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HP(계층화분석기법)을 적용한 소비자 관점의 K-POP 엔터테인먼트 기업 ESG 활동 우선순위 분석

        장유진,임성준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23 문화예술경영학연구 Vol.16 No.1

        K-POP 엔터테인먼트 기업들이 ESG 경영 도입 단계에 들어섬에 따라 기업 특성에 맞는 구체적인 ESG 활동에 관한 심층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K-POP 엔터테인먼트 기업 ESG 활동의 중요도와 우선 순위를 도출하고자 기업의 주요 이해관계자인 소비자를 대상으로 AHP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K-POP 엔터 테인먼트 기업의 ESG 활동 중 사회(S) 활동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K-POP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ESG 활동 방향이 환경(E) 부문으로 치우쳐져 있는 현 상황과 대비된다. 각 세부 활동을 살펴보면 환경 부문에서는 ‘친환경 가치확산’의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다른 산업과 달리 화제성과 영향력이 큰 엔터테인먼트 산 업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또한 사회 부문은 ‘소속 아티스트’의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아티스트 인권침해, 불공정 계약 등 K-POP 엔터테인먼트 기업들의 비윤리적인 행태가 언론 등을 통해 알려지면서 소비자들 이 이에 대한 윤리적 책임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배구조(G) 부문에서는 ‘윤리경영’과 관 련된 활동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중에게 미치는 영향이 큰 산업인 만큼 청렴과 투명성이 중요하게 작 용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연구는 K-POP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ESG 활동을 세부적으로 제시하고, K-POP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ESG 활동 우선순위가 타 산업과 상이하다는 점을 포착하였다는 측면에서 학술적 의의 를 지닌다. 또한 K-POP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ESG 경영 도입에 있어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 에서 실무적 의의를 지닌다. As K-POP entertainment companies began ESG management, there is a need for in-depth research on specific ESG activities that fit each company's characteristics. Accordingly, this study conducted an AHP analysis on consumers who are major stakeholders of the company to derive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ESG activities of K-POP entertainment companies. Results suggest that social (S) activities are the most important, in contrast to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K-POP entertainment companies focus their effort to environmental (E) activities. In the environmental sector, 'spreading eco-friendly values'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activiti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tertainment industry, which is popular and influential unlike other industry. In the social sector, ‘affiliated artists’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This can be seen as consumers demanding ethical responsibility for the unethical behavior of K-POP entertainment companies, such as artist human rights violations and unfair contracts, as they are known through the media. Finally, in the governance sector, activities related to ‘ethical management’ were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This study could be academically meaningful in that it specifically examined the ESG activities of K-POP entertainment companies and found that the priorities of ESG activities in the K-POP entertainment industry are different from other industries. This study could also provide practical guidelines for the K-POP entertainment companies when performing ESG management.

      • KCI등재

        K-POP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K-POP 고등교육기관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장보미,서근영 한국예술교육학회 2023 예술교육연구 Vol.21 No.3

        Along with the growth of K-pop, various talents in the K-pop industry are required, but the em- ployment rate of K-pop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charge of K-pop education is low. Experts analyzed the problem of the K-pop curriculum in depth, believing that the low employment rate was the result of a K-pop curriculum that did not match the talent image in the K-pop industry. In addi- tion, a more realistic curriculum was proposed to increase the employment rate of K-pop higher ed- ucation institutions. In order to find out the curriculum problems of K-pop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e K-pop in- dustry was classified into the recording music industry, live music industry, social networking in- dustry, and K-pop education industry. The necessary job skills derived from each K-pop industry were divided into album planning, performance planning, entertainment planning, education, and job preparation, and the current curriculum of K-pop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was analyzed to draw problems. In addition, it presented a K-pop curriculum based on the necessary job skills derived for each K-pop industry so that they can be trained as human resources in the K-pop industry. Since the K-pop curriculum was presented based on the talent required by the current K-pop in- dustry,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material will be used as a key data for fostering K-pop talent responsible for the future of the K-pop industry.

