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결혼이주여성의 지역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상옥 ( Park Sangok ),함은혜 ( Ham Eun Hye ),이은영 ( Lee Eun Yo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3

        이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지역공동체의식에 대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역할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거주기간에 따른 지역공동체의식의 향상 정도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참여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살펴보았다. 다문화가족 지원센터 참여에 대한 지표를 ① 센터 프로그램 참여 횟수(얼마나 지속적으로 참여하는가?), ② 참여 프로그램 유형(어떤 프로그램에 참여하는가?), ③ 센터 참여도(얼마나 적극적으로 참여하는가?)로 구분하였으며,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각각이 지역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센터 프로그램에 참여한 횟수가 많을수록 지역공동체의식이 높았으나, 그 영향은 거주기간에 관계없이 일정하였다. 둘째, 참여 프로그램 중 다문화가족 자조모임 프로그램에 참여한 결혼이주여성의 지역공동체의식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그 효과가 거주기간이 짧은 경우에 뚜렷하게 나타났다. 셋째, 센터 참여도가 높을수록 지역공동체의식이 높았으나, 그 영향은 거주기간에 관계없이 일정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서 결혼이주여성의 지역공동체의식 형성을 위해 다문화센터 프로그램 및 활동에 오랫동안,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지원하고 참여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자조모임과 같이 다문화센터가 결혼이주여성의 긍정적인 자아인식을 지원하는 것이 지역공동체의식을 형성하고 한국 사회의 일원으로 정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multicultural centers) could affect marriage immigrant women’s sense of community. We observed the three measures showing how marriage immigrant women participate in multicultural centers - (a) years of participating in program, (b) types of participating program, and (c) engagement in multicultural center activities. A series of regression analyses with interaction terms were conducted an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years of participating in program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marriage immigrant women’s sense of community, but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years of residence and sense of community. Second, marriage immigrant women who participated in ‘multicultural family self-help groups’ showed higher sense of community on average, and also participating in such groups negatively moderated the effect of years of residence on sense of community. Third, marriage immigrant women’s engagement in multicultural centers also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nse of community, but no interac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ears of residence on sense of community was observed. Implications and further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suggested. Findings confirm that it is important to support marriage immigrant women’s continuous and active participation in multicultural center programs and activities and to increase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in order to help them to form a sense of community. In particular, multicultural centers supporting positive self-awarenes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such as self-help groups, can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a sense of community and to these immigrants settling down and living as a member of Korean society.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자본에 관한 연구

