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일한인 소설에서의 혼인, 결핍 현실의 상징과 그 탈출구

        이헌홍(Lee, Heon-Hong) 한국문학회 2010 韓國文學論叢 Vol.56 No.-

        재일한인 소설 중에서 혼인 문제 즉, 부부관계를 맺거나 부부생활을 영위하는데 얽힌 사연을 중심축으로 하여 전개되는 작품은 필자가 찾은 것만도 10여 편이다. 여기서는 그 작품들 중에서도 특히, 혼인을 통해 결핍 현실을 담아내면서 그로부터의 탈출구를 모색하고 있는 경우를 살펴보았다. 1. 결핍의 현실 때문에 혼인 생활을 지속적으로 영위할 수 없음은 물론, 그 결핍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출구조차 제대로 보이지 않는 경우를 그린 작품이 김경식의 <낙일>(1966년)이다. 여기서 주인공 내외가 겪는 삶은 광복 전후의 혼란기를 무대로 전개되는 재일한인의 결핍 현실은 물론, 출구조차 찾을 길 없는 암울한 일상 그 자체를 대변하는 것이다. 2. 김석범의 <결혼식 날>(1978년)에서는 결핍 현실로 인한 1세의 안타까움과 그로부터의 탈출구가 2세에 이르러서야 겨우 마련되고 있는 모습을 보인다. 여기서 우리는 재일한인의 특이한 삶이 대물림되면서 조금씩이나마 밝은 빛을 더해가는 모습을 더듬게 된다.3. 원수일의 <뱀과 개구리>(1983년)에서 사위와 장모는 혼인을 통해 각자의 결핍을 해소하려고 한다. 그러나 총각은 사랑하는 처녀를 아내로 맞은 대신 장모에게 종속당하는 처지가 된다. 이처럼 혼인을 통해 스스로 마련한 출구에도 함께 하는 공생의 영역이 있는가 하면, 각자의 목표에 집착하는 이기적 영역 또한 엄연한 현실임을 보여주고 있다. 4. 현행자의 <순이의 결혼>(1997년)은 결핍 현실과 그 돌파구로서의 혼인이라는 의미와 함께, ‘미지의 세계 일본, 그곳에 사는 재일동포와의 결혼’이라는 환상에 빠져 서두른 결혼이 몰고 올 위험성도 아울러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그것을 불행으로만 치부하지 아니하고, 자기에게 주어진 운명으로 담담히 받아들이면서 자신의 역할을 찾아나서는 여주인공의 마음에서 우리는 혼인의 참된 의미를 다시 생각하게 된다. 5. 위의 논의로 미루어볼 때 혼인의 진정한 의미는 어느 일방의 행복 즉, 결핍에 대한 충족이나 소망의 성취에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상처를 보듬고 함께 헤쳐가면서 새로운 삶, 새로운 세계를 일구어 나감에 있다는 평범한 진리를 다시 확인하게 된다. 이와 함께 분석 대상 작품의 창작 시기가 우연히도 60년대, 70년대, 80년대, 그리고 90년대인데, 이에 따라 결핍 현실에 대처하는 방식의 차이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한다. Of the novels written by Japan-based Korean authors, those which narrate about the episodic stories centering around the subject of marriage - namely, certain sorts of stories developed through the character's involvement into a husband/wife relationship or the maintenance of his/her marriage life - are more than a few. In my personal research so far, there are about ten works that specifically depict marriage lives. In this paper, among those works, the focus is put on the narrative development and the meaning of such cases that the reality of ‘life with a lack’ is described by means of ‘marriage’and, also, exits from the state of lack are sought out therein. The overview of such cas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For the works that depict a certain situation in which the reality of ‘life with a lack’ mars the actual sustaining of the marriage life and, also, blurs the vision for any possible exit, Nak Il by Gyoung-Sik Kim(1966) is a good example. In the novel, the kind of life that the main characters, a married couple, go through represents not only the reality with a lack for Japan-based Koreans - in the chaotic times around the Korean Independence - but also the gloomy, dark aspect of their everyday life with no exit to be found whatsoever. 2. In Seok-Beom Kim's A Wedding Day(1978), the devastation oozed out of the reality with a lack is portrayed through the life of a first-generation Japan-based Korean. The obtainment of the basis of the exit from such a reality is barely made possible when the second-generation Koreans come into the scene. In that phase, one can get a grasp of the life changes that the a typical lives of the Japan-based Koreans come to gain brightness bit by bit while showing the inevitable inheritance. 3. The son-in-law and the mother-in-law featuring in Soo-Il Won's A Snake and A Frog(1983) attempt to resolve the lack of his own by means of a marriage. The young man, however, falls into a situation in that he has to remain subordinate to his mother-in-law at the cost of getting the love of his life to become his wife. With the marriage functioning as a key clue, this story illustrates that even the self-acquired exit has a symbiotic area and, also, that the individual obsessions with their goals represent the egocentric dimension of the very reality. 4. With a focus on ‘the reality with a lack’ and the entailment of marriage as an escape from such a reality, Soon-Yi's Wedding(1997) by Haeng-Ja Hyun shows us the possible risks/dangers of any marriage done in haste from the illusion of ‘getting married to a Korean who lives in Japan, a new, unknown world’. It, nevertheless, invites the readers to rethink the true meaning of marriage by describing the main female character's mental attitude to calmly accept the circumstances as her given fate, not a misfortune, and look for the roles of her own in life. 5. From the above stated discussion, we come to be reassured of the simple truth that the true meaning of marriage lies not in the happiness of one party (i.e. the replenishment of a lack or the accomplishment of a dream or wish) but in the process of working toward a new life and a new world while embracing each other's wounds and getting over the scars together. In addition, noticing that those literary works analyzed here happen to have the 60's, 70's, 80's, and 90's as their chronological settings respectively, this paper suggests that it also should be worthwhile to pay attention to the differences in the manner in which characters react to the reality with a lack.

