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Z세대의 행복 분위에 따른 도시특성 및 요인 분석: M세대와 Z세대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성아,김흥순 한국지역개발학회 2023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35 No.2

        In the situation where interest in the MZ-generation has become a social issue, this study has utilized the Seoul Survey data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Z-generation residing in Seoul and the urban characteristics and factors that affect their level of happiness. We have divided the MZ-generation into the M-generation and Z-generation considering the cohort differences and analyzed and compared the groups by quartiles using the Quantile Regression Model.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happiness of the MZ-generation (scored 1-50) was 31.65 points, lower than the median, and both the levels of M-generation and Z-generation showed low scores of 31.68 and 31.55 points, respectively. Based on the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urban characteristics that positively or negatively affect the happiness of the MZ-generation. Subsequently, the study has separated M and Z generations, and has found the urban factors that only emerged in the M-generation and the urban factors that only emerged in the Z-generation. When comparing MZ-generations as generations, the study has found that the urban characteristics and factors affecting happiness are different between MZ-generations. This study has divided the levels of happiness into quartiles (Q1, Q2, and Q3),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affecting factors will differ depending on the level of happiness, which is a multidimensional emotion. The results have shown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affecting each quartile.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empirically identified through the quantile regression model what elements must be satisfied for the MZ-generation to be happy in the city, have provide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MZ-generation living in Seoul, and creating the urban environment in which the MZ-generation can live happily. 본 연구는 MZ세대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특성 및 요인을 분석하였다. 특히 최근 청년의 주택, 취업 등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됨과 동시에 MZ세대에 대한 관심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도시에 거주하는 MZ세대들의 특성과 행복 분위에 따른 도시특성 영향요인을 서울서베이 자료를 통해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분석 결과 서울시 MZ세대들은 평균보다 다소 높은 행복수준을 보였으며, 대다수가 대졸, 화이트칼라, 서남권 및 아파트 거주, 1인 가구, 중소형 면적 및 전세라는 주택특성을 나타냈다. 또 1시간미만의 지하철 통행과 평일 실내, 주말 실외라는 여가특성을 보였다. MZ세대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특성으로는 도시의 생활환경과 안전이 무엇보다 중요하게 나타났고, 그 외에도 직장 및 주거 요인들의 근본적 해결, 여가시간 확보 및 통행시간 감소 등이 도시에 거주하는 MZ세대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으로 나타났다. Mㅋ세대들이 도시에서 행복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요소들이 충족되어야 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한 본 연구의 결과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MZ세대를 이해하고 MZ세대가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도시 환경을 조성하는 데 있어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공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MZ 세대의 은행 선택속성 연구 – 대형 시중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을 중심으로

