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자사상과 초기 도교의 민중성

        이봉호(Lee, Bong ho) 한국동양철학회 2014 동양철학 Vol.0 No.41

        도교가 갖고 있는 여러 성격 중에서 민중성의 성격은 노자 사상과 밀접해 보인다. 적어도 초기 도교가 교단화할 때, 그들의 종교적 지향에서는 노자가 그리는 이상사회가 반영되어 있었다. 노장 사상을 몰락한 귀족계층의 입장을 대변하는 사상이라고 주장하는 입장도 있지만, 민중들은 노자의 사상은 자신들의 이익과 입장을 대변하는 것으로 읽어낼 내용이 적지 않다. 우선 노자가 士가 되길 거부하고, 당시의 위정자들과 사 계급을 비판하는 것이 그것이다. 다른 하나는 민중들 스스로가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내용과 이로부터 소국과민의 이상세계를 제시한 점이다. 이러한 점을 기준으로 노자의 사상에서 민중성을 찾고, 이 민중성이 초기교단 도교에서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우선 노자의 사상에서 보이는 이상세계는 태평도에서는 ‘태평’ 세계로 구현되었고, 천사도에서는 자립적 종교공동체로 구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나라 초기에 이룩했던 백성과 더불어 쉼[與民休息]의 정치가 바로 노자의 사상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노자의 사상이 한말기의 최악의 삶을 살던 민중에서 이상사회의 바램으로 되살아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노자가 현재까지도 가장 사랑받는 도교의 신인 이유도 그러한 의식이 면면히 이어져 온 것으로 볼 수 있다. Taoism’s Collectivity among several characteristic of Taoism has close relations with Laotzu’s Philosophy. By the time early Taoism became a religious body, their religious-oriented thinking is reflected in ideal society of Laotzu. Laotzu rejected becoming a prophet and dreamed of small country and small population as criticising politician and political hierarchy in China’s Warring States period. Moreover, Laotzu criticized political authority for people without any hesitation, which captured people's heart. Searching collectivity in Laotzu’s Philosophy, we looked into how collectivity had been propagated in early Taoism. Firstly, ideal world of Laotzu’s Philosophy is realized in a peaceful world [TaePyeong world] of TaePyeongDo [the first religious body of Taoism] and is realized in a independent religious community in CheonSaDo [the following religious body of Taoism after TaePyeongDo]. Furthermore, we looked that the Rest with the people, Laotzu’s ideology of politics, in early Chinese Han period is closely interrelated with Laotzu’s philosophy. This Laotzu’s philosophy was returned to hope of ideal world for the people barely living in a worst way in late Chinese Han period. Last but not least, it is clear that Laotzu is the most loved God of Taoism and it is all because of Laotzu’s philosophy.

      • KCI등재

        공자의 ‘正名’과 노자의 ‘非常名’- 노자의 도와 소쉬르의 언어학: 제대로 된 만남 -

        이봉호 대한철학회 2018 哲學硏究 Vol.148 No.-

        This article is designed to help ensure that “Laotzu’s Tao and Saussure’s Linguisticse's Linguistics” can meet properly. To carry out this project, I asked how to understand Laotzu’s ‘not the eternal Name(非常名)’. Comparing Kongzi's ‘the Rectification of name(正命)’ with Laotzu’s ‘not the eternal Name’, The meaning of the two concepts becomes clear. Kongzi's ‘the Rectification of name’ is political philosophy to restore etiquette through language order. In comparison, Laotzu’s ‘not the eternal Name’ refers to Randomness[arbitraire] of the symbol. It shows that the order of languages can be dismantled, and that the structure, norms, and etiquette of society, which are established by language order, can be dismantled. Laotzu's ‘not the eternal Name’ is a logic that defies language as an institution, as a symbolism, and as a logic of disintegration. To illustrate this point, Searsure's Linguistics was brought in for discussion. In Saussure's Linguistics, the arbitrary nature of the symbol is the same as the Lotzu's ‘Not the eternal Name’. Three arguments were used to elucidate the logic of the resistance and the logic of Deconstruct of the Language structure. First, I explained that the discussion of 'Name' was not just about ‘the name of an object’ but about the system, laws and norms of a society. Second, I explained the argument that language order is a social institution and a social structure by taking the words Saussure and Lacon. Third, I explained that ‘not the eternal Name’ is an important term that reveals the arbitrary and arbitrary relationship between the signifiant and the signifie. These arguments explain that Laotzu’s 'not the eternal Name' is the logic of dismantling the language as a system and as the symbolic. 이 글은 “노자의 도와 소쉬르의 언어학: 잘못된 만남”의 후속편으로 기획되었다. 노자의 도와 소쉬르의 언어학의 접점을 찾기 위해 ‘非常名’을 어떻게 이해해야할까라는 질문을 던졌다. 노자의 ‘비상명’이 소쉬르가 말한 기호의 자의성과 부합하기 때문이다. 노자의 비상명이 갖는 성격을 부각하기 위해 공자의 ‘정명’과 비교하는 방법을 택했다. 이를 통해, 공자의 정명은 언어질서를 통해 예법을 회복하자는 주장임에 반해, 노자의 비상명은 기호의 자의성을 말한 것임을 드러냈다. 노자는 비상명을 통해 기호는 기표(signifiant)와 기의(signifie)가 본질적이고 필연적으로 결합되어 있지 않음을 드러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기호의 자의성으로부터 언어질서는 해체될 수 있으며, 언어질서로 구축된 사회의 구조나 규범, 예법이라는 것도 해체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결국 노자의 비상명은 제도로서 언어, 상징계로서 언어인 주나라의 언어질서에 저항하는 논리이자 해체의 논리이다. 이를 해명하기 위해, 세 가지 논증을 사용했다. 첫째는 ‘명’에 대한 중국 고대의 논의가 단순한 관직명과 사물의 명칭인 物名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한 사회의 제도와 법, 규범에 관한 논의였음을 해명하였다. 둘째, 언어 질서가 사회 제도이자 사회 구조임을 해명하는 논증을 소쉬르와 라캉의 말을 가져와 해명하였다. 소쉬르는 언어학의 탐구 대상이 한 사회의 제도와 규범, 법에 대한 탐구라고 말하고 있고, 라캉은 이를 상징계(the Symbolic)라고 말하고 있는 점을 가져와 논증하였다. 셋째, ‘비상명’이 기표와 기의의 자의적이고 임의적인 관계를 드러내는 중요한 용어임을 해명하였다. 소쉬르는 기호는 기표와 기의의 결합은 본질적이지 않고, 임의적이고 자의적이라고 한다. 노자의 비상명 역시 기표와 기의가 자의적인 결합임을 해명하였다. 이러한 논증을 통해 노자의 비상명이 제도로서 언어와 상징계로서 언어에 저항하고 이를 해체하는 논리임을 해명하였다.