      • KCI등재

        일반논문 : 김종삼 시의 "환상성"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접근

        이성민 ( Sung Min Lee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09 인문학연구 Vol.38 No.-

        정신분석학은 장르에서 기인하는 환상성의 논의, 즉 환상시의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기준과 접근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안에서 김종삼 시의 환상성에 대해 정신분석학적으로 접근하고자 했는데, 특히 김종삼의 대부분의 시는 무의식적 욕망을 드러내는 미적 구조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적절한 텍스트로 인식된다. 본 논문은 프로이트와 라캉의 정신분석학을 응용하여 김종삼 시의 본질을 밝혀 보았으며, 특히 ``결여``, ``환상`` 그리고 ``반복``을 통해 김종삼 시의 무의식의 구조를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환상`` 안에 내포되어 있는 문학적 힘을 찾고자 하였다. 이 같은 접근이 가능한 이유는 김종삼 시의 상징(계) 안에서 빈자리로 남아 있는 ``결여``를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종삼 시에서 그것은 ``문`` 이미지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데, "반쯤 열린"은 동시에 "반쯤 닫힌" 곧 김종삼 시의 시적 자아가 결여를 확인하는 지점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리고 시적 자아는 이를 통해 문 너머의 세계, 즉 실재계를 향한 욕망의 여정을 시작하는 계기가 된다. 그러나 김종삼 시에서 문 너머 세계의 현현은 단지 환상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왜냐하면 상징계의 주체와 실재계와의 직접적인 만남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환상이란 실재계와의 직접적인 만남이 불가능한 자아의 실재계를 향한 욕망에 의해 만들어진 결여의 산물이다. 그러므로 환상을 통해 문 너머 세계가 현현되는 순간 인식되는 결여를 통해, 김종삼 시의 시적 자아는 실재계를 향한 시적 여정을 반복하는데, 이 여정은 변증법적이나 인과론적이 아닌 결여를 거듭 확인하는 순환반복의 여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환상``은 실재계의 대체물이며, 그것의 현현은 실재계의 표상이란 불가능하다는 ``결여``의 확인인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환상``은 덧없는 것인가. ``결여``가 나타나는 곳, 그곳은 동시에 시적 자아의 무의식적 욕망이 또 다른 문 너머의 세계를 나서는 출구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김종삼 시의 성격은 ``다시``라는 시어를 통해 잘 드러나는데, 이 반복하지 않을 수 없는 운동이 바로 ``다시``라는 이름의 ``욕망``이며, ``결여``의 힘, 즉 ``환상``이다. 개성적인 진술형식과 환상적인 내용의 결합이라는, 이전의 한국시에서 찾아보기 힘든 독특한 미적 정서를 보여주는 김종삼의 시는 덧없지만 멈출 수 없는, ``결여``에서 그리고 이 끊임없이 ``반복``의 과정 속에서 탄생한 것이다. Psychoanalysis is expected to make the possibility of a new standard and an access for fantasy to discuss. This study tries to approach the Kim Jong-sam`s poetry by the psychoanalysis about his fantasy, but most of the Kim Jong-sam`s poems reveal an unconscious desire to have an aesthetic structure that is recognized as the appropriate text. This study clarifies the essence of Kim Jong-sam`s poems with psy -choanalysis of Sigmund Freud and Jacques Lacan. Especially, it explains the feature of aspect of unconsciousness shown in Kim Jong- sam`s poetry as ``lack``, ``fantasy``, ``repetition``. Also, it tried to find the literary power in the fantasy . The reason why it possibly accesses these approaches is that ``lack`` remained as an empty place is found in the symbolic of the Kim Jong-sam`s poetry. Opened half but closed half at the same time, in other words, being lack let the persona of Kim Jong-sam`s poetry goes into a journey of desire toward the world behind the door, ``the real``. However, ``the