        최서영 한국소비자원 2023 消費者問題硏究 Vol.54 No.1

        Due to the recent COVID-19 pandemic, non-face-to-face financial transactions have expanded further, and the mobile-friendly Generation MZ is emerging as major consumers. The digital influence of the generation is getting stronger, such as mobile banking, which was mostly used by Generation MZ in the early stages and is now commonly used across all generations. Against the backdrop,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election attributes of financial institutions for Generation MZ, which will lead the financial consumption of the next-generation, using the IPA Matrix and to present the data necessary for establishing a marketing positioning strategy for Generation MZ. The IPA used in this study stands for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nd is a marketing analysis method proposed by Martilla & James in 1977. The marketing analysis tool allows one to analyze what importance and satisfaction customers have for selection attributes. The quadrants are divided as follows: Quadrant I: Keep Up the Good Work, Quadrant II: Concentrate Here, Quadrant III: Low Priority, and Quadrant IV: Possible Overkill. After conducting a survey for seven days through an online survey agency, 300 valid samples were obtained. For the survey, a 5-point Likert scale was used with response options, such as Strongly disagree, Disagree, Neutral, Agree, Strongly agree, and it was designed to answer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t the same time. For the survey, 150 samples were collected from Generation M(aged between 28 and 39) and Generation Z(aged less than 27) each. This study derived six categories: bank image, attractiveness of financial products, proximity, human service, financial service, and digital banking, and 26 detailed attributes from previous studies. The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them,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analyzing the overall IPA Matrix generated 11 attributes: stability, convenience, work processing speed, brand awareness, banking security, response to customer inquiries, work process efficiency, nearby ATM, branch distance, banker's friendliness, and deposit convenience, which were located in the first quadrant and indicate high importance and satisfaction. The four attributes of card benefits, branch distribution, bankers expertise, and ethical management appeared in the second quadrant, the area of Concentrate Here. The 10 attributes of currency exchange rates and fees, diversity of financial products, financial consultation, easy loan, promotions for new products, everyday finance/investment information, low-interest loan products, asset management/financial product recommendati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high-profit savings accounts, were placed in the low-priority third quadrant, and the attribute of bank's evaluation ranking was located in the fourth quadrant. Second, the two attributes of branch distribution, and card benefits were placed in the area of intensive improvement for Generation M. Third, the 10 attributes of benefits, nearby ATM, work process efficiency, banking security, deposit convenience, branch distance, ethical management, bankers’ expertise, branch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financial products, were selected for intensive improvement by Generation Z. Fourth, when compared to Generation M, a number of attributes were found to need improvement in the IPA Matrix in order to entice Generation Z customer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most of all, an understanding of Generation MZ is require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at the generation has had a different life cycle from other generations and how their attitudes and positions towards post-retirement life differ. Second, the attributes positioned in the first quadrant, high importance and high satisfaction, in the IPA Matrix analysis of Generation MZ should maintain a strong relative advantage. Third, the attributes belonging to the s... 최근 COVID-19로 비대면 방식의 금융거래가 더욱 확대되고 모바일에 친숙한 MZ세대가 주요소비자로 떠오르고 있으며, 디지털 영향력이 강해지고 있다. 이에 차세대 금융소비를 주도할 MZ세대의 금융기관 선택속성을 IPA Matrix로 파악하여 향후 MZ세대에 대한 마케팅 포지셔닝 전략수립에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은행이미지, 금융상품 매력도, 근접도, 인적 서비스, 금융 서비스, 디지털뱅킹 등의 6개의 범주와 26개의 세부속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근거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결과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IPA Matrix 분석 결과, ‘안정성’, ‘이용편의성’, ‘업무처리속도’, ‘브랜드인지도’, ‘뱅킹 보안성’, ‘고객요청응답’, ‘업무절차효율성’, ‘근거리 ATM’, ‘점포거리’, ‘은행원 친절도’, ‘수신업무용이성’ 등 11개 속성이 1사분면에 위치해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은 영역에 해당하였다. ‘카드혜택’, ‘점포분포’, ‘은행원 전문성’, ‘윤리경영’ 등 4개 속성이 2사분면인 집중개선 해야 할 영역에 나타났다. 둘째, M세대의 ‘집중개선’ 영역에 해당되는 선택속성은 ‘점포분포’, ‘카드혜택’ 등의 2개 속성이다. 셋째, Z세대의 ‘집중개선’ 영역에 해당되는 선택속성은 ‘카드혜택’, ‘근거리ATM’, ‘업무절차 효율성’, ‘뱅킹 보안성’, ‘수신업무용이성’, ‘점포거리’, ‘윤리경영’, ‘은행원 전문성’, ‘점포분포’, ‘금융상품의 다양성’ 등의 10개 속성이다. 넷째, M세대와 비교하였을 때, IPA매트릭스에는 Z세대를 타겟팅하기 위해 개선해야 할 다수의 속성이 도출되었다.