        김영경(Yeong Kyeong Kim),이정향(Jung Hyang Lee) 한국지역지리학회 2014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필리핀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자본 특성을 근린지구 수준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연구의 주 대상은 한국의 대도시와 중소도시, 촌락 등에 거주하는 필리핀 출신 결혼이주여성들이며 그들이 주로 참여하는 근린공동 체- 학교, 성당공동체-에서 생산되는 사회자본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여 개인적 특성과 공동체의 특성(결속력, 동질성 등)에 따른 사회자본의 특성에 대해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공동체와 성당공동체에서 이주자의 개인적 특성 가운데 이주사회에서의 거주기간과 사회자본 간 관련성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성당공동체는 거주기간과 사회자본 ‘관계’요소 간 정(+)적인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어 이주 후 기간이 증가할수록 성당공동체에서의 관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공동체에서는 거주기간과 사회자본 ‘신뢰’요소가 부(-)적인 관계를 보이고 있어 거주기간이 길수록 신뢰가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질 성과 결속력, 사회자본의 양에서도 성당공동체가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특히 사회자본 ‘관계’는 공동체의 동질성과 더 밀접하며 ‘규범’은 공동체의 결속력과 밀접하다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두 공동체에서 모두 의사결정과 가치추구 공유 및 규칙 준수 등의 ‘규범’ 요소가 구성원 간의 ‘관계’요소와 유사하며, 만족도와 정서적 도움 및 제도에 대한 구성원들 의 ‘신뢰’가 개인문제를 토론하고 참여하는 ‘정치’와 근접한다는 공통된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연구과정에서 주목되는 것은, 초국가적 행태가 발생하는 회로로서의 성당공동체의 상징성으로, 성당공동체는 필리핀 결혼이주여성들의 고유한 집단적 문화와 개인적 욕구가 사회자본의 생산과 맞물리는 영역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필리 핀 결혼이주여성들의 공동체와 사회자본의 특성에서 이주자로서의 개인적 특성과 함께 필리핀 결혼이주여성이 집단적으로 보유하는 family reunion 등의 사회·문화적 특질이 주는 영향 또한 간과할 수 없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부분은 민족적 정체성을 바탕으로 한 공동체성과 사회자본이 우리 사회와의 상호문화성을 공유하고 실천할 수 있는주요 통로가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으며 나아가 ‘민족 단위의 공동체와 그 사회자본 연구’는 향후 더 다양한 공동체를 대상으로 다층의 공간 스케일로 확장,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o explain social capital characteristics of Filipino immigrant women at the level of neighborhood. This research targeted Filipino immigrant women in the metropolis, small town and rural area in Korea to find out the relevance of individual proper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and social capital of neighboring communities- school community, cathedral community, etc- through measurement of the participants`` recognition. This study reveals that differences exi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ngth of residence and social capital in the school community and the catholic church community.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ength of residence and political factors in the catholic church community, thereby having a better relationship with longerperiod of stay, while length of residence and confidence show a negative trend in the school community, leading to less confidence. The catholic church community holds a dominant position in homogeneity, cohesion, and the amount of social capital. According to the findings, social capital ‘relation’ is more closely related to homogeneityof the community, ‘norms’ to cohesion. ‘Relation and norms’ and ‘confidence and politics’ factors are recognized similarly in both communities, thus resulting in the recognition that decision making within the community, the share of value, and observance of social norms approximate a friendly relationship among members, and satisfaction level, emotional support, and confidence among members approach politics that members can talk about their personal matters. It is noted in the research process that the symbolism of the cathedral community as a transnational circuit behavior occurs where collective culture and personal desires of Filipino immigrant women were combined with production of social capital. Filipino immigrant women``s awareness of community and social capital appearing in the cathedral community show that not only residence, along with the cultural identity of Filipino immigrant women, but also collective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such as ‘family reunion’ can not be overlooked. In particular, at this time when discussion and debate on the interculturalism over multiculturalism is heating up, communal spirit and social capital based on the ethnic identity are important in that they can be a crucial path to the cross-cultural interaction with our society, therefore, a study on the social capital of the ethnic community needs to be encouraged and extended to more diverse communities, to the space of the multilayered scale.

      • KCI등재

        이주자 통합정책 유형과 통합정책 전환에 대한 분석: 스웨덴과 네덜란드의 사례를 중심으로

        유숙란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1 국제지역연구 Vol.20 No.2

        In the context of recent retreats from multiculturalism policies in many EU countries, especially Sweden and the Netherlands, this paper seeks to suggest an immigrant integration typology based upon the relations between the three conceptual communities and the citizenship rights of each community member. On the vertical axis of the typology, there are three different conceptual spaces in the territorial boundary of states: ethnic-cultural community, civic community, and political community. Each community gives its members cultural rights, civic and social rights, and political rights, respectively. On the horizontal axis, the typology has eight ideal types that a state can choose as an immigrant integration policy. They range from the non-policy type to the full inclusion type. This paper shows that the recent policy shift from multiculturalism to new integration policies in Sweden and the Netherlands is a transition from a policy where a state grants immigrants cultural rights as members of the ethnic-cultural community into a policy where a state grants immigrants civil and social rights as members of the civic community. Based on this assessment, the paper argues that a policy that encourages immigrants to belong to their own ethnic-cultural community and a policy that stimulates each individual immigrants to participate in the civic community are not mutually exclusive. Both policies can be simultaneously implemented within the boundaries of a nation state. In that sense, states are still important actors that make and implement national integration policies and grant immigrants partial rights of citizenship. 최근 유럽 지역에서 다문화주의 정책을 실시하였던 국가의 통합정책이 동화주의 정책 혹은 새로운 ‘시민 통합정책’으로 전환하고 있다고 평가되면서, 통합 정책 유형론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통합정책과 정책 전환 과정을 이주자에게 허용하는 권리를 중심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통합정책이 일어나는 공간적 영역을 종족-문화공동체, 시민 공동체, 정치 공동체로 구분하고, 각 공동체별로 구성원에게 허용하는 주요 권리를 문화적 권리, 시민적-사회적 권리, 정치적 권리로 세분하여, 8개의 이념형을 제시하였다. 스웨덴과 네덜란드는 1970~80년대 다문화주의 정책을 채택한 이후, 1990년대 새로운 통합정책으로 정책 전환을 하였는데, 이는 과거 이주자를 집단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인정하고 이들의 집단적 권리를 인정한 정책에서, 이주자 개개인을 시민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포용하고, 이주자 개인에게 시민적-사회적 권리를 부여하는 정책으로 전환한 것임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종족-문화 공동체 영역에서 집단적 권리인 문화적 권리를 인정하는 통합정책과 시민 공동체 영역에서 개인을 대상으로 시민적-사회적 권리를 부여하는 통합정책이 상호 배타적 관계가 아니라 국가라는 틀 안에서 조화롭게 추구될 수 있는 관계임을 밝혀 보았다.

