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의 문화성향이 다문화 교수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혜욱(CHUNG-HOE-WOOK) 한국육아지원학회 2013 육아지원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문화성향이 다문화 교수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문화성향과 다문화 교수능 력의 관계에서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갖는 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12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문화성향은 다문화 교수능력에 영향 을 미쳤으며, 문화성향의 하위변인 중 수평적 개인주의가 높을수록 다문화 교수능력이 높았다. 둘째, 문화성향과 다문화 교수능력의 관계에서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은 3단계로 이루어졌으며, 1단계에서 유아교사의 문화성향은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쳤고, 문화성향의 하위변인 중 수평 적 개인주의, 수직적 집단주의 및 수평적 집단주의가 높을수록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2단계에서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 교수능력에 영향을 미쳤으며,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세 하 위변인(일반기능 교수효능감, 수업기능 교수효능감, 인간관계 교수효능감) 모두 다문화 교수능력에 영 향을 미쳤다. 3단계에서 문화성향과 다문화 교수능력의 관계에서 다문화 교수 효능감은 부분 매개효과 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문화성향이 다문화 교수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문화 성향과 다문화 교수능력의 관계에서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다문화 교수효능 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 문화성향과 다문화 교수능력이 유아교사의 다문화 특성을 설명하는 주 요 변인이 될 수 있음을 제기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cultural orientation,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ultural orientation on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nd second,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n that relationship. Two research questions guided the study. First, does the cultural orient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ffect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asks if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urvey data from 125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cultural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ultural orientation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mong cultural orientation's sub-variables, horizontal individualism significantly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Second, cultural orientation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Vertical individualism and vertical collectivism among cultural orientation's sub-variables significantly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ir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mong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s sub-variables, general teaching efficacy, instruction teaching efficacy, and human relationship teaching efficacy significantly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Forth,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This study implies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by verifying its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lso the research suggests that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can be significant variab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characteristics in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역량의 관계에서 다문화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송미경,전인옥 미래유아교육학회 202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역량의 관계에서 다문화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인천, 제주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중다회귀분석과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은 다문화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역량의 관계에서 다문화교수효능감의 하위변인 중 일반생활, 수업기능, 인간관계 다문화교수효능감이 모두 유의하게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하위변인 중에서 수업기능 다문화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다문화역량을 증진하기 위해서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competence. For that purpose, surveys were performed on 300 teachers in nursery schools and kindergartens in Seoul, Incheon and Jeju.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by using SPSS 23.0 program to perfor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to use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ulticultural competence. Second, the analysis showed that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which has three sub factors such as general life teaching efficacy, teaching function efficacy and human relations teaching efficacy mediated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competence. Among these sub factors, the mediation effect of teaching function efficacy was the largest. This result should recognize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ffects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competence.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eachers multicultural competence, it is important to improv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교수 역량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기용(Lee Ki Yong),이건남(Lee Gun N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2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지각하는 다문화 교수 역량이 다문화 효능감에 어 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충 청북도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초등 학교 교사 202명을 연구대상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 결론은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교수 역량과 다문화 효능감 간에는 높은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다문화 교수 역량의 하위요인인 다문화 교수학습 기술, 다문화 태 도 및 관계, 다문화 관련 지식 요인은 다문화 효능감의 하위요인인 다문화가정 배려, 일반기능, 수업기능, 인간관계 요인 모두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교수 역량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결과에 서, 다문화 교수 역량이 다문화 하위요인인 다문화가정 배려 요인, 일반기능 요인, 수업기능 요인, 인간관계 요인 모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즉, 다문화 교수 역량의 하위요인인 다문화 교수학습 기술 요인과 다문화 태도 및 관계 요인은 다문화 효능감의 다문화가정 배려 요인, 일반기능 요인, 수업기 능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다문화 관련 지식 요인은 다문화 효능감의 하위 요인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다문화 효능감의 인간관계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다문화 교수 역량의 하위요인은 다문화 태도 및 관계 요인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y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fluences their multicultural efficacy. To attain the study goal, a survey was conducted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Chungcheongbuk-do, and the questionnaire sheets collected from 202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nt through final statistical analysis. Through that, the study has drawn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re was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y and multicultural efficacy. The subfactors of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y, multicultural teaching-learning skills, multicultural attitudes and relationship, and multicultural knowledge,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the subfactors of multicultural efficacy, consider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general skills, teaching skill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y on their multicultural efficacy,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all the subfactors of multicultural efficacy, consider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general skills, teaching skill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subfactors of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y, multicultural teaching-learning skills and multicultural attitudes and relationship, exerted significant effects on the subfactors of multicultural efficacy, consider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general skills, and teaching skills; however, the factor of multicultural knowledge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any of the subfactors of multicultural efficacy. Also, the subfactor of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y having effects on multicultural efficacy’s interpersonal relationship factor was multicultural attitudes and relationship.

