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연합국방 전략선택과 방위산업발전사 분석

        이준구(Lee, June Gue)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7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9 No.S

        한국은 1948년 건국과 동시에 연합국방 전략을 선택하고 한미상호 방위조약 체결에 성공함으로써 한미동맹에 기반한 북한 남침위협 억제전략에 성공할 수 있었다. 한국의 방위산업은 이러한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육성되었으며 2017년 현재 세계 10위권의 방위산업 국가로 발전되었다. 선진 국가는 방위산업을 국가경제 및 과학기술과 동시에 발전시키는, 가장 중요한 국가핵심전략산업으로 육성한다. 한국의 방위산업은 1974년 율곡사업으로 본격 육성되기 시작하였으며 2017년 현재 국제적으로 제2등급 무기 공급국가로서의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 핵무장이 현실화된 2017년 현재 한국 방위산업은 독자 대응 전략무기 적시개발에 실패함으로서 새로운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는 1994년 이후 정치지도자들이 대북정책을 화해협력정책 중심으로 추진하면서 북한 핵개발위협을 축소 왜곡시킨 잘못된 국방전략 추진의 결과였다. 1994년부터 2017년 기간 중에 한국의 대북정책과 국방전략이 충돌하면서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었으며, 그 결과 한국은 2017년 현재 북한 핵무장에 직면하면서도 독자 대응 전략무기를 실전배치하지 못한 심각한 전력공백 상태에 직면하게 된 것이다. 국가의 한 세대가 잘못 선택한 국방전략은 바로 국가생존을 위협하는 첨단무기 개발과 방위산업 육성 실패를 의미하며 다음세대에 치명적 영향을 준다. 대북 화해협력정책(특히 햇볕정책)은 이러한 문제를 불러 일으켰으며 2017년 현재 미군 사드배치문제와 대북한 군사적 방책선택에 대한 논쟁을 지속시키고 있다. 이러한 논쟁은 적기 대응전략 무기 개발실패 라는 방위산업 육성의 치명적인 영향을 미쳐왔다. 그리고 첨단기술로 구성되는 북한 핵 대응 독자전략무기 개발을 위해서는 앞으로도 상당기간 시간과 기술과 자원투입이 요망되고 있다. 한국은 2017년 현재 1990-2000년대의 잘못된 국방전략 선택의 결과로 한반 도 핵전쟁 위기에 직면하게 된 것이다. 그럼에도 1953년의 한미상호방위조약에 기반한 연합국방 전략은 아직도 한국의 안보를 보장하는 중심축으로서 미국의 핵우산을 제공하는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다. 따라서 2017년 현재의 한국 국방전략은 연합국방과 한미동맹 기반을 최대로 활용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미래 방위산업 육성전략을 전면적으로 재정립 추진토록 심층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When The Republic of Korea(ROK) was established in 1948, ‘ The combined defense strategy’ had been decided as a National Defense Strategy at the same time. And she had succeeded to sign ‘The Republic of Korea-United States(ROK-US) Mutual Defense Agreement’ which had provided successful deterrence power to protect ROK from North Korea communist attack since 1953. Based on ROK-US Alliance, Defense Industry of ROK could have been fostered intensively and in 2017 ROK has become the developed State of World Top-10 level defense Industry. The developed country usually take the Dual-use technology policy for fostering defense Industry as a national core-strategy. Though ROK’s defense Industry had regularized to develop in the name of Yulgok in 1974 lately, it’s international status as a weapon’s provider shows second-class in 2017. But because ROK has failed to develop timely her own strategic weapons to respond against North Korea Nuclear weapons threats at the times of those military employment, she faced on new security crisis. It has been assessed the results of the ROK’s Appeasement policy toward North Korea focused on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which has been conflicted with national defense strategy against North, caused by political leaders of false perception through the distorted and reduced threats assessments about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development program. During the time period from 1994 to 2017, appeasement policy toward North Korea consistently has made a head-on collisions with national defense strategy to deter and respond to the north korea nuclear threats. As a result of that collisions, ROK could not have developed and employed her own strategic weapons in the fields, and has faced on a critical situation of strategic weapons vacuum to respond autonomously. The national defense strategy that is erroneously selected by one generation of the state means the failure of strategic weapons acquisition, also means the failure of national defense industry development which might critically influence to the next generation in the security crisis of state’s survival. The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policy(specially sunshine policy) toward north has brought about those problems, which until now arouse ceaseless controversy about the deployment of US THAAD in south korea and the use of military options against to the nuclear missiles threats of north korea in 2017. These controversy directly has influenced the selection failures of next strategic weapons development program in defense industry. Belatedly and paradoxically in the face of nuclear crisis, ROK should be required to invest much more resources for acquisition of advanced technology and weapons for a long times. Again in 2017 now, ROK has faced on the inescapable nuclear war crisis in the korean peninsula because of the failures of national defense strategy choice in the past. Even though in that critical crisis situation, the combined national defense strategy based on ROK-US mutual defense agreement maintains the roles of provider for US nuclear Extended deterrence to defend and protect ROK, also prevents nuclear war in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the national defense strategy of ROK should be deeply reexamined and reestablished the defense industry development strategy for new paradigm and to extend advantages of the combined national defense strategy with friendly allied countries based on fundamental ROK-US Alliance.

