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사패전(賜牌田)의 실전(失傳)과 불천위(不遷位) 위토(位土)의 마련 : 김종직 종가고문서를 중심으로

        이상현 ( Sang Hyun Lee ) 한국고문서학회 2016 古文書硏究 Vol.48 No.-

        金宗直 宗家에 남아 있는 分財記는 40점으로 가문에 소장된 고문서 가운데 가장 잘 보전되어 있는 문서중의 하나이며, 연구 자료로서의 가치 또한 매우 높다. 그 분재기 가운데 1724년(경종 4) 門中에서 祀孫 金世鳴에게 준 분재기는 先祖 김종직의 不遷位를 위해 문중에서 재산을 모아 祭位條를 만들면서 종손에게 작성해 준 문서이다. 문서의 내용에는 사패전이 없어졌기 때문에 불천위를 위해 제위조를 만든다고 하였다. 그러나 정작 사패전이 없어진 이유에 대해서 언급하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가문에 소장된 자료에도 이와 관련기록이 없었다. 1930년대 조선사편수위원회에서 사료조사에 의해 김종직종가의 가문문서 82점이 조사되어 현재 사진유리필름자료로 국사편찬위원회에 보관되어 있다. 82점의 문서 가운데 18점의 문서가 위의 분재기에서 언급된 사패전 관련 자료들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議送이 10점·關이 1점·사패전답기가 7점이 있다. 문서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사패전 소송에 관한 문서로서 이를 통해 김종직 종가의 사패전이 어떻게 失傳되었고, 그것을 찾으려는 후손들의 노력이 어떠했는지 자세히 살펴 볼 수 있었다. 이 사패전은 김종직이 성종에게 사패전답을 병으로 密陽에 요양하고 있을 당시 받았다. 그가 죽은뒤 戊午士禍로 인해 관에 몰수당했다가 中宗反正때 신원이 회복되고 이로 말미암아 다시 되찾게 되었다. 이후로 후손에게 전해졌다는 것을 1584년(선조 17) 1월 5일에 金綸의 妻 河氏가 작성한 분재기를통해 알 수 있다. 임진왜란이 일어난 이후 사패전의 향방을 알 수 없었으나 위의 1633년(인조11)~1738년(영조 14)까지 총 9건의 議送과 1건의 關을 통해 사패전을 되찾은 시기는 대략 1600년(선조33) 이전으로 김갑령에 의해 되찾았으며, 肅宗代까지 사패전이 남아 있었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사패전이 없어진 이유를 살펴보면 하나는 壬辰倭亂으로 인해 토지가 대부분 황무지가 되었고, 전쟁이 끝난 후 東萊에 사는 사람들의 지속적인 據執 때문이었다. 이는 의송과 사패전답기에서 그 사실을 알 수 있다. 또 하나는 사패전을 관리하던 김갑령 또는 그의 후손이 빈곤하여 거집된 토지 이외를 放賣한 것이다. 1653년(효종 4)에 작성된 의송과 이후에 작성된 대부분의 의송을 보면 김갑령 또는 김갑령의 지손이 사패전을 임의로 방매하였다고 이들을 처벌하고 사패전을 되찾게 해달라고 호소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패전이 없어진 이유 중 하나가 김갑령과 그의 후손들이 땅을 방매했기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김종직의 불천위 奉行은 4대 봉사가 끝난 이후라고 생각되지만 4대 봉사 이후에 불천위가 奉行되었는지 정확히 알 수 는 없었다. 하지만 1724년에 작성된 분재기를 통해 적어도 이때부터 불천위를 모셨다는 것을 기록을 통해 알 수가 있다. 그리고 불천위를 모시기 위해 친족들이 재산을 모와 불천위 위토를 마련하였다는 것과 본래 불천위 위토를 사패전을 가지고 만들려고 했다는 점도 살펴볼 수 있었다. 하나의 분재기와 분재기의 속의 사패전 관련 내용 그리고 사패전과 연관된 문서를 통해 한 가문에서 사패전을 받아 어떻게 관리 전승되었고 어떻게 잃어버리게 되었는지 알 수 있는 하나의 사례로서 의의가 있으며, 사패전을 연구하는데 하나의 보탬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그리고 잃어버린 사패전을 대신하여 친족들이 자신들의 재산을 모아 조상의 불천위 위토를 형성하는 점은 이 가문만이 가지는 특수한 사례로서 의의가 있다. The Records of Property Inheritance owned in head family of Kim Jongjik are 40 pieces, and they are one of best preserved documents among all paleography owned by that family and also so valuable as paleography for study. Among those Records of Property Inheritance, the Records of Property Inheritance which was given to Eldest son of the eldest son Kim Semyeong from Kim``s family at 1724(Kyeongjong 4) is a paleography written for the eldest grandson of that family as Kim``s families prepared financial asset to buy Jewijo for their ancestor Kim Jongjik``s Bulcheonwi. According to the paleography, it said that they are making Jewijo for Bulcheonwi because they lost Sapaejeon. But actually not only there is no mention on the reason why the Sapaejeon was lost, but also there is no related records in paleography owned by Kim Jongjik’s familys. The 82 pieces of family paleographys of Kim Jongjik``s head family were confirmed by paleography investigation performed by the Committee of Joseon History Compilation and they are now being preserved as ambrotype film at the National History Compilation. Among 82 paleographys, 18 of them are the paleographys related to Sapaejeon mentioned above at Records of Property Inheritance. According to those paleographys, most of them are about Sapaejeon litigation, and we could understand the details through these how the Sapaejeon of Kim Jongjik``s family was lost and what efforts his paleography made to regain it. Kim Jongjik received this Sapaejeon from Seongjong as Sapaejeondab while he was in recuperation from disease at Milyang. It was confiscated by the government at Muosawha after his death and regained at Jungjongbanjeong by restoration of his status. We can learn this from Records of Property Inheritance written by Kim Ryun``s wife Ha Ssi at 1584(Seonjo 17). The where about of Sapaejeon after the outbreak of Imjinwaeran was not known. But we could assume that Kim Gabryeong regained Sapaejeon before about 1600(Seonjo 33) through 9 of Provincial gonernor’s presiding the litigation and 1 of Kwan from 1633(Injo 11) to 1738(Yeongjo 14) and it had been remained until Sookjong period. The reason of loss of this Sapaejeon is because of continuous occupation with fake paleographys by residents in Dongrae area in the situation that most of the land were destroyed by Imjinwaeran. The other reason is that Kim Kabryeong and his descendents, who had administered the Sapaejeon, were in poverty, so they sold the land except those occupiedby others. If we examine the Provincial gonernor’s presiding the litigation written at 1653(Hyojong 4) and most of Provincial gonernor’s presiding the litigations written after that, it said Kim Kabryeong or his posterity sold the Sapaejeon without family``s permission, so they were asking to punish these and allow to regain the Sapaejeon. The duty serving to Kim Jongjik``s Bulcheonwi is thought to be after completion of duty service by 4 generations, but we can``t clearly know if it was carried out also after 4 generations duty service. But we can know through Records of Property Inheritance written at 1724 that Bulcheonwi had been served at least from this time. And the family gathered financial assets to buy Wito to serve Bulcheonwi and we could examine that they originally tried to buy Wito with Sapaejeon. This has a meaning that we could understand how a family received, administered and inherited Sapaejeon and how they lost it through a Records of Property Inheritance and its contents related to Sapaejeon and paleographys related to Sapaejeon, I think this would be a contribution to studying the Sapaejeon. And the point that the families and relatives gatheredtheir financial assets to form ancestor``s Bulcheonwi Wito to replace lost Sapaejeon has a meaning as a particular case that only this family has.