      • KCI등재

        초등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의 다문화 인식에 따른 다문화 교수효능감 비교

        정동영(Chung Dong-young),강나혜(Kang Na-hye)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9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의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하고, 그들의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초등학교 특수교육 교사 119명과 일반교육 교사 83명을 선정하여 이들의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을 조사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초등학교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는 다문화 인식의 존중성을 가장 중요시하는데, 특수교육 교사보다 일반교육 교사가 다문화 인식의 존중성을 더욱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는 다문화 교수효능감에서 인간관계 증진을 가장 중요시하나, 특수교육 교사보다 일반교육 교사가 인간관계 증진을 더욱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육 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 인식의 개방성에 영향을 더 많이 받으나, 일반교육 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 인식의 개방성과 존중성에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는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에서 공통점을 지니나, 일반교육 교사가 특수교육 교사보다 다문화 인식의 존중성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인간관계 증진을 더욱 중요시하는 특징을 나타내며, 이러한 다문화 인식에 따라 이들의 다문화 교수효능감도 달라진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the elementary schools and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their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is study selected 119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83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and analyzed their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placed the highest importance on the respect of multicultural awareness, but general education teachers put more importance on respect for multicultural awareness th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placed the highest importance on promoting human relations in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but general education teachers put more importance on promoting human relations in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ird, the promotion of human relation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s been found to be more influenced by the openness of multicultural awareness, but the promotion of human relation by general education teachers has been found to be more influenced by the openness and respectability of multicultural awareness. Therefore, general education teachers value the respect of multicultural awareness more th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y place more importance on promoting human relations in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 KCI등재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이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정연주 ( Jeoung Yeon Joo ),신혜영 ( Shin Hye Yo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4 유아교육연구 Vol.44 No.3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 의사소통능력의 관계를 탐색하고,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 경기 지역의 어린이집 · 유치원의 3-5세반에 재직중인 유아교사 360명을 표집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및 독립표본 t 검증,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Hayes(2017)가 제안한 model 4 연구모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 의사소통능력은 5점 척도에서 모두 3.6점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 의사소통능력은 전체 및 하위요인 모두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은 의사소통능력을 매개로 다문화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수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공감과 경청, 반응과 기억 등 긍정적이고 통합적인 의사소통능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nd communication ability,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o this end, 360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3-5 year old classes of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sampled.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variance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data.. The model 4 research method by Hayes (2017) was us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nd communication ability were somewhat higher than usual.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nd communication ability in both the overall and sub-factors. Thir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ability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is study suggests that a positive effect can be obtained on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by raising the level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mproving communication ability.

      • KCI등재

        중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태도, 다문화 교수 역량, 다문화 효능감 간의 구조 관계 분석

        이기용(Lee, Ki Yong),최병옥(Choi, Byung 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0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다문화 태도, 다문화 교수 역량 및 다문화 효능감 간의 구조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남지역 소재 중등학교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2016년 6월 1일에서 6월 17일 까지 설문조사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종 연구대상 260명의 설문조사 결과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 교수 역량,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 효능감, 다문화 교수 역량과 다문화 효능감 간에 유의한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중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태도, 다문화 교수 역량 및 다문화 효능감 간의 영향관계를 설명하는 가설적 경로모형은 최초 연구모형을 수정하여 산출한 최종 연구모형이 대체로 적합하였다. 셋째, 구조방정식모형에 의한 경로관계 분석 결과에서, 중 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태도가 다문화 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566)을 미쳤지만, 교사의 다문화 교수 역량을 매개로 다문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총효과(.878)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attitude,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y, multicultural efficacy that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ive, and for this aim,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60 Seconda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Gyeongsangnamdo Province and the result was analyzed. The detailed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high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attitude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y, multicultural attitude and multicultural efficacy,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y and multicultural efficacy. Second, as for hypothetical path model that explains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among multicultural attitude,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y, and multicultural efficacy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final model that was made by correcting the initial research model was appropriate. Third, in the result of analyzing path relationship by structure equation modeling, multicultural attitude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had a direct influence on multicultural efficacy(.566), but the total effect on multicultural efficacy was bigger through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y(.878). That is, in order to raise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y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change of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 is important but what is more important is cultivating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y such as knowledge about multiculture, multicultural teaching skills, and multicultural relationship and attitude.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다문화 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인권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재우(Han Jae Woo),김용기(Kim, Yong-K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3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역량, 다문화 교수효능감 및 인권의식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다문화 교육역량 및 그 하위 요인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에서 인권의식의 매개효과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2019년 04월 1일부터 2019년 5월 15일까지 전라남도 지역에 위치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대학생 201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먼저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역량, 다문화 교수효능감 및 인권의식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다문화 교육역량 및 그 하위 요인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에서 인권의식의 매개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의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다문화 교육역량, 다문화 교수효능감 및 인권의식 간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 교육역량, 다문화 교수 효능감 및 인권의식 상호간의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인권의식은 다문화 교수효능감 그리고 다문화 교육역량 및 그 모든 하위요인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직접적으로 다문화 교육역량 그리고 다문화 교육역량의 하위요인에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인권의식에 영향을 주는 것을 통해 다문화 교육역량 및 다문화 교육 역량의 하위요인들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multicultural efficacy, and human right awareness, and then it is to find out the effects on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and its subfactors of multicultural teaching capability: what would be the results on mediating effect of human rights. The collected data was first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spective children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multicultural efficacy, and human rights. The Pearson probability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Baron and Kenny’s the three steps parametr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look if the mediating effects of human right awareness would be appeare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impacts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and the subordinate factor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relevant static corre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the multicultural efficacy, and human rights awareness . it means that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m. Second, human rights awareness of the prospective young children teacher appeared partial mediating effect vetween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and the rest of all subfactors. It shows that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effects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directly and the subfactor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However, it also previws that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could increas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and the subfactor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ppability.