      • KCI등재

        MZ세대와 기성세대 초등교사 간 가치관, 수업활동, 직무만족 및 소진 차이

        김민규(Min Kyu Kim),허주(Ju Hur) 한국교원교육학회 202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41 No.2

        이 연구는 한국초등교원종단연구 2차년도(2022년) 자료 분석을 통해 최근에 입직한 MZ세대 교사들의 사고방식이나 행동양식 등을 기성세대와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세대 간 이해의 폭을 확장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교사들의 가치관(교육관, 학생관, 교직관), 수업활동(교육과정 재구성, 수업방법, 학생평가), 직무만족(직무만족도, 소진)과 관련한 상당수의 문항에서 MZ세대 교사와 기성세대 교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일정한 패턴을 갖고 나타난 차이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교사의 가치관 중 학생관과 관련하여 MZ세대 교사들은 기성세대에 비해 후천적 교육적 변화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미래 학교교육에서 교사가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하였다. 둘째, 교육과정의 재구성 및 수업방법 측면에서는 MZ세대와 기성세대 간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학생평가의 영역에서는 MZ세대 교사가 기성세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생들에게 더 적극적인 평가 피드백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MZ세대 교사들은 기성세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직무만족도를 갖고 있으며, 높은 수준의 소진을 경험하고 있었다. 만족요인에 관한 분석에서도 수업활동, 학생지도 및 학급경영, 학생들의 성장에 기여, 사회의 발전에 기여, 보수 수준에 대해서 기성세대에 비해 낮은 응답평균을 나타냈으며, 유일하게 ‘시간적인 여유’만이 상대적으로 높은 응답평균을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교사 세대를 대상으로 하는 일련의 후속 연구의 필요성과 함께 MZ세대 교사의 만족도 제고 및 소진 완화에 대한 정책적 대응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pand the range of understanding between generations and derive implications by comparing the thinking and behavioral styles of MZ generation teachers who recently joined the company through data analysis in the second year of the Korean Teacher Longitudinal Study(2022). However, in the area of student evaluation, MZ generation teachers and older generation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 large number of questions related to teachers' values (educational, student, and teaching), class activities (curriculum reorganization, teaching method, student evaluation), and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burnout), and the differences with a certain pattern were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student relations among teachers' values, MZ generation teachers were more positively aware of the possibility of acquired educational change than the older generation, and it was expected that teachers would play a central role in future school education.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Z generation and the older generation in terms of curriculum restructuring and teaching methods. However, in the area of student evaluation, it was found that MZ generation teachers gave relatively more active evaluation feedback to students than the older generation. Third, MZ generation teachers had relatively low job satisfaction compared to the older generation and were experiencing a high level of burnout. In the analysis of satisfaction factors, the response average was lower than that of the older generation in terms of class activities, student guidance and class management, students' growth, social development, and remuneration levels, and only 'time margin' showed a relatively high response average. Based on these findings, a series of follow-up studies targeting the new generation of teachers were needed, and policy responses to the improvement of satisfaction and burnout mitigation of MZ generation teachers were proposed.

      • KCI등재

        MZ세대의 커뮤니케이션 고유 특성에 대한 각 세대별 반응 연구 -MZ세대, X세대, 베이비붐세대를 중심으로-

        손정희 ( Shon Jung-hieh ),김찬석 ( Kim Chan-souk ),이현선 ( Lee Hyun-seo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7 No.-

        MZ세대는 최근 기업이나 정부기관이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대상이다. Z세대에 대해 많은 기업과 기관들이 핵심 타겟으로 고려하고 있지만, 이들을 선택한 근거로서의 MZ세대 특성이 과연 MZ세대만이 독특하게 가지는 커뮤니케이션 특성일 수 있는가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다. 본 연구는 MZ세대가 가지고 있다고 기술되는 커뮤니케이션 특성들을 실제로 MZ세대가 가지고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이 핵심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MZ세대의 커뮤니케이션 특성이라고 기술되는 핵심컨셉 5가지를 도출하고, 이 컨셉에 대한 MZ세대, X세대, 그리고 베이비붐세대와 비교 분석을 실시했다. 비교분석을 위해 200명의 M세대(밀레니얼세대), Z세대, X세대, 그리고 베이비붐세대를 대상으로 ARS 전화 서베이를 실시했다. 분석 결과, 다른 세대보다 MZ세대가 SNS를 포함한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능숙도와 새로운 콘텐츠에 대한 선호도에 있어서 좀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그러나 문제해결능력, 공정 및 가치관, 도전의식 등에 있어서는 MZ세대와 다른 세대 사이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특정 세대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다른 세대와 구분되는 독특함이 있어야 하고, 그 독특한 특성의 근거는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도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 MZ generation actually has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that the MZ generation has. Although many companies and institutions are considering the MZ generation as a key target, verification has not been made as to whether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as a basis for their selection can be a characteristic unique to the MZ gener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five core concepts described as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were derived, and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se concepts with the MZ generation, X generation, and baby boomers. For comparative analysis, an ARS telephone survey was conducted on 200 people of Generation M(millennials), Generation Z, Generation X, and Baby Boom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Z generation showed higher scores in proficiency in digital media including SNS and preference for new content than other generations.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MZ generation and other generation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oblem-solving ability, fairness and values, and willingness to take on challen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must be a uniqueness that distinguishes a specific generation from other generations, and that the basis for that unique characteristic need to be derived through an objective and systematic analysis.