      • KCI등재

        天符經의 정신철학을 계승한 老子의 道와 철학의 체계적 이해

        김익수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89 No.-

        노자(老子)는 기원전 500년전의 인물로 도가(道家)의 창시자라고 전해지고 있다. 노자의 핵심철학이 내재한 저서는 『노자』, 또는 『도덕경(道德經)』이라고 한다. 그 내용이 상하 2편으로 나누어져 있고 내용의 성격으로 보아도 상편을 도경(道經), 하편을 덕경(德經)이라고 분류하였는데 합쳐서 『도덕경』이라고 이름하였다. 주(周)나라가 어지러웠던 춘추시대(B.C.768-B.C.476)에 저술된 노자는 전국시대(B.C.481-B.C.221)의 전란과 고난 속에서 이루어졌다. 중국의 춘추시대는 사상가가 많이 배출되었는데 공자, 맹자 등 유가사상은 황하유역인 북방의 기질을 대변한 사상이라면 노자나 장자를 중심으로 한 도가사상은 장강유역을 중심으로 한 자연의 기질을 대표한 사상이다. 사실상 중국의 양대사상의 골격을 형성하게 된 북방과 남방의 차이는 단지 기후와 자연에 있어서만이 아나라 철학, 문학, 문화, 예술등 전반에 걸쳐서 너무나 판이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유가사상이 현실적이라면 도가사상은 자연적이고 초현실적이다. 노자는 절대적인 원리로서 도의 추구, 인간의 본연의 이성의 한계성에 대한 각성 끝에 이른바 무(無)의 사상과 자연의 사상을 굳혀갔다. 중국의 상고에도 도덕이 아주 중시되었지만 양대 사상의 골격은 판이하게 달랐다. 중국의 양대 사상가인 노자와 공자는 생각이 서로 달랐다. 노자는 상제중심(上帝中心)의 사회체제와 상위자(上位者) 중심의 도덕체제만으로는 보통사람들의 삶을 온전하게 보장할 수 없고 만족하게 할 수도 없다고 보았던 것이다. 그런 판단으로 자연(自然), 도덕(道德)을 아주 중시하였다. 노자 이전인 상고시대에도 도덕이란 말을 사용했지만 노자가 강조한 도덕은 매우 포괄적이고 깊은 의미가 내재한 특징이 있다. 그것이 바로 천지인(天地人) 및 만물을 모두 포괄한 큰 도덕이다. 동양의 양대 사상이 유가와 도가사상이라고 하지만 사실은 유가도 도가사상의 영향을 받아 더욱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이다. 누구나 세상을 살아감에 있어서 이것을 깨달아서 올곧게 살아가면 참된 인간이 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이를 통치자가 알아서 국정철학을 삼는다면 국가가 크게 번영할 것이요, 국민이 大道에 따라 살아가게 될 것이니 나라기 태평할 것이요, 교육자가 실행하면 바른 교육이 되어 밝은 미래사회가 열릴 것이다. 보통사람들이 이해한다면 이웃과 사회가 따뜻하게 정을 나누고 인간의 본연대로 순박하게 살아가게 될 것이다. 거듭 말하지만 현대 는 산업사회의 후유증과 과학과 기계화로 인간이 지극히 소외도고 다 종교 다문화시대를 맞아 더욱더 갈등이 심화되어 가고 있다. 더욱이 현대는 ‘무사상 교육부재(無思想敎育不在) 시대요, 동포애도 없어지고 민족정신이 이완되어 핵무기 같은 살상무기를 만들어 동포는 물론 인류의 생명을 위협하고 평화를 분열하고 있다. 현대 학교의 보통교육은 인류대학 진학의 준비기관으로 전락하여 이기심(利己心)만 조장하여 잘못된 경쟁심만 늘어가고 있다. 심지어 청소년들은 점점 포악해져 법을 무시하는 지경에 이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사회교육도 조선조시대의 서원(書院)이나 서당교육에서도 중점을 두었던 효정신과 인성교육은 자취를 감추고 기술이나 기능교육에 급급하고 있을 뿐이다. 사실상 우리는 도덕의 종주국이면서도 서구교육의 시험장이 되어 몹시 혼란을 거듭하고 있다. 인류의 희원(希願)인 현대사... Laotzu is a man of 500BC who established Daoism. Laotzu or Book of Daoism is the book of containing the core of his philosophy. It consists with two parts; the script of Dao as the first part and the script of morality as the second part. These make the title of the book, the Book of Daoism, the book of Dao and Morality. Laotzu lived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when Zhou dynasty suffered. This book appeared in the later part of this period. During this period, many thinkers appeared compared to any other period. Confucianism of Confucius and Mencius represented the northern thought of Yellow River area while Daoism of Laotzu and Zhuang Zhou represented character of nature in the Yangtze River area. In fact, Those two major schools of Chinese thoughts are not just reflect the climate ana natural differences, but differentiated the wide areas of thoughts, literature, culture, art and so on. While Confucianism reflects practicality, Daoism is natural and supernatural in it character. Laotzu developed thought of nothing and nature after realizing the limitation of the human reason as the fundamental principle. He also believed that the emperor-centered social structure and moral system of the haves could not secure and satisfy the people. Therefore, he emphasized the values of nature and Dao-morality. The value of Dao-morality existed before, but his value is more comprehensive and in-depth. That is, his grand value of thought of morality contains 'heaven-earth-human' and all thing in the universe. Confucianism also was influenced from the thought of Daoism and as a result it developed into a higher level. Everyone realize the morality in everyday life, then they can be the true human beings. When rulers realize this value and make it as a political value, the country will be peaceful. At the same time when educators executed this value, true education promise the brighter future. When common people share this value, society will be pure and safe among neighbors. This is the solution to resolve the conflicts from symptoms of industrialized society and isolated human being from the scientific and materialized world as well as the deepening conflicts from the multi-religious and multi-cultural era. Furthermore, today is a era of no education without any thoughts and that of losing love of people. There is no sense of collective nature of people by threatening people and peace with nuclear weapon. Today's education focuses on the entering of the best universities that spread the selfishness and unfair competitions. Kids are become so violent and barbaric that they are not just neglect education but the legal system. For worse, social education totally lost the value of filial piety and personality education those emphasized by the Seowon and Seodang of Joseon. It only focuses on the teaching on the technical skills. In fact, Korea's education is a arena of testing Western education even though Korea is the birth place of morality. When the comtemporary society becomes more confused and violent, Laotzu's Daoism of Asia is the great value to seek an ego to overcome the crisis. Dao(道) is the core of Laotzu's thought and it was fundamentally inheriting the thought reflected in Cheonbugyeong.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ek a true nature of human beings by researching philosophical structure of the Book of Daoism.

