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멕시코 역사문화유산과 민족주의

        Eva Leticia Brito Benítez,노용석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9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0 No.2

        멕시코의 유형 및 무형 문화 유산 (고생물학과 고고학, 그리고 역사적인 관습 및 전통 을 포함)은 국가 정체성과 역사적 기억을 강화하기 위해 멕시코 정부에 의해 보호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멕시코 정부는 국가 민족주의를 강화하고 있다. 멕시코 문화 유산은 멕시코의 역사에 따라 크게 세 개의 카테고리로 나눌 수 있으며, 이들은 각기 다른 문화 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는 문자 출현 이전의 시기로서 멕시코를 비롯한 중앙아메 리카 일대에 최초로 거주하였던 인류의 문화유산이 여기에 속한다. 두 번째는 15 세기 말 아메리카 대륙에 스페인 인이 도착하기 이전, 이미 중요한 기술적, 과학적 및 예술적 발전을 이룬 원주민 그룹들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대개 마야와 잉카, 아스테카 원주민의 문화가 여기에 속한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는 스페인과 포르투갈이 라틴아메리카 대륙을 점령한 이후의 시기로서, 여기에는 주로 종교적 전통과 각종 문화재 (건축, 회화, 조각, 서적 등을 포함)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세 번째 식민지 시기에 포함된 멕시코 역사문화유산을 분석하고 있으며, 이것이 멕시코 국가정체성 및 민족주의를 형성 하는데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스페인 식민지 시기, 스페인 은 많은 원주민들을 카톨릭으로 개종하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으며, 이러한 과정에 서 전파된 것이 종교의 융합주의이다. 과달루페 성모 신앙과 같은 융합종교주의는 사실상 원주민의 신앙과 카톨릭이 결합된 것이지만, 멕시코 역사에서 보자면 과달루페 성모 신앙 은 식민지 이후 새롭게 탄생한 ‘메스티소 문화’로 대변하는 멕시코의 새로운 정체성으로 작용하였다. 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멕시코에는 식민지시기 스페인 세력이 건설한 많은 성 당과 수도원 등의 종교적 시설물이 존재하는데, 이것은 단지 식민지의 유산일뿐이지만 현 재 멕시코 정부에 의해 문화유산으로 취급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멕시코에 존재하는 스페인 종교 문화유산이 어떻게 멕시코의 문화유산으로 정체성을 가질 수 있는가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Mexican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cluding paleontology and archeology, and historical customs and traditions) is protected by the Mexican government to strengthen national identity and historical memory, thereby strengthening national nationalism. Mexico's cultural heritage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history of Mexico, and they have different cultural characteristics. The first is the cultural heritage of mankind, which first lived in Central America, including Mexico, before the letter emerged. The second is that which comes from the original ethnic groups -that already had an important technological, scientific and artistic development- before the arrival of the Spaniards in America at the end of the 15th century including Azteca, Maya, and Inca culture. Finally, the third is the period after Spain and Portugal occupy the Latin American continent, including religious traditions and various cultural properties (including architecture, painting, sculpture, and book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Mexican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included in the third colonial period, and describe how it relates to the formation of Mexican national identity and nationalism. During the Spanish colonial period, Spain has made considerable efforts to convert many indigenous into Catholicism, and what has been propagated in this process is the fusion of religion. Fusion religious attention, such as Virgen de Guadalupe, but in fact the two of indigenous beliefs and Catholicism combined. From a Mexican history, Virgen de Guadalupe served as a new identity in Mexico represent a "mestizo culture”, newly created after the colony. On the contrary, there are many religious buildings in Mexico, such as many cathedrals and monasteries built by the Spanish forces during the colonial period, which are only colonial heritage, but are now treated as cultural heritage by the Mexican government. This paper discusses how Spanish cultural heritage in Mexico can be identified as a cultural heritage in Mexico.

