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직지원인식이 비숙련 제조업 외국인 근로자의 역할 내·외 성과에 미치는 영향: 외국인 근로자 적응과 상사신뢰의 조절된 매개효과

        손규일 ( Kyu-il Sohn ),윤동열 ( Dong-yeol Yoon ) 국제지역학회 2020 국제지역연구 Vol.24 No.4

        본 연구에서는 조직지원인식이 국내 외국인 근로자의 역할 내 성과와 역할 외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의 관계에서 외국인 근로자 적응의 매개효과, 상사신뢰의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국내 중소제조업체에 근무하고 있는 태국·베트남·캄보디아 외국인 근로자 21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지원인식은 외국인 근로자의 역할 내 성과와 역할 외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지원인식은 외국인 근로자의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외국인 근로자의 적응은 역할 내 성과와 역할 외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외국인 근로자의 적응은 조직지원인식과 역할 내 성과와 역할 외 성과와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다섯째, 외국인 근로자의 상사신뢰는 조직지원인식과 적응의 긍정적인 관계를 강화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상사신뢰 수준이 높아질수록 외국인 근로자의 조직지원인식이 적응을 통해 역할 내 성과와 역할 외 성과를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연구의 한계와 함께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foreign worker adapta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supervisor's trust, and the moderated-mediating effect of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foreign workers' in-role and extra-role performance. To this end, the results of a survey of 212 foreign workers in Thailand, Vietnam, and Cambodia working for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in Korea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role and extra-role performance of foreign workers. Second,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daptation of foreign workers. Third, the adaptation of foreign worker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role and extra-role performance. Fourth, adaptation of foreign worker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in-role performance and extra-role performance. Fifth, it was confirmed that the trust in supervisor of foreign workers reinforce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adaptation. Sixth,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trust in supervisor, the more the foreign worker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can increase in-role performance and extra-role performance through adapta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along with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 KCI등재

        사회지능과 직무수행의 관계에서 직무열의 및 주도적 행동의 매개효과

        지성호(Ji Sung Ho),Lan Lan Kong,강영순(Kang Young Soon)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6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의료서비스 종사자인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사회지능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직무열의와 주도적 행동의 다중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사회지능과 직무수행(역할 내 수행, 역할 외 수행)의 인과관계, 사회지능의 직무열의 및 주도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사회지능과 직무수행(역할 내 수행, 역할 외 수행)의 관계에서 직무열의 및 주도적 행동의 다중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자료는 무작위 표본추출 방법을 통해 부산·울산지역에 소재하는 물리치료사 209명으로부터 획득하였으며, Smart PLS 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사회지능은 직무수행(역할 내 수행, 역할 외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사회지능은 직무에 대한 긍정적 평가인 직무열의 및 주도적 행동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나, 직무에 대한 긍정적 평가 및 자신의 의해 주도되는 변화 행동에 있어 사회지능의 중요성이 규명되었다. 직무열의와 주도적 행동의 다중매개효과는 사회지능과 역할 내 수행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와 주도적 행동이 양자관계를 모두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사회지능과 역할 외 수행의 관계는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회지능이 역할 내 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직무열의와 주도적 행동의 중요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본 연구는 사회지능을 조직행동분야로 확대하여 사회지능 연구범위 확대에 기여하며, 구성원의 직무수행을 촉진하는데 있어 사회지능의 중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This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work engagement and proactive behavior in the relations between social intelligence and job performance toward physical therapists. In detail, we investigate both relations of social intelligence and job performance (in-role task performance, extra-role contextual performance), and of social intelligence and work engagement, and proactive behavior. Furthermor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work engagement and proactive behavior are verified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intelligence and job performance (in-role task performance, extra-role contextual performance). The total data applied in the analysis was collected from 209 physical therapists worked in Ulsan and Pusan, and Smart PLS 3.0 was utiliz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confirmed that social intelligence is a main cause which affects job performance (in-role task performance, extra-role contextual performance). Furthermore, importance of social intelligence was demonstrated, because we were able to found that social intelligence facilitates positive attitude for job and proactive behavior. Work engagement and proactive behavior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 of social intelligence and in-role task performance, whereas not mediated the relations of social intelligence and extra-role contextual performance. This results show the importance of work engagement and proactive performance in the relations of social intelligence and in-role task performance. This study contributes to expand research area in social intelligence and to adapt social intelligence in organizational context.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social intelligence when promoting employee’s job performance.