      • KCI등재

        김정일 정권의 국가발전전략: 강성대국을 중심으로

        정우곤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04 한국과 국제정치 Vol.20 No.4

        This article looks at North Korea's national-development strategy from the perspective of an economic focus in Pyongyang's attempt to build a strong and prosperous nation (kangsong taeguk). After proposing the building of a strong and prosperous nation, North Korea began to emphasize pragmatic socialism with economic efforts being an important factor. In order to begin this process, the Kim Jong Il regime has carried out the July 1st 2002 economic improvement measures and has attempted to establish special economic zone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tatus and nature of Kim Jong Il's national development project aimed at the establishment of a strong and prosperous nation. North Korea's new national-development strategy is defined by building a strong and prosperous socialist nation with a strong economy. The foundation of this strategy is the concept of "military-first politics" and its economic aspect functions at a very practical level. From the perspective of militarism in the building of a strong and prosperous nation, this article draws attention to the emphasis on the economic aspect as part of the national prosperity and defense policy. Firstly, this article carries out a brief examination of the process of the new national-development strategy and the crisis facing the North Korean system. Secondly, it explains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between the establishment of a strong and prosperous nation and military-first politics from the economic perspective. Thirdly, this article analyzes the expansion of economic reform and special economic zones within the framework of building a strong and prosperous nation. In other words, the connection between North Korea's domestic reform strategy and opening policy towar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explained.