      • KCI등재

        유교문명으로의 전환과 ‘시대의 스승’, 김종직과 김시습(Ⅰ)―세종-세조대 유교지식인의 자기정체성 모색을 중심으로―

        정출헌 ( Chung Chul-heo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8 民族文化硏究 Vol.80 No.-

        성종의 시대를 주된 무대로 활동했던 占畢齋 金宗直(1431-1492)과 梅月堂 金時習(1435-1493)은 네 살 차이의 동시대 인물이다. 뒷날 한 사람은 성리학의 道統을 계승한 ‘士林의 宗匠’으로 일컬어지고, 다른 한 사람은 그런 삶과는 거리가 먼 ‘方外人의 典型’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서로 다른 길을 걸었다고 하겠다. 하지만 그들을 한 자리에서 묶어 다룰 만한 공통의 지점도 존재한다. 같은 스승, 같은 친구, 같은 후배를 중간에 두고 같은 시대를 호흡했다는 객관적 사실은 물론 유교문명의 전환과정에서 견지하고 있던 삶의 자세가 그것이다. 그들은 누구보다 시대정신에 충실한 유교지식인이고자 노력했고, 그로 인해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와 같은 후대인은 그들을 ‘백세의 스승’이라 높여 불렀다. 본고에서는 그런 공통의 면모에 주목하여 그들이 유교지식인으로서의 자기정체성을 어떻게 확립해가고 있었는지를 꼼꼼하게 살펴보고자 했다. 완성된 정점에서가 아니라 형성되는 과정으로부터 되짚어보는 작업이야말로 조선전기라는 문명전환의 시대를 가장 생동하게 읽어내는 관건이라 판단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유교문명의 때 이른 절정을 이루었다고 평가되는 세종의 시대에 유교지식을 습득해갔던 그들은, 불의 연대기라 할 수 있을 단종-세조대에 낡은 전통이라든가 절대 권력과 맞닥뜨리며 적지 않은 부침을 겪어야만 했다. 김종직이 진사시에 탈락하고 지은 <濟川亭>을 통해 문장과 도학을 함께 아우르려던 새로운 시학정신, 김시습이 진사시에서 <崇義殿>을 지어 일으킨 파문을 통해 비판적 역사인식은 그 대표적 사례 가운데 하나이다. 이처럼 패기만만하던 젊은 그들에게 들이닥친 과거에서의 탈락, 그리고 방랑과 파직을 계기로 갖게 된 省察과 自覺의 시간은 유교지식인이 자기정체성을 정립해 가기 위한 일종의 통과의례와도 같은 것이었다. 그리고 이런 단련의 과정을 거쳤기에 40대에 들어선 김종직과 김시습은 성종대의 젊은 선비들로부터 ‘시대의 스승’으로 존중받으며 그들에게 돌이키기 어려운 영향을 줄 수 있었다. 김굉필·정여창·남효온·이심원과 같은 젊은 제자/사우가 바로 그들이다. 모두 연산군 때 일어난 두 차례의 사화에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하게 되지만, 오히려 그것은 김종직과 김시습이 ‘시대의 스승’이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역설이기도 했다. Kim Jongjik, aka, Jeompiljae (1431-1492) and Kim Siseup, aka, Maewoldang (1435-1493) were contemporaries who worked actively during the period of King Seongjong though they had four year age difference. In the future, one became ‘the master of Sarim Confucian scholars’ who succeeded Neo-Confucian tradition, whereas the other was said to be the typical outsider, which was quite different from the life of the other scholar. However, there is a common trait that can connect both of them. In addition to the same teacher, same friends, same successors they shared and they lived and breathed at the same period, they kept the same attitude at the transitional period of the Confucian civilization. They endeavored to be the Confucian intellectuals who remained faithful to the Zeitgeist so Yi Hwang, Toigae and Yi I, Yulgok could be called “the teachers of the century.” This article examines meticulously how they establish their identity as Confucian Intellectuals focusing on their commonalities. The retracing formulating procedure rather than peak would be the key factor to read vividly the time of civilization change, that is, the early Joseon period. As a matter of fact, while they acquired Confucian knowledge, the essence of a new civilization, they had to undergo quite a few ups and downs in the face of old customs and the established authority. A new poetic spirit that combined writings and ethics can be identified through Jecheonjeong, Kim Jongjik’s writing that he wrote after he failed the first civil service exam. We can acknowledge their cultivation of critical spirit through the sensations of Sungeuijeon when Kim Siseup composed it in the civil exam. So these passionate young scholars had the time of reflection and self-realization after their failure in the civil service exam, wandering and dismissal from office. This period was in a sense, a rite of passage in the process of self-identity. After this discipline Kim Jongjik and Kim Siseup were esteemed as “teachers of the age” by young people in their twenties. The two scholars were in their forties and became a huge influence to young people. Young followers such as Kim Gwangpil, Jeong Yeochang, Nam Hyo-on, Lee Sim-on confronted the tragic fate due to two incidents during King Yeonsan but the tragedy is the evidence that Kim Jongjik and Kim Siseup were “Teachers of the century.”