world behind the door`` implemented in Kim Jong-sam`s poems were only possible in fantasy because it was impossible for the subject of the symbolic to meet the real directly. The fantasy in meaningful replacement is made by the desire toward the real persons who can`t meet directly Kim Jon-sam`s poetry in the real. In this, the fantasy assumes a part of lack. Thus the persona repeats its journey toward the world behind the door recognizing its lack when the real is implemented as fantasy. This journey is circulated repeatedly around the ``lack``, not as dialectical and causational journey. In other words, ``fantasy`` is the replacement of ``the real``. Also, the realization of the fantasy is the confirmation of ``lack`` to be impossible of the symbolic of ``the real``. If so, is ``fantasy`` a fugitive? The place where appears ``lack`` is the exit to the world beyond the unconsciousness desire of the poetic ego. The characteristic of Kim Jong-sam`s poetry is expressed by the poetic word "again". On the other hands, the practice which could not resist to be repeated is the ``desire`` of ``again`` and the power of ``lack``, or the ``fantasy``. Unlikely the previous Korean poetry, Kim Jong-sam`s poetry which shows the unique aesthetic sense came from the transient but continuous ``lack`` and the process of the endless ``repetition`` with the format of the creative statement and the combination of the fantastic content.

      • KCI등재

        결핍의 정치성과 『프랑켄슈타인』

        김은경(Kim, Yeun-Kyong) 신영어영문학회 2014 신영어영문학 Vol.59 No.-

        This paper analyses Frankenstein through Lacanian Lack Theory, examining whether lack politics might promote a more democratic society. For Lacan, both the subject and Other are lacking. Accordingly, the lacking subject fails to identify with the Other to fill that lack. However, the fantasy that is placed over the lacking Other and offers the promise of fullness, continues to stimulate the subject to identify with the Other. Yet every Utopian fantasy produces a scapegoat to constitute itself, demanding its elimination. The contradictory nature of fantasy demonstrates its failure. In Frankenstein, Victor and Monster confirm the impossibility of utopian fantasy through their struggle. Victor attributes all his negativity to Monster, and excludes him from Being to maintain a harmonious self image. Yet Monster always reemerges to threaten him. That Victor finally dies proves any fantasy can never be preserved. Meanwhile, Victor’s dislocated power is surprisingly replaced not by that of Monster’s, but by Walton’s emerging power. Walton, abandoning his ambition to approve of the sailors’ request, displays a self critical attitude acknowledging his fallibility and better alternatives. This indicates his favorable attitude towards uncertainty that lack politics advocates as a foundation for democratic politics.