      • 국가균형발전3대특별법과 한국의 Vision

        오현진 청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4 한국사회과학연구 Vol.26 No.1

        참여정부는 그동안 수도권 일극 집중 등 강력한 중앙집권체제로 불균형 발전된 국토공간 구조의 큰 변혁을 시도하기 위하여 국가균형발전 3대 특별법을 제정하고 추진 중에 있다. 이는 신행정수도 건설을 비롯하여 각 지방자치단체와 지방대학이 중심이 되어 지역혁신체계를 구축하고 지방의 자립능력을 강화하여 지방분권과 국가균형발전을 이룩하고자 하는 야심찬 비전의 입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본문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존법과의 법체계상의 특별법적 지위의 문제, 불균형지표개발 및 우선순위 설정의 문제,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의 법적 성격 등의 문제, 재원조달을 위한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의 문제뿐만 아니라 신행정수도 건설을 둘러싸고 국론분열 양상이 심화되고 헌법소원이 계류 중에 있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최근 신행정수도의 건설지로부터 전국토의 각 지역이 'ㅁ' 자형 내지 방사형의 도로망 구축으로 2시간대의 국토생활권을 만든다고 발표한바 있다. 아울러 지역혁신체계구축과 지역특화산업 cluster에 의한 국민소득 2만불 달성과 선진국진입을 앞당기며 장기적으로 동아시아권의 중추적 기능을 담당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야심찬 비전은 세계화시대 우리 한민족의 웅비를 위하여 당위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과연 한정된 자원 및 자본과 인력으로 당면한 국가균형발전의 얼마만큼 성취할 수 있을 것인가? 야심찬 의욕만 가지고 비전의 성취가 그대로 달성되는 것은 아니다. 국가균형발전 3대 특별법이 상호 유기적 연계 속에서 병행추진 되어야 할 사안이다. 국가균형발전시책과 지방분권화는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분권·자치추진과 균형발전 정책의 연계성 확보가 필요하다. 지방분권이나 신 행정수도 건설 등은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조건중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지역 간 균형 발전이 곧 국가발전 이다'. 국가균형발전의 명제는 우리 역사상 집중과 중앙집권의 관성을 극복해야만 하는 어려운 과제이다. 국가균형발전을 통해 국민통합과 국가경쟁력 강화라는 두 가지 과제를 성공적으로 이루어 내야 할 것이다. 중앙정부 스스로 중앙집권체제를 분권화 하여 유연하고 효율적인 국가체제를 구축하려는 개혁노력과 함께 지방자치단체도 자치, 혁신 참여를 통한 스스로의 자생을 갖추려는 끊임없는 노력이 요청된다. The current government, which is called the participation government, enacted and enforced the three special laws for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The primary purpose of these laws are to promot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and decentralization by building regional innovation system and improving local governments' self-reliance. However, these three special laws caused many problems. Therefore, in this study, this writer tried to find out those problems and then suggested policy alternatives to solve them. Policy alternatives offered to solve those problems are as follow. Firstly, it was suggested that those three special laws should be implemented simultaneously to promot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Secondly, it was advised that decentralization and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should be linked together becaus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policy and decentralization are closely related each other. Thirdly, since decentralization and the construction of new administrative capital are regarded as preconditions for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we can not achieve national development without balanced one. Therefore, obtaining the goal of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tasks which we can only achieve by overcoming our traditional centralization tendency and culture. Lastly, we should obtain our common goals of achieving national unity and strengthening national competitive power by way of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That is,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have willingness to decentralize its power in order to build a flexible and effective national system, and local governments must do their best to survive in this stormy world via promoting local self government and their innovation.

      • 우크라이나 민족 정체성과 국가발전전략

        박정호(Park, Joung-Ho)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6 동유럽발칸학 Vol.8 No.2

        독립이후 우크라이나는 새로운 국가적 차원의 도전과제로서 자국의 생존과 번영을 위한 발전전략을 수립해야만 하였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정부는 국가발전노선의 수립 및 추진과정에서 러시아로 부터의 상당한 견제와 도전과 더불어, 자국의 특수한 현실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그래서 신생독립국 우크라이나의 지도부는 ‘안보확립’과 ‘경제발 전’이라는 두 가지 핵심적인 국정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치적인 측면의 ‘탈(脫)러시아 경향’과 경제적인 관점의 ‘용(用) 러시아 경향’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국가발전전략을 추진해 나가고 있다. 전자가 우크라이나 역사발전과정에서 배태된 안보문제에 대한 강한 집착과 불안감의 반영이라면, 후자는 우크라이나 경제구조 및 경제상황의 실제적인 결과물이라고 하겠다. 이는 우크라이나 국가가 지정학적으로 동과 서 사이에 위치하고 있었던 관계로 오랜 기간동과 서를 대표하는 외세의 지배를 경험하였고, 그로 인해 역사적으로 통합적인 민족국가를 형성한 경험이 사실상 부재하였기 때문 이다. 그 결과 우크라이나는 국가적 통일성이 대단히 미약했을 뿐 아니라, 동부지역과 서부지역 간 정치적 성향과 경제적 구조, 사회문화적 전통 등에 있어서 ‘친 러시아 지향성’ 대 ‘친 서방 지향성’이라는 상당히 모순적인 차별성을 내재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우크라이나의 국가발전전략 결정과정에서 독특한 민족 정체성 요인이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경제정책과 외교 안보정책의 본원적인 방향과 성격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seeks to explore mutual relation of Ukrainian National Identity and Development Strategy. In the aftermath of the breakup of the Soviet Union, Ukraine was faced with new changes and challenges in post-soviet region. At that time Ukrainian political leaders must prepare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focusing on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But the weakness of independent Ukraine's economic base and regional difference of national identity were the major source of its Development Strategy difficulties. Especially it is important that Ukraine is a state, which strives to develop the sense of civic nationhood transcending ethnic adherence in the heterogeneous population. This is a historical result, because of Ukraine is situated between the East and West. Thus, Ukrainian political leaders emphasized Euro-Atlantic integration as the priority goal for Ukraine, while, at the same time, aiming at maintaining close relations with Russia. This is a basic concept of Ukraine's foreign and security policy that featured constant tactical maneuvering between the West and Russia. In this context, Ukrainian national identit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formation and promotion of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 KCI등재

