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李鈺의 문학에 나타난 자기 패배의 글쓰기

        박수밀 동방한문학회 2017 東方漢文學 Vol.0 No.73

        This study is to reveal the meaning of self-defeating finals in 「Ji-Ju-Bu」 and 「Hu-Jo-Bu」 of Rhee Ok. Firstly, it finds the writing period of these two works. They had been written before persecution of restoration policy on the basis of records of 「Je-Kyeong-Kum-So-Kwon-Hu」. Then it finds the writing aspect of self-defeating. First of all, in terms of that the object of rebuking is worms, it finds that meaning. Rhee Ok appealed that the humble things can be a good object of human recognition, criticizing human existing concepts. There is a subject in 「Ji-Ju-Bu」 that there are various laws to bind human life, so human carefully should not go astray, expressing many worms in an allegorical way. The meaning of self-defeating final is to be considered with two layers. This self-defeating final does not show the consciousness of the writer, but the writer’s truth, considered more serious by Rhee Ok as his main point of view. Another layer is the high strategics of his writing to attract and persuade readers. The defeat of Lee-Mister looks the defeat of Rhee Ok, in real it is the defeat of existing human concept of that time. The defeat of writer means that worms is equal to human position. Human does not become lower existence by higher level of existence, but stands in the same position as the worms, recognizing his own defaults thanks to the lesson of humble things. The world that Rhee Ok intended to reveal, even with self-denial, is a ‘Mul-A-Kyun-Si’(which means equal viewing self as the things) and the true severe reality bounded with complicated nets. Rhee Ok tried the resistant writing, choosing the way of pulling himself down, of revealing the truth of the world. He chose the way of criticizing himself, twisted common thinking, put the allegorism of criticizing the reality in a secret way. The revelation of humble things by self-denial shows the new direction of his writing. 본고는 李鈺의 글에서 작가 자신이 패배당하는 결말을 보이는 「蜘蛛賦」와 「後蚤賦」를 분석하고 그 의미에 대해 살핀 것이다. 먼저는 두 작품의 창작 시기를 밝혀보았다. 「題絅錦小賦卷後」의 기록을 토대로 두 작품은 이옥이 문체반정으로 피해를 당하기 이전에 창작된 글로 보았다. 다음으로는 자기 패배의 글쓰기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는 두 작품에서 꾸짖음의 대상이 벌레라는 점에 주목하여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옥은 하찮은 벌레를 내세워 인간의 통념을 비판함으로써 가장 하찮은 微物도 깨우침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을 보여주었다. 「蜘蛛賦」에선 각종 벌레를 우의적으로 표현해, 삶을 구속하는 현실의 법망들이 많으니, 욕심과 이익으로 함부로 뛰어들지 말고 잘못된 길로 빠지지 말아야 한다는 주제를 담은 것으로 보았다. 자기 패배의 결말이 갖는 의미를 두 층위에서 생각해 보았다. 자기 패배의 결말은 현실에 패배한 작가 의식을 드러냈다기보다는 작가적 진실을 더 중요하게 여기는 이옥의 세계관이 반영된 것이라 보았다. 또 하나는 독자를 효과적으로 설득시키기 위한 고도의 글쓰기 전략이라고 보았다. 李子의 패배는 이옥의 패배인 것 같지만 실은 그 시대 통념의 패배이다. 작가의 패배는 벌레가 인간과 동등한 지위에 서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은 자신보다 더 높은 존재에 의해 낮아지는 것이 아니라 가장 하찮은 미물에게 훈계 받음으로써 벌레와 동등한 자리에 선다. 자기 부정을 감수하면서 이옥이 드러내고 싶었던 세계는 物我均視이자 복잡한 그물망으로 얽혀 있는 냉혹한 현실이었다. 이옥은 저항의 글쓰기를, 자기를 낮추면서 세계의 진실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선택했다. 자신도 짐짓 비판의 대상이 되는 방식을 취해 관습적 생각을 비틀고 은근슬쩍 현실에 대한 풍자도 가미하였다. 자기부정을 통한 微物의 발견은 그의 글쓰기가 나아간 새로운 방향의 정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 KCI등재