      • KCI등재후보

        천부경(天符經)의 정신철학을 계승한 노자(老子)의 도(道)와 철학의 체계적 이해

        김익수 ( Kim Ik-so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89 No.-

        노자(老子)는 기원전 500년전의 인물로 도가(道家)의 창시자라고 전해지고 있다. 노자의 핵심철학이 내재한 저서는 『노자』, 또는 『도덕경(道德經)』이라고 한다. 그 내용이 상하 2편으로 나누어져 있고 내용의 성격으로 보아 상편을 도경(道經), 하편을 덕경(德經)이라고 분류하였는데 합쳐서 “도덕경(道德經)”이라고 이름하였다. 주(周)나라가 어지러웠던 춘추시대(B.C.768-B.C.476)에 저술된 노자는 전국시대(B.C.481-B.C.221)의 전란과 고난 속에서 이루어졌다. 중국의 춘추시대는 사상가가 많이 배출되었는데 공자, 맹자 등 유가사상은 황하유역인 북방의 기질을 대변한 사상이라면 노자나 장자를 중심으로 한 도가 사상은 장강유역을 중심으로 한 자연의 기질을 대표한 사상이다. 유가사상이 현실적이라면 도가사상은 자연적이고 초현실적이다. 노자는 절대적인 원리로서 도(道)의 추구, 인간의 본연의 이성의 한계성에 대한 각성 끝에 이른바 무(無)의 사상과 자연의 사상을 굳혀갔다. 중국의 상고에도 도덕이 중시되었지만 양대 사상의 골격은 판이하게 달랐다. 노자는 상제중심(上帝中心)의 사회체제와 상위자(上位者) 중심의 도덕체제만으로는 보통사람들의 삶을 온전하게 보장할 수 없고 만족하게 할 수도 없다고 보았던 것이다. 그런 판단으로 자연(自然), 도덕(道德)을 아주 중시하였다. 노자 이전인 상고시대에도 ‘도덕’이란 말을 사용했지만 노자가 강조한 도덕은 매우 포괄적이고 깊은 의미가 내재한 특징이 있다. 그것이 바로 천지인(天地人) 및 만물을 모두 포괄한 큰 도덕이다. 동양의 양대 사상이 유가와 도가사상이라고 하지만 사실은 유가도 도가사상의 영향을 받아 더욱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이다. 누구나 세상을 살아감에 있어서 이것을 깨달아서 올곧게 살아가면 참된 인간이 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이를 통치자가 알아서 국정철학을 삼는다면 국가가 크게 번영할 것이요, 국민이 大道에 따라 살아가게 될 것이니 나라기 태평할 것이요, 교육자가 실행하면 바른 교육이 되어 밝은 미래사회가 열릴 것이다. 보통사람들이 이해한다면 이웃과 사회가 따뜻하게 정을 나누고 인간의 본연대로 순박하게 살아가게 될 것이다. 거듭 말하지만 현대는 산업사회의 후유증과 과학과 기계화로 인간이 지극히 소외되고 다 종교 다문화시대를 맞아 더욱더 갈등이 심화되어 가고 있다. 현대 학교의 보통교육은 인류대학 진학의 준비기관으로 전락하여 이기심(利己心)만 조장하여 잘못된 경쟁심만 길러가고 있다. 심지어 청소년들은 점점 포악해져 법을 무시하는 지경에 이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사회교육도 조선조시대의 서원(書院)이나 서당교육에서도 중점을 두었던 효정신과 인성교육은 자취를 감추고 기술이나 기능교육에 급급하고 있을 뿐이다. 사실상 우리는 도덕의 종주국이면서도 서구교육의 시험장이 되어 몹시 혼란을 거듭하고 있다. 인류의 희원(希願)인 인륜사회가 혼탁해지고 전 세계가 험난해 질수록 더욱더 인간의 예지가 담긴 위대한 사상으로 가치를 지니고 있는 노자는 우리 동양인은 물론 세계인이 자아(自我)를 되찾아 위기시대를 극복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사상이요 문화유산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이 사상의 단초(端初)가 된 것을 보면 『천부경(天符經)』에서 홍익인간 이화세계의 사상이 바탕이 되고 있음을 잘 알 수 있다. 현대 우리에게 크게 깨우침을 줄 수 있는 노자의 사상은 본원적으로 가장 한국적이면서 세계적인 철학의 종원(宗源)인 『천부경(天符經)』을 계승하여 형성되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인간의 위기시대에 처하여 인간의 본연(本然)을 되찾아 사람답게 사는 세상을 이루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Laotzu is a man of 500BC who established Daoism. Laotzu or Book of Daoism is the book of containing the core of his philosophy. It consists with two parts; the script of Dao as the first part and the script of morality as the second part. These make the title of the book, the Book of Daoism, the book of Dao and Morality. Laotzu lived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when Zhou dynasty suffered. This book appeared in the later part of this period. During this period, many thinkers appeared compared to any other period. Confucianism of Confucius and Mencius represented the northern thought of Yellow River area while Daoism of Laotzu and Zhuang Zhou represented character of nature in the Yangtze River area. In fact, Those two major schools of Chinese thoughts are not just reflect the climate ana natural differences, but differentiated the wide areas of thoughts, literature, culture, art and so on. While Confucianism reflects practicality, Daoism is natural and supernatural in it character. Laotzu developed thought of nothing and nature after realizing the limitation of the human reason as the fundamental principle. He also believed that the emperor-centered social structure and moral system of the haves could not secure and satisfy the people. Therefore, he emphasized the values of nature and Dao-morality. The value of Dao-morality existed before, but his value is more comprehensive and in-depth. That is, his grand value of thought of morality contains 'heaven-earth-human' and all thing in the universe. Confucianism also was influenced from the thought of Daoism and as a result it developed into a higher level. Everyone realize the morality in everyday life, then they can be the true human beings. When rulers realize this value and make it as a political value, the country will be peaceful. At the same time when educators executed this value, true education promise the brighter future. When common people share this value, society will be pure and safe among neighbors. This is the solution to resolve the conflicts from symptoms of industrialized society and isolated human being from the scientific and materialized world as well as the deepening conflicts from the multi-religious and multi-cultural era. Furthermore, today is a era of no education without any thoughts and that of losing love of people. There is no sense of collective nature of people by threatening people and peace with nuclear weapon. Today's education focuses on the entering of the best universities that spread the selfishness and unfair competitions. Kids are become so violent and barbaric that they are not just neglect education but the legal system. For worse, social education totally lost the value of filial piety and personality education those emphasized by the Seowon and Seodang of Joseon. It only focuses on the teaching on the technical skills. In fact, Korea's education is a arena of testing Western education even though Korea is the birth place of morality. When the comtemporary society becomes more confused and violent, Laotzu's Daoism of Asia is the great value to seek an ego to overcome the crisis. Dao(道) is the core of Laotzu's thought and it was fundamentally inheriting the thought reflected in Cheonbugyeong.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ek a true nature of human beings by researching philosophical structure of the Book of Daoism.