        중국의 ‘대전략’ 논쟁에 관한 연구 - 비판적 시각에서 -

        차이동지에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2 국가안보와 전략 Vol.12 No.3

        The Industrial Revolution since late eighteenth century and then a serious of global conflicts exploded in the twentieth century such as World War I & II and the Cold War has not only radically changed the way of interaction between nationstate on the world stage, influenced the immanence of strategy, but also offered a new realm for discussing the so-called grand strategy, including its definition, range, and content. Basically speaking, there’s still some cardinal questions needed to be answer, including: what is grand strategy? Why does nation-state need grand strategy today? And, what are the key points when we thinking about the grand strategy? Then, after discussing the fundamental elements and operational factors of grand strategy, what more essential is maybe use this idea responding to contemporary world affairs. As all have seen, since the 1990s, there are more and more scholars and observers directing their attentions to the transformation of China’s foreign policy and strategy because of some obvious trend called “China Rising.” Nevertheless, however China would influence the world in the future, the thing more important now for us is trying to understand how China preparing to face the new global position itself and the possible components of its so-called grand strategy. In this paper, we’ll collect and observe the relative researches for grand strategy in China these years, analyze the main focuses and problems in their discussion, and finally try to predict the development the real and emerging China’s grand strategy. 18세기 말 산업혁명은 전략(戰略, Strategy))의 내재적 의미에 영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소위 ‘대전략(大戰略, Grand Strategy)’ 논의에 있어서 새로운 토론영역을 형성 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것은 대전략의 정의, 범위, 내용 등을 중심으로 당시 지식인들의 관심과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것이었다. 한편 1990년대 말부터 중국에서 일고 있는 ‘대전략’에 관한 논의는 갈수록 국내외에서 상당한 정도의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10년간 학계에서 회자되고 있는 중국의 대전략에 관한 논의 내용을 정리한 뒤 이론과 실제의 분석을 통해서 관련 논의의 쟁점을 살펴보고 향후 발전 방향을 전망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벨라루시 민족 정체성과 국가발전전략

        박정호(Park, Joung-Ho)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6 역사문화연구 Vol.25 No.-

