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출빈도와 선험 브랜드태도에 따른 간접광고(PPL) 효과

        박은아,양윤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exposure frequency of PPL and prior brand attitude on brand recognition and brand attitude. In addition, we considered that the exposure frequency of PPL and prior brand attitude will have interaction effect on brand recognition and brand attitude. To achieve this goal, the experiment were designed by 3 exposure frequency of PPL (1/4/8) * 3 prior brand attitude (positive/ neutral/ negative) between subject factor. The total of 191 undergraduate students were recruited and asked to watch a drama and then to answer questions about the brand recognition and brand attitud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the exposure frequency of PPL increases, viewers can better process the brand's appearance, thereby increasing brand recognition and positive brand attitude. Second, prior brand attitude has no effect on brand recognition. However, prior brand attitude has significant effect on brand attitude. Thus, positive prior brand attitude and neutral prior brand attitude produc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placed brand. Conversely, negative prior brand attitude produced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s placed brand. Third,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s between exposure frequency of PPL and prior brand attitude on brand recognition. On the other side, there wa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exposure frequency of PPL and prior brand attitude on brand attitude. In particular, as the exposure frequency of PPL increases, viewers who have positive or neutral prior brand attitude produc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placed brand. Conversely, viewers who have negative prior brand attitude produced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s placed brand. 본 논문은 간접광고 노출빈도와 소비자의 선험 브랜드태도에 초점을 두고 프로그램에 삽입된 간접광고(PPL) 브랜드에 대한 기억과 브랜드태도 변화를 알아보고, 간접광고 노출빈도와 선험 브랜드태도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대학생 191명을 대상으로 간접광고 노출빈도(1회/4회/8회), 선험 브랜드태도(긍정적/중립적/부정적)에 따른 간접광고 브랜드재인과 브랜드태도 변화를 분석하였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접광고 노출빈도가 많을수록 브랜드재인이 높고, 노출빈도가 많을수록 브랜드태도가 더 호의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험 브랜드태도에 따라 간접광고 브랜드재인에는 차이가 없으나, 브랜드태도에는 차이가 나타났다. 즉, 선험 브랜드태도가 긍정적일 때 간접광고 노출 후 태도가 가장 호의적이고, 선험 브랜드태도가 부정적일 때 노출 후 브랜드태도 또한 가장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브랜드 재인에 대한 간접광고 노출빈도와 선험 브랜드태도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브랜드태도에 대한 노출빈도와 선험 브랜드태도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선험 브랜드태도가 긍정적이거나 중립적인 경우 간접광고 노출빈도가 많을수록 브랜드태도는 더 호의적으로 나타났으나, 선험 브랜드태도가 부정적인 경우 간접광고 노출빈도가 많을수록 브랜드태도는 더 비호의적으로 변화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브랜드에 대한 선험 소비자태도를 고려하여 간접광고를 집행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텔레비전 드라마에 노출되는 간접광고에 대한 시청자의 태도연구