      • KCI등재

        MZ세대에 대한 대중감성 연구: 소셜미디어(SNS) 감성 분석을 통해

        안명숙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9 No.1

        In this study, the public sensitivity of the 'MZ generation' was examined through the social media big data sensitivity analysis method. For the analysis, the consumer account SNS text was examined, and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factors were presented by classifying external sensibilities and emotions of the MZ generation. In conclusion, the positive emotions of liking and interest in relation to the "MZ generation" were 72.1%, higher than the negative emotional ratio of 27.9%. In positive sensitivity, the older generation showed 'a favorable feeling for the individuality and dignifiedness of the MZ generation' and 'interest in the MZ generation with new values'. In contrast, the MZ generation has a favorable feeling for ‘the fact that they are a generation of their own boldness, youthfulness and individuality’ and ‘small growthism’. Negative sensitivity outside the MZ generation was found to be ‘A concern about the marriage avoidance, employment difficulties, debt investment, and resignation trends of the MZ generation’, 'Hate the MZ generation who treats Kkondae' and ‘Difficult to talk to the MZ generation’. On the other hand, the negative emotions felt by the MZ generation itself were ‘Rejection of generalization’, ‘Rejection of generation and gender conflicts’, ‘Rejection of competition worse than the older generation’, ‘Relative failure of the rich era’, and ‘Sadness to live in a predicted climate disaster’. Therefore, the older generation should not look at the MZ generation in general, but as individuals, and should alleviate conflicts with intergenerational understanding and empathy. there is a need for community consideration to solve generational conflicts, gender conflicts, and environmental problems. 본 연구에서는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 감성분석 방법을 통해 ‘MZ세대’에 대한 대중 감성을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 소비자 계정 SNS 텍스트를 살펴보고 내용상 외부 감성과 MZ세대 본인들의 감성을 분류하여 긍정 및 부정 감성 요인들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른 결론은 ‘MZ세대’ 관련하여 호감과 흥미의 긍정정서가 72.1%로, 부정적인 감성비율 27.9 % 보다 높았다. 긍정감성에서 기성세대들은 ‘MZ세대의 개성과 당당함에 대한 호감’, ‘새로운 가치관을 가진 MZ세대에 대한 흥미’를 보였다. 이에 비해 MZ세대들은 ‘자신들의 당당함, 발랄함 및 개성 세대라는 점’과 ‘소소한 성장주의’에 대한 호감을 갖고 있다. MZ세대 외부의 부정감성은 ‘MZ세대의 결혼기피, 취업난, 빚투자 및 퇴사 트랜드에 대해 걱정’, ‘꼰대 취급하는 MZ 세대 미움’, ‘MZ세대와 대화하기 힘듦’으로 나타났다. 한편, MZ세대 본인들이 느끼는 부정감성은 ‘일반화에 대한 거부감’, ‘세대 및 젠더 갈등과 기성세대보다 심한 경쟁에 대한 거부감’, ‘풍요로운 시대의 상대적 실패감’, ‘예고된 기후재앙 속에서 살아야하는 슬픔’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성세대는 MZ세대를 일반화하여 바라볼 것이 아니라 개인으로 보아야 하며, 세대간 이해와 공감으로 갈등을 완화해야한다. 세대 갈등, 젠더 갈등 및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체적인 고민의 필요성도 있다.