      • KCI등재
      • KCI등재

        The Effect of Job Crafting on Performance: Mediating Role of Work Engagement

        Pengfei LI,문재승 동아시아경상학회 2022 The East Asian Journal of Business Economics Vol.10 No.3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impact of job crafting on in/extra-role performance in Chinese context. In addition, it intend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eng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and in/extra-role performanc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employees of the companies in Hebei, China, for about two months, from early January 2022 to early March 2022. A total of 30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240 copies were collected (80%), of which 222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Data were analyzed for statistical tests of the measurement model and hypotheses using IBM SPSS Statistics 25 and Amos 25. Result –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job crafting has a direct effect on work engagement. Second, work engagement increased employees' in/extra-role performance.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engagement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and employees' in/extra-role performance. Conclusion – This study expands the job demand-resource model by revealing the effect of job crafting, which changes the job given to oneself, on in/extra-role performance.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work eng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and in/extra-role performance.

      • KCI등재

        리더-구성원의 교환관계(LMX )가 구성원의 혁신행동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지원(Jiwon Park)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8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사회적 교환 이론(social exchange theory)과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이론 (leader-member exchange theory)을 바탕으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의 질이 조직 구성원의 업무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1)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의 질이 구성원의 혁신행동과 역할 내 성과 및 역할 외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2) 구성원의 혁신행동은 개인의 역할 내 성과와 역할 외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3) 마지막으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의 질과 구성원의 역할 내 성과와 역할 외 성과의 사이에서 혁신행동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가설 검증을 위해, 193쌍의 상사-부하직원 설문을 수집하여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의 질은 구성원의 혁신행동과 역할 내 성과 및 역할 외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성원의 혁신행동은 구성원의 역할 내 성과와 역할 외 성과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원의 혁신행동은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의 질과 구성원의 성과 사이에 유의미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의 질과 구성원의 성과와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어 구성원의 혁신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선행연구 결과를 확장하였다. 또한 LMX에 의해 향상된 구성원의 혁신행동이 개인의 역할 내 성과와 역할 외 성과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때, 몇 가지 중요한 실무적인 제안점(LMX를 통한 조직의 혁신적 풍토 조성 방법: 리더-부하직원의 열린 커뮤니케이션, 구성원의 개별적 요구 파악, 정보 접근 권한 등 업무 자원 제공 등)을 가질 수 있다. Drawing on social exchange theory and leader-member exchange (LMX) theory,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positive influences of the quality of the supervisor–subordinate relationship (i.e., LMX) on subordinates’ innovative behavior and in-role and extra-role job performance and the mediator role of innovative behaviors on the relationships of LMX with in-role and extra-role job performance. Data collected from 193 supervisor–subordinate dyads in Korean large companies across various industries indicated that (a) the quality of LMX positively affects subordinates’ innovative behaviors, in-role job performance, and extra-role job performance; (b) subordinates’ innovative behavior also positively affects subordinates’ in-role and extra-role job performance; and (c) subordinates’ innovative behaviors mediate the influence of LMX on subordinates’ in-role and extra-role job performa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 high-quality LMX relationship for performance improvement and innovation for employees. Moreover, given the fact that innovative behaviors were found to be a significant mediator between LMX and performance, it is important for leaders to provide supportive resources (e.g., open communication, access to information, and consideration of the unique needs of employees) that encourage innovative behaviors.

