general dropouts and those who were placed on probation reveals that impulsivity among general dropouts declined continuously over three years, while those on probation had a slightly declining impulsivity in the second year, which then rose again, ending up with a higher impulsivity than the other group. Those on probation had a higher sense of stigma than general dropouts, but this sense converged in both groups in the third year. The two groups experienced a decline in economic assistance and abuse from their parents over three years, as well as a decline in delinquent behaviors among their friends. As for eating habits, both groups converged to similar, rapidly deteriorating levels in the third year. Less serious delinquencies were found in both groups, but a more noticeable reduction was observed in the probation group. General dropouts showed a higher rate of career decision-making than the other group. Based on the findings, this paper proposes a total 16 tasks in six areas—identifying and establishing stronger ties with public policy beneficiaries, developing and funding programs specifically designed for teenage school dropouts, building a system to enable a larger number of teenagers to benefit from vocational training, providing day-to-day guidance for dropouts, preventing teenagers from dropping out of school, and reinforcing the public policy base.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대인관계 잠재프로파일과 심리적 적응의 차이

        채혜영,정현희 한국청소년학회 2024 청소년학연구 Vol.31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청소년의 대인관계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분류된 잠재프로파일에 따라 심리적 적응의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1차년도 조사를 사용하였으며, 총 776명의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을 시행하였고, Mplus의 BCH 보조변수를 활용하여 도출된 프로파일에 대한 심리적 적응(자아존중감, 우울, 학업중단 관련 부정적 심리정서)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대인관계 잠재프로파일은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이를 각각 ‘저수준 또래관계형(6.3%)’,‘저수준 교사-부모관계형(3.7%)’,‘평균수준 대인관계형(63.6%)’,‘고수준 대인관계형(26.5%)’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대인관계 유형에 따라 심리적 적응에 차이가 있었다. 자아존중감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또래관계 수준이 낮은 집단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낮게 나타났다. 우울과 학업중단 관련 부정적 심리정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교사관계, 부모관계, 또래관계 수준이 낮은 집단일수록 우울과 학업중단 관련 부정적 심리정서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적응적 심리적 적응을 높이고 대인관계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 방안과 함께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 the latent profiles pattern of out-of-school adolescents’interpersonal relations, and further seek to explor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adjustment. A total of 776 adolescent data from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wave 1, were used for the study. To analyze the data, latent profil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Mplus 8.2.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patterns of the four subtypes such as ‘low level peer relationship(6.3%)’, ‘low level teacher-parent relationship(3.7%)’, ‘average level interpersonal relationship(63.6%)’, ‘high level interpersonal relationship(26.5%)’.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adjustment relating to the latent profiles of out-of-school adolescents’ interpersonal relations. The lower the level of peer relationships, the lower the self-esteem. The lower the level of teacher, parental, and peer attachment, the higher the depression and school dropout-related negative psychological emo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to improve out-of-school adolescents' interpersonal relations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were discussed.

      • KCI등재

        학업중단 청소년의 부모애착, 또래애착이 진로장애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이동욱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The Effect of Parental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Among Adolescents Who Dropped Out of School on CareerDisability: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Donguk Le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on career disabilit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mong adolescents who dropped out of school. For research analysis, the Partial Least Squares-Structural Equation Model (PLS-SEM) was analyzed using SPSS 28.0 and Smart-PLS 3.3.9 based on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First, parental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parental attachment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career disability. Second, self-esteem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career disability. Third, parental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career disability as a mediating effect on self-esteem. In order to reduce career barriers among adolescents who have dropped out of school,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for strengthening parental attachment, peer attachment, and self-esteem, and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Key Words: School Dropout Youth, Career Disability, Parental Attachment, Peer Attachment,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학업중단 청소년의 부모애착, 또래애착이 진로장애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이 동 욱**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중단 청소년의 부모애착, 또래애착이 진로장애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연구 분석을 위하여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SPSS 28.0과 Smart-PLS 3.3.9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PLS-SEM)을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부모애착, 또래애착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부모애착은 진로장애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진로장애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진로장애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결론 및 제언: 학업중단 청소년의 진로장애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부모애착, 또래애착, 자아존중감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도입이 필요하며 본 연구가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핵심어: 학업중단 청소년, 진로장애, 부모애착, 또래애착,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 접수일: 2022년 9월 26일, 수정일: 2022년 10월 10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이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음. **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교육행정전공 석사과정(Master’s Course, Yonsei Univ., Email: leedu78@hanmail.net)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자아존중감을 통해 미래에 대한 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래혁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2 학교사회복지 Vol.- No.5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thoughts about the future through self-esteem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support. For this purpose, mediating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s were analyzed by utilizing PROCESS macro Models 4 and 7 with a sample of 419 out-of-school adolescents from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analyzed results show that out-of-school adolescents’ social stigma significantly negatively influenced thoughts about the future. Next, out-of-school adolescents’ self-esteem partia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thoughts about the future. That is, the level of social stigma reduced the level of self-esteem and, in turn, reduced the level of thoughts about the future. Finally, out-of-school adolescents’ parental support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tigma on thoughts about the future through self-esteem. Specifically, the negative mediation effect through self-esteem decreased when the level of parental support increas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how to support out-of-school adolescents to make them think about their future positively.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자아존중감을 통해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구축한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 조사로부터 선별한 419명을 대상으로 PROCESS macro의 모델 4와 모델 7을 활용하여 매개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은 미래에 대한 생각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낙인감이 미래에 대한 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매개했다. 즉, 사회적 낙인감의 수준이 높아지면 자아존중감의 수준이 낮아졌고, 이어서 미래에 대한 생각의 수준의 낮아졌다. 마지막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부모지지는 사회적 낙인감이 자아존중감을 통해 미래에 대한 생각에 이르는 매개효과를 조절했다. 구체적으로 부모지지의 수준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을 통한 부적 매개효과의 크기는 감소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이 미래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 지지가 학교중단위험에 미치는 영향 :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우울의 이중매개효과