      • KCI등재

        개인기록을 통해 본 일본인 이민농촌의 한 단면: 불이농촌의 야마가타촌(山形村)을 중심으로

        엄지범,소순열 한국농업경제학회 2019 農業經濟硏究 Vol.60 No.3

        Traditionally, Japanese living in colonial Joseon (朝鮮) have often been uniformly recognized as invaders or colonial rulers. This paper focuses on the mixed and multifaceted characteristics of Japanese immigrant in colonial Joseon. Based on the personal records of Yamagata Village, this paper aims to grasp one of such various aspects observed from the village of Unlike the people of Joseon at the time, the Japanese could be resettled at immigrants’ farm villages build on reclaimed land aided by various supports and benefits. In particular, the Japanese immigrants who moved to Yamagata Village were a good example of such resettlement, and the frontier spirit in Fuji Farm Community. The Japanese immigrants kept their communal management based on education and cooperative spirit relatively for a long period of time compared to other communities. No one left the village even when low-interest loan problems caused conflicts betwee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banks and industrial associations with the crisis of Fuji Farm Community. In addition, the underdrainage method imitated by the industrial association brought great improvement to the rural community by increasing rice harvest. Many things worked dynamically within the colonial policy and Japanese banks, cooperatives, immigrants and their cooperative, and within the immigrant community. In this process, Japanese immigratns alternately showed adaptability and resistance, compromises and discord, confrontations and conflicts, or bargain and cooperation. Nevertheless, Japanese who immigrated to Fuji Farm Community built their own sphere apart from the local Korean community. Under the colonial rule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Japanese immigrants and Koreans was extremely limited to the utilization of services and labor required for living. This restricted interaction was based on the Japanese immigrants’ sense of superiority and non-introspective attitude toward Koreans.