      • KCI등재

        생명 관리 시대의 인간과 문학: 『헨리에타 랙스의 불멸하는 삶』

        최윤영 ( Yoon Young Choi ) 한국현대영미소설학회 2017 현대영미소설 Vol.24 No.1

        The rapid rise of biotechnology as a multibillion-dollar industry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yielded new possibilities for understanding, manipulating, and managing human life. Marking this turn as “the entry of life into history,” Michel Foucault proposed the theory of “biopolitics” and “biopower to suggest how the state exercises control through the administration of human bodies and the management of life. Various public and scholarly narratives on Henrietta Lacks and the HeLa cells emerged in this context. The story of HeLa―the first immortal human cells that survived outside the body―and its relations to its unwitting donor incite philosophical, political, and economic challenges to the Foucauldian approaches to the idea of “human.” Most of the public and scholarly narratives on Lacks and HeLa deal with the thorny political, social, and ethical dilemmas that involve th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and associated capitalist interests in dealing with human bodies. At the same time, various ongoing assumptions about racial and gender hierarchies and social inequities displayed in many of these narratives also produced alternative line of accounts that show how those assumptions have structured social and scientific practices and thereby reveal why tensions continue to surface with any challenge to conventional definitions of the human. Focusing on the lives of Lacks and her family, Rebecca Skloot`s nonfiction novel, The Immortal Life of Henrietta Lacks (2010), redirects our attention to the private stories of the individual. On the one hand, Skloot`s re-imagining of Lacks`s personal histories and private memories give voice to those who had been mostly silenced or neglected in the larger public discussions of HeLa. At the same time, however, Skloot`s imaginative creation of Lacks`s “real-life story” calls attention to what is at stake in writing about the histories of the underrepresented subjects for it constantly exposes the writer to the dangers of misappropriation. By posing the difficulties and problems which occur in the representation of individual memories, the text calls attention to both the writers` and readers` endeavors to challenge the essentializing forces of the dominant narratives and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ducated guess” in reassessing the individual “counter-memories.”

      • KCI등재

        모형적합 비율 및 순수오차 변동계수, 반응표면 분석에서의 적합결여 검정의 보완 측도

        임성수,임인수 한국자료분석학회 201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4 No.6

        In response surface analysis, the lack-of-fit test is used as a means to assess the appropriateness of the model. If the result of this test is significant, the researcher may be worried about the adequacy of the model. But, when the model explains the data well and the experiment has been conducted precisely, the observed lack-of-fit test statistic can be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In fact, the lack-of-fit test has a problem that it does not properly assess the appropriateness of the model. This article explains this problem and proposes two measures to supplement the lack-of-fit test. The first measure is the model-fit proportion, which is the ratio of the model sum-of-squares to the sum of the model sum-of- squares and the lack-of-fit sum-of-squares. The second measure is the coefficient of pure error variation, which is the square root of the pure error mean square divided by the response mean at the center point where the responses are replicated. The use of these measures is illustrated using an experimental dataset in clinical chemistry. 반응표면분석에서 모형의 적합성을 평가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적합결여 검정의 결과가 유의하게 나오면, 연구자는 모형이 부적합하지 않은가 하는 우려를 할 수 있다. 그러나, 모형의 설명력이 높고 실험이 정밀하게 수행되었을 때에 적합결여 통계치가 유의하게 나타날 수 있다. 즉, 적합결여 검정에는 적합결여를 정확하지 평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설명하고, 적합결여 검정을 보완하는 두 개의 측도들을 제안한다. 첫 번째 측도는 모형적합 비율로 이는 모형 제곱합을 모형 제곱합과 적합결여 제곱합의 합으로 나눈 것이다. 이 측도는 그 최대값이 1로서, 이 측도의 값이 클수록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두 번째 측도는 순수오차 변동계수로 이는 순수오차 제곱합의 제곱근을 반복이 있는 중심점에서의 반응평균으로 나눈 것이다. 이 측도는 그 최소값이 0으로서, 이 측도의 값이 작을수록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임상화학에서의 실험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 측도들의 활용을 예시한다.