      • KCI등재

        보육교사의 교직인성, 교수효능감, 교직윤리의식, 교사역할수행 간의 구조분석

        김희정,서현아 한국유아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연구 Vol.3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ve influence of teaching profession and teaching efficacy on role performance of child care teachers, and to investigate the role of professional ethics as a mediating variable in interpreting the impact of teaching profession and teaching efficacy on role performance. After conducting a survey of 614 child care teacher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use of SPSS Statistics 23.0 and Amos 23.0 in the following way. First, they were used to identify missing values and outlier in data. Second, they were used to assess univariate and multivariate normality for verifying the uniformity by analyzing the skewness and kurtosis of a given data. Third, they were used to test reliability and validity in order to deter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measurement variables. Fourth, they were used to verify the model of the variables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ifth, they were used to exami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by applying bootstrapping metho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ing profession did not directly affect role performance of teachers, but teaching efficacy and professional ethics in teaching had a direct influence on that. Teaching profession showed a direct influence on professional ethics, but teaching efficacy did not. Second, teaching profess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role performance of teachers through the medium of professional ethics, but teaching efficacy was not carried by professional ethics. Thus, in order to promote the role perform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t is suggested that they should be encouraged to hav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ethical issues in teaching based on the right profession, and it is important to nurture a number of child care teachers having high teaching efficacy.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사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교직인성 및 교수효능감의 상대적 영향력을 밝히고, 교직인성과 교수효능감이 교사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교직윤리의식이 어떠한 매개적 역할을 할 것인가에 대한 구조관계 분석을 위해 수행되었다. 보육교사 6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한 뒤, SPSS Static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첫째, 측정 자료의 점검을 위해 측정변수의 결측치와 이상치를 알아보았다. 둘째, 정규성 검증을 위해 각각의 변수의 왜도와 첨도를 통해 일변량 정규성과 다변량정규성 점검하였다. 셋째, 신뢰도와 타당도를 살펴봄으로써 측정변수의 적절성을 알아보았다. 넷째, 관련된 변인들 간의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다섯째, 부트스트레핑을 이용하여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교직인성은 교사역할수행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교수효능감과 교직윤리의식은 직접 영향을 미쳤다. 교직인성은 교직윤리의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교수효능감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교직인성은 교직윤리의식을 매개로 하여 교사역할수행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교수효능감은 교직윤리의식을 매개하지 않았다. 이는 유아교사의 역할수행 증진을 위해서는 바른 교직인성을 바탕으로 교직윤리의식을 철저히 고취하고 높은 교수효능감을 지닌 보육교사를 많이 양성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권위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역할내 성과에 미치는 영향: 권력거리성향과 리더근접근무시간의 조절효과

        주설,채연주 리더십학회 2022 리더십연구 Vol.13 No.4

        Focusing on recent trends in leadership research,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authoritarian leadership by comparing effects of authoritarian wit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in-role performance. Furtherm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ditions that limit effectiveness of two leadership styles positing power distance orientation and time-with-leader as moderating variables. In particular, although the time-with-leader is not widely known as a critical variable in leadership research, it needs to be discussed in leadership studies considering the reality of less face-to-face contact with leaders due to the telecommuting (eg. working at home). Based on the responses of 224 office workers in China, this study revealed that authoritarian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re positively related to in-role performance. Also, both power distance orientation and time-with-leader have significant positive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oritarian leadership and in-role performance.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oth moderating effects have been rejected.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there are few studies comparing authoritarian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espite advances in leadership research. In addition, it also has a significance in introducing a variable, time-with-leader, which has not been considered as a major variable in leadership research. 본 연구는 권위적 리더십에 대한 최근 연구경향에 주목해, 권위적 리더십과 변혁적리더십의 효과성을 비교하고 그 효과를 제한하는 조건에 대해 살펴본다. 두 리더십과 개인 성과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 즉 조절변수로는 권력거리성향과 리더근접근무시간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리더근접근무시간의 경우 지금까지 리더십연구에서 거의 회자되지 않은 변수이지만, 재택근무의 활성화로 리더와의 대면이 상대적으로 옅어진 현실을고려했을 때 리더십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룰 필요가 있다고 본다. 중국에 근무하는 사무직 224명의 답변을 기반으로 가설을 검증한 결과, 권위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은 역할내 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위적 리더십과 역할내 성과간의 관계에서 권력거리성향과 리더근접근무시간은 모두 정(+)의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변혁적 리더십과 역할내 성과간의 관계에서 권력거리성향과 리더근접근무시간의 조절효과에대한 가설은 모두 기각되었다. 지금까지 리더십 연구가 상당히 진행되어 왔지만, 여러 리더십 스타일을 비교하는 연구모델에서 권위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을 비교하는 연구는많지 않았고, 리더근접근무시간이라는 지금까지 리더십연구에서 주요변수로 간주되지 않은 변수를 도입하여 리더십의 효과성을 살펴보았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는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후보