      • KCI우수등재

        K-POP 영상물은 방한의도에 영향을 미칠까? - AIDA 모델을 중심으로 -

        두안 페이린,김성민,이훈 한국관광학회 2020 관광학연구 Vol.44 No.1

        This study explains the psychology of tourists who have the intention to visit Korea through exposures to K-POP video contents. The goal of the study is to explore whether people come to visit Korea after watching K-pop video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AIDA (Attention-Interest-Desire-Action) model was used to explain this process, verifying a prediction model for intention to visit Korea. This study focused on 255 Chinese research subjects by using online questionnaires. Data analysis indicated that attention (frequency watching K-POP videos) had a positive impact on interest (affective involvement and cognitive involvement). It was also found that one interest construct (affective involvemen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subjects’ desire to visit Korea, while another interest construct (cognitive involvement) had a negative impact. In addition, desire (desire to visit Korea)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action (intention to visit Korea). Thus, the relationship between watching K-pop videos and visiting Korea can be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Furthermore, the results can also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 for similar future studies. The practical implications are that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develop more effective and specialized marketing programs for K-POP videos and tourism for the Chinese market. 대부분 한류는 한국관광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특정집단을 설정하여 실증연구를 통해 검증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본 연구는 K-POP 영상물 노출이 방한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광고 영역에서 사용되는 AIDA(Attention-Interest-Desire-Action) 모델을 사용하여, 노출에서부터 소비자의 소비 행동까지의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예측모형을 설정하였다. 검증을 위하여, 연구 대상자는 중국인들 중에 K-POP 영상물을 시청한 경험이 있으며, 한국에 방문한 경험이 없는 사람을 대상으로 연구 수행하였다.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30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유효하지 않은 표본 45부를 제외하고 25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시청빈도는 정서적, 인지적 관여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정서적 관여도와 방한열망 사이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지적 관여도와 방한열망 사이 관계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 영상물의 경우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영상물로 인지적 요인이 강하며, K-POP 영상물의 경우 시청자들의 감성적인 요인이 강하기 때문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방한열망과 방한의도 사이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K-POP 영상물 시청자들은 한국을 방문하려는 의도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AIDA 모형의 전 단계 과정을 검증할 수 있었다. 실무적 시사점으로 중국 시장과 같이 해외에서 K-POP 영상물을 활용한 마케팅과 한류의 확대는 실질적으로 한국관광에 대한 관심과 실질행동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K-pop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한국어 및 한국문화 멀티리터러시 교육: 개념적 토대와 비판적 리터러시 교수학습 모델의 탐색

        김성우,김경채,김모란,김진규,정기인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3 현상과 인식 Vol.47 No.3