      • KCI등재

        김종직의 한국도학사적 위상

        김문준 한국철학사연구회 2022 한국 철학논집 Vol.- No.72

        Kim JongJik(1431-1492) succeeded Jung Mongju(鄭夢周)→Gil jae(吉再)→Kim Sokja(金叔滋)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taught Kim Goengpil(金宏弼), Jung YoChang(鄭汝昌), and Kim Ilson(金馹孫). played a major role in the formation of Sarim School(Dohak School), which led to Jo Kwangjo(趙光祖). A hundred years later, scholars' evaluation summarized that they transferred to Chung Mongju→Giljae→Kim Sookja→Kim JongJik→Kim Goengpil·Jung YeoChang→Jo Kwangjo. In addition, the Toegye school’s Li-centered trend leading to Son Joong Don→Lee Eonjeok→Lee Huang is also drawing attention. It is also noteworthy that the academic background leading to Kwon Geun→Gil Jae→Kim Sook-ja→Kim Jong-jik conveyed both sides of literature and Righteousness of Dohak(道學). Kim Jong-jik's study focused on the moral aspect that emphasized loyalty, and the academic context emphasized literature, should also be reviewed positively. Korean neo-confucianists such as Yi Hwang(李滉) and Yi I(李珥) highly appreciated Kim Jong-jik's Poetry-Literature(詩文), which matched Literature and Righteousness(道). He established method of Cultivating the human nature-introspection, based on the Sohak(小學). When Kim Jong-jik was coming a public office in King Sejo set a big turning point in that it opened the door of neo-confucianist’s participation in politics. 본고는 김종직(金宗直, 1431~1492)이 기여한 한국도학사상사적 역할과 위상을 전반적으로 재검토하였다. 김종직은 정몽주→길재→김숙자를 이어 김굉필ㆍ정여창ㆍ김일손 등을 배출하여 조광조로 이어진 사림파(도학파)를 형성에 큰 역할을 하였다. 후학들의 평가는 이황, 이이 등이 모두 정몽주→길재→김숙자→김종직→김굉필ㆍ정여창→조광조로 도학을 전수한 것으로 정리하였다. 이와 아울러 김종직→손중돈→이언적→이황으로 이어지는 리 중심적 퇴계 학풍도 주목된다. 또한 권근-길재-김숙자-김종직 등으로 이어간 당시 조선초의 학풍은 문장과 도학(수신) 양 측면을 중시했다는 점도 주목할 점이다. 김종직의 학문은 절의를 중시한 도학을 중심으로 하면서도, 권근→길재→김숙자를 잇는 사장학도 중시하였다는 점을 검토해야 한다. 한편 김종직의 학문과 출처 문제에서, 첫째 김종직은 문장가일 뿐이라는 폄하는 이황과 이이 등이 도문(道文) 일치된 김종직의 시문(詩文)을 높이 평가한 사실로 크게 문제 될 사항이 아니다. 김종직은 수양방법으로서 『소학』을 바탕으로 함양성찰하는 공부법을 자리 잡게 하였다. 둘째, 김종직이 세조 때의 출사한 처세와 <조의제문>에 대한 비난은 김종직의 세조 때 출사와 <조의제문>은 관련이 없다는 점에서 출처의리에 문제될 것이 없다. 또한 김종직은 조정에 출사하여 도학자의 경세 참여의 문을 열었다는 점에서 한국도학사상 큰 전기를 마련한 인물이다.