        학교 내 복지서비스 전문인력의 역할인식과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허숙민(Heo, Suk-min),조한진(Jo, Han-ji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3 No.1

        학교에서 복지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전문인력으로는 학교사회복지사와 지역사회교육전문가가 있다. 그러나 학교에서 그 역할에 있어 차이가 있다고 보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추진인력이 다르고 또 그 사업추진체계가 다름으로 인해 혼란이 야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사회복지사와 지역사회교육전문가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중심으로 이들 전문인력이 각각 인식하고 있는 자신의 역할과 수행하고 있는 역할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이는지 확인하고, 각각의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역할인식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첫째, 학교사회복지사와 지역사회교육전문가 두 집단의 역할인식 정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두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그 역할인식을 공변인으로 하여 역할수행 정도를 검증한 결과, 역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이들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각각 살펴본 결과, 학교사회복지사는 학교현장 자원봉사 경험이, 지역사회교육전문가는 연령, 학교와 가정의 연결에 대한 인식, 학교와 지역사회의 연결에 대한 인식이 각각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roles that school social workers perceived/performed and those that “community experts in education” perceived/performed, as professionals providing welfare services to students in schools, and to examine effects of role perception on role performance. For the purpose, the study made a survey of 66 school social workers and 61 community experts in education at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According to the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ole perception for school social workers and community experts in education. Also, the study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role performance when role perception was included as a covariate. Finally, for school social workers, the effect of the experience of voluntary work at a school on role performa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for community experts in education, age, the perception of the linkage between school and home, and the perception of the linkage between school and communit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role performance.

      • KCI등재

        The Effect of Adhocracy Organizational Culture on In-Role Behavior Performance: The Mediating Role of Learning Motivation

        유민희,김은비,김우철,이용환,조대연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7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2 No.4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ree research variables-adhocracy organizational culture, learning motivation, and in-role behavior performance. Organizational culture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of organizations. In order to build the adhocracy and spontaneous environment of culture in the organization, it is necessary to bring up learning motivation according to the outcomes of the organization. The result implies that adhocracy organizational culture might impact on employees’ motivation to learn to get proper in-role behavior performance. Moreover, the results also demonstrate that learning motivation has a mediating role between adhocracy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role behavior performance. Studies found that organizational in-role behavior performance is improved when employees perform their jobs while in circumstances with learning motivation enacted in the organization. Our findings provide several important implications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 KCI등재

        뿌리기업 진정성리더십이 조직원 역할 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외국인과 내국인의 조절효과 분석

        신승한,박영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6

        The ppuri industry is growing in technical importance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s growing steadily. However, securing skilled workers is hardly realistic, and foreign workers are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for improvement of in-role performance of foreigners and Koreans working in ppuri companies and to find ways to support differentiation through comparison between group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oreigners and Koreans in the ppuri company. Through the survey, 393 valid samples were collected. We us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es, and conducted a survey on the employees of organization with information security policy.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case of foreigners, balanced processing affects in-role performance through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case of Koreans, relational transparency, balanced processing, and internalized moral perspectives affect in-role performance through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 a strategic approach to improve the in-role performance of each group. 뿌리산업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하여 기술적 중요성이 증가하고,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내국인 전문인력 확보가 현실적으로 어려워, 외국인 근로자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뿌리기업에서 근무하는 외국인과 내국인의 역할 내 성과 향상을 위한 조직 몰입 방안을 제시하고, 집단간 비교를 통한 차별화 지원 방안을 찾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뿌리기업의 외국인과 내국인이며, 설문을 통하여 유효샘플 393개를 수집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은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외국인의 경우 균형잡힌 정보처리가 조직몰입을 통해 역할 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국인의 경우 관계적 투명성, 균형잡힌 정보처리과정, 내재화된 도덕적 관점이 조직몰입을 통해 역할 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는 집단별 역할 내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적 접근 방향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