        영화와 음악 산업을 필두로 한류의 영향이 커지면서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퍼포먼스를 중심으로 한 ‘보는 음악’으로서의 K-pop 뮤직비디오는 K-pop의 핵심 미디어로 자리잡았다.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육은 문자중심주의에서 탈피하여 K-pop 뮤직비디오 등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언어 중심 교육의 틀 안에서 다층적이고 다면적인 기술-문화 텍스트로서의 뮤직비디오의 잠재력은 발휘되지 못 하고 있으며, 부가적인 도구로 인식되는 경향이 크다. 이에 본 연구는 비판적 멀티리터러시의 관점에서 담론과 문화, 기술과 산업, 예술과 테크놀로지가 복합적으로 작동하는 K-pop 뮤직비디오의 교육적 잠재력을 탐색하고, 기존의 텍스트 중심 교수를 넘어서기 위한 이론적, 실천적 방향을 모색한다. 먼저 멀티리터러시 이론의 문제의식을 분석함으로써, K-pop 뮤직비디오에 기반한 한국어 및 한국문화교육의 목표를 ‘K-pop 뮤직비디오를 향유하고 비판적으로 분석하며 새로운 미디어를 창조하는 과정을 통해 비판적 멀티리터러시 역량을 함양하기’로 정의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개념적 작업으로 다중양식 미디어로서의 K-pop 뮤직비디오 분석 방법론 및 젠더와 문화적 혼종성을 중심으로 한 다층적 문화 텍스트로서의 K-pop 뮤직비디오 분석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러한 이론적 작업 위에 멀티리터러시 교수가 이루어지는 네 단계, 즉 (1) 상황적 실천, (2) 명시적 교수, (3) 비판적 프레이밍, (4) 변형된 실천을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육에 유기적으로 통합함으로써, 다양한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K-pop 뮤직비디오를 교수학습의 핵심 미디어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를 통해 K-pop 뮤직비디오 기반 멀티리터러시 교육이 폭과 깊이를 더하며, 전 세계 한국어 및 한국문화 교수자와 연구자들의 적극적인 협력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As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ve, led by the film and music industry, expands, global interest in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s rising. K-pop music videos, centered on performances and often referred to as ‘the music of the eye,’ have established themselves as a key medium of K-pop.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s shifting away from traditional text-centered literacy pedagogy, utilizing a variety of media, including K-pop music videos. However, within the enduring effect of language-centered education, the potential of music videos as a multi-layered and multifaceted techno-cultural media text yet to be fully realized. Rather, they tend to be perceived more as supplementary materials. To address this issue, this study adopts the perspective of critical multiliteracies, exploring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K-pop music videos, where discourse, culture, technology, industry, art, and technology are intertwined in a complex and dynamic manner. Furthermore it seeks to offer theoretical and pedagogical directions to move beyond conventional text-centered literacy instruction. In alignment with the conceptual underpinnings of multiliteracies, the study defines the goals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based on K-pop music videos as ‘cultivating competencies in critical multiliteracies through the process of enjoying, critically analyzing, and creating new media from K-pop music videos.’ As a conceptual foundation for pedagogical praxis, the study proposes a set of methods for analyzing K-pop music videos as a multimodal text as well as a multi-layered cultural text, drawing on literature on gender and cultural hybridity. On top of these theoretical tasks, the study proposes using K-pop music videos as an integral media repertoire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various sociocultural contexts. This can be achieved by seamlessly integrating the four stages of multiliteracies teaching--(1) situated practice, (2) explicit instruction, (3) critical framing, and (4) transformed practice--into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We hope that this study can play an instrumental role in enhancing the depth and breadth of K-pop music video-based multiliteracies education, as well as fostering collaboration amo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eachers and researchers worldwide.

      • KCI등재

        K-Pop 교육의 질 제고 방안 연구 - 기획사와 K-Pop 고등교육기관의 교육방법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서근영 한국대중음악학회 2022 대중음악 Vol.- No.29

        본 논문은 K-Pop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해 K-Pop 세계화의 주역인 국내 대형기획사의 연습생 교육방법과 K-Pop 고등교육기관에서의 전공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고, 입시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상위 3개 대학의 교과목 과정을 비교․분석함으로써 K-Pop 고등교육과정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한 논문이다. 국내 대형기획사와 K-Pop 고등교육기관의 교육과정 비교․분석은 ‘운영목표’와 ‘교육생의 선발기준 및 방법’, ‘교육내용 및 방법’이라는 3가지 기준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대형기획사와 K-Pop 고등교육기관의 운영 및 교육목표를 살펴봄으로써 두 기관의 교육목표가 본질적으로 다르고, 교육방법에도 차별성을 가져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K-Pop 고등교육기관의 교육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인재상을 재설정하여 교육생의 선발기준과 선발방법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그러나 분석 대상으로 선정한 3개의 K-Pop 고등교육기관의 교과목 분석결과, K-Pop 고등교육기관의 교과목 내용이 국내 기획사의 교육내용과 별반 다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K-Pop 고등교육기관에서 제시하고 있는 K-Pop 산업 속 인재양성이라는 교육목표가 실현되기 위한 현실적, 전문적 교과목이 운영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논자는 K-Pop 고등교육기관의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K-Pop 고등교육기관의 교육의 문제점과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K-Pop 고등교육기관의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해 제시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현재 K-Pop 고등교육기관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육목표가 현실화하기 위해선 K-Pop 고등교육기관에서 추구하는 ‘K-Pop 산업 속 인재양성’이라는 교육목표와 K-Pop 전공생의 진로목표가 일치해야 한다. 이를 위해 K-Pop 고등교육기관의 교육목표와 동일한 목표성을 가진 전공생을 선발하여 교육목표에 부합한 교과목을 편성해야 한다. 이로써 아이돌 가수 데뷔의 목적 외에도 K-Pop 산업현장에서 실제적 역할을 할 수 있는 K-Pop 산업의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이 될 수 있다. 또한, 국내 기획사와의 차별적 교육을 위해 K-Pop 고등교육기관의 교육목표에 부합하는 4가지 K-Pop 산업 내 진출 분야와 각 진출 분야별 역량을 기준으로 교과목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 K-Pop 고등교육기관의 교육방법이 곧 전 세계의 K-Pop 교육의 본보기가 되는 현시점에서 K-Pop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한 논문이다. K-Pop 고등교육 발전에 도움이 되고, K-Pop 교육계에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해본다