      • KCI등재

        김종직의 사제관계와 도학사적 위상

        정출헌 ( Chung Chul-heon ) 우리한문학회 2021 漢文學報 Vol.45 No.-

        유교를 국시로 내걸고 건국된 조선사회를 이해하는 키워드 가운데 하나는 일 터다 조선 초기 道學. 지식계층들은 고려후기에 전래된 신유학을 지배 이데올로기로 삼아 사회 전반에 걸쳐 유교문명으로의 전환을 모색해갔다. 그런 과정에서 학술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인물 가운데 하나로 점필재 김종직을 꼽을 수 있다. 세조대에 출사하여 성종 말년까지 활동했던 그의 행적 가운데 가장 주목할 만한 대목은 성리학적 학문세계를 부친 김숙자로부터 배워서 김굉필ㆍ이심원ㆍ남효온과 같은 제자들에게 전수했다는 사실이다. 그리하여 김종직은 젊은 제자들로부터 생전에는 ‘마음을 바르게 하는 학문[正心之學]’으로 자신을 이끌어준 스승으로 존중되고, 사후에는 文忠이란 시호를 올려 기려질 정도였다. 실제로 사림정권이 자리를 잡게 된 선조대에 이르게 되면, “정몽주 길재 김숙자 김종직 김굉필 조광조”라는 道統이 정립하게 된다. 하지만 이런 전승에 대해서는 적지 않은 의혹이 제기되기도 하고, 심지어 후대에 재구된 假像의 계보에 불과할 뿐이라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실제로 그 학문의 授受關係에 대한 실상을 면밀하게 따져보지 않은 채, 정설처럼 통용되고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이런 문제제기에 대한 반성적 차원에서 김종직과 그 제자들의 사제관계에 대해 후대인의 부연이나 추앙이 아니라 당대인의 직접적 증언이라든가 김종직 자신의 기록을 통해 그 실상을 객관적으로 드러내보이고자 노력했다. 그리하여 김종직이 성리학을 새로운 학문으로 받아들이고, 거기에서 터득한 바를 후학들에게 힘써 가르쳤으며, 나아가 유교지식인으로서 자세를 가다듬고 실천해가던 역동적인 면모를 확인할 수 있었다. 김종직을 중심으로 한 사제 간의 공감과 갈등, 또는 제자들 간의 분화와 새 길의 모색은 그렇게 해서 가능할 수 있었다. One of the keywords to understand Joseon, which claimed to be a Confucian state, is Taois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tellectuals sought a transition to Confucian civilization by using the new Confucianism introduced in the late Goryeo Dynasty as a dominant ideology. Kim Jong-jik occupy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process. The most important activity for him, who began to serve in the reign of King Sejo until the end of King Seongjong, is the fact that he taught many disciples about studying abroad. They are disciples such as Kim Goeng-pil, Lee Shim-won, and Nam Hyo-on. Thus, Kim Jong-jik was respected by his young disciples as a teacher who led him to “disciplinary learning that makes his mind right.” Thus, it is said to be one of the members of the line “Jung Mong-ju→Giljae→Kim Sook-ja→Kim Jong-jik→Kim Goeng-pil→Jo Gwang-jo.” However, suspicions are raised about this genealogy. In fact, there is also criticism that it did not closely examine the reality of the academic transmission process.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in detail the priest-teacher relationship between Kim Jong-jik and his disciples in a reflective dimension to this criticism. In particular, he tried to objectively reveal the reality through the testimony of the person of the time and Kim Jong-jik’s own records. As a result, Kim Jong-jik accepted new study as a new study, and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specific aspect of teaching younger students.

      • KCI등재

        점필재 김종직의 政敎와 講學의 서정 -함양군수 시기를 중심으로-

        ( Gyung Ju Jung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3 남명학연구 Vol.39 No.-