      • KCI등재

        20세기 서울 지역 도시공동체의 특징과 변모 양상

        정형호(Jung Hyung ho) 실천민속학회 2011 실천민속학연구 Vol.17 No.-

        이 글은 20c 급격한 도시화 과정 속에서 서울 지역 공동체의 존재와 그 변모 양상을 규명하고 있다. 우선 인간이 왜 공동체를 지향하는가를 따져보고, 이어 서울에서 공간의 변화에 따른 지연공동체의 약화 및 해체 과정을 접근했다. 따라서 일부 지연공동체의 잔존 양상, 이주민의 대응방식과 역할, 그리고 지역별 소공동체로의 분화 현상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서울은 20c 초반만 하더라도 한강변과 일부 외곽 지역을 중심으로 200~300호의 마을을 형성하면서 생업과 동제를 중심으로 느슨한 지연공동체가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일제의 공간 분화 정책, 그리고 분단과 전쟁, 새로운 주거 공간 형성, 각종 재개발 등에 따라 급격한 변화 양상을 보인다. 이로 인해 토박이의 영향력 약화에 따라 선주민과 이주민들의 상호 관계, 이주민들의 지역 사회에 대한 대응 방식은 지연공동체에 중요하게 작용된다. 이주민들은 선주민의 개방성 여부, 생업과 토박이와의 친밀성, 지역 영향력 확대 방식에 따라서 다양하게 대응한다. 일부는 이들이 지역사회에 적극 편입하여 지역 행사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경우도 나타난다. 제한적이지만 아직도 지역사회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동제이다. 동제는 오랜 전통을 지닌 신앙공동체의 핵심으로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약화되었지만, 여전히 지역적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 향우회는 지방 출신 향우회와 서울 내 타지 전출자 중심의 향우회로 다시 세분화된다. 이것은 동창회 및 친목회와 관련을 지니면서, 일부 정치적 성격도 지닌다. 노인회는 노인정이란 공간을 중심으로 여가공동체로서 자체 결속력을 지니며, 현재 식사공동체의 형태로도 나타난다. 한편 계는 사적인 돈계를 제외한 마을 계는 거의 약화되었으나, 아직도 일부 장례, 혼인 중심의 계가 잔존한다. 근래 서울의 공동체 양상은 자체 결속과 자율의 양면성 속에 호혜적 유대감에 의해 좌우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점차 지연보다는 상호 이해관계에 따라 소공동체 중심으로 재편되어 가고 있다. 이제는 각종 보존회, 향우회, 계, 노인회, 관제 조직, 취미와 체육 중심 친목회, 상가 상인회, 아파트 조직, 각종 동창회 등 다양하게 분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런 소규모 공동체는 도시 속에서 일정 부분 한계를 지니고 있지만, 지역민의 수용 양상, 개방성 여부, 의사결정 과정의 민주화에 따라 지연공동체로서 일정 부분 의미를 지닌다. This article was aimed at investigating changing styles of Seoul in the course of the rapid urbanization in the 20th century. It was approached by focusing on community. Thus, the research issues of this study were why people ate still oriented to the community and how the local community has been breaking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pace in Seoul. Also it focused on the remaining aspects of Dongjedang centered-community, response styles and roles of migrants against the native people and differentiation phenomenon toward the little community. About 200~300 houses were formed around the outskirts of the Han River and in Seoul in the early and mid of 20c. For this reason, a loose community focusing on livelihood and Dongjae was developed. However, Seoul has been affected by a variety of spatial variation such as the colonial policies of the space division and war, natural disaster or redevelopment and has been transformed dramatically. Therefore, local community centered on livelihood and Dongjae was dissolved and reorganized into the little community in urbanization. Thus it will be diversified into preservation Society, ardent lovers of local area, a mutual aid society, society for the aged, social hobby, apartments organization, alumni, etc. Eventually, the traditional community of Seoul were almost weakened and diversified into a variety of the little community based on the change of space, transmission patterns of Donagja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ves and immigrants.

      • KCI등재후보

        여성 결혼이민자의 종교공동체 참여 활동을 통한 사회통합 방안: 가톨릭 종교공동체를 중심으로

        김언경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3 지역사회 현안과 담론 Vol.22 No.-

        This study compared and confirmed cases in which female married immigrants divided measures for adaptation and integration into Korean society through religious and religious community participation activities into immigrant and indigenous religious communities. Through participation in religious communities, female marriage immigrants from migrant and indigenous religious communities can live a life of faith with indigenous people and adaptation and integration in Korean society. This means that female marriage immigrants share the same faith in the same space as believers in religious communities in indigenous communities, and female marriage immigrants can have a sense of belonging through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in religious life. It can also be seen that the mutual understanding of the heterogeneous cultures of indigenous peoples and female marriage immigrants can be broadened. It will be a very meaningful study in that it serves as the basis for an integrated migration agenda related to multiculturalism within the Catholic religious community based on the religious and empirical characteristics and desire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Furthermore, marriage immigrants are viewed as objects of benefit, not object objects, but objects of mutual benefit, and subjective objects, and it will be able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use of indigenous local religious communities as an adaptation mechanism for the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with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 KCI등재

        재일 제주인 디아스포라 공동체의 문화적 기초

        김창민 ( Kim Chang-mi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학연구 Vol.59 No.4