      • KCI등재

        영화 <완득이>에 사용된 결핍과 치유로서의 음식

        우남희(Woo Namhe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9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0 No.4

        이 영화에서 사람과 사람 간의 소통과 화해를 이끄는 매개체로 음식이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영화<완득이>의 영상텍스트에서 시각적으로 구현된 각 인물 간의 물리적 거리 사이에 놓여있는 음식을 대상으로 그 음식들이 지니는 의미를 결핍과 치유의 관점에서 살폈다. 그 결과 영화 <완득이>에서 과자와 빵은 완득이의 가난과 결핍을 상징하는 매개체로 사용되고 있었다. 반면에 햇반과 라면, 소주, 막걸리는 각각의 인물들을 이해하고 소통하는 데 이바지한다. 햇반은 담임과 완득이를 이어주고 라면은 어머니와 아들을 이어준다. 그리고 소주와 막걸리는 갈등 관계에 놓인 인물들이 서로 소통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완득이는 어머니와 17년간 떨어져 지내면서 결핍된 애정을 어머니와 함께 음식을 나눠 먹기와 어머니가 직접 만든 음식을 먹는 것으로 과거의 상처를 치유하고 관계를 개선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어머니가 만든 노계 백숙은 어머니를 비롯한 가족뿐만 아니라 이웃들과 함께 나누어 먹음으로써 구성원들을 하나로 결속시킨다. 영화 <완득이>에는 이처럼 다양한 음식이 등장한다. 비록 음식을 주제로 만들어진 작품은 아니지만, 영화에서 음식은 내적 갈등을 겪는 완득이의 갈등을 해소하는 데 사용된다. 그뿐만 아니라 다문화 사회의 문제, 장애인 가족의 문제 등으로 주류 사회에서 소외된 달동네 주민들 간의 갈등도 음식을 함께 나누어 먹으면서 음식이 하나의 공동체로 결속하는 데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영화에서 음식이 어떠한 의미 작용으로 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음식의 결핍이 인간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음식의 결핍으로 발생한 인간의 아픔을 치유하는 데 음식이 사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음식이 갈등 관계에 놓인 공동체의 갈등을 해소하고 그들의 결속을 다지는 데 이바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Despite food is used as a medium that leads people to communication and reconciliation in this film Punch (Wandeugi), no earnest studies are conducted on that.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s of foods in terms of lack and healing with those placed at a physical distance between characters visually realized in the video ext of the film Punch. As a result, snack and bread in the film Punch were used as media symbolizing Wandeugi’s poverty and lack. Meanwhile, Precooked Dried Rice, Ramyeon, Soju, and Makgeolli contribute to understanding individual characters and communicating with them. Precooked Dried Rice connects the teacher in charge with Wandeugi while Ramyeon connects the mother and the son. Also, Soju and Makgeolli prapare a chance for the characters in a conflicting relationship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andeugi heals his past injury from his living apart from his mother for 17 years, sharing foods together and eating the foods cooked by her. Moreover, stewing boiled in plain water (Baeksuk) cooked by his mother binds neighbors as well as the family members, including the mother herself together by sharing it. Like this, various foods appear in the film Punch. Although it is not a work produced with food as a theme, foods are used in resolving Wandeugi’s conflict. Moreover, foods are used to bind the residents of the alienated from mainstream society due to the problems of a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family of the disabled. Through the study of the signification by which foods are used in this film, it was noted that the lack of foods greatly affected the formation of the human identity and that foods were also used to heal the human pain caused by the lack of food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foods contributed to resolving conflicts of the community in a conflicting relationship and strengthening their solidarity.