      • KCI등재

        미국-멕시코 전쟁의 이해

        임상래(Lim Sang-Rae)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2011 라틴아메리카연구 Vol.24 No.3

        The Mexican?American War (1846-1848) was an armed conflict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Mexico that occurred in the wake of the 1845 U.S. annexation of Texas, which Mexico considered part of its territory despite the 1836 Texas Revolution. American President James K. Polk sought territorial expansion to the Pacific coast, so the American forces invaded and quickly conquered New Mexico, California, and other parts of northern Mexico. In September of 1847 the American army captured Mexico City and forced Mexico to sign the Guadalupe Hidalgo Treaty. The major condition of the treaty was the forced Mexican Cession of the territories of Alta California (currently California) and New Mexico to the U.S. in exchange for $18 million. Mexico accepted the Rio Grande as its national border, and the loss of an immense territory. However, upon reexamination the Mexican?American War has more diverse and important meanings. We can say the war was closely connected in the U.S. with the slavery controversy and motivations for the war had racist overtones. In addition the war carried a significant meaning when it is viewed in the context of America’s war history, which has made it the origin of the anti-Americanism in and of Latin America. Finally, the Mexican?American War exposed plainly that the ‘real’ independence of Mexico was still far from being complete. The economy and political system was not yet quite built and social integration between the classes and regions was not accomplished. Thus, given these factors the defeat of Mexico in the war could have been expected to some extent.

      • KCI등재

        The Relationship Analyses between High Concentration Ozone and Local Wind Circulation in Mexico City

        Jang, Yu-Woon(장유운),Lee, Gangwoong(이강웅),Ghim, Young-Sung(김영성),Lee, Taehyoung(이태형),Park, Il-Soo(박일수),Jeffrey Scott Owen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9 중남미연구 Vol.38 No.1

        본 연구는 멕시코시티 지역에서 기상적 영향에 따른 오존의 시•공간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멕시코시티에서 고농도 오존은 습도가 가장 낮은 4월과 5월에 발생하였으며, 주로 북풍의 영향을 받았다. 연구기간 동안 도심의 시간별 평균 풍속은 아침에 1.5 m/s로 낮아서 오염물질의 정체 조건인 반면, 오후에는 3.5 m/s로 도심 외부로 오염물질의 유출이 가능하였다. 오존 농도는 멕시코시티의 도심지역에서 동남쪽 주변부로 증가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지역 규모의 바람장에서도 북풍이 주풍향일 때 바람이 남부 지역에 수렴하게 됨으로써 고농도 오존이 발생하는 것으로 모사되었다. 기상적 영향과 함께 남부 지역에서는 오존 생성의 전구물질인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하여 높게 관측됨으로써 멕시코시티의 오존은 기상요소와 인위적 오염물질의 복합적 영향에 기인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in ozone concentrations in Mexico City using a data set of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easured air pollutant concentrations from the RAMA (Red Automática de Monitoreo Atmosférico) for January 2011 to December 2013. The results showed that ozone in Mexico City was formed most actively from April to May when humidity is lowest. We also investigated related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wind direction during day and night, which were generally northerly. The mean wind speed during the study period was 1.5 m/s early in the morning which the air pollutants can be stagnated and 3.5 m/s in the late afternoon that pollutants can be transported outward the Mexico City. Ozone concentrations increased from the leeward area of central Mexico City. In the southwestern area of Mexico City, elevated ozone concentrations were also measured together with elevated VOC concentrations. In central Mexico City and most of the northern industrial complex, the weekend effect in ozone concentrations was observed except near the southwest residential area where higher ozone concentrations occurred. Based on the local scale vector field, the higher ozone concentrations were occurred during the prevailing northerly wind as the wind was converged into the suburban and southern area. The patterns identified in this study highlight the urgent need for a comprehensive approach of policies designed to reduce ozone in the southwestern residential area of Mexico.

      • Post-NAFTA 체제에 관한 에세이: USMCA와 멕시코

        임종훈(Jong-Hoon Lim),류용규(Yong Kyu Lew)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경영연구소 2020 글로벌경영연구 = Journal of global business research Vol.32 No.1