        이 연구는 ‘문화적 접경지대’의 관점에서 재일 제주인 공동체의 사회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주사람들은 일제 강점기 이후 대규모로 일본으로 건너가 재일제주인 사회를 형성하였으며 마을마다 친목회를 구성하고 있다. 이들 친목회는 일본에서 상호부조와 친목활동을 할뿐 아니라 고향마을의 개발사업에도 재정적인 후원을 하였다. 이는 재일 제주인 사회가 공동체적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친목회 구성원들 사이에 사회적, 경제적 조건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친목회가 공동체로 인식되고 있다는 점에서 재일 제주인 공동체는 ‘상상된 공동체’이다. 재일 제주인 사회가 공동체로 상상될 수 있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라고 생각한다. 하나는 이 공동체가 출신 마을을 근거로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거주 기간의 차이, 경제적 차이, 사회적 지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재일 제주인에게 출신 마을은 일본 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적 준거의 하나이다. 밀항자들에게 고향은 최종적으로 돌아가야 할 곳이며 오래된 재일교포에게 고향은 일본에서의 성공을 인정 받아야 하는 곳이다. 이런 면에서 고향은 친목회 구성원들에게 ‘작고 따뜻한 세계’의 이미지를 주고 있으며 이는 일본에서의 친목회가 공동체라고 인식하게 하는 근거가 되고 있다. 다른 하나의 이유는 공동체 내부의 인간관계가 유교적 질서에 근거해 있기 때문이다. 공동체 내부에서는 사적 이익보다 공적 이익을 우선시 하며, 조상을 기억하고 추모하는 일을 중요시하였다. 또한 연장자가 존중받았다. 이런 유교적 질서가 중요하게 인식되었기 때문에 공동체 구성원들은 경제적 조건, 일본에서의 법적 지위 등에서 차이를 가지고 있었지만 이런 차이는 의미가 없는 것처럼 간주되었다. 요컨대, 재일 제주인 공동체는 문화적 접경지대에 있으며 고향과 유교적 질서라는 두 가지 상징적 자원을 활용하여 일본 사회에 적응하는 전략으로 활용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social relation of Jeju community in Japan in the viewpoint of ‘cultural boundary’. Jeju people had immigrated to Japan sinc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had formed Jeju social groups in Japan. These social groups not only have functions to do mutual aid and socialize with confidence in Japan but give financial support to home village’s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in Jeju. In this perspective, Jeju immigrant’s social groups in Japan can be considered as a community. In spite of the diversity in social or economic conditions of members, these social groups recognized as community. In this meaning, Jeju immigrant’s social groups in Japan are ‘imagined community’. There are two reasons in the fact that Jeju immigrant’s social groups in Japan imagined as a community. One is the fact that these social groups has been organized based on home village in Jeju. In spite of the social or economic difference, Jeju immigrants regard home village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social reference in Japan. Because home village gives image of ‘little cozy world’ to the Jeju immigrants, these social groups based on home village conceived as a community. The other reason is the fact that social relationship in Jeju immigrant’s group is based on Confucian order. Jeju immigrant’s social groups put priority on common wealth rater than private interest and put emphasis on ancestor worship. Further more, senior members are held in honor by junior members. In spite of the differences on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of the members, Confucian order makes these differences meaningless. In conclusion, Jeju immigrant’s social groups are cultural boundary and accommodate to Japan society by using symbolic resources such as home village and Confucian order.