        점필재 김종직은 조선초기 사림의 종사이다. 그가 조선조 도학의 선구자로 일컬어지는 것은 그 자신이 문학과 학문에 있어서 탁월한 성취를 보여주었을 뿐만 아니라, 지방 행정을 통하여 인륜 도덕을 숭상하는 사회 기풍을 일으키는 모범적인 사례를 보여주었고, 그 문하에 도학의 이념을 실천하는데 앞장선 훌륭한 후학들을 양성해내었기 때문이다. 점필재의 도학 이념에 입각한 정치 교화와 교육의 실천 모범은 그가 지방관으로 근무하였던 10년 동안에 가장 잘 나타난다. 이런 관점에서 이 글에서는 점필재가 함양군수로 봉직하였던 5년 동안의 시문 가운데 정사를 임하는 태도와, 풍교의 대책과 강학 및 유상의 정서를 추적하여, 점필재의 평소 학문 사상과 정치 교육의 성과가 조선전기 도학의 선구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점필재는 함양군수로 부임하면서부터 수시로 관내를 순시하면서 지역의 역사와 물산, 홍수의 재해, 조세와 부역 등, 民生에 대한 깊은 관심과 애정을 보여주었고, 함양읍성 나각을 보수하고 다원을 경영하는 등 조선초기 지방관원으로서 그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울 만큼 고을 주민의 편익을 위한 적극적인 대책을 강구하여 시행하였다. 그는 또한 향교를 보수하고 향교를 중심으로 향음 향사 양로의 의식을 거행하여 인륜 도덕으로 풍속을 순화한다는 風敎의 실현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한편으로 많은 문생들을 받아들이고, 그 문생들과 고을 주변의 산천을 다니면서 수시로 학문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도학과 심학의 단서를 열어주었다. 점필재는 함양군에서 시행한 시정과 풍교 강학의 규범은 이 시대 학자들에게 도학 정치 실현의 한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그의 문하에서 배출된 인재들은 조정의 관료나 재야의 문인 학자로서 그의 모범과 신념을 널리 확산함으로써 한 시대의 새로운 조류를 형성하였다. 그런 점에서 함양은 점필재 김종직의 학문 사상과 경륜이 구체적인 모습으로 드러나 조선조 도학의 본류를 형성하는 전환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Jeompiljae(占畢齋) Kim-Jongjik(金宗直) was the best pioneering practical confucian scholar, and he was famous for outstanding literature and excellent poet in early Joseon Dynasty. About his academic and literary achievements, a lot of papers had been submitted. In this article, from a slightly different perspective, I summarized the achievement of Jeompiljae in three viewpoint, such as one of the provincial administrators, and as one of the excellent educators, and one of the active cultural planners. Kim-Jongjik was appointed as the Governor of the Hamyang when he was 41 years old. As governor of Hamyang[咸陽郡守], He first closely observed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inhabitants, and he tried to grasp the reality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ion, and he poured his energy to establish measures to prevent droughts and floods. He was trying to fulfill his responsibilities as a bailiff, to eliminate poverty and hunger of the inhabitants. Among these some corrective policy, people like to say Kim-Jongjik``s most successful achievement by two viewpoint. He constructed the long-tiled roofs[羅閣] that protect the castle built with soil. This plan had reduce the burden of heavy corvee of residents for many years. He planted tea trees and made tea-production farms, and that local authorities were responsible of that management for it. It contributed to reducing the burden on local residents of tribute paid. As a provincial administrators, and as a Confucian scholar he had practiced his political beliefs, and faithfully performed his responsibilities. One of the important achievement of Jeompiljae was to educate people through edification. He had a deep interest in to foster people of the high grade in moral character. So he had been put a lot of effort in to educate the students and to construct schools. As the result of these efforts, in according to his teachings some students had been passed the test for selection of the management. They were selected as the ruler of the dynasty, and more students gathered to ask him to find the correct way for true Confucian. Due to these efforts, some great moralist teachers such as Kim-Koengpil(金宏弼) Jeong-Yeochang(鄭汝昌) who was the good example to the Confucian students of the Joseon, had been appeared here. Because of these several reasons, we can say that was the most vigorous rewarding time of the Kim-Jongjik’s life.

      • KCI등재

        김종직 경학사상의 성리학적 경향과 경세론

        엄연석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6 泰東古典硏究 Vol.37 No.-

        본 논문에서는 『소학』을 통한 유학의 도덕적 실천적 측면을 강조했던 김종직이 이를 실천하기 위하여 성리학적 측면에서의 경학사상적 근거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그의 경학사상에 기초한 경세론이 어떻게 일관성 있게 관철되고 있는가 하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 가운데 특히 김종직의 경학사상에 성리학적 요소와 실천 유학적 요소가 어떻게 중첩되어 있는가 하는 점에 유의하고자 하였다. 김종직의 성리학을 중심으로 하는 경학적 태도는 성리학의 중심 개념으로 태극과 리를 강조하거나, 우주론적 변화법칙을 포함하고 있는 『주역』에 주목하거나, 본성과 마음의 수양을 중시하는 부분에서 드러나고 있다. 그는 인심이 유희와 온갖 감각적인 욕망에 이끌리는 것을 경계하면서 공자가 말한 시청언동의 사물(四勿)과 맹자의 마음을 보존함, 방기한 마음을 찾음[求放心]을 수양의 기준으로 강조하면서, 경(敬)과 존양성찰(存養省察)을 중심으로 하는 성리학적 수양을 강조하였다. 김종직에 있어서 『소학』은 성리학에서 중시하는 마음의 본원을 함양하는 기본서로서의 의미가 강조되면서도, 실천을 위한 규범적 표준 제시와 함께 오륜의 국가 사회적 실현을 목표로 하는 저술이라는 의미가 있다. 그의 경학적 인식에는 마음의 함양을 중심으로 하는 성리학의 수양론적 색채가 짙게 포함되어 있다. 이렇게 볼 때, 김종직의 학문은 유가 경전과 성리학적 경학에 근거를 두고 있으면서도, 이를 『소학』을 중심으로 하는 도덕적 실천과 정치적 교화를 목표로 하는 경세론을 일관된 체계로 이루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essay tries to examine how Kim, Jongjik[金宗直] who emphasized moral practice of Confucianism through the Elementary Learning[小學] concretely suggested the basis of Neo-Confucianism for the study of Chinese classics for the purpose of practice of it. Further aim of this essay is to propose how administration theory based on his study of Confucian classics is composed with consistency. Among these critical minds especially writer gives attention to the fact how Neo-Confucian factor and practical Confucian element are duplicated in Kim, Jongjik's thought of the study of Chinese classics. On the Kim, Jongjik's attitude of the study of Chinese classics oriented Neo-Confucianism, emphasis of the Great Ultimate[太極] as the core concept of Neo-Confucianism, understanding of the Book of Changes[周易], and valuation of the cultivation of human nature and mind is contained. While alerting that one is tempted to sensuous desire, he emphasized Neo-Confucian cultivation focused reverence and self-cultivation and reflective consciousness[存養省察] underlining Confucius' four prohibition of seeing, hearing, speaking, and behavior, mind conservation[存心] and seeking for the lost mind of Mencius as standard of self-discipline. In case of Kim, Jongjik, the Elementary Learning has the meaning as the basis book through which one cultivates the origin of mind. And it is the work which aims at national social realization of Five Relationships[五倫] in Confucianism alongside suggestion of normative standard for practice. In brief, Kim, Jongjik's thought of the study of Chinese classics be richly tinged with the self-cultivational color of Neo-Confucianism oriented cultivation of mind. Whereas in the administration theory he suggested appointment of wise and competent people, acquisition and edification of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together with loyalty and sincerity, communication between sovereign and subject through remonstrance, and strict monitoring of local political affairs etc. as Confucian standard for ideal governance. Look at it this way, on the one hand Kim, Jongjik's study is founded on Confucian scriptures and the Neo-Confucian study of Chinese classics, on the other his learning is that moral practice centered the Elementary Learning and administration theory for political enlightenment constitute the consistent system.