      • KCI등재

        MZ세대를 위한 제너러티브 디자인의 다양성과 허용성에 관한 연구

        박상희 ( Park¸ Sang-hee ),한창호 ( Han¸ Chang-h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7 No.-

        서울 인구의 35.5%로 서울에서 가장 큰 세대 집단인 MZ세대는 개인의 취향에 따라 제품과 서비스를 소비한다. 이러한 패러다임에 맞춰 본 연구는 MZ세대의 다양화·세분되고 있는 취향을 만족시키는 방법으로 제너러티브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했다. 연구 방법으로는 MZ세대의 소비특성과 제너러티브 디자인의 생산적 특성을 통해 서로 간의 관계성을 살펴보고, 디자인 사례 분석을 통해 제너러티브 디자인의 유형과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후 도출된 유형별 특징을 바탕으로 MZ세대의 다양성과 허용성에 대한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제너러티브 디자인의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로는 첫째, MZ세대는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실현하기 위해 다양성과 허용성을 충족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고, 제너러티브 디자인은 폭넓은 선택지를 제공하여 개인의 기호에 맞춰 디자인을 소비할 수 있어 MZ세대의 다양성과 허용성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었다. 둘째, 제너러티브 디자인 사례는 다양성과 허용성에 따라 사전 조합형과 조건 제시형으로 분류할 수 있고, 조합 및 제시 방법에 따라 일체형 조합과 모듈형 조합, 트리형 제시와 템플릿형 제시로 세분화할 수 있었다. 유형별 특징을 살펴본 결과, 다양성은 모든 유형이 높은 편이지만 모듈형 조합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허용성은 템플릿형 제시, 트리형 제시, 일체형 조합과 모듈형 조합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전 조합형과 조건 제시형은 대조적이 지만 결합하면 MZ세대의 양적 욕구와 질적 욕구를 동시 충족할 수 있는 상호보완적 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제너러티브 디자인과 MZ세대와의 관계성 연구를 통해 MZ세대가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개별성을 확립하는 데 있어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함으로써 활용 범위를 넓히고자 한다는 점에서 연구적 의의가 있으며, 향후 도출된 시사점을 통해 MZ세대를 위한 서비스와 제품을 기획하는 데 기초적 연구로 활용되기를 희망한다. The MZ generation, which consists of 35.5% of Seoul’s population, is the largest generation group in Seoul, and consumes various products/services according to their personal preferences. In line with this paradigm,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generative design that can satisfy the diverse/segmented tastes and preferences of the MZ generation. To this end, I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umption trends/patterns and the 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generative design, and derived the key types & characteristics of generative design via case analysis. Based on the type-specific characteristics that have been derived, I have went on to present strategic implications of generative design that can satisfy the needs for diversity and permissibility of the MZ gener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MZ generation has a strong desire to meet their needs for diversity and permissibility in order to express and realize their self-identity, and generative design provides an ideal environment for the MZ generation to meet such needs by presenting a wide range of options, allowing individuals to consume various designs according to their personal preferences. Second, the cases of generative design can be classified into two different types; ‘pre-combination type’ and ‘condition-based presentation,’ based on diversity and permissibility, and can be subdivided into an ‘all-in-one combination,’ or ‘modular combination’ based on the type of combination. Finally, it can also be divided into ‘tree-type presentation’ and ‘template-type presentation’ based on the presentation method.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diversity’ was high for all types, but modular combinations showed the highest diversity of them all. In terms of ‘permissibility,’ template-type presentation showed the highest permissibility, followed by tree-type presentation, all-in-one combination and modular combination. Third, while ‘pre-combination type’ and ‘condition-based presentation’ seemed contrasting at first, it has been proved that they have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and can be used to meet both the quantitative & qualitative needs of the MZ generation when combined proper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eeks to broaden the scope of utilization of generative design by discovering new possibilities for the MZ generation to express their identities and establish individuality through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tive design and the MZ genera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a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es on planning services/products for the MZ generation.