        독립이후 벨라루시는 새로운 국가적 차원의 도전과제로서 자국의 생존과 번영을 위한 발전전략을 수립해야만 하였다. 그래서 포스트소비에트 공간에서 벨라루시 지도부는 정치적인 측면의 ‘친(親)러시아 지향성’과 경제적인 관점의 ‘용(用) 러시아 지향성’을 바탕으로 하는 국가발전전략을 추진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벨라루시 정부의 ‘친 러시아 지향성’과 ‘소비에트 사회 경제 모델’의 도입은 CIS 국가들 가운데 대단히 예외적인 국가발전노선인데, 이는 대내외적 요인들(역사적 발전과정, 민족정체성, 유권자들의 정치성향, 경제적 현실, 러시아의 이해관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인 것이다. 그중에서 특히 역사발전과정에서 형성된 벨라루시의 민족정체성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고 볼 수 있다. 오랜 기간 러시아 및 소비에트 제국의 러시아화 정책의 결과로 벨라루시의 고유한 민족정체성은 사실상 크게 약화되었으며, 오히려 ‘소비에트’ 및 ‘러시아’ 정체성이 보다 일반화되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독립이후 벨라루시 지도부에 의해 추진된 ‘반 서방 정책’ 및 ‘친 러시아 정책’은 자국의 국민들로부터 폭넓은 정치적 지지와 이해를 얻었을 뿐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국가발전을 이룩할 수 있는 실제적인 원동력이 되었다. 결국 벨라루시 민족정체성이 자국의 경제정책 및 외교안보정책의 기본방향 수립에 있어서 핵심적인 결정요인이라고 정의할 수 있겠다. This study seeks to explore mutual relation of Belarusian National Identity and Development Strategy. In the aftermath of the breakup of the Soviet Union, Belarus was faced with new changes and challenges in post-soviet region. At that time Belarusian political leaders must prepare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focusing on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But the weakness of economic base of independent Belarus was the major source of its Development Strategy difficulties. Thus, Belarusian political leaders emphasized “Pro-Russian Policy” as the priority goal for Belarusian Development Strategy. aiming at maintaining close political and economic relations with Russia. This is a basic direction and feature of Belarusian foreign and security policy. The Belarusian people supported “Pro-Russian Policy” of Belarusian government, because of they share Soviet national identity with Belarusian. In this context, national identit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formation and promotion of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 KCI등재