      • KCI등재

        점필재 김종직의 政敎와 講學의 서정-함양군수 시기를 중심으로-

        정경주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3 남명학연구 Vol.39 No.-

        Jeompiljae(佔畢齋) Kim-Jongjik(金宗直) was the best pioneering practical confucian scholar, and he was famous for outstanding literature and excellent poet in early Joseon Dynasty. About his academic and literary achievements, a lot of papers had been submitted. In this article, from a slightly different perspective, I summarized the achievement of Jeompiljae in three viewpoint, such as one of the provincial administrators, and as one of the excellent educators, and one of the active cultural planners. Kim-Jongjik was appointed as the Governor of the Hamyang when he was 41 years old. As governor of Hamyang[咸陽郡守], He first closely observed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inhabitants, and he tried to grasp the reality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ion, and he poured his energy to establish measures to prevent droughts and floods. He was trying to fulfill his responsibilities as a bailiff, to eliminate poverty and hunger of the inhabitants. Among these some corrective policy, people like to say Kim-Jongjik's most successful achievement by two viewpoint. He constructed the long-tiled roofs[羅閣] that protect the castle built with soil. This plan had reduce the burden of heavy corvee of residents for many years. He planted tea trees and made ​​tea-production farms, and that local authorities were responsible of that management for it. It contributed to reducing the burden on local residents of tribute paid. As a provincial administrators, and as a Confucian scholar he had practiced his political beliefs, and faithfully performed his responsibilities. One of the important achievement of Jeompiljae was to educate people through edification. He had a deep interest in to foster people of the high grade in moral character. So he had been put a lot of effort in to educate the students and to construct schools. As the result of these efforts, in according to his teachings some students had been passed the test for selection of the management. They were selected as the ruler of the dynasty, and more students gathered to ask him to find the correct way for true Confucian. Due to these efforts, some great moralist teachers such as Kim-Koengpil(金宏弼) Jeong-Yeochang(鄭汝昌) who was the good example to the Confucian students of the Joseon, had been appeared here. Because of these several reasons, we can say that was the most vigorous rewarding time of the Kim-Jongjik’s life. 점필재 김종직은 조선초기 사림의 종사이다. 그가 조선조 도학의 선구자로 일컬어지는 것은 그 자신이 문학과 학문에 있어서 탁월한 성취를 보여주었을 뿐만 아니라, 지방 행정을 통하여 인륜 도덕을 숭상하는 사회 기풍을 일으키는 모범적인 사례를 보여주었고, 그 문하에 도학의 이념을 실천하는데 앞장선 훌륭한 후학들을 양성해내었기 때문이다. 점필재의 도학 이념에 입각한 정치 교화와 교육의 실천 모범은 그가 지방관으로 근무하였던 10년 동안에 가장 잘 나타난다. 이런 관점에서 이 글에서는 점필재가 함양군수로 봉직하였던 5년 동안의 시문 가운데 정사를 임하는 태도와, 풍교의 대책과 강학 및 유상의 정서를 추적하여, 점필재의 평소 학문 사상과 정치 교육의 성과가 조선전기 도학의 선구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점필재는 함양군수로 부임하면서부터 수시로 관내를 순시하면서 지역의 역사와 물산, 홍수의 재해, 조세와 부역 등, 民生에 대한 깊은 관심과 애정을 보여주었고, 함양읍성 나각을 보수하고 다원을 경영하는 등 조선초기 지방관원으로서 그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울 만큼 고을 주민의 편익을 위한 적극적인 대책을 강구하여 시행하였다. 그는 또한 향교를 보수하고 향교를 중심으로 향음 향사 양로의 의식을 거행하여 인륜 도덕으로 풍속을 순화한다는 風敎의 실현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한편으로 많은 문생들을 받아들이고, 그 문생들과 고을 주변의 산천을 다니면서 수시로 학문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도학과 심학의 단서를 열어주었다. 점필재는 함양군에서 시행한 시정과 풍교 강학의 규범은 이 시대 학자들에게 도학 정치 실현의 한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그의 문하에서 배출된 인재들은 조정의 관료나 재야의 문인 학자로서 그의 모범과 신념을 널리 확산함으로써 한 시대의 새로운 조류를 형성하였다. 그런 점에서 함양은 점필재 김종직의 학문 사상과 경륜이 구체적인 모습으로 드러나 조선조 도학의 본류를 형성하는 전환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예림서원의 건립 중수와 김종직 추숭 활동