      • KCI등재

        Farrell 모형을 활용한 MZ세대 공무원들의 (불)공정성 인식과 반응행동 : MZ세대와 기성세대 공무원 비교연구

        김정인 ( Kim Jungin ) 한국행정연구원 2021 韓國行政硏究 Vol.30 No.4

        최근 공직사회에서 MZ세대의 (불)공정성 인식은 중요한 화두가 되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 연구는 Farrell(1983) 모형을 활용하여 MZ세대 공무원들이 공직사회에서 (불)공정성을 어떻게 인식하며, 그들의 (불)공정성 인식이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기성세대와의 비교 실증분석을 통해 제시하였다. 연구분석 결과 MZ세대 공무원들은 누구에게나 차별받지 않는 절차적 공정성과 배분적 공정성을 중요하게 고려하였으며, 공직사회에 대한 그들의 공정성 인식은 기성세대 공무원들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불)공정성 인식은 Farrell(1983)이 제시한 네 가지 반응행동(목소리, 충성, 태만, 이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MZ세대 공무원들이 공정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조직 내에서 자신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제기하였으며, 조직에 대한 소속감과 충성도가 증가하였고, 업무태만이 낮았으며, 조직 이직의도가 낮아졌다. 즉 조직 내 공정성 인식이 높아질수록 MZ세대 공무원들은 건설적인 행동(목소리와 충성)을 강화하며 파괴적인 행동 (태만과 이탈)을 약화하였다. 또한 기성세대 공무원들과 비교했을 때 MZ세대 공무원들이 나타내는 목소리, 충성, 태만 등의 행동에는 절차적 공정성이, 이탈에는 배분적 공정성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ly, the perception of (in)justice of the MZ generation has become an important topic in the public service society, but research on it has not been actively conducted. Our study uses the Farrell (1983) model to examine how MZ generation civil servants perceive (in)justice in public service and how their perception of (in)justice affects their behavior through comparative empirical analysis with the older generation. Our result indicated that the civil servants of the MZ generation considered procedural justice and distributive justice not to be discriminated against by anyone, and their perception of justice in the public service society was lower than that of the older generation civil servants. Also, perception of (in)justi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our response behaviors(voice, loyalty, neglect, exit) suggested by Farrell(1983). The higher the recognition of justice among the MZ generation civil servants, the more they actively raised their opinions within the organization, the sense of belonging and loyalty to the organization increased, the neglect of work was low, and the intention to leave the organization decreased.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awareness of justice within the organization, the stronger the constructive behaviors(voice and loyalty) of the MZ generation civil servants and the weakening of the destructive behaviors(neglect and exi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procedural justice had a greater effect on behaviors such as voice, loyalty, and neglect expressed by MZ-generation civil servants and distributive justice on exit when compared with older-generation civil servants.