      • KCI등재

        결핍과 치유

        김경호(Kim Kyung-Ho)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0 No.28

        이 글은 감성적 층위에서 결핍과 치유의 문제를 다루면서 관계성에 대한 새로운 모색을 시도한다. 현대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수많은 병리현상은 단순히 개인의 차원으로 한정할 수 없다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일상적인 삶의 세계 도처에 도사리고 있는 자본과 제도, 권력 등 억압의 기제들은 개인의 삶에서, 사회적 관계망에서 때론 ‘결핍’으로 때론 ‘과잉’으로 교묘하게 작동한다. 이 글의 목적은 첫째로 개인의 실존적 차원에서 나타나는 ‘결핍’ ‘충족되지 않음’, ‘무언가의 허전함’이 욕망의 기제로 혹은 억압의 기제로 작동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둘째로 그와 같은 결핍의 양상은 어떻게 치유될 수 있는가를 인문학적인 지평에서 모색한다. 이 글은 다섯 부분으로 구성된다. 1장에서는 현대사회와 욕망과 불안의 문제를 개괄하고, 2장에서는 결핍의 다양한 층위를 다룬다. 3장에서는 프로이트의 ‘포르트-다’를 통해 ‘분리와 기초적인 신뢰의 구축’의 문제를 다루며, 4장에서는 결핍된 존재로서의 외톨이의 유형을 은둔형 외톨이인 히키코모리, 극단적 자아도취자인 나르시시스트형, 사이코패스형으로 나누고 이들의 특징을 살펴 본다. 5장에서는 개인적·사회적·제도적·정치적 결핍의 양상은 어떻게 극복되어야 하는가를 치유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여기에서는 결핍과 장애를 극복하기 위하여 친밀성·공감·윤리적 책임의 문제를 다루면서 대안적인 공동체를 상정한다. 그리고 소통을 위한 윤리적 실천의 필요성을 ‘고통과 희망의 연대’의 측면에서 다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dentify the relationship, raging over the matter of lack and cure on the layer of emotion. There is the magnitude of the problem in that lots of pathologies in modern society can't be confined to a personal level. Mechanism of repression which is suppressed and unseen such as capital, institution and power lurking in our daily life artfully works sometimes deficiently or sometimes superfluously. First,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at ‘lack’ or ‘dissatisfaction’ in an existential level of person works as a mechanism of desire or of repression. Second, it tries to find out how to cure such an aspect of lack within the domain of the relationship on the ground of the humanities. This paper consists of 5 chapters. The first chapter deals with the problems of modern society and anxiety and the second chapter examines three layers of lack. The third chapter deals with the problems of conquering agony and establishing trust through fort-da by Freud. The fourth chapter examines the types of the odd ones through hikikomori, narcissist and psychopath. The fifth chapter explores how to overcome the aspect of social, institutional and political lack from healing point of view. In this chapter, an alternative solidarity community is introduced and the need of ethics practice, necessity for solidarity, is dealt with from the angles of ‘solidarity between agony and hope’.

      • KCI등재

        Child Sexual Abuse, "Lack-of-Love" Syndrome, and Treatment

        Jui-Lung Cheng 아시아교정포럼 2008 교정담론 Vol.2 No.2

        Child sexual abuse has become a serious problem in Taiwan and many teenage girls were arrested because of prostitution behaviors or claiming that they would like to have sex trading. Based on empirical studies, the author found that these two kinds of problems or victims have some common characteristics, or so-called "comorbidity." Lack-of-Love (L.L.) Syndrome was discovered by the author to describing the clinical symptoms, including behavioral, psychological, and cognitive consequences, based on three empirical studies. This article introduces the phenomena of child sexual abuse (CSA) and the negative consequences resulted from CSA. The author also proposes the symptoms of the girls who suffered from the L.L. Syndrome, composed by some bizarre personality, depressed emotions, conflictive interpersonal interaction and criminal or self-injurious behaviors. After depicting the symptoms of L.L. Syndrome, the author shares the experience of treating the girls suffering from the syndrome. Some recommendations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re also made in this article.

