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가구의 부채부담과 부채상환가능성 분석

        정다은(Da-Eun Jung),차경욱(Kyung-Wook Cha) 한국FP학회 2017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0 No.3

        본 연구에서는 노인가구의 유형을 부부노인가구, 여성노인가구, 남성노인가구로 구분하여, 부채보유 여부와 부채보유액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고, 유형별 노인가구를 대상으로 부채보유 여부에 따른 가계 특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부채를 보유한 노인가구를 대상으로 가구유형별 가계 특성을 비교하였고, 부채부담지표와 부채상환가능성을 비교하였다. 2014년 노인실태조사 원자료를 사용하였고, 동거 가구원이 없는 노인가구 6,340가구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노인가구의 33.7%, 남성노인가구의 24.1%, 여성노인가구의 16.8%가 부채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부채보유액 평균은 각각 8,616만원, 5,829만원, 4,184만원이었다. 둘째, 부채보유가구는 부채미보유가구 보다 평균연령이 낮고, 교육수준은 높았다. 부채보유가구는 부채미보유가구 보다 연간소득, 연간소비지출, 총자산, 부동산자산이 유의하게 많았다. 여성노인가구와 남성노인가구의 경우, 부채보유가구의 소득 대비 소비지출의 비중이 부채미보유가구 보다 높아, 부채상환의 여력이 부족함을 보여주었다. 모든 유형의 부채보유가구에서 총자산 대비 부동산자산의 비중이 90%에 이르러, 유동성이 취약한 구조를 나타냈다. 셋째, 부부노인가구의 79.1%가 총자산 대비 총부채의 준거기준을 총족한 반면, 남성노인가구는 57.1%만이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현재의 근로․사업소득, 연금소득, 사적, 공적이전소득을 유지한다고 가정할 때, 부부노인가구의 65.3%, 여성노인가구의 63.3%, 남성노인가구의 70.5%가 총자산을 처분하여 부채상환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사업소득이 중단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부부노인가구의 44.9%, 여성노인가구의 53.3%, 남성노인가구의 55.2%가 부채상환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compared the percentage of debt holdings and the amount of debt by elderly household types - elderly couple household, female-elderly household, and maleelderly household, and compared socioeconomic, financial characteristics, an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between debt holding households and the others. Also, this study analyzed debt burden index (total asset to total debt ratio, financial asset to total debt ratio), and the possibility of debt repayment. Using the 2014 Survey of the Elderly, data from 6,340 elderly households were analyz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About 33.7% of elderly couple households, 24.1% of male-elderly households, and 16.8% of female-elderly households had debt, and average amount of debt was 86.2million won, 58.3million won and 41.8 million won, respectively. Elderly householders who had debt were older, highly educated than those who did not, and had significantly higher income, consumption expenditure, total assets and real estates than the others. For all types of elderly households, the proportion of real estate in total assets reached 90%. About 79.1% of elderly couple households met the guideline of total asset to total debt ratio, while 57.1% of male-elderly households did. Assuming that the current labor and business income, pension income, private and public transfer income were maintained, it would be possible to repay the debt by disposing of their total assets for 65.3% of elderly couple households, 63.3% of female-elderly households, and 70.5% of male-elderly households. If they lost their labor and business income, 44.9% of the elderly couple households, 53.3% of female-elderly households and 55.2% of male-elderly households could repay the debt.