        이옥(李鈺)의 문학에 나타난 벌레, 꽃, 물의 표상

        박수밀 열상고전연구회 2018 열상고전연구 Vol.62 No.-

        본고는 이옥의 문학에 나타난 벌레, 꽃, 물의 표상을 분석하여 이옥의 미의식, 존재와 관계에 대한 세계관을 더욱 깊이 이해하고자 한 것이다. 먼저는 이옥의 꽃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옥은 꽃 자체의 미적 특질에 주목한 작가였다. 일반의 사람들이 꽃의 향기와 자태에 주목하는데 반해 이옥은 꽃에서 변화와 소멸을 발견했다. 그가 꽃에서 느끼는 미적 체험은 아름다움이 사라지는 소멸의 애상감이었다. 애상감과 무상성이라는 이옥 문체의 특질은 문체반정의 상처 이전에 이미 이옥 안에 내재한 근원적인 감수성이었다. 다음으로는 이옥의 벌레에 대해 살펴보았다. 존재와 관심의 층위에서 이옥은 벌레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기울인 작가였다. 이옥은 벌레에게서 연민을 느끼고 배움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옥은 벌레와 인간의 처지를 역전시켜, 벌레가 인간의 어리석음을 질책하는 데까지 나아갔다. 물아균시(物我均視)는 이옥의 사물 인식을 규정짓는 말이었다. 사물과 나를 균등하게 보는 입장은 나와 벌레는 존재론적으로 같다는 생각으로 심화되었다. 이옥은 벌레와 인간의 존재성을 나란히 놓음으로써 작은 존재들을 존중하고 이들에게서 무언가를 배우려 하였다. 다음으로는 이옥의 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옥이 사랑한 물은 노자(老子)의 물이었다. 이옥의 유약하고 조용한 성격은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유약하고 고요한 노자의 물을 사랑하게끔 이끌었다. 노자의 물에 나타난 유약함과 고요함은 여성의 성질이기도 했다. 많은 연구자들이 이옥의 감성이 여성적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는데, 이옥이 사랑한 노자의 물을 통해 그 연관성을 확인했다. 이옥의 벌레, 꽃, 물의 표상을 통해 살핀 그의 미의식, 존재와 관계에 대한 통찰, 차별 없는 시선, 유연한 감성이 작품에 어떤 방식으로 펼쳐지고 있는지를 계속해서 살펴갈 것이다. This study is to analize the symbol of worm, flower and water in Ok Rhee’s literature, and to understand him more deeply. Firstly, it reveals the flower of Ok Rhee’s. He paid attention to the aesthetic feature of flower itself. People usually catch the beauty of flower in its scent and figure, but Ok Rhee found change and extinction in flower. His aesthetic experience from flower is an aesthetics of extinction. His feeling about beauty is based on his grief for extinction. Grief and transience, the feature of his writing style, is his fundamental feeling before his suffering of restoration policy. Next it reveals Ok Rhee’s worm. He had deep concern on worm. He had compassion on it and learned from it. Furthermore, he changed both’s position and considered that worm rebukes people. ‘Mul-A-Kyun-Si’(which means equal viewing self as things) is definition of his ontology. His position of equal viewing self as things is connected with his thought that self (I) and worm is the same in ontology. He placed the value of worm and people in the same place, considered small things preciously, tried to learn something from them. Finally it reveals the water of Ok Rhee’s. His water was of Noh-Ja. He was weak and quiet. This characters had him love the weak and quiet water of Noh-Ja’s,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The weakness and quietness of Noh-Ja’s water was those of women. It will more progressively be developed to study how to reveal his aesthetic sense, his deep insight of existance and relationship, his equal view and his flexible feeling in his works.

      • KCI등재

        대한민국의 건국외교와 유엔(UN)