      • KCI등재

        2차 다항회귀 모형의 적합결여 존재 시의 반응표면 분석

        임인수,임성수 한국자료분석학회 201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4 No.6

        In response surface analysis, the lack-of-fit test is used as a means to assess the appropriateness of the model. The central composite designs,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response surface analysis, have levels -alpha, -1, 0, 1, alpha for each factor. When alpha is not 1, the number of levels for each factor being 5, it is possible to fit a third-order model to the data. This research suggests the use of a third-order model for optimization in response surface analysis when the lack of fit of the full second-order polynomial regression model is significant. If the lack of fit of the third model is not significant, the optimum is found out through the search on the grid points in the experimental region by the use of a computer program. This method is illustrated using an experimental dataset in molecular biology. 반응표면분석에서는 완전 2차 다항회귀 모형을 자주 사용하는데, 이 모형이 실험 데이터를 적절하게 묘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적합결여 검정을 실시한다. 반응표면 분석에서 많이 사용되는 중심합성 설계는 각 요인의 수준들이 -alpha, -1, 0, 1, alpha로 alpha가 1이 아닐 때에는 각 요인의 수준 수가 5가 되어, 이 설계는 완전 2차 모형에 각 요인 변수의 세제곱 항들이 추가된 3차 모형을 실험 데이터에 적합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본 연구는 반응표면 분석에서 2차 다항회귀 모형이 적합결여 검정을 통과하지 못할 때의 대처 방안으로, 각 요인의 수준이 3개 보다 많을 경우에, 2차 모형에 각 요인 변수의 세제곱 항들이 추가된 3차 모형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3차 모형의 적합결여가 유의하지 않으면, 이 모형에 대한 실험지역 내 격자점 상 탐색을 사용하여 최적점을 찾아낸다. 이 방법은 컴퓨터를 사용하여 실험지역 내에서 각 요인 수준값들로 촘촘하게 구성되는 격자점들 상에서 반응값들을 계산하고, 이 값들을 정렬하여 최적점을 찾는다. 분자 생물학에서의 실험 연구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이 방법을 예시한다.

      • KCI등재

        Formation of a Discourse of Decolonization through Lacanian Concepts: Realized Dimension of Decolonization

        신명아 영미문학연구회 2008 영미문학연구 Vol.15 No.-

        Žižek describes “Kant’s philosophy as the crucial antecedent of psychoanalytical ethics. As such, Kantian ethics effectively harbours a ‘terrorist’ potential . . .” This statement is made to allude to the ‘terroristic’ aspect of the Kantian moral ethics which demands human beings to observe moral duty just for the sake of itself regardless of personal (pathological in Kant’s notion) affect or results that will be ensuring from the moral act. Likewise, an analyst is supposed to go through ‘subjective destitution’ for the sake of emergence of ‘objet a’, the dimension of truth, in analyzing a patient. Psychoanalytical ethics or the discourse of an analyst is aiming at this dimension of ‘objet a’ that is destined not to be manifested in any familiar figures limited and domesticated by language or consciousness. Ironically enough, Kantian discourse deflects and manifests in morally delusory forms when it comes to the issue of race. When Kant deals with anthropological aspects which he also taught, his discourse smacks of a discourse of a racist. According to Emmanuel Chukwudi Eze, Kant classified humans into: White(Europeans), yellow(Asians), black(Africans) and red(American Indians) and taught ‘moral geography’ depicting “‘the knowledge’ that is customary to permit theft in Africa, to desert children in China, or to bury them alive in Brazil or for Eskimos to strangle them . . . as based upon unreflective mores and customs, natural impulses . . . not properly(i.e. essentially) human.” This racial view of Kant exemplifies how a master’s discourse is one misreading in confrontation with ‘objet a,’ caused by the lack in the symbolic, the lack-in-being and how it needs to be redressed by an analyst's discourse. This paper tries to formulate a discourse of decolonization through Lacanian concepts and prove how effective these Lacanian concepts such as ‘objet a’, the real, lack in the symbolic, etc. are in deconstructing various delusory cultural phenomena of colonization in politics as well as in knowledge and reveal the dimension of ‘objet a,’ in Lacanina terms, “alethosphere” of decolon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