      • KCI등재

        가계부채와 소득계층 이동

        김정욱 ( Jung Wook Kim ),원승연 ( Seungyeon Won ) 한국금융학회 2016 금융연구 Vol.30 No.3

        이 연구는 KCB가 제공한 차입자 자료를 이용해 가계금융부채의 분배적 함의를 분석했다 소득대비 금융부채 규모가 큰 가계일수록 차기년도 소득분위의 하락 확률이 낮아지는 경향이 관측되었다. 이는 부채의 크기가 가계의 상환능력과 양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관측되는 현상으로 보인다. 그러나 금융부채를 은행권 부채와 비은행권 부채로 구분해보면 비은행 부채의 크기가 클수록 소득분위 하락확률도 커졌다. 특히 자금차입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상위 소득계층에서 이러한 현상이 강하게 관측되었다. 이는 현재의 비은행부채의 증가가 개별 차입자의 미래 소득분위 하락의 신호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비록 현재 은행권 부채에서 부실화의 문제가 당장 관측되지 않는다고 해서 정책당국이 가계부채의 문제를 가볍게 다루어서는 안 되고 비은행권 부채 추이를 면밀히 관측해 가계부채 문제를 선제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소득불균형 개선을 위해 가계에 신용공급을 확대하는 정책이 오히려 소득불균형을 악화시킬수 있음을 시사한다. Both i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rapidly increasing household debt becomes a serious concern for policy makers. Household debt per se may not be a problem if a sound household borrows money based on its forecast of the future income. In this case, debt plays a beneficial role of facilitating intertemporal resource reallocation and thus could enhance the welfare of the household. However, if a household is severely liquidity constrained and should increase debt to meet their immediate economic needs regardless of its debt capacity, current debt would becomea burden in the future, which may even lead a household to be insolvent. In this paper, using the data assembled by the KCB (Korea Credit Bureau), we examine the income distribution implication of financial debts of Korean households. We decompose financial debts into two, bank debt and non-bank debt since interest burden of the two and the strictness of the loan screening process are very different. The main focus of the paper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financial debt of a household in year t and the probability of the household moving to a lower income decile in year t+1. Depending on whether the household debt mainly reflects the debt capacity or the financial distress of the household, we may find a negative or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debt amount and the probability of the demotion of income decile. We find that a household with a higher debt to income ratio is less likely to be demoted to a lower income decile. This implies that, on average, debt to income ratio mainly reflects the debt capacity of a household. However, when we decompose the total household debt into bank and non-bank debt, a household with a higher non-bank debt to income ratio is more likely to be demoted to lower income deciles. This pattern is mainly observed among higher income households, which have a relatively easy access to non-bank debt due to their high income. Our findings show that households who cannot borrow enough money from the banking sector may rely on high cost but easier access non-banking sector debt and subsequently experience worsened income status. This implies that expanding high cost credits to credit constrained households may not be a good solution for the soundness of the Korean household sector. This paper supplements existing papers which analyze the welfare implication of the access to high interest but easy access financial debts such as payday loan in the US (Morgan and Strain, 2008; Zinman, 2010; Morse, 2011; Morgan et al., 2012; Skiba and Tobacman, 2011; Carrell and Zinman, 2013) and private loan in Korea. For example, Kim et al. (2016) investigate whether the access of very high interest private loan in Korea would increase the financial well-being of the liquidity constrained households. Private loans are mainly used by lower income household with poor credit rating with little or no access to bank sector debt. Kim et al. (2016) find that the access to very high interest private loan actuall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higher delinquency probability of formal sector (bank and non-bank) debts. Their finding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in the current paper in that even in formal sectors, high interest but easier access debt may not necessarily improve the financial well-being of liquidity constrained households.

      • KCI등재

        가계 부채특성과 부채비율이 가계의 경제적부담 및 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

        임은정 한국소비문화학회 2013 소비문화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최근 급증하는 가계부채 문제에 대해 가계가 보유한 부채특성과 부채비율이 가계의 경제적부담 및 소비지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분석하였다. 부채특성의 경우 부채유형과 부채상환액, 평균이자율 및 부채총액 등을 변수로 사용하였고, 가계부채비율의 경우 상, 중, 하 집단으로 나눈 부채상환비율(DSR)과 부채비율(DR)을 변수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독립변수를 토대로 가계가 느끼는 부담감 및 실제 소비지출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소득탄력성을 기준으로 나눈 필수재, 준선택재, 선택재를 중심으로 조사-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가계의 부채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부채특성으로는 가구주학력과 직업, 소득과 더불어 제 1금융권 부채보유 여부, 보유한 부채 총액과 부채상환액, 평균납입이자율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반면, 가계부채비율의 경우 가구주의 학력과 더불어 DSR만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한편, 소득, 가구주의 학력 및 직업, 가구크기 등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더불어 가계가 보유한 부채특성의 변수 중 부채상환액과 평균납입이자율, 보유한 부채총액과 제 1금융부채보유여부, 임대보증금 및 개인부채보유여부가 가계의 소비항목별 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으나, 실제 가계의 소비에 있어 부채특성 변수 중 부채상환액만이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가계부채비율의 경우 가구주학력, 소득과 더불어 부채상환비율(DSR: Debt Service Ratio)만이 소비항목별 부담감에 유의한 변수로 나왔으나, 실제 가계 소비에 있어서는 어떠한 영향력을 갖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부채비율(DR:Debt Ratio)이 일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ly household debt is soaring in Korea, posing serious problems for household itself and also for our society as well. This study examined variables associated with household debt quality and debt ratio to find out any influences in household’s financial burden and actual household consumption expenditures. This study used two main variables, which are Debt quality( Debt types and debt payments, average interest rates and the total amounts of debt) and Household’s Debt Ratio( DSR, DR), with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t was found that in variable of household debt quality’, householder’s education levels, occupations, income level as well as holding banking debts, total amounts of debt, debt payments, average interest rates had an impact on the debt burden for household. On the other hand, householder’s education levels and DSR levels were the significant factors on the debt burden for household Second, with some socio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householder’s age, income levels, education levels, occupations, and household size-, it indicated that debt payments and average interest rates, total amounts of debt, holding the banking debts, holding rental deposits and some personal debts had an effect on the burden of itemized consumption expenditures. However in actual household consumption expenditures, the variable of debt payments was shown as the only significant factor on the burden of itemized consumption expenditures. Third, householder’s education levels and DSR levels were the significant factors for the burden of itemized consumption. However, DSR did not make any differences to real household consumption expenditures which were rather influenced by DR level.