        허동현 숭실사학회 2013 숭실사학 Vol.0 No.30

        본고에서는 일국사적 관점을 넘어 국제사적 시각으로 대한민국의 수립과정에서 유엔 승인 획득을 위한 건국 외교활동에 이르는 면면을 조명해 봄으로써 다음과 같은 점을 밝혔다. 첫째, 미국이 반공보루 구축을 위해 한국을 분단한 것이 아니라 소련이 중국 공산화의 후방기지로 북한을 활용하기 위해 런던외상회의가 열리고 있던 1945년 9월 20일 스탈린이 북한에 단독정부 수립 지령을 내려 분단을 기정사실화 했으며, 광복 이후 6․25전쟁이 터지기 전까지 미국은 한국의 전략적 가치를 평가절하하고 있었음을 밝혔다. 또한 중국의 공산화가 명약관화해진 1947년 9월 이후 미국이 한국문제의 유엔 이관을 통한 해결로 정책을 바꾼 것도 1946년 정읍선언 이래 이를 먼저 제기하고 요구해온 이승만의 전략을 받아들인 것임을 밝혔다. 둘째, 3개월이란 짧은 기간에 전문 외교관이 아닌 대표단이 유럽과 아시아에서 팽창일로를 걷고 있던 공산진영의 저지공각을 뚫고 미온적 입장을 보이고 있던 인도와 아랍진영 회원국의 지지를 이끌어 내 48대 6이라는 압도적 표차로 유엔의 승인을 얻어낸 것은 미국과 바티칸의 지원에 힘입은 것이지만, 이들의 지원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이들로 대표단을 구성한 이승만의 전략과 장면과 조병옥 등 단원들의 헌신적 노력 때문이었음을 밝혔다. 셋째, 한 세기 전 서구열강들이 국민국가로 인정하지 않았던 대한제국과 제2차 세계대전 시 임시정부에 대한 승인 외교의 실패, 그리고 연합국의 신탁통치 계획에 비춰볼 때 신생 대한민국이 건국 4개월 만인 1948년 12월 12일 3차 유엔총회에서 58개국 중 48개국의 찬성으로 한반도 내 유일한 합법정부로 승인받은 것은 획기적 사건이었으며, 이러한 승인이 1950년 6ㆍ25전쟁 때 유엔군 파병의 근거가 되었음도 밝혔다. This paper analyzes the diplomatic efforts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1948 by going beyond the parochial confines of the national historical viewpoint which examines the country's attempts at gaining international recognition as an independent sovereign state at the third UN General Assembly. Firstly, four months after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USAMGIK) relinquished control as the official ruling body in South Korea, 47 of the 58 countries at the third United Nations (UN) General Assembly held in Palais de Chaillot voted to recognize the Republic of Korea (ROK) as the only lawfully elected government on the Korean Peninsula. It was a triumph for the country becaus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did not recognize the government of the Korean Empire(大韓帝國) a century ag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led by the allied powers, also did not acknowledg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spawned by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Additionally, the allied powers had divided Korea into two after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allowing the Soviet Union and the United States to hold North and South Korea respectively in a trusteeship until a provisional government could be formed to unify the country. Given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insistence on Korean unification and its previous refusals to recognize any government in Korea prior to December 1948, international acceptance of ROK in the UN was a great step forward for the country. This international recognition of ROK as the only a lawful government on the Korea Peninsula proved invaluable when the Korean War broke out on 25 June 1950, for 63 of the 93 UN states elected to assist her. Secondly, this study will prove that the political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was not so much due to the United States’ attempt to curb communism in the region, but to the Soviet Union’s efforts at keeping North Korea a sanctuary for the forces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CPC) against the Kuomintang (KMT) led forces loyal to the Nationalist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China. Stalin had in fact ordered North Korea to establish a separate government on 20 September 1945 at the time of the London Conference of Foreign Ministers being held. In contrast, the strategic significance of the Korean Peninsula to the United States had been steadily declining since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By the time the Korean War broke out, American interest in Korea had waned considerably. This paper will show that Syngman Rhee(李承晩) was not a puppet of the United States. Rather, he was instrumental in changing the United States’ policy towards ROK and responsible in part for the American decision to bring the Korean issue to the UN in September 1947. In fact, Rhee had previously declared his intention to form a government in South Korea in his 1946 speech at Jeongeup. However, it was not until the grip of communism was apparent in China in 1947 that the United States responded to Rhee’s calls for an elected government in South Korea by referring him and the Korean issue to the UN. Finally, this paper will also explore the key role played by Rhee’s delegation in the UN’s decision to hold elections in South Korea and acknowledge the victor as the sole legitimate government on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United States referred the Korean issue to the UN, Rhee put together a delegation that he sent to the UN to campaign for an internationally recognized independent South Korean government. With the support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Vatican, this delegation convinced 48 of the 54 UN member states to vote in favor of holding elections in South Korea and recognizing the winner as the new legitimate Korean government. The successful international acceptance of ROK as an independent sovereign state owed much to the dedication of John Myun Chang(張勉) and Chough Pyung-ok(趙炳玉) in the delegation. Although Chang and Chough had no diplomatic experience, they overturned the initial ambivalence of India and the Arab states and convinced them to support the idea of an independent South Korean government. The delegation’s calls for an independent internationally recognized South Korean government coincided with the spread of communism in Europe and Asia. As a result, the UN member states voted in favor of recognizing an independent South Korean government a mere three months after the United States’ referred the Korean issue to the UN. The UN member countries were quick to grant independent government status to South Korea because they feared the spread of communism in Europe and Asia during this period would make inroads in the country. Thus,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dedication of key members of Rhee’s delegation and the UN member states’ fear of the spread of communism worked in tandem to bring about international recognition for an independent South Korean government.