      • KCI등재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한희경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5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수효능감, 정서지능의 전반적인 수준과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조사하고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수도권과 대전․충청지역 소재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근무 중인 교사 91명의 온라인 설문지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수효능감, 정서지능의 전반적인 수준은 모두 보통 이상이었으며, 각 영역의 하위변인 중 상호작용향유도, 인간관계 효능감, 타인정서인식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상호작용자신도, 수업기능 효능감, 자기정서조절 수준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수효능감 점수는 유아교사의 배경 변인 중 다문화관련 수업 수강 경험과 연수 경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정서지능은 근무기관 내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은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는 정서지능이 다문화교육 역량을 높이기 위한 주요 변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다문화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general perceptions toward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differences among groups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al backgrounds.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was also tested. The analysis results from online questionnaires taken by ninety-one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and Daejeon․Chungchung province were as follows. First, general perceptions toward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nd emotional intelligence were above normal level. Among sub-variables, levels of interaction enjoyment, human relations efficacy, and awareness of other people’s emotion were higher than others, but levels of interaction confidence, class function efficacy, and regulation of emotion were lower than others. Second, the level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teaching efficacy differed by multicultural class attendance and teacher training experience.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multicultural children in their institution. Lastly,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teaching efficacy. The study results presented emotional intelligence as a main factor to promote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and suggested ways for teacher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 KCI등재

        초등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다문화 사회정의역량의 매개효과

        이공숙,임은미 한국교원교육학회 202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4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compet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For this purpose,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nd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competency scale were conducted for two weeks through the online commun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response data of 276 maleand fe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finally analyzed. JAMOVI 2.2.5 statistical package was used, and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ers’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competence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Second, the explanatory power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for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competency of teachers,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competency for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ppeared different according to sub-factors. Third,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competenc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teacher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verified the indirect effect on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rough the social justice capacity that contains the will to change the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educational scene.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다문화 사회정의역량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2주 동안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교수효능감, 다문화 사회정의역량 척도를 실시하고, 초등학교 남녀교사 총 276명의 응답 자료에 대하여 최종 분석하였다. 통계패키지로는 JAMOVI 2.2.5를 활용하였고, 회귀분석과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사회정의역량, 다문화 교수효능감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다문화 사회정의역량에 대한 다문화 감수성의 설명력,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대한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사회정의역량의 설명력은 하위요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다문화 사회정의역량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육장면에서 사회 환경적 요인을 변화시키기 위한 실천의지를 담은 다문화 사회정의역량을 매개로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을 밝혔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유아교사 다문화소양과 다문화교육태도와의 관계: 다문화교육내용과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박인숙 한국보육학회 2015 한국보육학회지 Vol.15 No.1

        This study attempts to incorporate integrative analysis, which clarifies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ttitud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Variabl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220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ding in Seoul, GyeongGi-do completed questionnaires about multicultural literacy,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multicultural education attitude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 Thus, the following are research questions that were established for the research objective. First, is the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significant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teaching efficacy,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is the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significant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contents,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A variance matrix of this sample was analyzed using AMOS 19.0, and the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The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via RMR, RMSEA with a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next step was to verify the more definite mediating effect among variables and for this, a Sobel test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attitude. Second,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ird,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attitude. In conclusion, the variables, which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namely, multicultural literacy,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could be confirm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attitude.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 교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다문화소양, 다문화 교육내용, 다문화 교수효능감을 설정하고 이들 변인들이 다문화 교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 안에서 검증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다문화 교육내용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다문화 소양과 다문화 교육태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서울, 경기지역 유아교육기관 교사 220명을 대상으로 무선 표집의 자료수집방법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수집된 자료는 SPSS19.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소양은 다문화교육내용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다문화교육태도에 가장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