        남해-여수 해저터널 효과 극대화를 통한 남해 발전전략 고찰

        이웅규,김용완 한국도서(섬)학회 2024 韓國島嶼硏究 Vol.36 No.1

        1973년 남해대교 개통으로 국민 관광지로 주목받았던 남해가 남해-여수 해저터널 건설을 통해 제2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남해-여수 해저터널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남해 발전 전략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미 개통한 국내 해저터널 관련 지자체의 담당 공무원과 지역 주민과의 인터뷰, 관련 자료와 기사 및 외부 전문가와의 인터뷰, 그리고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여 남해 발전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최근 남해-여수 해저터널은 2023년 5월 DL이앤씨가 사업자로 선정되면서 착공을 앞두고 있다. DL이앤씨는 6개월간 실시설계를 거쳐 2023년 말쯤 본격적인 공사에 돌입할 예정이며 101개월간 공사를 이어가게 된다. 해저터널 시·종점부의 정확한 위치와 지번은 설계가 마무리된 이후에야 알려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남해군은 해저터널로 인한 경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깊이 있게 고민하고 있다. 특히, 해저터널 관련 4개 지자체를 방문해 자료를 구하고 인터뷰를 하는 등 남해군은 해저터널 효과 극대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병행하고 있다. 해저터널이 뚫리면 영·호남은 물리적으로 한층 가까워진다. 남해~여수 간 이동시간이 1시간 30분에서 10분으로 줄어든다. 자연경관이 수려한 서부 경남과 여수국가산업단지 등 산업이 발달한 전남 동부가 해저터널로 가까워지면서 물적·인적 교류가 활발해진다는 점에서 “영ㆍ호남 지역 간 화합”을 상징하는 다양한 사업을 상생 전략 차원에서 추진해야 할 시점이다. 이는 해저터널이 서부 경남과 동부 전남의 중심지에 위치, 관광 허브 역할을 할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추진되고 있는 ‘남부권 광역관광 개발계획’과 ‘서남해안 관광벨트 조성사업’의 마중물이 될 것이다. 이는 남해~수도권의 접근성이 크게 개선되기 때문인데, 4시간 30분~5시간 걸리던 남해~서울 간 거리가 여수공항과 여수엑스포역(KTX)을 이용하면 2~3시간으로 단축되기 때문이다. 남해에는 매년 500~600만 명의 관광객이 찾는데, 해저터널을 기반으로 300만 명에 이르는 추가 관광객 유입이 예상되고 있다. 이로 인해 남해~여수 해저터널은 경제·사회·문화 등 여러 방면에서 선순환 파급효과가 있을 것이다. 이에 남해군은 ‘인구 10만 지속가능한 생태관광도시’로 거듭나기 위한 구상을 구체화해 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남해-여수 해저터널 효과 극대화를 통한 남해군 발전 전략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경부고속도로 개통’과 ‘고속철도 개통’이 몰고 왔던 변화와 필적할 만한 성과를 거두기 위한 발전적 전략선택을 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선행연구 고찰, 전문가 및 관계자 인터뷰를 통한 현황 및 사례 분석 등을 실시한 결과, 첫째, 남해~여수 해저터널 건설과 관련한 남해군 발전 전략 수립 용역 결과보고서의 철저한 분석, 둘째, 해저터널 전담 부서의 원스톱 신속 대응 행정시스템으로 만족할만한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통합 컨트롤 타워 구축, 셋째, 경상남도 추진 남해안 관광 개발 관련 용역과의 변별력 및 연계성 강화, 넷째, 1000만 외래관광객을 수용하기 위한 관광인프라 구축 재정 지원 및 인센티브 제공 등을 제시했다. Namhae, which attracted attention as a national tourist destination with the opening of Namhae Bridge in 1973, is preparing for a second leap forward by constructing the Namhae-Yeosu undersea tunnel.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Namhae development strategy to maximize the effects of the Namhae-Yeosu undersea tunnel. To this end, a South Sea development strategy was presented by deriving implications through interviews with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residents related to already-opened domestic undersea tunnels, relavant data and articles, interviews with external experts, and analysis of overseas cases. Recently, the Namhae-Yeosu undersea tunnel is scheduled to begin construction in May 2023 with DL E&C selected as the operator. Namhae County is deeply considering maximizing the economic effects of the undersea tunnels. In particular, it is making various efforts, such as visiting four local governments with undersea tunnels to obtain data and interview experts. Once the undersea tunnel is opened, Yeongnam and Honam will become physically closer. Travel time between Namhae and Yeosu will be reduced from 1 hour and 30 minutes to 10 minutes. As western Gyeongnam, with its beautiful natural scenery, and eastern Jeollanam-do, with its industrial development, such as the Yeosu National Industrial Complex, become closer to the undersea tunnel, material and human exchanges will become more active. Various projects symbolizing “harmony between the Yeongnam-Honam region” are a win-win strategy. It is time to move forward on this level. This is because the undersea tunnel is located in the center of western Gyeongnam and eastern Jeollanam-do and will serve as a tourism hub. Particularly, it will serve as a catalyst for the recently promoted ‘Southern Area Tourism Development Plan’ and ‘Southwest Coast Tourism Belt Creation Project’. Owing to the fact that the distance between Namhae and Seoul, which used to take 4 hours and 30 minutes to 5 hours, is shortened to 2 to 3 hours by using Yeosu Airport and Yeosu Expo Station(KTX), greatly improving accessibility between Namhae and the metropolitan area. Approximately, 5 to 6 million tourists visit Namhae-gun every year, and an additional influx of up to 3 million tourists is expected based on the undersea tunnel. As a consequ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s analysis to select a development strategy to achieve results comparable to the changes brought about by the ‘opening of the Gyeongbu Expressway’ and the ‘opening of the high-speed rail’ are as follows. First, this is a thorough analysis of the report on the results of the Namhae-gun development strategy establishment service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Namhae-Yeosu undersea tunnel.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grated control tower to achieve satisfactory results through a one-stop rapid response administrative system by a department dedicated to undersea tunnels. Third, it is to strengthen differentiation and connectivity with services related to southern coastal tourism development promoted by Gyeongsangnam-do. Last, financial support and incentives for building tourism infrastructure to accommodate 10 million foreign tourists were proposed.