        김선미 충북연구원 2022 지역정책연구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in relation to social support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school dropout risk. For this purpose, the 5th year data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urvey (MAPS) was used, and the types of social support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divided into family, friend, and teacher support to explore differences in paths. Findings shows first, family support and teacher support among social support perceived by multicultural adolescents had a direct negative effect on the risk of school dropout risk, but friend support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he risk of school dropout risk.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chool dropout risk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single mediating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was significant only in the path of friend support, and the singl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was significant in all paths. Thir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chool dropout risk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Finally,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were completely mediated in the path of friend support and school dropout risk, but family support and teacher support were partially mediated, showing the difference in path. These results suggest that multilateral efforts are needed to strengthen the social support system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o prevent the risk of school dropout by reducing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중단위험의 관계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우울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MAPS)’ 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 지지를 가족지지, 친구지지, 교사지지로 구분하여 지지의 유형에 따른 경로의 차이를 탐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다문화청소년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중 가족지지와 교사지지는 학교중단위험에 직접적인 부적 영향을 미쳤으나, 친구지지는 학교중단위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중단위험의 관계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단일매개효과는 친구지지의 경로에서만 유의하였으며, 우울의 단일매개효과는 모든 경로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중단위험의 관계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우울의 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친구지지와 학교중단위험의 경로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우울이 완전매개하였으나, 가족지지와 교사지지의 경로에서는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경로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체계를 강화하고,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우울을 감소시켜 학교중단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이 학업중단 후 인지한 부정적 심리정서가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을 통한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장혜림 ( Chang Hae-lim ),이래혁 ( Lee Raehyuck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1 청소년복지연구 Vol.23 No.1

        Efforts to address the issue of game addict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in the social work field are being demanded. This study aimed to provide social work implications by verifying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gender through self-esteem in the influence of out-of-school adolescents’ negative psychological emotion perceived after dropping out of school on game addiction. Data from the first wave of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in which 733 adolescents were out of school when surveying were analyzed. PROCESS macro’s Model 4 was utilized for analyzing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f out-of-school adolescents’ negative psychological emotion after dropping out of school on game addiction through self-esteem.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gender through self-esteem was examined by using Model 14.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ut-of-school adolescents’ negative psychological emotion which was perceived after dropping out of school positively influenced game addiction. Second, out-of-school adolescents’ self-esteem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negative psychological emotion and game addiction. Third, out-of-school adolescents’ gender moderated the effect of negative psychological emotion on game addiction through self-esteem. Based on these results, diverse strategies were discussed to promote the healthy development of out-of-school adolescents.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이 경험하는 사회적 낙인감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홍일,이래혁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0 학교사회복지 Vol.0 No.52