        장동표(Jang Dong-Pyo) 부산경남사학회 2007 역사와 경계 Vol.64 No.-

        The movement for worship such as a movement for a political vindication and a Confucian shrine with the establishment of a legitimate genealogy of moral philosophy in the period of the Choseon Dynasty was important to a group of scholars out of office. They failed to take political authority but tried to secure a ideological orthodoxy. It was Jeompiljae Kim Jongjik(?畢齋 金宗直)(1431-1492) who occupied a important position in this movement. Scholars out of office regarded the movement for worship of Kim Jongjik(金宗直) as the most important matter in the establishment of ideological orthodoxy. The subject of the movement for worship was a power of scholars out of office. Their works included a political vindication, a discussion on Confucian shrine, and a grant of a posthumous epithet and official post, on national level, and a building and repairing of a memorial hall for Kim Jongjik, on local level. They mainly worked on provincial level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Kim Jongjik's thought and a original genealogy of moral philosophy. The building and repairing of Yerim Memorial Hall(禮林書院) began for worship of Kim Jongjik. But, the establishment of it also had a political significance to provincial noble family. They established a memorial hall to lay the their foundation, when their politic activities for moral philosophy and social activities for the spread of Hyangyak(鄕約) in the country failed by ‘a massacre of scholars in year of Gimyo’(己卯士禍) under the rule of King Jungjong(中宗).

      • KCI등재

        점필재 김종직의 다원 조성 배경 -경남 함양을 중심으로-

        이은정(李恩貞)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0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3 No.-

        본 연구에서는 조선 초기 사림의 종장이자 차인이었던 점필재 김종직(佔畢齋 金宗直, 1431-1492)의 다원 조성 배경에 관해 일명 ‘함양다원(咸陽茶園)’으로 불리는 관영 차밭 조성지와 학사루(學士樓)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김종직 차문화 공간 형성의 배경을 조명해 보고, 그 중에서도 차세(茶稅)의 문제가 중시되었기 때문에 김종직의 관영다원(官營茶園) 조성이 가능했음을 밝혔다. 김종직은 함양의 목민관으로서 그의 애민정신은 모든 정치인들의 귀감이 된다. 특히, 그 정신이 담겨 있는 관영 차밭의 조성은 한국 차문화사에서 독특한 일이다. 김종직이 관영 차밭을 만들게 된 계기는 과도한 차 세금에 있었다. 영국의 미국에 대한 차세문제가 미국 독립운동을 자초하기까지 했던 만큼, 차세의 문제는 세계사적인 문제이기도 하다. 또한 함양의 학사루(學士樓)는 김종직에게도 큰 의미가 있는 곳이다. 무오사화(戊午士禍)의 발단이 된 유자광(柳子光)과의 악연이 이 학사루에서 맺어졌다. 학사루는 당시 존경의 대상이던 최치원의 공간이요, 관영(官營) 누각이라는 점 등에서 찻자리가 더 적합한 곳이었을 것이다. 추후 김종직과 관련된 차인들의 공간에 대해서도 조명할 기회를 갖고자 한다. The study was examined the space for tea culture of Jumpiljae Kim, Jongjik (佔畢齋金宗直, 1431-1492) who was a master of Sarim and a tea master in the early of Joseon Dynasty, focusing on the state-owned tea plantation, socalled ‘Hamyang Dawon (咸陽茶園)’, and the Pavillion of Haksaroo (學士樓). To this end, it was shed light on the background of Kim Jongjik’s space for tea culture, and identified that it was possible to create his state-owned Dawon (官營茶園) because the problem of tea tax was important among them. Kim Jong-jik’s Aemin spirit (love of the people)as a governor of Hamyang becomes an example to all the politicians. In particular, the state-owned tea plantation with his spirit was very unique in Krean tea culture history. The reason why Kim Jong-jik created state-owned tea plantation was due to excessive tea tax. As Britain’s tea tax issue on the U.S caused of American independence, tea tax was also a matter of world history. In addtion, Haksaroo in Hamyang has a significance for Kim Jongjik. The ill fated relationship with Yoo Jagwang, which became a root of Korean Literti Purges (Muo Sahwa), started at this Haksaroo. Haksaroo was the space for Choi Chiwon who was respected at the time, and it would have been a more suitable tea place as a state-owned pavilion. There will be further chances to shed light on the space for the tea masters related with Kim Jongjik.