        이용재 한국소통학회 2009 한국소통학보 Vol.12 No.-

        본 연구는 미디어 법 이후 논의의 쟁점이 되고 있는 TV 간접광고에 대한 시청자의 태도를 분석하였다. 시청자가 TV 전파의 주체로서 TV 프로그램을 통해 노출되는 간접광고에 대해 어떠한 의미를 경험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청자를 연구의 중심에 두고 이들의 TV 간접광고에 대한 태도를 Q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Q 방법을 활용한 근거는, Q 방법이 본 연구의 주제인 TV 간접광고와 같은 특정 사회현상에 대한 인간의 태도를 심층적으로 규명하는 데 적합한 연구방법이기 때문이다. 분석결과 TV 간접광고에 대한 시청자의 태도는 모두 3개의 유형으로 발견되었다. ‘현실적 옹호론자’는 TV 간접광고의 현실성을 인정하는 간접광고 옹호론자이고, ‘원칙적 비판론자’는 반(反) 드라마적 성향을 지닌 TV 간접광고 비판론자이며, ‘소비지향적 옹호론자’는 TV 간접광고를 소비의 준거로 활용하는 간접광고 찬성론자이다. 유형별 특성을 비교해 보면, ‘현실적 옹호론자’는 TV 간접광고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긍정적 태도를 보였으나 간접광고의 허용과 윤리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태도를 가지고 있었고, ‘원칙적 비판론자’는 TV 간접광고의 필요성과 윤 리성 모두에 대해 매우 부정적 태도를 보였으며, ‘소비지향적 옹호론자’는 TV 간접광고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으나 최소한의 윤리적 규제는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것은 현재 교묘하게 노출되고 있는 TV 간접광고의 윤리성에 대해 시청자들이 반기를 들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방송업계나 협찬주는 TV 간접광고의 수용주체인 시청자들의 의견을 반드시 존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fundamental attitudes of TV audience towards Product Placement(PPL). To analyze the attitudes, Q-method has been used because it is one of the best ways for measuring audience’s basic and internal attitudes. This study picked up four TV PPL themes for measuring audience’s attitude by analyzing other PPL research results. The four themes are brand, centrality, ethics and regulations. Factor analysis has been administered with 48 question statements developed for the theme. After the Q-method analysis, the audience attitudes towards TV PPL have been categorized in three types. The first type is ‘Realistic Supporters’, who highly value the realism of TV PPL and apply reasonable applications to PPL. The second type is ‘Principled Critics’, who are highly critical of TV PPL and call for high ethical standards. The third type is ‘Consumption-oriented Supporters’, who favor TV PPL and actively apply it in their consumption. In conclusion, the fact that the three types of audience attitudes towards the TV PPL have been identified could be translated that the fundamental attitudes of the audience towards the TV PPL could be categorized in three ways. It means that we can categorize in three types the ways the audiences perceive, save and infer the information from the TV PPL in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spects.

      • KCI등재

        효과적인 PPL 노출시간은 어느 정도인가?: 제품배치 유형에 따른 간접광고 효과

        박은아,김동환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different types of product placement and exposure time of PPL on brand recognition and brand attitude. In addition, we hypothesized that the types of product placement and exposure time will have interaction effect on brand recognition and brand attitude. To achieve this goal, the experiment was designed by 3 single exposure times (low/medium/high) x 2 types of product placements (on-set placement/creative placement) within subject factor. The total of 133 undergraduate students were recruited and asked to watch movie and then to answer questions about the brand recognition and brand attitud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on-set placement had higher effect than the creative placement did on brand recognition. Second, the degree of single exposure time of PPL had positive effect on brand recognition, and the high condition(9-12 sec.) of single exposure time of PPL had higher effect than the low condition(1-4 sec.). Third,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types of product placement and single exposure time on brand recogni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ypes of product placement and single exposure time on brand attitude. In the case of creative placement, the attitude toward placed brand had higher tendency when single exposure time of PPL was presented longer. However, in the case of on-set placement, the medium condition of single exposure time of PPL produced a higher brand attitude than the low condition or high condition did towards placed brand.