      • 老子의 知識觀과 無爲

        오현방(Oh Hyun-Ba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江原人文論叢 Vol.17 No.-

        노자가 살았던 시대는 춘추전국시대로서 전란이 자주 일어나고 사회가 혼란하였으며, 제 학파의 이론과 지식 등이 만연하였다. 하지만 그는 인간의 참상을 보고 私利 私欲을 위한 假飾의 학문이나, 허위의 지식 등을 반대하였다. 왜냐하면 이런 인위적 지혜가 있으면 반드시 추구하는 바가 있게 되며, 추구하는 것이 있으면 많은 생각들이 일어나고 또한 각양각색의 욕망이 생겨나게 되어 각종 사회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노자는 그 나름의 지식론을 주장하였으며, 다른 어느 때보다 주의· 주장이 난무했던 당시였기에 노자의 지식론 연구는 그 의미가 크다고 본다. 그러면 老子가 강조하는 道의 세계에 있어 知識은 어떻게 이해되고 있을까? 여기서는 道와 知識의 상관관계는 무엇이며, 나아가 知識을 축적하는데 도구로 사용되는 言語가 무엇인가를 살펴보고 또한 老子의 知識論 저변에 흐르고 있는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 노자는 이러한 제반 지식론을 인성의 수양에 초점을 맞추어 道와 德의 의미를 파악하였는데, 여기에는 ‘自然’이라는 이상적 이념이 있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다. 아울러 이런 지식론의 운용면에서 생각하는 이상사회의 측면도 조사해 보고자 한다. Laotzu lived in the times of Chun-chu & Jun-Kuk, when the war was happened continuously, the society was in the complete chaos and many schools claimed lots of their theories. But After observing the true sights of human's, Laotzu objected to researching the hypocritical studies for selfish desire and false knowledges, etc. As Artificial knowledge(인위), he thought, was always in its pursuit of purpose and the pursuit of artificial knowledge was ralated to the various greeds, so the society was contaminated by such greeds. Because it was a times of chaos and claiming lots of theories, Laotzu claimed his own insights of Knowledge, Therefore, his theory has heavy weight on researching. So, how's the knowledge understood in the world of Laotzu's Tao? To begin with, we should know the relation between Tao and Knowledge and the terms that were used by instrument in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In addition, we should research the significant meanings which were based on the Laotzu's Knowledge. In conclusion, Laotzu understood the various knowledges in the sight of focusing on self-mental training and it were premised on an assumption that there was a ideal world, Nature. Furthermore, in the aspects of Laotzu's theory, The Knowledge, this research consider what the ideal societies are.