      • KCI등재

        퇴계 이황의 한시작품 개고와 그 의미 - 「次韻具景瑞金秀卿所和權景受六十絶幷景瑞五律趙士敬見示」를중심으로 -

        정석태 영남퇴계학연구원 2016 퇴계학논집 Vol.- No.19

        Over the course of his life, Toegye Lee Hwang rewrote his Sino-Korean poems multiple times. This is the reason why for many of his Sino-Korean poems, two or three different versions can be found. While most of his rewriting involved merely changing one or two characters, some poems were heavily revised or edited over time. One of his works that went through extensive rewriting is his poem entitled 次韻具景瑞金秀卿所和權景受六十絶幷景瑞五律趙 士敬見示. For this work, a total of four versions can be identified— the version presumed to be the original and three rewritings of the first version. Lee Hwang rewrote 次韻具景瑞金秀卿所和權景受六十絶幷景瑞五律 趙士敬見示, a serial poem consisting of 60 seven-character verses and 5 seven-character rhyme poems, into two new poems under two separate titles: 早春閒居次趙士敬具景瑞金舜擧權景受相唱酬韻十 四首. These separate titles consists of 14 seven-character verses that review the history of Dohak (a Confucian school of thought) in China and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a seven-character rhyme poem, Yutan (有嘆), where the poet declares his commitment to preserving and furthering the discipline. These two poems reflect Lee Hwang’s deepening and more matured understanding of Dohak, which had taken place since he began writing the original poem. Moreover, he also revised the end notes of 早春閒居次趙士敬 具景瑞金舜擧權景受相唱酬韻十四首, and thus turned it into an academic work where the author expresses his opinions on Dohak. After being rewritten into an academic treatise, 早春閒居次趙士敬 具景瑞金舜擧權景受相唱酬韻十四首 was rewritten several times over. Of the poems comprising 早春閒居次趙士敬具景瑞金舜擧權景受 相唱酬韻十四首, the 12th poem about Jeompiljae Kim Jong-jik has been completely rewritten at least twice. The three versions in existence today reflect a downward shift in Lee Hwang’s understanding of Kim Jongjik’s position, from a scholar to a writer, than to a mere follower. This shift definitely reflects the fact that Lee Hwang’s opinion about Kim Jongjik changed as his understanding of Dohak became deeper and more mature. On the other hand, the shift is a result of Lee Hwang’s efforts to adjust his opinion according to the atmosphere of the political and academic circles at the time: scholars were trying to put Kim Jongjik under a negative light and reduce his role in the advancement of Dohak, on account of their conflict with Hanhwondang Kim Goengpil, one of his disciples. Therefore, the rewritten poems express Lee Hwang’s newly adjusted—or negatively revised—opinion about Kim Jongjik during his last years. 퇴계(退溪) 이황(李滉)은 한 평생 자신이 지은 시문(詩文) 원고를 계속해서 개고하였다. 그 결과 특히 한시작품(漢詩作品)에서 서로 차이를 보이는 두세 종의 원고를 상정할 수 있는 예가 많이 발견된다. 대부분은자구 한두 글자를 수정한 것이지만, 어떤 것은 시간적 간격을 두고 작품전체를 대폭 수정하거나 산절(刪節)한 예, 다시 말하면 개고한 경우도 더러 발견된다. 그중 최초 원고로 추정되는 원고 1종에 중간에 개고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원고 3종을 포함해서 4종의 원고를 상정해볼 수있는 「次韻具景瑞金秀卿所和權景受六十絶幷景瑞五律趙士敬見示」라는 작품도 있다. 이 글에서는 그 작품을 가지고 퇴계 이황의 한시작품 개고과정을 추적해보고, 개고사유와 그 의미에 대해서 논의해보았다. 퇴계 이황은 먼저 칠언절구 60수와 칠언율시 5수의 연작시 「次韻具景 瑞金秀卿所和權景受六十絶幷景瑞五律趙士敬見示」라는 하나의 작품을 산절해서, 중국과 우리나라 도학 역사의 논평이라는 일관된 주제가 선명하게 드러나는 칠언절구 14수의 「早春閒居次趙士敬具景瑞金舜擧權景受相 唱酬韻十四首」와 도학의 계승 발전에 대한 자임과 결단에의 각오를 표명한 칠언율시 1수의 「有嘆」의 독립된 2제(題) 2편(篇)의 새로운 작품으로만들어놓았다. 자신의 도학 이해의 심화 및 성숙에 맞추어 이미 지어놓은 작품을 새롭게 개고한 것이다. 퇴계 이황은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 早春閒居次趙士敬具景瑞金舜擧權景受相唱酬韻十四首」를 작품 본문(本文) 뿐만 아니라 편말주(篇末註)까지 고르게 수정 보완하는 과정을 거쳐 도학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피력한 하나의 학술적인 저작(著作)으로 만들어놓았다. 특히 「早春閒居次趙士敬具景瑞金舜擧權景受相唱酬韻十四首」는 개고과정을 거쳐 하나의 학술적인 저작이 되었기 때문에 퇴계 이황은 그것을계속해서 수정 보완하였다. 그중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 관련 제12수는 적어도 2차례 이상 작품 전체를 고치는 개고과정을 거쳤고, 그에 따라 현재 본문 전체가 달라진 3종의 원고, 점필재 김종직에 대한 논평의 초점이 ‘학자(學者)→문장가(文章家)→문하인물(門下人物)’로 옮겨지면서 본문 전체가 개고된, 그래서 점필재 김종직의 위상이 점차 축소 또는 조정된 3종의 원고가 존재한다. 이것은 퇴계 이황 자신의 도학 이해의 심화 및 성숙에 따른 점필재 김종직에 대한 생각 또는 평가가 달라진측면 외에도 이른바 도학의 시대가 열리면서 도학의 입장에서, 제자 한훤당 김굉필과 관련해서 점필재 김종직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려는, 다시말하면 점필재 김종직을 학자가 아닌 문장가로 평가해서 우리나라 도학의 역사에서 그 위상을 대폭 축소시키려는 정치․사상계의 움직임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서 점필재 김종직에 대한 기존의 자신의 생각을 적정하게축소 조정한 결과의 산물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점필재 김종직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적정하게 축소 조정한 것에 따른 점필재 김종직에 대한새로운 논평을, 점필재 김종직의 평가에 대한 자신의 만년정론(晩年定論) 을 자신이 이미 지어놓은 한시작품을 개고해서 담아둔 것이라고 할 수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