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posure time of PPL may represent an important variable on PPL and indicate that the appropriate level of exposure time is different in terms of product placement type. 본 연구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간접광고 시청환경에서 과연 적절한 간접광고 노출시간은 어느 정도인가에 관심을 갖고, 제품배치 유형과 노출시간에 따른 광고효과 차이를 알아보았다. 모든 간접광고의 노출빈도는 3회로 하고, 제품배치 유형(온셋 배치/크리에이티브 배치)과 1회 노출시간(1-4초/5-8초/9-12초)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간접광고 브랜드 재인과 브랜드 태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접광고가 등장인물에 의해 제시, 사용되는 온셋 배치가 단순히 배경으로 제시되는 크리에이티브 배치에 비해 브랜드 재인이 높고, 1회 노출시간이 9-12초(고)로 제시될 때 1-4초(저)로 제시될 때보다 유의하게 브랜드 재인이 더 높았다. 브랜드 태도에서는 노출시간과 배치유형의 상호작용이 유의하여, 크리에이티브 배치에서는 1회 노출시간이 길수록 브랜드 태도가 높아지는 경향성이 나타난 반면, 온셋 배치에서는 1회 노출시간이 5-8초(중) 조건일 때 1-4초(저)와 9-12초(고) 조건에 비해 브랜드 태도가 더 높았다. 이 같은 결과는 효과적인 간접광고 노출시간은 제품배치 유형에 따라 다르며, 적정수준 이상으로 길게 제시되는 것은 간접광고 브랜드에 대하여 부정적 태도를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광고목표에 따라 노출시간을 계획하여 간접광고를 집행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대학생들의 성별과 텔레비전 예능프로그램 간접광고(PPL)에 대한 노출 정도가 PPL 태도, PPL 브랜드 태도와 구매행동 및 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순기,홍종배,이귀옥 한국영상학회 2015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3 No.3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예능프로그램 PPL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를 측정하고, 이러한 태도가 PPL 브랜드 태도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능프로그램 PPL 에 대한 태도를 요인 분석한 결과 부정적 태도가 긍정적 태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의 경우 여 성이 남성보다 예능프로그램 PPL에 대한 부정적 태도가 높았으며, 장르(리얼 버라이어티, 토크쇼, 개그) 별 시청정도의 경우 개그프로그램 시청정도가 높을수록 예능프로그램 PPL에 대한 태도는 부정적인 것으 로 나타났다. 하지만 리얼 버라이어티와 토크 장르의 예능프로그램을 많이 시청할수록 예능프로그램 PPL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능프로그램 PPL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PPL 브 랜드 태도와 구매경험 및 향후 구매의도를 가장 잘 설명하는 변인이었다. 한편, PPL 브랜드 태도와 PPL 브랜드 구매경험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고,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정도가 높으면 향후 구매의도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결과가 지니는 예능프로그램 PPL에 대한 이론 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examined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product placements (PPL) in TV entertainment programs and how those attitudes influenced PPL brand attitudes and purchasing behaviors. Based on a surve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negative attitudes toward PPL in TV entertainment programs were more common than positive attitudes.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gender and the number of viewing hours for three TV entertainment genres (real variety shows, talk shows, and comedy programs) significantly influenced PPL attitudes. Male students have more positive attitudes than female students, and the number of viewing hours for comedy programs was found to be correlated with negative PPL attitudes. The number of viewing hours for real variety shows and comedy programs was linked to positive attitudes. In addition, a positive PPL attitude was a major influencing factor with regard to PPL brand attitudes and buying behavior (buying experiences and future buying intentions). Female students have higher PPL brand attitudes and more buying experiences than male students, and number of viewing hours for real variety shows influenced future buying intentions for PPL brands.