      • KCI등재

        공자와 노자의 天․鬼神․道개념과 그 사회사상적 의미

        김영주 동양사회사상학회 2011 사회사상과 문화 Vol.24 No.-

        This article studies between Congtzu's & Laotzu's concepts on Tien(天)․Ghost-God(鬼-神)․Tao(道), and investigates the meanings at a Social thought in the ancient age of China(春秋戰國時代). According to this study, Congtzu's concepts on Tien(天)․Ghost-God(鬼-神)․Tao(道) mean hierarchy society & human-centrism, and Laotzu's concepts on Tien(天)․Ghost-God(鬼-神)․Tao(道) mean eqalitarian society &nature-centrism. Congtzu's hierarchy society concept means power politics keeping hierarchy society by the proprieties and etiquettes in ritual formalities of ancestors and the Heaven.(正名) Congtzu's human-centrism concept means human society keeping his own superiority to other natural creatures. Laotzu's eqalitarian society concept means that common people have right of equality each other neglecting hierarchy society by the proprieties and etiquettes in ritual formalities of ancestors and the Heaven.(無不爲) Laotzu's nature-centrism concept means that human and nature creatures have right of equality each other associating on an equal footing, coming and going everything in nature. (無爲自然) come to a conclusion, Congtzu's concepts on Tien(天)․Ghost-God (鬼-神)․Tao(道) and Laotzu's concepts on Tien(天)․Ghost-God(鬼-神)․Tao (道) takes a completely opposite stand to the meanings at a Social thought from the judgement of virtue-vice. 하․은․주 삼대를 거치면서 천과 귀신 개념은 변화해 가고, 춘추전국시대에 이르러 제자백가들의 도 개념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이 논문은 중국사상사에서 양대산맥을 이루는 유가와 도가를 살펴봄에 논어와 노자에 나타나는 ‘천․귀신․도’라는 낱말을 초점으로 삼아서 공자사상과 노자사상의뿌리를 서로 비교하며 살펴보려고 한다. 중국사상은 서양사상에 비하여, 추상적인 관념에 기댄 사변적인 개념의 인식론이 별로 발달하지 않고 현실 세상에대한 구체적으로 생활윤리의 실천적인 성격이 강하여 지적인 논리보다는 실천적인 체득을 중요하게 여겼다. 따라서 공자사상과 노자사상도 현실 세상에그 나름의 독특한 색깔을 지닌 ‘가치개입’을 가지고 있는데, 그 가치개입의 색깔을 드러냄에 공자사상과 노자사상을 따로 따로 접근하는 것보다는 함께 비교해 보았을 때 그 색깔을 더욱 선명하게 드러내어 볼 수 있다. 맨 먼저 은나라와 주나라가 교체하는 시기에 천과 귀신의 개념을 살펴본 뒤에, 공자사상과노자사상에서 천과 귀신의 개념을 서로 비교하며 살펴보고, 그 다음에 공자사상과 노자사상에서 도의 개념을 서로 비교하며 살펴보고, 이어서 공자사상과노자사상에서 그 천과 귀신 및 도의 개념에 서려있는 ‘가치개입 문제’를 살펴서 그것에 어떤 사회사상적인 의미가 있는지 살펴본다. 이에 공자에게 도는 천과 귀신을 공경하고 제사를 지내는 것이나 그 의식과 절차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상류 서열주의’로 권분勸分의 서열에 따라 그제도와 생활관습을 반듯하게 세워서 각자에게 주어진 위치에 따라 주어진 직분을 충실(正名)하며, 인간은 다른 생명체와는 달리 그 인의예지를 굳건히 지키고 사회질서를 세우며 다른 생명체에 대한 ‘인간 우월주의’ 그리고 나아가서그 중국문명으로 다른 인종을 오랑캐로 여기는 중화주의를 갖는다. 그래서 천이나 천지를 공자사상은 ‘상류 서열주의’라는 관점에서 세상만물이 이렇게 존재하도록 주재하는 가장 높은 서열의 주체로서 공경하고 제사지내는 ‘신분의 권분에 따른 서열적 절대주의’를 상징하는 대상으로 해석된다. 노자에게 도는천과 귀신을 무신론이라는 관점에서 천과 귀신을 공경하고 제사를 지내는 것이나 그 의식과 절차를 미신으로 취급하여 그 서열적인 상징을 제거해 버림으로써 ‘서민 평등주의’로 인간들 사이의 평등함을 주장하며, 이에 그치지 않고천지 사이의 만물 그리고 그 틈새에서 살아가는 ‘인간과 인종 그리고 다른 생명체들이 모두 평등하다.’는 ‘만물 평등주의’를 주장한다(無爲自然). 그래서 천이나 천지를 노자사상은 세상만물의 다양한 모습이 서로 교류하면서 만물을낳고 그 만물이 상호관계를 하여 ‘대대유행待對流行에 따른 평등적 상대주의’를 상징하는 대상으로 해석된다. 이렇게 공자의 ‘상류 서열주의’는 ‘인간 우월주의’에 의한 인문주의로 나아감에 반하여, 노자의 ‘서민 평등주의’는 ‘만물 평등주의’에 의한 자연주의로 나아가게 되어서, 그 가치개입이 서로 정반대 쪽이다.