      • KCI등재

        귀농인의 사회,경제 활동과 함의

        김정섭 ( Jeong Seop Kim ) 한국농촌지도학회 2014 농촌지도와 개발 Vol.21 No.3

        이 연구에서는 귀농인이 농촌 지역사회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수행하는 다양한 사회·경제 활동을 고찰하였다. 2006년 이후 발표된 것들 가운데 귀농인을 대상으로 한 면담 조사 내용을 인용하고 있는 연구물 8편을 분석하였다. 귀농인의경제 활동을 농업생산 활동, 농산물 가공 및 농촌관광 등 농업 연관 농외소득활동, 농업과 무관한 겸업활동 등으로 분류하였다. 사회 활동을 자원봉사 활동, 지역사회 조직 활동, 학습 활동, 문화여가 활동, 지역 공동체 안에서 주민과의 일상적 관계 속에서 일어나는 일상적 상호작용 등으로 분류하였다. 그런 활동들이 어떤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는지, 귀농인들은 그것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지를 고찰하였다.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귀농인이 대부분 소농이므로 귀농 가구의 다각적 경제활동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귀농 가구의 다각적 경제활동은 농촌 지역사회의 경제적 지속가능성에도 기여할 것이다. 셋째, 귀농인의 경제활동은 가구의 생계전략뿐만 아니라 자조적 지역사회 발전 전략이라는 차원에서도 의미 있는 활동이다. 넷째, 귀농인의 지역사회 참여는 농촌 지역사회의 사회자본 증진에 기여하는 활동이지만 단기간에 활발하게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다. 다섯째, 여성 귀농인의 지역사회 참여 및 사회연결망 편입은 중요한 정책 과제이다. Immigrant farmers work in various social and economic fields of activity, settling in their rural community. In this study, I inquired into the way of acting of immigrant farmers, based on the texts which were made in the precedent studies. The texts were transcriptions that were made by interviews with immigrant farmers. I classified immigrant farmers’activities into 8 groups that were related to; farming, nonfarm business, off-farm business, volunteering, participating in community organization, lifelong learning, leisure and social interaction in everyday life. And, Itried to captur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ose activities. The implications from this analysis are as followings: 1) most of immigrant farmers have small family farm so that they need nonfarm or off-farmjobs, 2) pluri-acivities of immigrant farm households can contribute to their community’s economic viability, 3) their economic activities should be observed carefully in the perspective of self-help approach in community development as well as farm households’ livelihood strategy, 4) immigrant farmers have many difficulties to participate in community, nevertheless community participation will improve the social capital, 5)gender-sensitive policy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 참여' 의미와 유형에 관한 연구

        이형하(Hyoung-Ha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에 결혼이주한 후 생활한지 5년이 경과한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지역사회 참여' 과정상 겪게 되는 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탐색하고, 참여상황과 참여유형의 분석을 통해 이주여성들의 지역사회 참여 지원방안과 유형별 사회복지실천 방안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결혼이주여성들의 지역사회 참여 이야기 윤곽, 의미분석, 유형분석, 상황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결혼이주여성들의 지역사회 참여 경험의 의미는 "자신이 삶의 개척자임을 인식하고 지속적인사회활동 참여하기"로 나타났다. 참여유형 분석결과 '자기성장 주도형', '현실안주형', '사회적 지원 기대형'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농촌지역 결혼이주여성이 낮선 국가에 타자화된 '개인'으로서가 아니라 일상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부딪치는 지역사회의 '참여자'로서 삶을 이해하고 그들에게 적합한 지역사회 차원의 서비스 개발에 도움을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the essential meanings of experiences that married immigrant women living in rural communities have in their community participation process and analyzed the situations and types of their community participation in order to support immigration women's community participation and develop strategies for social welfare by type of community participation. For these purpose, we analyzed story outlines, meanings, types and situations of community participation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who had been over 5 years since their immigr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eaning of married immigrant women's community participation was "Recognize myself as the pioneer of my life and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continuously."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ypes of participation,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self directed growth type,' 'self content type,' and 'social support expectation 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life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rural areas not as 'individuals' otherized in a foreign country but as 'participants' of community that are encountered naturally in daily life, and to develop community level services suitable for such women.

      • KCI등재

        특집 : 이주노동자공동체 형성과정에서 다문화 실태와 불교적 대안 -미얀마, 방글라데시, 필리핀 사례를 중심으로-

        김선임 ( Sen Im Kim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2 동아시아불교문화 Vol.10 No.-