      • KCI등재

        국가 사이버 안보 전략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주요국 비교분석 연구

        유지연 한국국가정보학회 2021 국가정보연구 Vol.14 No.1

        The interconnectivity and intelligence of technology have expanded our space of life and enabled new social constructions, but they also bring new threats and combined risks. As a result, countries' information security policies in response to the technology policy level are changing the policy paradigm, becoming a significant national-level agenda that requires active implementation. In other words, major countries are creating strategies by increasing the implementation of information security policies to the national security level. But national cyber security strategies are being developed differently depending on national strategic goals and the strategic directions each country pursues. In response, this study analyzed the direction of cybersecurity strategies in major countries, going beyond a basic analysis that examines the contents and meanings of national cyber security strategies. To this end, we applied Rasmussen's risk theory to create a conceptual framework for strategic directionality; to analyze and reflect the cybersecurity strategy flows promoted in major countries; and to model them within the conceptual framework. Studies have shown that national cybersecurity strategies in major countries are changing, not only from simple countermeasures but also from active cyber defense, to more aggressive forms, such as identification of threat actors and proactive security measures. The types of conceptual framework and national cybersecurity strategy presented in this work can be employed as a basic framework for future cybersecurity strategy initiatives. 기술의 상호연결성과 지능화는 우리 삶의 공간을 확장하고 새로운 사회구성을 가능하게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새로운 위협과 복합화된 위험을 증가시키고 있다. 이로 인하여 기술 정책적 차원에서 대응하던 정보보안 정책은 능동적인 추진이 요구되는 국가 중요 과제로 정책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즉, 주요국에서는 정보보안 정책의 추진 층위를 국가 안보적 차원으로 높여 전략을 구상하고 있다. 그런데 각국이 추진하는 국가전략 목표와 전략 방향성에 따라 국가 사이버 안보 전략이 달리 전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요국의 국가 사이버 안보 전략서에 담긴 내용과 의미를 조사하는 평면적 분석을 넘어 주요국의 사이버 안보 전략 방향성을 분석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라스무센(Rasmussen)의 위험 이론을 빌려 전략 방향성의 개념 틀을 만들고 주요국에서 추진되는 사이버 안보 전략 흐름을 분석하여 개념 틀에 반영함으로써 주요국 전략 방향성을 유형화했다. 연구 결과, 주요국의 국가 사이버 안보 전략은 단순한 대응 차원에서 그치지 않고 적극적 사이버 방어(active cyber defense) 차원에서 위협 행위자의 식별 및 사전 예방적 차원의 안보 조치 등 보다 적극적인 형태로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개념 틀과 국가 사이버 안보 전략 유형화는 미래 사이버 안보 전략 구상의 기본 틀로써 활용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중국의 국가이익 재구성 분석 대 개도국 외교 전략 변화를 중심으로

        김애경 ( Ae Kyung Kim )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13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Vol.23 No.-