      • KCI등재

        공자와 노자의 天·鬼神·道 개념과 그 사회사상적 의미

        김영주(Kim, Young-Ju) 동양사회사상학회 2011 사회사상과 문화 Vol.24 No.-

        하·은·주 삼대를 거치면서 천과 귀신 개념은 변화해 가고, 춘추전국시대에 이르러 제자백가들의 도 개념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이 논문은 중국사상사에서 양대산맥을 이루는 유가와 도가를 살펴봄에 『논어』와 『노자』에 나타나는 '천·귀신·도'라는 낱말을 초점으로 삼아서 공자사상과 노자사상의 뿌리를 서로 비교하며 살펴보려고 한다. 중국사상은 서양사상에 비하여 추상적인 관념에 기댄 사변적인 개념의 인식론이 별로 발달하지 않고 현실 세상에 대한 구체적으로 생활윤리의 실천적인 성격이 강하여 지적인 논리보다는 실천적인 체득을 중요하게 여겼다. 따라서 공자사상과 노자사상도 현실 세상에 그 나름의 독특한 색깔을 지닌 '가치개입'을 가지고 있는데, 그 가치개업의 색깔을 드러냄에 공자사상과 노자사상을 따로 따로 접근하는 것보다는 함께 비교해 보았을 때 그 색깔을 더욱 선명하게 드러내어 볼 수 있다. 맨 먼저 은나라와 주나라가 교체하는 시기에 천과 귀신의 개념을 살펴본 뒤에, 공자사상과 노자사상에서 천과 귀신의 개념을 서로 비교하며 살펴보고, 그 다음에 공자사상과 노자사상에서 도의 개념을 서로 비교하며 살펴보고, 이어서 공자사상과 노자사상에서 그 천과 귀신 및 도의 개념에 서려있는 '가치개입 문제'를 살펴서 그것에 어떤 사회사상적인 의미가 있는지 살펴본다. 이에 공자에게 도는 천과 귀신을 공경하고 제사를 지내는 것이나 그 의식과 절차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상류 서열주의'로 권분勸分의 서열에 따라 그 제도와 생활관습을 반듯하게 세워서 각자에게 주어진 위치에 따라 주어진 직분을 충실(正名)하며, 인간은 다른 생명체와는 달리 그 인의예지를 굳건히 지키고 사회질서를 세우며 다른 생명체에 대한 '인간 우월주의' 그리고 나아가서 그 중국문명으로 다른 인종을 오랑캐로 여기는 중화주의를 갖는다. 그래서 천이나 천지를 공자사상은 '상류 서열주의'라는 관점에서 세상만물이 이렇게 존재하도록 주재하는 가장 높은 서열의 주체로서 공경하고 제사지내는 '신분의 권분에 따른 서열적 절대주의'를 상징하는 대상으로 해석된다. 노자에게 도는 천과 귀신을 무신론이라는 관점에서 천과 귀신을 공경하고 제사를 지내는 것이나 그 의식과 절차를 미신으로 취급하여 그 서열적인 상징을 제거해 버림으로써 '서민 평동주의'로 인간들 사이의 평등함을 주장하며, 이에 그치지 않고 천지 사이의 만물 그리고 그 틈새에서 살아가는 '인간과 인종 그리고 다른 생명체들이 모두 평동하다.'는 '만물 평등주의'를 주장한다(無爲自然). 그래서 천이나 천지를 노자사상은 세상만물의 다양한 모습이 서로 교류하면서 만물을 낳고 그 만물이 상호관계를 하여 '대대유행待對流行에 따른 평등적 상대주의'를 상징하는 대상으로 해석된다. 이렇게 공자의 '상류 서열주의'는 '인간 우월주의'에 의한 인문주의로 나아감에 반하여, 노자의 '서민 평등주의'는 '만물 평등주의'에 의한 자연주의로 나아가게 되어서, 그 가치개입이 서로 정반대 쪽이다. This article studies between Congtzu's & Laotzu's concepts on Tien(天)·Ghost-God(鬼-神)·Tao(道), and investigates the meanings at a Social thought in the ancient age of China(春秋戰國時代). According to this study, Congtzu's concepts on Tien(天)·Ghost-God(鬼-神)·Tao(道) mean hierarchy society & human-centrism, and Laotzu's concepts on Tien(天)·Ghost-God(鬼-神)·Tao(道) mean eqalitarian society & nature-centrism. Congtzu's hierarchy society concept means power politics keeping hierarchy society by the proprieties and etiquettes in ritual formalities of ancestors and the Heaven.(正名) Congtzu's human-centrism concept means human society keeping his own superiority to other natural creatures. Laotzu's eqalitarian society concept means that common people have right of equality each other neglecting hierarchy society by the proprieties and etiquettes in ritual formalities of ancestors and the Heaven.(無不爲) Laotzu's nature-centrism concept means that human and nature creatures have right of equality each other associating on an equal footing, coming and going everything in nature. (無爲自然) come to a conclusion, Congtzu's concepts on Tien(天)·Ghost-God (鬼-神)·Tao(道) and Laotzu's concepts on Tien(天)·Ghost-God(鬼-神)·Tao(道) takes a completely opposite stand to the meanings at a Social thought from the judgement of virtue-vice.