        80년대 말부터 유입되기 시작하여 한국에 거주하는 국제이주자들은 노동이민의 성격을 지닌 이주노동자, 결혼이주여성, 난민, 유학생 등 다양하다. 이들에 대한 한국인들의 태도는 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용적이다. 특히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한국정부의 지원정책은 매우 적극적인 편이다. 이제 한국사회는 더 이상 단일민족사회가 아니라 다종족-다문화사회로 나아가고 있다. 그러나 실제 한국사회가 다문화주의 사회인가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일반적으로 다문화주의는 소수집단의 문화적 차이에 대한 절대 존중, 소수문화에 집단적 차원의 권리를 부여한다는 원칙에 기반을 두고 있어야 한다. 그런데 한국사회가 과연 소수자의 정체성과 문화를 절대적으로 존중해주는 사회인가는 물음표이기 때문이다. 이 글은 한국사회의 다문화 실태를 이주노동자공동체 형성과정을 통해서 파악해 보고, 다문화사회를 위해 한국불교조직은 어떠한 대안을 마련해야 하는지를 모색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종교가 서로 다른 미얀마(불교), 방글라데시(이슬람교), 필리핀(가톨릭교) 세 사례의 이주노동자공동체 형성과정을 통해 고찰했다. 그 이유는 첫째 한국에 이주한 외국인들 중 약 43%로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집단이 이주노동자 집단이기 때문이다. 둘째 한국에 이주한 이주자들은 주로 동남아시아인들이다. 그들은 대체로 특정한 종교가 일상화된 사회에서 살던 사람들이다. 반면 한국사회는 다양한 종교가 존재하는 종교 다원화 사회이나, 불교와 개신교, 그리고 가톨릭이 종교인구의 약 97%를 구성하는 사회이다. 특히 이주자들에 대한 한국의 지원센터 중 87.3%가 기독교계열인 것에 비해 이주자들은 주로 불교권과 이슬람교권 출신자들이다. 이주자들은 국가의 경계를 넘은 동시에 종교문화적 경계를 넘음으로써 새롭고 이질적인 사회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다. 따라서 종교가 각기 다른 이주자들이 한국사회의 조건에 어떻게 대응하며 공동체 활동을 하는지 살피는 것은 다문화사회를 준비하는데 현실적인 문제를 진단하기에 적합한 대상이기 때문이다. 셋째, 다문화사회를 준비하기 위해 우리 불교권이 모색하는 대안은 비불교권인 이슬람교와 가톨릭교권 사례를 통해 벤치마킹 할 수 있기 위함이다. 이러한 이유로 이 글은 종교가 다른 세 사례 이주노동자공동체 형성과정을 한국사회의 조건- 1) 이주노동자들의 종교와 한국사회 지원의 단체의 종교의 동질성 여부, 2) 한국사회 종교의 수용성 정도 - 에서 종교가 다른 세 이주노동자들(미얀마, 방글라데시, 필리핀) 공동체 형성의 역사를 비교 고찰했다. 띠라서 이 논문은 한국의 이주노동자들을 한국사회에 ``동화``, ``통합``이라는 적응의 대상으로 바라보는 관점에서 벗어나, 그들이 한국 사회를 이해하고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는 과정으로 고찰했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이 글에서 밝힌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사회의 조건에 따라 세 사례 이주노동자 공동체의 조직 및 활동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주 초기 한국사회의 도움이 절실했던 이주노동자들에게 지원단체의 종교가 무엇이었는지는 중요했다. 이주노동자들과 동일한 종교단체(가톨릭단체)의 지원을 받은 필리핀인들은 적극적으로 공동체를 조직하고 활동했다. 그러나 미얀마인과 방글라데시인들은 그들과 다른 개신교 기반의 지원단체로부터 지원을 받았고, 그것은 미얀마인들과 방글라데시인들의 공동체 형성과정에 차이를 가져왔다. 미얀마인들은 동질적인 종교를 기반한 지원단체를 찾아서 다시 공동체를 조직할 수 있었지만, 방글라데시인들은 그렇지 않았다. 그것은 미얀마인들이 종교 공동체를 기반으로 다양한 공동체 활동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 수 있었던 것과 대조적으로 방글라데시인들은 확대분화 된 공동체 활동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둘째, 세 사례 모두 종교 공동체가 형성되었고, 이주노동자들은 이를 통해 이주사회에 적응하고 정체성을 유지했다. 그러나 세 사례 종교 공동체의 위상은 달랐다. 미얀마와 필리핀은 종교 공동체가 생활 센터의 종합적인 기능을 수행했지만, 방글라데시 종교 공동체는 종교적 기능만을 수행했다. 미얀마와 방글라데시 종교 공동체는 한국의 동일한 종교단체와 긴밀하게 상호작용하지 않지만, 필리핀 종교 공동체는 한국의 가톨릭과 세계적인 가톨릭조직과 밀접한 관계 속에서 활동하고 있다. 이주자들의 삶은 이주사회의 조건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다문화사회를 준비하는 한국사회의 불교조직이 어떠한 역할과 방안을 모색해야 하는지, 이주노동자들의 공동체 형성과정에서 일정한 해법을 찾을 수 있다. Among immigrants living in Korea who have started to immigrate since late in 1980s, there are labor immigrants, foreign women who immigrate to be married to Koreans, refugees, and foreign students, so on. Korean`s attitudes towards them seem to be more generous than in the past. In particular, Korean government supports actively immigrants who marry Korean men. It shows the fact that now Korean society heads for a multi-race, culture society, no more single race society in which only Koreans live with their history and language. However, there remains a question whether Korea is practically the multi-culture society. Multi-culture is generally based on the principles that it should absolutely respect cultural differences of minor groups and their rights, Seen from these principles, it is questionable that Korean society really follow them, This study intends to take a look at the situation of multi-culture in Korean society through the forming process of labor immigrants`` communities. In