        2018년 북미 3개 국가 간 합의된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nited States-Mexico-Canada Agreement: USMCA)’이 2020년 7월 1일 부로 발효될 예정이다. 본 논문은 북미자유무역협정(North America Free Trade Agreement: NAFTA) 출범 전후로 이들 국가 간의 무역협정이 멕시코의 경제에 미친 영향과 새롭게 발효되는 USMCA가 멕시코 산업에 어떠한 영향을 끼칠지 조망한다. 구체적으로 논문은 NAFTA 협정 이전의 멕시코 경제 실태를 살펴본 후, NAFTA 협정으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해서 알아본다. 이후, NAFTA가 멕시코의 자동차산업, 마킬라도라 산업, 농업부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고, USMCA 타결이 향후 멕시코 산업에 미칠 파급효과에 대해 논한다. 본 연구는 NAFTA와 USMCA, 그리고 이들 자유무역협정 체제와 멕시코 경제·산업에 대한 이해 수준을 제고시킨다. United States-Mexico-Canada Agreement (USMCA) that has been agreed between the three North American countries in 2018 will take effect from the beginning of July in 2020.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s of the North America Free Trade Agreement (NAFTA) and USMCA on the economy of Mexico. More specifically, this research examines the economic status of Mexico before the NAFTA agreement, and then explains the positive and negative economic ripple effect of the NAFTA. Afterwards, it looks into the impact of NAFTA on Mexico’s automotive, Maquiladora, and agriculture sectors, and discusses some of anticipating impacts of the USMCA treaty on the Mexico economoy. The study helps to enhance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NAFTA and USMCA issues on Mexico and industrial sectors, thus offering useful insights on the post- NAFTA regime.

      • KCI등재

        코로나 팬데믹 이후 한국-멕시코 교역 활성화에 관한 연구: 주요 산업과 진출 방향 모색

        진미령,윤준모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2

        Mexico's strategic location to the south of the United States, the largest market in the world, has allowed it easy access to the North American market. It has also diversified its commerce by establishing Free Trade Agreements (FTA) with other nations. Historically, Mexico's manufacturing sector was built on the North American Free Trade Agreement (NAFTA). Today, through the United States-Mexico-Canada Agreement (USMCA) program, Mexico serves as a manufacturing base in North America and attracts foreign capital investment due to its superior technology, lower labor and logistics costs than rival nations, and superior technological capabilities. South Korea imports crude oil, mineral resources, auto parts, steel, semiconductors, and display modules from Mexico and exports auto parts, steel, car components, and medical diagnostic devices to Mexico. The two countries have held several negotiations to establish economic cooperation and FTA but without any success. This study examines commerce after the COVID-19 Pandemic between South Korea and Mexico, the country's biggest trading partner in Latin America. By examining Mexico's main industries and the economic policy framework of the current Mexican government, this paper suggests ways for Korea to enter the Mexican industry and market in the areas of vehicle manufacturing, semiconductor cluster development, and mining development. 멕시코는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의 남쪽에 자리 잡고 있으며, 이런 지정학적 특징으로 북미 시장 진출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가졌고, 세계 다수 국가와 FTA를 체결해 무역을 다각화했다. 과거 북미자유무역협정 NAFTA를 바탕으로 제조업이 발달해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경쟁국에 비해 값싼 인건비, 물류비를 앞세워 오늘날 USMCA 프로그램을 통해 북미 제조 산업 기지 역할을 하며 해외 자본 투자를 이끌고 있다. 한국은 멕시코에 자동차 부품, 철강, 반도체, 디스플레이 모듈 등을 수출하고 있고, 멕시코에서 원유, 광물자원, 자동차 및 부품, 의료진단기기를 수입하고 있다. 양국은 경제협력과 자유무역협정 체결을 위해 여러 차례 협상을 진행했으나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중남미 최대 무역국 멕시코의 교역 현황과 팬데믹 이후 한국과의 교역 현황 및 내용을 살펴보고 멕시코 주력산업과 멕시코 현 정부의 경제 정책 기조를 고찰하여 향후 운송수단 제조 산업, 반도체 클러스터 육성, 광산개발 산업 분야로의 멕시코 산업 및 시장 진출 방향과 협력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멕시코 개방 거시경제 변수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우성 ( Woo Sung Cho ) 한국통상정보학회 2018 통상정보연구 Vol.20 No.3