      • KCI등재

        칸트와 노자: 경계와 사이의 철학 -사이의 존재론과 경계적 자아-

        맹주만 ( Joo Man Maeng ) 한국칸트학회 2009 칸트연구 Vol.24 No.-

        이 글에서 필자는 칸트와 노자의 철학을 사이의 존재론과 경계적 자아라는 관점에서 읽어내려고 시도한다. 이 같은 시도는 서로 상이한 체계와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또 서로 편차가 있는 동서양 철학의 개념들의 직설적인 비교가 낳을 수 있는 오해를 줄이기 위해 그들의 철학적 사유를 공유 가능한 제3의 관점에서 해석하면서 동시에 그들 철학에 대한 보다 선명한 이해를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 보려는 것이다. 칸트와 노자의 철학은 한편으로는 현상 존재론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그것만으로는 모두 담아낼 수 없는 전체로서의 존재를 밝혀내려는 형이상학적 사유를 추구한다. 칸트와 노자 철학의 공통된 사유 주체로서의 경계적 자아는 그들의 사유를 이끌어 가는 보이지 않는 이성 자신의 눈이다. 칸트에게 인간은 감성적 존재이면서 동시에 도덕적 존재이다. 비록 인간이란 감성적 현상의 제약과 조건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지만, 사이의 존재론을 사유하는 경계적 자아는 선의지를 통해 물자체의 세계를 인간적 관점에서 인식가능한 도덕적 의지의 세계로 정립한다. 이는 스스로 계획한 것, 자신의 원칙에만 철저한 이성의 자기인식, 즉 경계적 자아의 치열한 자기인식의 산물이다. 이 같이 두 세계의 경계에 머물며 두 세계 각각에 정당하게 이를 수 있는 길을 사유하는 주체가 칸트의 경계적 자아이다. 이 칸트의 자아는 안과 밖의 존재의 세계를 바라보는 시선으로서의 눈 위의 경계에 서서 그 눈 자체를 끊임없이 성찰하는 자아이다. 노자에게 인간은 도의 표현으로서의 만물의 일부이며, 전체와 부분이 하나로 통합되어 있는 존재이다. 노자의 존재론적이면서 동시에 도덕적인 경계적 자아는 하나의 현상에 대한 두 가지 상이한 독법의 가능 근거로서 사이의 존재론에 의지해서 자연 만물에 대한 총체적 조망에 이르고 또한 인간이 걸어가야 할 마땅한 방도, 모든 정치가 근본으로 삼아야 할 원칙과 이념을 제시한다. 내재적이며 초월적인 자아, 즉 현상과 실재의 경계에 서서 현상의 안과 밖을 관통하며 경계적 자아가 응시하는 사유의 극점에서 노자는 허정의 자아, 무위의 도와 덕을 인식하는 유무위의 자아를 발견한다. In this paper I will try to read Kant and Laotzu`s philosophy from a point of view on the ontology of the between and the boundary self. The reason why I interpret Kant and Laotzu`s philosophy as this way is that I think this can become a solution to be able to diminish a probable misunderstanding that might happen from straight comparisons between Kant and Laotzu`s philosophy. Philosophy of Kant and Laotzu is basically at once ontology of appearance at their philosophical starting point, and pursues metaphysical thinking that reasons out Being as a wholeness which cannot be contained only through it. Their boundary self means reason`s own eye which cannot objectify whatever we do, nevertheless it is a subject that guides to their metaphysical-practical thinking about Being and Life. For Kant Human being is a phenomenal and moral being, and is not free from sensational conditions of phenomenal world, but the boundary self that is thinking ontology of the between depending upon the good will establishes thing in itself as a world of moral will that is able to know from anthropocentric point of view. Laotzu gets at the truth of the self of XuJing penetra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appearance, standing on the boundary of appearance and reality.

      • KCI등재

        동학의 노자수용 ― 미학과 정치(Ⅱ) ―

        신철하 ( Shin Chul-ha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7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1

        이 글은 “문학이 정치를 구성하는 방식”에 대한 어떤 질문으로부터 출발한다. ‘정치의 본질은 불일치’라는 랑시에르의 전언이 유효한 전거로 차용되었다. 정치적 불일치는 의견들의 대립이나 갈등, 충돌의 차원을 넘어서, 감각적인 것과 그것 사이의 틈을 현시하는 어떤 것이다. 정치적 현시는 우리에게 보이지 않았던 것을 볼 수 있게 하는 것과 관계한다. 이 지점에서 우리는 노자의 텍스트와 긴밀하게 호흡할 수 있다. 특별히 나는 노자를 정독하는 과정에서 3개의 주요한 개념어를 적출했다. 노자의 텍스트를 시적언어로 환원하는 작업이 그 하나이다. 그러니까 노자의 언어는 우리가 문학의 영역이라고 생각해왔던 고도의 감각적인 언어의 구성을 통해 당대의 정치를 전혀 다른 차원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임을 예시한다. 나는 그 작업을 ‘에로스’와 ‘정치’의 개념어를 통해 읽는 노동을 수행했다. 에로스는 라캉이 그의 『세미나8』에서 『향연』 해석을 퍼포먼스하는 과정을 통해 언급한 ‘사랑의 은유’와 ‘욕망의 환유’의 범주에 있는 것이기도 하다. 노자에게서 에로스는 여성성과 모성성이 혼재한 상태로 표상되는 모호한 영역에 있다. 그 모호함은 ‘현묘’나 ‘현빈’으로 특징지어지는 암흑에너지의 어떤 것에 비견된다. 이를 조금 더 현대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떼야르 드 샤르댕의 과학적 탐구를 빌려온 이유이다. 마지막으로 나는 81개의 텍스트 조각을 해체-재구성하는 퍼포먼스를 수행했다. 이를 통해 의미의 파편들을 하나의 서사로 완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그 궁극이 정치다. 말하자면 노자의 정치는 현대적으로 들뢰즈의 ‘되기’, 궁극적으로 ‘지각불가능하게 되기’로 나아가는 인간의 가장 창조적이고 정열적인 지적 행위의 영역에 있는 어떤 것이다. 그것이 미학적인 이유이기도 하다. 요약하면, 19세기 역사적 사건이 되기를 주저하지 않았던 동학의 역동적 자질은 부분적으로 노자의 언어를 통해 더 명료하게 자기정체성을 획득할 수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3개의 개념어-‘侍’, ‘不燃其然’, ‘無爲而化’-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동학의 ‘侍’는 높은 미적 정치성을 내재하고 있다. ‘侍’는 ‘포태한 여성’에 대한 사랑의 은유다. ‘母’에 대한 노자의 해석을 최시형은 ‘시’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조선 현실에 정확하게 투사한다. 말하자면 ‘不燃其然’은 그 ‘시’를 19세기 조선에 실천하는 과정에서 획득한 방법적 자각이다. 방법적 자각으로서의 ‘불연기연’은 노자가 夷, 希, 微의 상태라고 말한 유물 혼성의 미학적 원리를 비약적으로 해석한 것처럼 보인다. 다른한편, ‘無爲而化’는 불연 기연의 방법적 자각을 19세기 조선 현실에 전개하는데 작동한 정치적 실천강령이다. 최제우의 무위이화는 최시형의 ‘玄妙無爲’라는 혁명적 해석을 통해 동학혁명의 이론적 에너지로 수혈된다. 그 에너지는 현단계 동아시아의 다른 국가들과는 차별화된 한국의 시민민주주의를 향한 무한 잠재태로 기능하고 있다. This article is written in order to devise the truth of the Laotzu of Dong-Hak(東經大全). In this process, this article attempts to overturn two texts. It is to read the Laotzu in the main language of 'Eros' and 'politics' and to interpret it as the program of action of revolution especially for democracy. Through this interpretation, I would like to show that Donghak can be a dynamic doctrine that is not only a peasant uprising or a simple religion that has been defeated by foreign powers, but the most brilliant living in Korean modern democracy. The dynamic nature of Donghak, which did not hesitate to become the most brilliant historical event of the 19th century, was able to acquire its identity more clearly through the language of the Laotzu. In this regard, three conceptual words need to be noted. The ‘侍’ of Donghak has a high aesthetic politics. ‘侍’ is a metaphor of love for an 'pregnant woman'. Laotzu's interpretation of ‘母’ is precisely projected to the reality of ‘朝鮮’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侍’. In other words, ‘不然其然’ is a methodological awareness obtained in the process of ‘有物混成’ representation the ‘侍’ in 19th century ‘朝鮮’. ‘不然其然’ as a methodical awareness seems to be a breakthrough interpretation of the aesthetic principle of ‘that Laotzu described as the state of ‘夷’, ‘希’, and ‘微’. ‘無爲而化’ is a political code of practice that worked to spread the methodical awareness of ‘不然其然’ ceremony to the reality of ‘朝鮮’ in the 19th century. Choi Jae-woo's ‘無爲而化’ is transfused into the theoretical energy of the Donghak revolution through a dynamic interpretation of Choi Si-hyung's ‘玄妙無爲’. That energy functions as an infinite potential for Korean civil democracy that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countries in East Asia at this stage.