      • KCI등재

        일반논문 : 미군정하 흥사단 계열 지식인의 냉전 인식과 국가건설 구상

        장규식 ( Kyu Sik Chang ) 한국사상사학회 2011 韓國思想史學 Vol.0 No.38

        흥사단 계열은 20세기 전반 한국사회의 대표적인 자유주의 지식인 집단으로, 해방후 미군정에 대거 진출하여 각종 정책을 입안하면서 자유민주국가 건설의 기초를 놓았다. 그 과정에서 그들은 8·15해방을 민주주의 연합국의 승리로 주어진 해방으로 인식하고, 민족의 자아혁신과 실력양성을 통해 완전독립으로 나아갈 것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완전독립을 위한 민주건국의 요체로 자아혁신을 통한 신생활운동을 제창하였다. 국민 의식수준의 향상이 없이 민주주의의 실현은 요원하다는 공통된 인식에서였다. 그러나 자유의 사회적 허용 기준, 해방정국의 우선 과제, 남한 단독정부 수립 등의 문제를 놓고는 내부에 도산우파와 도산좌파로 분류할 수 있을 정도의 입장 차이가 나타났다. 예컨대 조병옥·정일형 등은 자유 수호를 우선의 가치로 내세워 반공주의를 정당화하고, 가능지역의 총선거를 통한 남한 단독정부의 수립을 지지하였다. 반면 김붕준·오기영 등은 만인의 도덕적 자유와 사상의 자유를 앞세워 냉전적 반공주의를 비판하고, 남북좌우가 통일단결하여 완전독립을 이루는 것이 우선의 과업임을 강조하였다. 해방후 흥사단계는 냉전 구도의 형성을 전후해 반공 우선이냐 통일 우선이냐를 놓고 입장이 나뉘기는 했지만, 자유주의 원리에 입각한 민주국가의 건설이라는 대원칙에는 의견을 같이하였다. 그들은 국가에 대한 개인과 시민사회의 우위를 내세우고, 의회주의와 정당정치에 입각해 견제와 균형을 기조로 하는 민주정부의 수립을 지향하였다. 그리고 국민들의 민주주의 경험이 부재한 현실을 돌파하기 위해 민주주의에 대한 교육 계몽을 특히 강조하였다. 다음으로 경제건설과 관련해 그들은 실력양성론의 맥락에서 생산증대를 통한 자립경제의 건설에 주안점을 두었다. 그리고 자유주의적 견지에서 전문경영인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한편으로, 민주적 노동조합을 육성하여 자본가와 노동자 사이에 견제와 균형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경제의 민주화를 도모하려 하였다. 미군정하에서 흥사단계 지식인들에 의해 입안된 제반 정책의 큰 틀은 대한민국정부가 수립된 이후에도 대체로 계승되었다. 그러나 단절의 부분 또한 눈에 띄었는데, 그것은 한편으로 대의정치 원칙을 강조한 흥사단계와 동원정치 전략을 구사한 이승만의 자유민주주의에 대한 인식의 편차와 연동되어 있었다. The Young Korean Academy was a representative of liberal intelligentsia groups in Korea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ey laid the foundation of a liberal democratic state by implementing various policies from the diverse offices in the American Military Regime in South Korea post-World War II. In this process, they recognized the national liberation as a result of the victory of the democratic alliance and argued for a movement toward complete independence, through the self-innovation and self-improvement of the Korean people. In addition, they proposed the New Life Movement through self-innovation as the essence for the democratic foundation of the country and complete independence. This was based on the shared belief that democratization is impossible without improvement of the consciousness of the people. However, there emerged internal divisions, separating Dosan Rightists from Dosan Leftists, when faced with such issues as the social perimeter to tolerate freedom, the imminent tasks in the post-liberation space, and establishment of a separate government in the South. For example, Dosan Rightists such as Cho Byung-ok and Chung Il-hyung justified anti-communism, presenting protection of freedom as the primary goal, and supported establishment of a separate government in the South, after a general election in areas where it was possible. On the other hand, Dosan Leftists such as Kim Boong-joon and Oh Ki-young criticized Cold War anti-communism, arguing for everyone`s moral and ideological freedom, and emphasized that the most imminent task was to have a complete independence through unified solidarity of the North and South, Left and Right. Although members of the Young Korean Academy group were divided on the question of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anti-communism and unification around the time of the formation of a global Cold War structure, they shared a main principle of the foundation of a democratic country based upon the principle of liberalism. They strove to construct a democratic government that placed individuals and civil society over state, and that followed the principle of the checks and balance of parliamentary and party politics. They emphasized education of democracy to counter the lack of democratic experience of the people. Next, in the area of economic development, they emphasized the development of a self-sufficient economy through production increase, following the theory of capability enhancement. While respecting the self-management of professional managers in the context of liberalism, the Young Korean Academy group also tried to promote economic democratization by developing a check and balance between capitalists and labor through democratic labor unions. A large portion of the various policies proposed by the Young Korean Academy intellectuals during the American Military Regime were continued by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But a certain discontinuity also exists,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the views on liberal democracy held by the representative politics-oriented Young Korean Academy group and mass mobilization-favoring Syngman Rhee.