      • KCI우수등재

        신중년과 MZ세대의 여가 스포츠 활동 특성

        배재윤 한국체육학회 2024 한국체육학회지 Vol.63 No.4

        본 연구는 신중년과 MZ세대의 여가 스포츠 활동에 주목하여 그 특성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년간 규칙적으로 여가 스포츠 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신중년(20명)과 MZ세대(19명)를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성이 도출되었다. 첫째, 신중년 세대의 여가 스포츠 참여 동기는 주로 건강과 교류였으며, MZ세대의 여가 스포츠 참여 동기는 재미와 자기 개발의 특성이 있었다. 둘째, 신중년 세대가 선호하는 여가 스포츠는 저강도 또는 중강도 종목이었고, MZ세대가 선호하는 여가 스포츠는 고강도의 다양하고 다채로운 특성이 있었다. 셋째, 신중년 세대의 여가 스포츠 참여 방식은 정기적인 운동 모임이나 동호회가 주를 이뤘고, MZ세대의 여가 스포츠 참여 방식은 개인 혹은 소규모 그룹 단위의 특성이 있었다. 넷째, 신중년 세대의 여가 스포츠 활동의 의미는 삶의 질을 높이는 수단이었고, MZ세대의 여가 스포츠 활동의 의미는 자기표현의 수단으로써 특성이 있었다. 다섯째, 신중년 세대의 여가 스포츠 비용은 안정된경제적 여건에 토대가 있었고, MZ세대의 여가 스포츠 비용은 가성비와 접근성의 특성이 있었다. 여섯째, 신중년 세대의 여가 스포츠 활동의 기술 활용은 더디지만 적응하는 양상이었으며, MZ세대의 여가 스포츠 활동의 기술 활용은 능숙하고 적극적인 특성이 있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차이를 바탕으로 각 세대의 요구와 선호에 맞춘 여가 스포츠 프로그램 개발과정책 수립이 필요하다는 함의와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leisure sports activities of the new middle-aged and MZ generation and to examine their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among the new middle-aged generation (n=20) and the MZ generation (n=19) who had experience of regular participation in leisure sports activities for many years As a result,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First, the motivation of the new middle-aged generation to participate in recreational sports was mainly health and socialization, while the motivation of the MZ generation to participate in leisure sports was mainly fun and self-development. Second, the leisure sports preferred by the new middle-aged generation were found to hav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f low or medium intensity, while the leisure sports preferred by the MZ generation were found to have diverse and colorful characteristics of high intensity. Third, the new middle-aged generation’s way of participating in leisure sports was regular sports gatherings or clubs, while the MZ generation’s way of participating in leisure sports was characterized by individuals or small groups. Fourth, the meaning of leisure sports activities for the new middle-aged generation was a mean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the meaning of leisure sports activities for the MZ generation was characterized as a means of self-expression. Fifth, the cost of leisure sports for the new middle-aged generation was based on stable economic conditions, and the cost of leisure sports for the MZ generation had the characteristics of cost-effectiveness and accessibility. Sixth, the new middle-aged generation’s use of technology in leisure sports activities was slow but adaptive, and the MZ generation’s use of technology in leisure sports activities was skillful and activ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implicat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need to develop leisure sports programs and establish policy.

      • KCI등재후보

        역사문화관광지 관광경험의 MZ세대와 X세대 간 차이 연구

        전현모(Hyeon-Mo Jeon),김현영(Hyun-Young Kim) 국립공원연구원 2023 국립공원연구지 Vol.14 No.1

        본 연구는 국내 역사문화관광지인 경주에서의 관광경험이 세대간(MZ세대/X세대)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경험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X세대가 MZ세대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미성은 MZ세대와 X세대 모두 관광경험 요인 중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요인으로, MZ세대가 X세대보다 경주관광지의 심미성을 더 높게 인식했다. 셋째, X세대보다 MZ세대가 경주 관광을 통해 참신성을 더 높게 인식했다. 마지막으로, 경주 관광을 통해 느끼는 즐거움은 X세대보다 MZ세대가 더 높게 인지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한 시사점 제시를 통해 엔데믹 시대를 맞이하는 시점에서 세대 간 역사문화관광지에서의 관광경험 차이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역사문화관광산업을 중심 하는 지자체 및 공공기관, 관광산업 관련 운영자에게 적용 가능한 실무적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in tourism experience in Gyeongju, a domestic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t destination, between generations (MZ generation/ X generation)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X generation had a higher positive perception of the learning experience than the MZ generation. Second, aesthetics are the most recognized factor among tourism experience factors by both the MZ generation and the X generation, and the MZ generation recognized the aesthetics of Gyeongju tourist attractions more than the X generation. Third, in the case of novelty, the MZ generation recognized novelty more through Gyeongju tourism than the X generation. Finally, the enjoyment felt through tourism in Gyeongju was recognized higher by the MZ generation than by the X generation. Through the presentation of implications through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research on differences in tourism experiences in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sites between generations, and practical data applicable to local governments, related public institutions, and tourism industry-related operators.