      • KCI등재

        공자의 ‘正名’과 노자의 ‘非常名’

        이봉호(Lee, Bong-ho) 대한철학회 2018 哲學硏究 Vol.145 No.-

        이 글은 “노자의 도와 소쉬르의 언어학: 잘못된 만남”의 후속편으로 기획되었다. 노자의 도와 소쉬르의 언어학의 접점을 찾기 위해 ‘非常名’을 어떻게 이해해야할까라는 질문을 던졌다. 노자의 ‘비상명’이 소쉬르가 말한 기호의 자의성과 부합하기 때문이다. 노자의 비상명이 갖는 성격을 부각하기 위해 공자의 ‘정명’과 비교하는 방법을 택했다. 이를 통해, 공자의 정명은 언어질서를 통해 예법을 회복하자는 주장임에 반해, 노자의 비상명은 기호의 자의성을 말한 것임을 드러냈다. 노자는 비상명을 통해 기호는 기표(signifiant)와 기의(signifie)가 본질적이고 필연적으로 결합되어 있지 않음을 드러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기호의 자의성으로부터 언어질서는 해체될 수 있으며, 언어질서로 구축된 사회의 구조나 규범, 예법이라는 것도 해체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결국 노자의 비상명은 제도로서 언어, 상징계로서 언어인 주나라의 언어질서에 저항하는 논리이자 해체의 논리이다. 이를 해명하기 위해, 세 가지 논증을 사용했다. 첫째는 ‘명’에 대한 중국 고대의 논의가 단순한 관직명과 사물의 명칭인 物名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한 사회의 제도와 법, 규범에 관한 논의였음을 해명하였다. 둘째, 언어 질서가 사회 제도이자 사회 구조임을 해명하는 논증을 소쉬르와 라캉의 말을 가져와 해명하였다. 소쉬르는 언어학의 탐구 대상이 한 사회의 제도와 규범, 법에 대한 탐구라고 말하고 있고, 라캉은 이를 상징계(the Symbolic)라고 말하고 있는 점을 가져와 논증하였다. 셋째, ‘비상명’이 기표와 기의의 자의적이고 임의적인 관계를 드러내는 중요한 용어임을 해명하였다. 소쉬르는 기호는 기표와 기의의 결합은 본질적이지 않고, 임의적이고 자의적이라고 한다. 노자의 비상명 역시 기표와 기의가 자의적인 결합임을 해명하였다. 이러한 논증을 통해 노자의 비상명이 제도로서 언어와 상징계로서 언어에 저항하고 이를 해체하는 논리임을 해명하였다. This article is designed to help ensure that “Laotzu’s Tao and Saussure’s Linguisticse"s Linguistics” can meet properly. To carry out this project, I asked how to understand Laotzu’s ‘not the eternal Name(非常名)’. Comparing Kongzi"s ‘the Rectification of name(正命)’ with Laotzu’s ‘not the eternal Name’, The meaning of the two concepts becomes clear. Kongzi"s ‘the Rectification of name’ is political philosophy to restore etiquette through language order. In comparison, Laotzu’s ‘not the eternal Name’ refers to Randomness[arbitraire] of the symbol. It shows that the order of languages can be dismantled, and that the structure, norms, and etiquette of society, which are established by language order, can be dismantled. Laotzu"s ‘not the eternal Name’ is a logic that defies language as an institution, as a symbolism, and as a logic of disintegration. To illustrate this point, Searsure"s Linguistics was brought in for discussion. In Saussure"s Linguistics, the arbitrary nature of the symbol is the same as the Lotzu"s ‘Not the eternal Name’. Three arguments were used to elucidate the logic of the resistance and the logic of Deconstruct of the Language structure. First, I explained that the discussion of "Name" was not just about ‘the name of an object’ but about the system, laws and norms of a society. Second, I explained the argument that language order is a social institution and a social structure by taking the words Saussure and Lacon. Third, I explained that ‘not the eternal Name’ is an important term that reveals the arbitrary and arbitrary relationship between the signifiant and the signifie. These arguments explain that Laotzu’s "not the eternal Name" is the logic of dismantling the language as a system and as the symbol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