      • KCI등재

        K-pop 음악의 글로벌 성공 요인 분석

        이승연,장민호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9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3 No.4

        2012년 Psy의 강남스타일은 K-pop의 세계적인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2018년에서 2019년 사이BTS가 3년 연속 빌보드 1위를 달성하며 글로벌 흥행에 성공했다. 세계 음악 시장에서의 성공은 엄청난경제적 수익과 문화적 파급력을 가져오기 때문에K-pop의 글로벌 흥행은 지속되어야 한다. 그러나 세계 음악 시장에서 K-pop의 성공은 역사가 짧고 일부가수에 제한되어 있어 앞으로도 K-pop의 인기가 지속될 수 있을지는 불확실하다. 본 연구는 K-pop의본질인 음악적 측면의 성공 요인을 분석하여 K-pop 음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방향성을 찾고자 한다. 세계적으로 흥행한 K-pop 음악의 특징을 찾기 위해전 세계인들이 접속하는 공간이자 대중음악의 유행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글로벌 인기를 반영하는 유튜브의 K-pop MV 조회 수 상위 20곡을 연구 대상으로선정했다. K-pop MV 조회 수 상위 20곡의 창작자를조사해 글로벌 흥행에 성공한 K-pop 음악이 어떻게제작되었는지 알아보았다. 조회 수 상위 20곡 모두다수 창작자의 공동 작업에 의해 만들어졌다. 유행의주기가 짧은 아이돌 음악 시장에서 신속하게 완성도높은 곡들을 만들기 위해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함께 음악을 제작하는 체계적인 집단 창작 시스템이 확립되었다. 음악도 상품화되어 공장의 분업과같은 원리를 적용해 완성도 높은 음악을 효율적, 지속적으로 제작하기 위한 방법이다. 글로벌 트렌드를반영하기 위해 해외 프로듀서와 협업한 곡이 많고사운드가 중시되는 댄스 음악에서 작곡가의 역할은사운드까지 총괄하는 프로듀서로 확대되었다. 특정프로듀서와 아티스트가 지속적으로 작업하며 연이은히트곡을 만들었는데 지속적인 관계 속 상호간의 특징과 생각을 파악하여 음악 제작의 효율성과 음악의 진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조회 수 상위 20곡의음악을 분석한 결과, 초국적 장르 융합, 빈번한 영어가사의 사용, 최신 글로벌 트렌드의 반영, 세련된 사운드는 해외 청취자들에게 친숙하면서도 트렌디한음악 스타일로 접근성을 높였다. 곡의 동기가 반복되는 후크송은 한국어를 모르는 청취자에게도 강렬한인상을 남기며 쉽게 따라 부르고 기억되는 음악이되었으며 명확한 콘셉트로 아티스트의 정체성을 확립하였다. 건전하고 참신한 주제는 해외 팬들의 정서적 공감을 이끌어낼 뿐 아니라 한국적 정서도 반영되었다. 현재 K-pop의 세계적 성공은 우연이 아닌국내 음악 제작자들이 해외 진출을 목표로 다양한방법을 시도하며 발전을 거듭한 결과이다. K-pop은음악 스타일이 비슷하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으나다양한 장르가 융합된 실험적 음악, 독특한 콘셉트등으로 경쟁적인 음악 시장에서 새로운 차별점을 만들어내고 있다. 해외 진출을 염두에 두고 제작된 만큼 K-pop은 세계적으로 흥행할 만한 요소들을 지니고 있고 장점을 지속하면서 취약한 부분을 보완한다면 세계 음악 시장에서의 인기를 지속하며 영향력을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Development of the Online Activity Index of K-pop Fans