        멕시코 정부는 경제성장 및 그에 대한 정책에 대하여 오랫동안 관심을 가지고 왔었다. 하지만, 여전히 멕시코는 경제위기 등으로 고통을 받고 있다. 멕시코가 1900년대 중반부터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수입품목을 자국 산업으로 대체하기 위한 정책(ISI model)은 1960년대 중반까지는 성공하는 것처럼 보였었다. 하지만, 이 정책은 몇 가지 문제점, 정부의 과도한 부채상승, 산업의 국가경쟁력 약화 및 노동자 계층의 실질 임금 하락 등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사실상 실패한 정책으로 인식되어 1970년대부터 아시아 개발도상국이 주로 사용한 수출위주의 경제성장 정책으로의 변환을 맞게 된다. 이때부터 멕시코는 사실상 개방 경제를 경제성장의 주요 목표로 삼아, NAFTA를 필두로 한 다양한 FTA 체결과, 수출위주 경제성장을 주요한 정책으로 삼고 있다. 이에 멕시코가 그간 사용하여온 정책은 과연 올바른 것이었나에 대한 확인과 어떠한 변수들이 멕시코의 경제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는지에 대한 것들을 알아볼 필요가 생겼다. 이에 본 논문은 Granger Causality Test 및 충격반응 함수 등을 통하여, 경제성장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친 변수가 무엇인가에 대한 검정을 실시하였고, 이에 수출입, 직접투자, 교육, 해외로부터의 송금 등을 변수로 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수출이 경제성장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따라서 멕시코의 개방화 정책은 적절한 정책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앞으로 개방정책은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Mexico’s government has big interest about economic growth and the theories for economic growth and policies. This country, however, is still suffering from low economic growth, so it has tried several policies to recover it. The representative policy was ISI model as Latin countries used. However, Mexico changed its economic growth policy from ISI to Openness model since ISI was not successful in Mexico. The openness policy and FTA allowed foreign countries or companies to enter mexico’s domestic markets. I wanted to know this openness model is acceptable to Mexico economic situations or not. So I tested economic growth by granger causality test and IRF using the time series data in Mexico. In conclusion, the openness policy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of Mexico to increase economic growth and invest to export industries. NAFTA and the openness policy are suitable for economic growth of Mexico.

      • KCI등재

        멕시코 한인들의 초기 이주실태와 재이주 분석

        이채문,박신규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3 No.2

        Korean migration to Mexico, which took place 115 years ago, has not been well known in Korea. And the research on this was also limited to the literature and limited area survey. Nevertheless, the importance of Korean migration in Mexico should never be devalued in the following points. First, the Mexican migration is a very unusual case in that the immigration was collective and one-off, and further, the immigration area is far from the home country. And lastly, Mexican immigration is meaningful because it was linked to remigration of Koreans to Cuba in the Caribbean Sea in 1921.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initial migration and settlement of Koreans in Mexico. Analysis was attempted by subdividing main contents into three parts, first, the background and the process of migration, second, Korean life and contract labor on the henequen farm, and third, expiration of labor contracts and re-migration of Mexican Koreans. In particular, this study mainly used data obtained from field surveys to compensate for the missing part of the existing studies. Mainly used were interviews with local Korean descendants in Mexico, and documents from the Archives Office in Mexico City, Merida, and Campeche, Mexico.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bnormalities in the process of immigration to Mexico were mainly due to the chaotic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s of Korea at the time, rather than the errors of certain people or the illegality of Korean immigration procedures. Next, this study attempted to reveal the active process of Korean settlement through acculturation between local Mayan and traditional Korean cultures. And finally, analyzing the re-migration of Mexican Koreans after the expiration of contract labor, Some were scattered across Mexico as new contract workers. Others relocated to Cuba due to changes in economic conditions. In the future, it seems that a further study using more local data published in Mexico is needed. 지금부터 115년 전에 있었던 멕시코 한인이주와 이에 관한 연구는 문헌 및 한정된 지역조사를 중심으로 전개되어 잘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멕시코 한인이주는 초기 한인 이주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그 특징은 집단적 이주였다는 것, 중남미 지역이라는 점, 1921년 카리브해의 쿠바로 재이주를 파생시킨 점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징과 함께 본 연구에서는 멕시코 한인들의 초기 이주와 정착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내용은 이주의 배경과 이주경과, 에네껜 농장의 계약노동 실태와 삶, 노동계약 만료와 재이주로 세분하였다. 특히 기존의 연구에서 결여된 부분의 보완을 위하여 현지에서 멕시코 한인 후손들과의 인터뷰와 메리다 등 한인집거지역에서 습득한 고문서 자료를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멕시코 한인 이주의 과정은 특정 인물내지 이주의 불법성보다 당시 조선의 혼란스러운 정치경제적 여건이 조건이 되었고 이것은 이주의 개인적 동기로도 작용한 것으로 여겨졌다. 다음은 현지의 마야문화와 한국문화간의 문화적 접변을 통하여 한인들의 현지 정착의 활발한 과정을 밝혀 보았다. 그리고 멕시코 한인들의 재이주에서는 계약 만료 이후 새로운 계약노동자로 멕시코 전역으로 재이주하거나 경제적 여건의 변화로 쿠바로 재이주 하는 과정을 정리해 보았다. 이 과정에서 이들의 직업적 다양화도 분석해 보았다. 향후 멕시코 현지에서 간행된 자료를 활용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인다.