        The efforts in social welfare to support the healthy development of out-of-school adolescents have been requeste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life satisfact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an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the influence. For the purpose,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2nd wave of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perform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nd conducted data analyses by utiliz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ut-of-school adolescents’ social stigma influenced significantly negatively life satisfaction. Second, out-of-school adolescents’ depression and self-esteem mediated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life satisfaction. Levels of social stigma increased levels of depression and, in turn, decreased levels of life satisfaction. Also, levels of social stigma decreased levels of self-esteem and, in turn, decreased levels of life satisfaction. Third, out-of-school adolescents’ depression and self-esteem double-mediated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life satisfaction. Levels of social stigma increased levels of depression and then decreased levels of self-esteem, and finally decreased levels of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diverse intervention strategies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out-of-school adolescents were discussed. 학교 밖 청소년을 지원하여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사회복지 분야의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생활 만족도에 사회적 낙인감이 미치는 영향력과 우울감 및 자아존중감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구축한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 자료와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이 인식하는 사회적 낙인감은 생활 만족도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감 및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낙인감과 생활 만족도의 관계를 매개했다. 즉, 사회적 낙인감은 우울감을 높이거나 자아존중감을 낮추어 생활 만족도를 감소시키고 있었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낙인감과 생활 만족도 사이의 관계를 이중매개하고 있었다. 즉, 사회적 낙인감은 우울감을 높이고 이어서 자아존중감을 낮추어 최종적으로 생활 만족도를 감소시키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교 밖 청소년의 생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실천적 개입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이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래혁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2 학교사회복지 Vol.- No.59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positive thoughts about the future on gaming addict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examining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ego-resiliency and gender.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using a sample of 733 out-of-school adolescents from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compos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is study analyzed medi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through Models 4 and 15 of the SPSS PROCESS macro. The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ut-of-school adolescents’ positive thoughts about the future significantly negatively influenced gaming addiction. Second, out-of-school adolescents’ ego-resiliency partia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positive thoughts about the future on gaming addiction. That is, the level of positive thoughts about the future increased the level of ego-resiliency, which in turn decreased the level of gaming addiction. Third, out-of-school adolescents’ gender moderated both the direct influence of positive thoughts about the future on gaming addiction and the mediation effect of ego-resiliency. Specifically, both the direct negative influence of positive thoughts about the future on gaming addiction and the indirect negative mediation effect of ego-resiliency were found for male adolescents but not for female adolescent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strategies to deal with gaming addict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이 자아탄력성을 통해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과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 의해서 구축된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의 원자료로부터 733명의 학교 밖 청소년을 선별하여 SPSS PROCESS macro의 Model 4와 15를 통해 매개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다음은 분석의 주요 결과이다. 먼저,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은 게임중독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은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이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매개했다. 즉,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의 수준은 자아탄력성의 수준을 증가시켰고, 이어서 게임중독의 수준을 감소시켰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의 성별은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이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모두를 조절했다. 구체적으로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이 게임중독에 미치는 직접적인 부적 영향과 자아탄력성을 통한 간접적인 부적 매개효과 모두가 남자 청소년에게서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게임중독 문제에 개입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이 인식하는 지역사회 무질서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낙인감과 충동성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래혁(RaeHyuck Lee),오채민(ChaeMin Oh),채황석(HwangSeok Chae)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1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69 No.-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지역사회 무질서 인식 수준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낙인감과 충동성 각각의 매개효과 및 이중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실시한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의 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조사당시 학업중단 상태였던 329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PROCESS macro Model 6를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이 인식하는 지역사회 무질서는비행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지역사회 무질서가 한 단위 증가할 때, 비행의 위험성이약 2.0배 증가했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지역사회 무질서가 비행에 미치는영향을 매개했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의 충동성 수준이 지역사회 무질서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매개했다. 넷째,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임감과 충동성이 지역사회 무질서가 비행에 미치는영향을 이중매개했다. 즉, 지역사회 무질서는 사회적 낙인감을 증가시켰고, 증가된 사회적 낙인감은 충동성을 증가시켰으며, 최종적으로 증가된 충동성이 비행의 위험성을 증가시켰다. 이상과 같은결과를 토대로 학교 밖 청소년의 비행 문제에 개입하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dividual mediation effects of social stigma and impulsivity and their dual-mediation effect in the influence of community disorder on delinquency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Using data from the 2nd wave of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is study performed analyses with the PROCESS macro Model 6 on a sample of 329 out-of-school adolescen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ut-of-school adolescents’perceived community disorder positively significantly influenced delinquency. When community disorder increased by one level, the likelihood of experiencing delinquency increased about 2.0 times. Second, out-of-school adolescents’social stigma mediated the influence of community disorder on delinquency. Third, out-of-school adolescents’impulsivity mediated the influence of community disorder on delinquency. Fourth, out-of-school adolescents’social stigma and impulsivity dual-mediated the influence of community disorder on delinquency. The levels of community disorder increased the levels of social stigma, which, in turn, increased the levels of impulsivity and, finally, increased the likelihood of experiencing delinquency. Based on the results, practice implications to address the delinquency of out-of-school adolescents were discussed.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부정적 사건 경험이 우울과 충동성을 이중매개로 비행에 미치는 영향

        이래혁(RaeHyuck Lee),장혜림(Hae-Lim Chang)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9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부정적 사건 경험이 우울과 충동성을 이중매개로 비행에 미치는 영향의 규명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에서 1차 조사 당시 학업중단 상태였던 청소년 표본을 대상으로 PROCESS macro for SPSS의 모델 6을 활용하여 부정적 사건 경험이 비행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뿐만 아니라 우울과 충동성을 통한 매개 및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부정적 사건 경험은 비행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은 부정적 사건 경험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지 않았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의 충동성은 부정적 사건경험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했다. 넷째, 학교 밖 청소녀의 우울과 충동성은 부정적 사건 경험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이중매개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부정적 사건을 경험한 학교 밖 청소년의 비행을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개입 전략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negative life events on delinquency through a dual-mediation of depression and impulsivity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For the purpose, using a sample of adolescents who were out of school at the point of participating in the 1st survey of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and Model 6 of the PROCESS macro for SPSS, this study analyzed the direct influence of negative life events on delinquency as well as the mediation and dual-mediation effects of depression and impulsivit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ut-of-school adolescents’ negative life even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delinquency. Second, out-of-school adolescents’ depression did not mediate the influence of negative life events on delinquency. Third, out-of-school adolescents’ impulsivity mediated the influence of negative life events on delinquency. Fourth, out-of-school adolescents’ depression and impulsivity dual-mediated the influence of negative life events on delinquenc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diverse strategies to prevent the delinquency of out-of-school adolescents who experienced negative life ev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