        Young-Sik Kwak(곽영식),Jae-Won Hong(홍재원),Yoon-Jung Nam(남윤정),Kang-Il Han(한강일),Mi-Hee Kim(김미희),Byeong-Min Na(나병민),Xue Wang,He-Feng Song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6 No.9

        본 연구는 K-pop 팬들의 온라인 활동 내용과 활동의 정도를 실증적으로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먼저 K-pop 아티스트에 대한 팬 애착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온라인 활동들을 탐색하였으며, 나아가 해당 온라인 활동들의 상대적 중요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K-pop팬 온라인 활동지수(KOAI: K-pop fans’ Online Activity Index)를 개발하였고 개별 응답자들의 KOAI를 실증적으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K-pop 팬 온라인 활동지수(KOAI)는 팬클럽 가입 여부, V live+ 유료시청 여부, 아티스트 관련 VOD 시청 여부, 팬클럽에 글을 쓰는 정도, 아티스트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관련 유튜브를 보는 정도 등 K-pop 팬들의 다섯 가지 온라인 활동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K-pop 마케터로 하여금 팬 반응을 얻기 위한 다양한 온라인 활동에 마케팅 자원을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배분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함으로써 마케팅 성과를 높이게 하였다는 데 실무적 의의가 있다. 또한 K-pop 팬들의 온라인 행동을 이해하기 위한 학문적 지식 축적에 기여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measure K-pop fans" content and the extent of online activiti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ers identify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ine activities that determine the intensity of fan attachment toward K-pop artists. Further, the research confirms the relative importance of various meaningful online activities. Consequently, we can develop the K-pop Online Activity Index (KOAI) model and apply it to this index model empirically for each respondent. We found that the model consists of five online activities of K-pop fans: whether joining the fan club or not, whether paying per view V live+ or not, whether watching VODs associated with artists or not, the degree of fan club writing, the degree of watching a lot on YouTube to improve the value of my artists. This study has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allows K-pop marketers to improve their marketing performance by providing content that will enable them to more efficiently and effectively allocate marketing resources to various online activities to get fan responses. It allows accumulating academic knowledge to understand the behavior in the field of online behavior for K-pop fans.

      • KCI등재

        K-pop이 일본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 : 일본 아이돌계를 중심으로

        김동하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1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67

        Japan has been regarded as an essential market for overseas expansion of K-pop. Also, in fact, K-pop idol groups are gaining great popularity, mainly among the younger generations in Japan. As the younger generations(especially girl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the main consumers of the idol industry among Japanese, have become more interested in Korean K-pop idols, which are different from existing Japanese idols. For example like BTS, Blackpink, Twice became famous among Japanese younger generations. As such, K-pop has become a large part of the Korean Wave culture industry targeting Japan. Meanwhile, the popularity of K-pop in Japan has led to a major change in Japanese pop culture, especially Japanese idol culture. First, the popularity of the Japanese members among K-pop idol groups has led Japanese younger generations to become interested in Korean idol. Second, many young Japanese generations have challenged the audition program to become a K-pop idol. Third, Japanese entertainment companies have also actively accept the K-pop success factor and K-pop style performance to their J-pop idol groups. To study these phenomena,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how the popularity of K-pop influenced Japanese idol business based on cultural communication. Therefore, this study is developed as follows. First of all, after looking at cultural communication, which is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research. Second, how did the K-pop group, which possess Japanese member in there group, influenced Japanese idol culture. Third, how did Japanese younger generations challenged K-pop. And the last, figure out what have been changed in J-pop idol companies.