        이 글은 국제체제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중국의 국가이익이 재구성되며, 재구성된 중국의 국가이익은 대외 행태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주장한다. 중국은 건국 이후 가장 우선시했던 국가이익을 국가의 생존을 유지, 정치적 승인을 얻는 것에서부터 경제발전으로, 이후 경제발전 도모와 함께 국가 이미지 제고로 재구성해 왔다. 최근 중국이 공공외교의 중요성과 해외교민 및 해외투자 자국기업의 이익 수호를 강조하는 것은 중국의 국가이익이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준다. 중국의 대 개도국 외교는 중국의 국가이익을 반영하고 있다. 국가의 생존을 유지하고 정치적 승인을 얻기 위해 1950~1970년대 초중반 시기 중국은 개도국과 매우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자국의 혁명경험을 수출하거나 자국의 경제적 능력을 초월한 원조를 제공하면서까지 개도국 외교에 매진했다. 그러나 중국은 1971년유엔에서의 지위가 회복되면서 국제사회에서 정치적으로 승인을 받게 되었고 생존에 대한 위협인식을 전환시키며 개혁개방정책을 실시하게 되었다. 이후 중국은 자국의 우선적 이익을 생존과 정치적 승인에서 경제발전으로 재구성하게 되었고, 국가이익의 재구성은 대 개도국 외교에 반영되어 상대적 소원기를 갖게 되었다. 경제발전이 지속되면서 중국은 개도국에 대한 투자와 원조를 확대하며 자국의 이미지 제고와 이들 국가에 투자하는 기업에 대한 이익 보호에 힘쓰고 있다. 결국 명실상부한 강대국으로 부상하기 위해 중국은 지속적인 발전과 자국의 영향력 확대가 우선적 국가이익일 것이고, 최근 중국의 대 개도국 외교는 이러한 중국의 국가이익을 반영하고 있다. 앞으로도 중국은 국제체제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자국의 국가이익이 재구성할 것이며, 그것은 중국의 대외 행위에 영향을 줄 것이다. The identity of China has been changed - specifically, from ``the Third world outside system`` to ``developing country within system``, again, to ``a responsible great power`` and ``peacefully rising power``, and then after global financial crisis sparked by America in 2008, ``G2 or Chimerica``. Such a change in identity made encourage reorganization of content for national interests. It is well known that China has reorganized national interests in priority differently - from to maintain survival of nation and to be politically approved, to economic development, recently to improvement of national image along with encouraging economic development. Recently China has been stressing importance of public diplomacy and protection of their citizens abroad and profit for their companies which invested abroad. This proves that Chinese national interests is re-constructing continuously. Chinese diplomacy toward developing countries reflects Chinese national interests. To maintain national survival and to be politically approved, China maintained very amicable relationship with developing countries in 1950s to the middle time of 1970s. They were committed to diplomacy with developing countries as they exported their experiences of revolution or provided aid beyond their economic capacity. But as the position of China at UN was recovered in 1971, China was politically approved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And they changed their perception of threat about survival, China implemented policy of reform and openness. Since then, their interests in priority was changed from survival and political approval to economic development, which was reflected on diplomacy for developing countries. As a result, China had estranged from developing countries comparatively. As the rapid growth of economy has been continuing, China is endeavoring improvement of their image and protection of interests for companies investing in these countries by expanding investment and aid for developing countries. Thus, change in identity made encourage re-construction of content for national interests, which in turn, affected China`s activity abroad. Eventually, for China to be a super powe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influence would be national interests in priority for China. China`s diplomacy for developing countries reflects such a national interests.

      • KCI등재

        총체적 국가경쟁력의 논리와 전략

        김정렬 한국비교정부학회 2014 한국비교정부학보 Vol.18 No.3

        This study begins with a question that national quality and status should be on the parallel tract in addition to increasing national wealth in order to drive balanced development and overcome the limitations of off-balanced distorted development. To obtain this goal of the study, this study, first of all, establishes a comparative analytical framework based upon a comprehensive review on the concept of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its issues. Next this study presents six cases on balanced or distorted development of foreign countries representing each great powers, middle but strong country, small but strong country. Also this study will examine a possible new course of Korean style in terms of development strategies and public reforms. To suggest on the development strategies, this study especially uses a metaphor on the economic Pie with which those are classified as: 'Grow, devide, and trim the Pie.' For public reforms,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a spreading of the capability and performance of the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toward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We have to pursue a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state wealth, state quality, and state dignity on the assumption that genuine development we are aiming for is communitarianism in the end. Also we must pay attention to such key words of public reform as principle, performance, and communication in order to strengthen government's capacity in managing national competitiveness. It is because that it is hard to overcome the persistent conflict structure and propose renovative policy issues without reenacting the myth of state capacity in the pa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