      • KCI등재

        디지털 환경 경험에 따른 베이비붐과 MZ세대의 공간 선호도 차이 연구

        한경훈,이선정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4

        (연구배경 및 목적) 디지털 정보화 시대의 도래로 현대 사회는 공간 인식 측면에서 새로운 양식을 취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배경은 2022년 문광부 국민문화 예술 활동 조사·국민 여가 활동 조사를 확인한 후 연령대별 선호 공간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의 근거를 찾아가면서 시작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붐세대(1955년~1963년까지 태어난 세대)와 MZ세대(1980년~1994년 사이에 출생한 M세대와 1995년~2005년 사이에 출생한 Z세대를 포함하는 세대)의 선호 공간이 차이 나는 원인의 근거를 밝히기 위해 디지털 환경 경험과 공간 선호도 차이의 관계성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세대별 디지털 환경 경험과 공간 선호도 차이의 관계성을 밝히기 위한 리서치와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진행한다. 연구의 범위는 디지털 환경 경험 격차가 가장 큰 베이비붐세대와 MZ세대로 한정한다. 연구의 방법은 공간방문을 위한 디지털 활용 방식에 대해 고찰한 후 베이비붐세대와 MZ세대의 특성과 디지털 수용 차이점을 파악한다. 그리고 본 연구를 피에르 부르디외 아비투스 관점으로 바라보면서 연령별 선호 공간 자료를 기반으로 두 세대의 선호 공간을 아비투스 관점으로 분석한다. 이후 아비투스 관점으로 공간 선호도와 세대별 디지털 환경 경험의 관계성을 밝힌다. (결과) MZ세대의 성장기에는 디지털 문화가 보편화되어 있었고 자연스럽게 아날로그 문화보다는 디지털 문화에 오랜 시간을 보냈다. 성장기에 형성된 디지털 경험 아비투스는 무의식적으로 기존 환경에서 벗어나지 않으려는 습성을 가지며 이러한 성향 체계는 디지털 정보를 활용하여 다양한 공간을 방문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반면에 베이비붐세대의 아비투스는 유년 시절 오랜 시간 동안 경험해 온 아날로그 문화에 의해 형성된다. 이는 급변하는 디지털 사회에서 무의식적으로 디지털 정보를 활용하지 않고 익숙한 공간을 방문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결론) 아비투스 이론의 관점에서 베이비붐세대와 MZ세대의 선호 공간과 각 세대의 디지털 활용 특성을 연구한 결과 두 세대의 서로 다른 공간방문 방식이 밝혀졌고, 이를 통해 익숙한 공간을 선호하는 베이비붐세대와 다양한 공간을 경험하는 MZ세대는 서로 다른 아비투스의 영향으로 선호하는 공간에서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아비투스 관점에서 바라볼 때 디지털 환경 경험과 공간 선호도 차이가 관계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advent of the digital information age, the modern society has adopted a new style in terms of spatial perception.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lies in 2022 when the Ministry of Culture’s culture and arts activity survey and the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were confirmed, and thereafter, the basis for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space by age group was determin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gital environment experience and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space between the baby boomers (generation born between 1955 and 1963) and the MZ generation (generation including Generation M born between 1980 and 1994 and Generation Z born between 1995 and 2005). (Method) This study focuses on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tional digital environment experiences and differences in spatial preferences. The study scope encompasses the baby boomers and the MZ generation, who have the largest digital environment experience gap. The research method examines the manner of use of digital tools for spatial visits,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by boomers and the MZ generation and the differences regarding digital acceptance. The preferred space of the two generations i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Pierre Bourdieu Avitus based on the preferred space data by age. Thereafter,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preference and digital environment experience by generation is revealed. (Results) During the growth period of the MZ generation, digital culture became common, providing this generation greater exposure to the digital rather than the analog culture. The digital experience Avitus acquired during the growth period forms a habit of subconsciously remaining in the existing environment. This propensity manifests as visiting various spaces using digital information. Conversely, the baby boomers' Avitus is formed by the analog culture. This manifests as visiting a familiar space without subconsciously using digital information in a dynamic digital society. (Conclusions) A study of the preferred spaces of the baby boomers and the MZ generation and the digital utilization characteristics of each gene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vitus theory revealed the manner in which the two generations visit spaces. The baby boomers who prefer familiar spaces and the MZ generation who experience various spaces differ in terms of their preferred spaces because of the influence of different Avitus. Consequently, the difference in digital environment experience and spatial preference is related from the perspective of Avit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