      • KCI등재

        The Impact of American Guns on Violence in Mexico

        Nubia Zulma Nieto Flores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2021 라틴아메리카연구 Vol.34 No.2

        Thousands of Mexican people have been killed by firearms and heavy weaponry. The guns used are mostly imported from the United States. The laxity of American gun laws is a gift for Mexican criminal groups. The present text is based on the following questions: Why is the guns and ammunition industry so powerful in the US?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laxity of American guns laws and the increase of crime in Mexico? Have organised crime and violence levels increased in Mexico due to the accessibility of guns? Is it more important to increase of business with the US firearms sector, rather than to protect the wellbeing of the population? Does the US government bear responsibility for the development of violence and criminality in Mexico? In the following analysis of the role of the American gun manufacturing, trade, and US public policie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narcotics trafficking and violence in Mexico, the central hypothesis considers a preliminary correlation between prevalence of firearms and increase of violence in Mexico. Presenting a general view of the gun industry in the US reveals the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consequences of the illegal weaponry traffic from US into Mexico, and the bilateral responsibility of the US and Mexico.

      • KCI등재

        한국소설에 나타난 墨西哥(멕시코) 이미지 연구

        강진구(Kang, Jin-gu) 중앙어문학회 2014 語文論集 Vol.60 No.-

        이 논문은 한국문학에 나타난 목서가(墨西哥: 멕시코)의 이미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로 이어지는 격동의 시기, 멕시코는 포와(布?: 하와이)와 함께 추위와 기근, 그리고 봉건압제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따뜻하고 먹을 것이 풍부한 탈출구의 하나였다. 지상낙원이라는 포와에 대한 갖은 소문과 신세계를 약속하는 화려한 광고는 봉건압제에 시달리던 가난한 이민자들을 개항장으로 몰려들게 만들었다. 포와에 도착한 이민자들에 의해 그곳이 ‘지상낙원’이 아니라는 사실이 알려졌지만, 신세계를 향한 동경을 잠재울 수는 없었다. 최초 멕시코 한인 이민자들은 자신들의 신분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커녕 심지어는 하와이로 가는 것으로 착각하는 이들도 다수 있었다. 멕시코에서의 생활은 글자 그대로 노예노동이었다. 노예노동의 실상이 국내에 전해지자, 국내외에서는 국민을 버린 정부에 대한 비판과 동포들에 대한 구제 방안이 다양하게 제기되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멕시코는 한순간에 신세계에서 빈곤과 속박의 나라, 또는 야만의 공간으로 이미지화 된다. 본 논문에서는 멕시코 이민자를 최초로 다룬 이해조의 『月下佳人』과 멕시코 농장에서 탈출해 미국에 정착한 주인물이 등장하는 주요섭의 『구름을 잡으려고』를 대상으로, 이들 작품에 재현되고 있는 멕시코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두 작품은 모두 멕시코를 원시적인 자연환경과 폭력이 난무하는 야만의 공간으로 묘사하는 한편, 계약노동자인 한인노동자들의 삶을 노예생활로 형상화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이미지는 미주 한인에 의해 제기된 ‘불쌍한 멕시코 동포’라는 담론과 결합되면서 단기적으로 멕시코 동포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켰지만, 결국은 ‘팔려온 노예’라는 스테레오타입을 덧씌우는 역할을 한다. 그 결과 멕시코 한인들은 1962년 1월 한국과 멕시코 양국 간의 외교관계가 수립되기 이전까지 ‘버려진 동포’ 또는 잊혀진 존재로 전락하는 비운을 맞게 되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age of Mexico as represented in Korean literary works. During the tumultuous period from, Mexico, along with Hawaii, was perceived by the as an escape destination that could protect them from cold, famine, and feudalistic suppression, while offering warmth and ample food. Rumors about Hawaii being a paradise and fancy advertisements of the promises of a new world prompted poor and suppressed immigration seekers to crowd its ports. Korean immigrants who arrived at Hawaii, however, did not find Hawaii to be a paradise. Many of the Koreans who immigrated to Mexico thought they were going to Hawaii, and they did not understand the status they would have. Their lives in Mexico were literally those of slaves. When the news of the Koreans’ slave-like status reached their homeland, the Korean government was severely criticized both at home and abroad as having abandoned its people. As a result, many different ways to help the abandoned Koreans were implemented. Mexico’s image in Korea was instantly changed from a nation that offered opportunity to its new residents to a nation of poverty, bondage, and barbarism. This study examined Lee Hae-jo"s novel, Wolhagain (Beauty under the Moon), the first novel to depict Korean immigrants in Mexico, and Ju Yo-seop"s novel, Catching Clouds in which the characters escaped Mexico"s farms and settled in the United States. The image of Mexico, portrayed in these novels, was analyzed. These two works depicted Mexico as a barbaric place fraught with a primitive living environment and rampant violence where contracted Korean laborers lived and worked as slaves. This image combined with the image of the poor Korean Mexicans, as perceived by Korean Americans awakened people to the misery of Korean Mexicans, Such sympathetic perspectives stereotyped Korean Mexican immigrants as sold slaves. Because of this stereotyping, Korean Mexican immigrants experienced the miserable fate of being considered abandoned Koreans or forgotten Koreans until January 1962, when South Korea and Mexico established diplomatic ties.