      • KCI등재

        PPL 광고(廣告) 모델이 의류(衣類)브랜드 태도(態度)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김일 ( Il Kim ),권미경 ( Mi Kyoung Kweon )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03 패션 비즈니스 Vol.7 No.1

        By considering the influences of PPL(Product Placement) commercial model on consumers`` attitude to clothing brand as a commercial effect of PPL,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how much differently they take an attitude to clothing brands before and after exposed to PPL commercials, and also identify how much differently they take their attitude to the brands depending upon PPL commercial models. In the step of experimental design, a previous survey was performed to identify how consumers take their attitude to commercial models and brands before exposed to PPL commercials. And every subject was asked to watch video films with brand logos exposed. The results of experimen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fter all subjects were exposed to PPL commercials, in general, their attitude to commercial models had more or less effects on the change of their attitude. Meanwhile, the interaction between their attitude to model and clothing brands respectively had somewhat significant influences only on brand recognition. This study verified that PPL commercial model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consumers`` attitude to brands. These results imply that a PPL commercial strategy in fashion industry should be made focusing on the respective roles of PPL commercial models.

      • KCI등재

        TV 간접광고에 노출되는 브랜드에 대한 수용자의 태도연구

        이용재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현재 광고 분야에서 논의의 쟁점이 되고 있는 TV 간접광고(PPL) 브랜드에 대한 수용자의 근원적 태도를 분석하였다. 그 이유는 수용자가 TV PPL의 주체임에도 불구 하고 PPL 논의의 주변인으로 전락되어 왔기 때문이다. 따라 서 본 연구는 수용자를 중심으로, 수용자 관점에서 TV PPL 브랜드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두 개의 연구문 제를 설정하였다. 첫째는, TV PPL에 노출되는 브랜드에 대 한 수용자의 태도는 어떻게 유형화될 수 있는가? 둘째는, TV PPL에 노출되는 브랜드에 대한 수용자의 태도는 유형별로 어떠한 특성을 갖는가? 이다. 연구방법은 Q 방법이다. 그 근 거는, TV PPL과 같은 특정 현상에 대한 인간의 관념(Notion s)과 태도(Attitude)를 측정하는데 적합하기 때문이다. 연구 절차는 선행연구와 인터뷰를 통해 브랜드 태도와 관련된 28 개의 Q 표본을 추출하였다. P 표본은 대학생과 직장인 48명 으로 구성하였으며, Q 표본은 QUANL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 하였다. <연구문제1>의 결과로 세 개의 수용자 유형이 발견 되었다. 첫 번째 유형은 TV PPL 브랜드의 현실성을 중요시 하며 PPL을 합리적으로 활용하는 브랜드 옹호론자ᐳ이고, 두 번째는 TV PPL 브랜드에 대해 비판적이며 높은 윤리성 을 요구하는 ᐸ브랜드 비판론자ᐳ이다. 세 번째는 PPL 브랜드 를 선호하며 소비에도 적극 활용하는 ᐸ브랜드 충성론자ᐳ이 다. <연구문제2>의 결과로 각 유형별 수용자의 브랜드 태도 를 통합적으로 재해석하였다. 요약하면, TV PPL 브랜드에 대한 수용자의 유형이 세 가지로 발견되었다는 것은 수용자 들이 TV PPL 브랜드에 대해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측면에 서 그 정보를 지각하고 저장하며 추론하는 태도가 세 가지로 유형화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fundamental brand attitudes of TV audience towards Product Placement(PPL). In additio n, the audience has been treated marginal in the debate over PPL,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y are the main subj ect of appeals in TV PPL. The research questions formul ated to accomplish the goal are as follows. RQ1. How can we categorize the attitudes of the audience who are expo sed brand in TV PPL? RQ2. W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First, to measure the general audience bran d attitudes towards the TV PPL, Q-methodology has bee n used because it is one of the best ways for measuring audience's basic and internal brand attitudes. After the Q -methodology analysis, the audience brand attitudes tow ards TV PPL have been categorized in three types. The first type is <Brand Supporters>, who highly value the realism of PPL and apply reasonable applications to PPL. The second type is <Brand Critics>, who are highly criti cal of PPL and call for high ethical standards. The third type is <Brand Loyalist>, who favor PPL and actively ap ply it in their consumption. We could use these three typ es of audience brand attitudes as the prototype of the PP L researches, thereby generating future TV PPL hypothe ses.

      • KCI등재

        중국 TV 드라마에 나타난 간접광고 유형에 대한 시청자의 태도 분석 - 드라마 <환락송 : 歡樂颂> 중심으로 -

        로요 ( Lu Yao ),김종무 ( Kim Jong-mo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4 No.-

        본 연구는 2016년 중국 드라마 중 최고의 시청률(1.167%)을 기록한 <환락송>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세종류(비 통합, 암시적, 통합된)의 간접광고 배치 유형차이가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태도 그리고 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복주(福州:Fuzhou)에 거주하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6년 4월 18일부터 5월 30일까지 총 210명을 표본으로 선정한 뒤 간접광고 유형에 따른 자극집단별로 70명씩 3그룹으로 나누어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중 오류가 없는 총 207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3종류의 간접광고 배치 유형 중 통합된 제품배치 유형에서 가장 높은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태도 그리고 구매의도 선호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중국 TV 드라마에 나타난 간접 광고유형에 대한 시청자의 태도를 이해함과 중국 TV 드라마에서 간접광고를 제작할 때 어떠한 간접광고 유형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며, 향후 중국진출에 관심 있는 한국 대행사의 간접광고 제작 전략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해 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how the difference in type of laying 3 kinds of indirect advertisements (non consolidated, implicative, consolidated) which were continuously exposed in < Ode to Joy > that recorded the highest viewer rating(1.167%) out of Chinese dramas in 2016influenced brand imag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o this end, 210 university students residing in Fuzhou China were selected as samples from April 18 to May 30, 2016. They were divided into 3 groups for stimulation group depending on indirect advertisement type. The 207 error-free question pape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analysis, the type of consolidated product layout out of 3 kinds of types of indirect advertisement layout showed the highest brand image, brand attitude and preference of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basic materials on deciding which type of indirect advertisement is effective to understand viewers’attitude toward the type of indirect advertisement appearing in Chinese TV drama and to produce indirect advertisement in Chinese TV. Further, it will provide basic materials for Korean agents interested in advancing to China later to prepare the strategy to produce indirect advertisement.