      • KCI등재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K-POP 연구 동향 분석

        이연경,김태종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4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8 No.4

        본 연구는 케이팝 연구 동향에 나타난 주요 키워드와 토픽을 도출하여 향후 대중문화 산업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연구재단의 KCI를 통해 케이팝 관련 논문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케이팝을 주요 주제로 다루고 있는 연구의 시작점 2005년을 기점으로 연구 시작 시점 2024년 2월까지를 분석 기간으로 선정하였으며, 케이팝을 중심 주제로 다루고 있는 551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토픽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 [토픽1] 케이팝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와 적용, [토픽2] 케이팝의 글로벌 확산을 통한 한류 문화 확산, [토픽3] 케이팝 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과 성공 요인 분석, [토픽4] 한류를 통한 케이팝의 글로벌 브랜드 및 이미지 구축, [토픽5] 케이팝 산업에서의 다양한 콘텐츠를 통한 팬덤 문화의 진화 총 5가지 주요 토픽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케이팝 관련 연구의 학술적,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케이팝에 관한 연구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케이팝 연구의 향후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거시적 관점에서 분석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ain keywords and topics in K-pop research trends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the popular culture industry. To achieve this, we analyzed the trends of K-pop-related papers through the Korea Citation Index (KCI)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analysis period was selected from the starting point of 2005, the beginning of research focusing on K-pop, to February 2024, and a topic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on 551 papers centered on K-pop. As a result of the study, five main topics were derived: [Topic 1] the effectiveness and applic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utilizing K-pop, [Topic 2] the spread of Hallyu culture through the global dissemination of K-pop, [Topic 3] strategies for entering the global market and success factors of the K-pop industry, [Topic 4] building global brands and images of K-pop through Hallyu, and [Topic 5] the evolution of fandom culture through various contents in the K-pop industr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e discussed the academic and policy implications of K-pop-related research and suggested future directions for K-pop research by systematically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K-pop. This study is also academically significant in that it conducted an analysis from a macro perspective.

      • KCI등재

        K-POP이 수출에 미치는 영향 : YouTube 조회수와 Google 검색을 중심으로

        이장혁,김가윤,우원석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14 마케팅관리연구 Vol.19 No.4

        최근 들어 K-pop이 전 세계를 향해 뻗어나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K-pop의 확산이 우리나라에 대한 긍정적인 국가 이미지를 형성해 한국산 제품의 구매에 영향을 준다는 가정 하에 K-pop이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모형에서 K-pop의 확산을 보여 주는 변수로 주요 K-pop 스타들의 구글 검색량과 유튜브 조회수를 설정하여 K-pop의 국가 별 확산 정도를 2011, 2012년 측정하였다. 55개 국가를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과 구글 검색량과 유튜브 조회수 모두 우리나라의 수출에 양(+)의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되었고 개발 산업 별로는 자동차, 가전제품과 같은 상대적으로 고가격 내구재보다는 화장품, 의류와 같은 저가격 소비재에서 그 영향이 더 확연함이 확인되었다. 기존 연구에서는 한류 영향을 주로 설문을 바탕으로 소비자 태도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나, 본 연구는 한류의 주요 축인 K-pop 관련 소비자의 관심 행동을 보여 주는 구글 검색량 및 유튜브 동영상 관람수가 구매 행동을 대표하는 수출액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보여 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K-pop has been spreading worldwide. Based on such phenomenon,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K-pop on export under the assumption that spread of K-pop may generate the positive image of Korea and thus may lead to the purchase of product from Korea. In the research model, the volume of Google search and YouTube page view on major K-pop stars in 2011 and 2012 are used as the variable assessing the degree of spread of K-pop in a given country.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55 countries, we confirmed that higher Google search index and YouTube page view provide a positive impact on export. At the industry level, their impact is more salient in industries of relatively low priced consumer package goods such as apparel and cosmetic than in ones of high priced consumer durable goods such as automobile and home appliances. Our main contribution lies on the analysis of K-pop's impact by consumer behavioral data such as search and video watch volumes compared to previous research which focused mainly on the change of attitude by using survey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