      • KCI등재

        「시국대책요강」과 우익 데마고기의 양상

        김인식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6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8

        The period of Korean liberation was the time when demagogies were rampant among conflictive political forces. This study illuminates the reality of demagogy through the keyword of ‘demagogy’ in the political situation of Korean liberation in which left and right-wing political forces had a command at the target of political enemy, Demagogies in the political situation of Korean liberation had been intended to achieve political purposes through permeating into the public in the period of social upheaval. Accordingly, demagogies are the indicator to examine the awareness of time through common interests of people at the time and on the other hand, show us intactly how political forces pursuing powers made attempt at mass manipulation. As the first attempt to understand the demagogy in the period of Korean liberation, this study, above all, examines dimensions of right-wing demagogy surrounding An Outline of Measures for Meeting the Current Situation. The prerequisite of right-wing forces who pushed ahead with establishment of the separate South Korean Government was to remove the moderate right force as a political enemy from political powers. Right-wing forces such as the affiliation of Rhee Syng-Man and Korean Democratic Party denounced the moderate right force as ‘traitors’, ‘anti-national elements’, furthermore, ‘communists.’ Careful political manipulations and attacks surrounding An Outline of Measures for Meeting the Current Situation that developed with the target of the moderate right force were the epitome that shows us dimensions of the right-wing demagogies. A series of political controversy that developed surrounding An Outline of Measures for Meeting the Current Situation between October and November in 1947 was a power struggle that right wing forces such as the affiliation of Rhee Syng-Man and Korean Democratic Party aimed at An Jae-hong (Civil Administrator) as a representative of the moderate right force. This paper tries to review issues and meaning of political controversies surrounding An Outline of Measures for Meeting the Current Situation with the focus of dimensions of right wing demagogy. By doing this, it also tries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and meaning of domestic political situation in the late of 1947. 해방정국은 대립ㆍ적대하는 정치세력들 사이에 상대를 향한 데마고기가 난무하던 시기였다. 이 연구는 해방정국을 ‘데마고기’라는 주제어를 가지고, 좌익ㆍ우익의 각 정치세력들이 정적을 향하여 구사한 데마고기의 실상을 밝혀보려 하였다. 해방정국의 데마고기는 사회변동기라는 상황에서 대중 속에 침투하여 정치목적을 달성하려는 의도를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데마고기는 당시 민중들의 공통된 관심사를 통하여 시대의식을 확인하는 지표가 되며, 한편으로 권력을 추구하는 정치세력들이 어떻게 대중조작을 꾀하였는지 그대로 보여준다. 이 연구는 해방정국기 데마고기의 실체를 파악하려는 첫 시도로, 우선 「시국대책요강」을 둘러싼 우익 데마고기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단독정부수립을 추진하던 우익 세력들이 이를 관철시키기 위해 해결해야 할 선결 과제는, 정적인 중간우파 세력을 정치권력에서 제거하는 일이었다. 이승만 계열과 한국민주당 등 우익 세력은 중간우파를 공산주의자에 놀아나는 ‘매국노’ㆍ‘反민족분자’, 나아가 ‘공산주의자’라고까지 매도하였다. 「시국대책요강」을 둘러싸고 중간우파를 향해 전개된 치밀한 정치 공작과 공세는, 이들 우익 세력이 시도한 데마고기의 양상이 어떠하였는지를 보여주는 전형이었다. 1947년 10~11월 사이에 「시국대책요강」을 둘러싸고 전개된 일련의 정쟁은, 이승만ㆍ한국민주당 계열의 우익 세력이 중간우파의 대표 인물인 민정장관 안재홍을 겨냥한 권력투쟁이었다. 이 논문은 우익 데마고기라는 측면에 초점을 두고, 「시국대책요강」을 둘러싼 정쟁의 쟁점과 의미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로써 1947년 말엽 국내 정국의 추이와 이 의미도 파악해 보았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