      • KCI등재

        중국 인터넷 엔터테인먼트 개인방송 시청만족도 요인이 지속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종무(Kim, Jong Mo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3

        중국의 인터넷 개인방송 크리에이터(Creator)는 자신의 많은 팔로워 수를 바탕으로 기업 제품의 간접광고를 통해 많은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중국 최대 포털사이트 바이두(Baidu)의 발표에 의하면 중국 국민의 60%가 제품을 구매할 때 제품 광고 보다 개인방송 크리에이터의 조언을 더 신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러한 소비자의 태도를 반영하듯 중국 개인방송 크리에이터들을 통해 창출되는 시장 규모가 18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처럼 개인방송이 기업의 광고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중국 인터넷 엔터테인먼트 개인방송의 시청만족도 요인이 무엇이며, 시청의도 요인이 지속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프로그램 속에서 보이는 간접광고 태도가 시청만족도 요인과 지속시청의도 변수간에 조절효과를 발휘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고, 2017년 4월 20일부터 30일까지 중국에 거주하고 있는 2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상에서 실험을 실시하고 오류가 없는 191명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중국 인터넷 엔터테인먼트 개인방송의 시청만족도 요인은 “즐거움 추구 요인”, “콘텐츠 매력 요인” 그리고 “사회적관계 추구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청만족도 요인 중 “즐거움 추구 요인”과 “콘텐츠 매력 요인”에 대한 지속시청의도는 정(+)의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즐거움 추구 요인과 콘텐츠 매력 요인이 지속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간접광고 태도는 조절적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중국 인터넷 엔터테인먼트 개인방송에 대한 시청만족도 요인이 무엇이며, 시청만족도 요인이 지속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 방송의 주 수입원인 간접광고가 시청만족도 요인과 지속시청의도 변수 간에 조절적 역할을 하는 것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중국 인터넷 엔터테인먼트 개인방송을 제작하는 크리에이터들에게 시청자의 시청태도를 이해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creator of China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is making considerable revenue by indirectly advertizing the products of enterprises on the basis of its countless followers. According to the announcement of Baidu, the largest portal site in China, 60% of Chinese people trust the advice of creator of personal broadcasting more than the advertizement of products when they buy products. It is estimated that the scale of market created by creators of China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amounts to Won 18 trillion as if reflecting such attitude of consumers. In the situation where personal broadcasting is noted as advertizement means of enterprise, this study analyzes watching satisfaction factor of China internet entertainment personal broadcasting and whether influence that viewing intention factor has on viewing continuity intention and PPL Attitude seen in the program exerts moderator effect between watching satisfaction factor and variables of viewing continuity intention. For analysis, the question paper used in preceding study was revised & supplemented to be proper to this study. On-line experiment was carried on for 200 people living in China from April 20 to 30, 2017 and 191 error-free paper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watching satisfaction factors of China internet entertainment personal broadcasting are “enjoyment pursuit factor”, “contents attraction factor” and “social relation pursuit factor.” Second, out of watching satisfaction factors, viewing continuity intention for “enjoyment pursuit factor” and “contents attraction factor” is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 Third, PPL Attitude has moderator effect for the influence that “enjoyment pursuit factor” and “contents attraction factor” have on viewing continuity inten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materials on watching satisfaction factor for China internet entertainment personal broadcasting and the influence that watching satisfaction factor has on viewing continuity intention and the indirect advertizement, the main source of income of personal broadcasting plays the role of moderator between watching satisfaction factor and viewing continuity intention variabl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be basic materials for creators producing China internet entertainment personal broadcasting to understand viewers’ viewing attitude later.

      • KCI등재
      • KCI등재

        영화 속 패션상품 간접광고에 관한 연구

        김희라(Hee Ra Kim),신혜원(Hye Won Shin) 한국복식학회 2015 服飾 Vol.65 No.3

        This research has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film interest, clothing involvement, attitude towards ppl, preference for fashion products, and purchasing intention. In april 2014, 210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Incheon filled out a survey. Frequency analysis, k-cluster analysis, t-test,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regression, and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Students who were more interested in film were higher in clothing involvement. Clothing involvement had larger influence on preference for fashion products and purchasing intention than film interest. Students highly involved in clothing ha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ppl, preference for fashion products and purchasing intentions. Clothing involvement, attitude towards ppl and preference for fashion products directly influenced purchasing intention. The preference for fashion products had the largest influence on purchasing intention. The preference for fashion products and attitude towards ppl had mediation influences between clothing involvement and purchasing int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