      • KCI등재

        멕시코 인구억제정책의 특성 및 지속요인에 관한 연구

        강경희 한국정치정보학회 2018 정치정보연구 Vol.21 No.1

        본 논문은 서구 중심적 인구억제정책이 비서구사회에 미친 효과와 문제점을 지적하기 위해 멕시코의 인구억제정책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이 주장하고자 하는 바는 맬서스가 강조하는 급격한 인구변동보다는 마르크스가 주장한 계급별, 성별, 연령별, 학력별,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중앙과 지방에서 발생하는 불균등한 자원배분이 멕시코 인구문제의 핵심이라는 점이다. 멕시코 사례의 연구를 통해 본 논문은 멕시코의 인구억제정책이 국내적 필요보다는 서구 및 국제사회의 압력에 의해 급히 수행되었다는 점, 이에 따라 인구억제정책에 ‘공지에 입각한 동의’라는 인권적 내용을 포함할 수밖에 없었다는 점, 이와 같은 정책의 유연성과 포용성으로 인해 멕시코의 인구억제정책이 40년 이상 지속적으로 추진될 수 있었다는 점을 고찰했다. 그러나 멕시코 인구억제정책의 완결은 멕시코 사회의 각종 양극화가 초래한 인구학적 양극화와 ‘재생산의 양극화’로 아직도 요원한 상태이며, 새롭게 등장하는 미국으로부터의 역이민 현상도 인구억제정책의 지속적 추진을 요구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opulation control policies of Mexico in order to point out the effects and problems of western-centered population control policies on non-Western societies. This paper argues that unequal distribution of resources by class, gender, age, educational background,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central and local areas, as proposed by Marx rather than the rapid population fluctuations emphasized by Malthus. In the case of Mexico, this paper shows that the population control policy of Mexico was carried out urgently by the pressure of the western and international societies rather than domestic necessities, and thus the human rights contents of "informed consent," and that the flexibility and inclusion of such policies has allowed Mexico's population control policies to continue for more than 40 years. However, the completion of the Mexican population restraint policy is still hampered by the demographic polarization and the "polarization of reproduction" brought about by the various polarizations of the Mexican society, and the emerging immigration from the United States also calls for the continuation of population control poli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