addition, it intends to search what alternatives Korean Buddhism should prepare for the multi-culture society. For this, it insighted into forming processes of three labor immigrants`` communities: Myanmar (Buddhism), Bangladesh (Islam), and the Philippines (Catholic). It has three reasons. First, a majority of foreigners immigrated in Korea are immigrated workers who account for about 43%. Second, most of immigrants in Korea are from south-east Asia in which each country mostly has its own particular religion, while Korean society has various religions, but Buddhism, Christianity, and Catholic make up 97% of religion population, Especially, 87.3% of korean aid centers for immigrants is made of christian communities, but those immigrants are mainly from nations of Buddhism and Islam. Immigrated people are those who live in a new and strange society by going across boundaries of nations and religions. Understanding how they adjust to Korean society by doing their community activities is significant to make preparations for the multi-culture society and to make a judge of realistic problems. Thus, religion can be a good mean for that. Last, Buddhism could learn from the cases of Islam and Catholics and prepare multi-culture society coming in Korea. With these reasons, it compared and insighted into the histories of community formation of labor immigrants, who are from Myanmar, Bangladesh, and the Philippines, in accordance with Korean society conditions: 1) whether labor immigrants`` religions and Korean assistance communities`` ones are same, 2) how is the degree of religion acceptance of Korean society. It, therefore, tried to go beyond the view point that immigrated workers in Korea are subjects who should be assimilated into Korean society. Instead it looked them as those who figure out well Korean society and lead their own lives independently. It identifies the followings from that insight. Firstly, according to Korean society conditions, some differences were showed in the organizations and activities of the three labor immigrants, It was important to them, who desperately needed helps of korean society, that what kind of religions aids communities had, For example, the Philippines could do many activities energetically by organizing their communities, because Korean Catholic community which is the same with the religions of the Philippines supported them. Contrary to them, labor immigrants from Myanmar and Bangladesh who are Buddhists and Islamists were given supports from Christianity that differs from their religions. It showed some differences in shaping their communities. Myanmar immigrants looked for Buddhism aid bodies and succeeded to reorganize their community, while Bangladesh ones were not, because it seems that their community activities were not active. Secondly, the three type immigrated workers constructed their own religion communities, adapted to an immigrated society of Korea, and kept their identities. But the status of their each religion was not the same. In case of Myanmar and the Philippines, their religion bodies play general roles, but in Bangladesh their functions were only limited to religion. Also, religion communities of Myanmar and Bangladesh did not have close relationships with Buddhism and Islam communities in Korea, while Philippines ones operate by cooperating with global ones as well as with Korean Catholic organizations. An immigration society is most of all critical to immigrants. Therefore, it gives some hints to Korean Buddhism making preparations for multi-culture society. From this basis, it should find its appropriate roles and w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