      • KCI등재후보

        심사논문 : 부채상환용 부채를 보유한 가계의 특성

        성영애 ( Young Ae Sung ) 한국금융소비자학회 2012 금융소비자연구 Vol.2 No.2

        부채상환을 위해 또 다른 부채를 이용하는 가구는 부채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대표적인 유형의 가구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부채상환을 위해 또 다른 부채를 이용하고 있는 가계의 부채보유상태,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재무상태를 분석함으로써 가계부채문제 해결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통계청이 금융감독원 및 한국은행과 공동으로 실시한 2011년 가계금융조사의 원 자료를 이용하였다. 총 조사 가구 수는 10,517가구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금융부채 보유가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SPSS를 이용하여 평균 및 분포도, 교차분석, t-test를 실시하였으며, Stata를 이용하여 Heckman`sselection model을 적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1년 현재 금융부채를 보유하고 있는 가구의 비율은 56.4%이고, 부채상환용 부채를 보유하고 있는 가구의 비율은 3.1%로서 총 53만 8천 가구(전체 가구수 1,750만 가구)가 부채상환을 위해 또 다른 부채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들 가구의 부채상환용 부채보유규모는 약 4,548만원이고, 총 부채규모는 9,820만원이다. 부채상환용 부채를 보유하는 가구는 부채규모가 경제상태에 비해 과도하여 부채부담이 크며, 부채상환이 불가능할 가능성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들가구가 보유하고 있는 부채는 부채상환용도의 부채가 부채의 전부가 아니며 다중채무자이다. 본 연구 결과 부채상환용 부채를 이용하고 있는 가계의 경우 이미 부채상환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상황에서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은 신용대출이나 신용카드관련대출, 보험회사 또는 신용카드사의 이용으로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부채문제는 무엇보다도 예방이 중요하며, 부채의 이용은 부채의 필요성을 생각하기에 앞서 상환여력을 고려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부채문제해결을 위한 정책적 접근을 함에 있어 LTV보다는 DTI가 더 중요한 기준이 될 필요가 있다. The household which gets a loan to repay others is a typical household who experiences debt repayment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household debt holding statu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financial status of those households. The data came from the 2011 Survey of Household Finances which was jointly conducted by the National Statistics Office, the Bank of Korea and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FSS). Total 10,517 households were surveyed, but this study focused the household with the financial liabilities. Average, distribution, crosstabs and t-test were utilized using SPSS and Heckman`s selection model was applied using Stata.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In 2011, households holding the financial liabilities was 56.4% of total households. The percentage of households which got a loan to repay others was 3.1% and the estimated number of those households was 538,000 households (total households were 17.5 millions). Approximately the amount of the loan for repayment of the household with loan for repayment was 45 million won and their total debt amount was 98 million won. Debt burden of those households was very high by the excessive amount of debt compared to the financial status and the probability of impossibility of repayment is also high. In addition, they were multiple debtors. They were more likely use credit loan and credit card loans, They tended to get the loans from insurance company or credit card company where interest rates are relatively high. The main implication was that prevention is the most important for debt problem. Considering repayment ability before using debts is the essential for debt user. In this context, the policy approaches for solving the debt problem, DTI should be a more important criterion than LTV.

      • KCI등재

        분위회귀분석을 통한 가계부채가 가계소비에 미치는 효과 연구

        최은영(Choi Eun you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KLI)의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를 이용하여, 가계부채 결정요인을 추정하고, 가계부채가 가계소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방법으로 최소제곱(Ordinary Least Square)을 사용하였으며, 가계부채와 가계소비 를 분위별로 분석하고자 분위회귀분석(Quantile Regression)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국내 가계부채와 가계소비에 관한 기존 문헌들과는 달리 본 연구는 가계부채 결정요인과 가계소비 결정요인 분석에서 분위에 따른 분위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상․하위 조건부 분위에 따른 효과를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가계소득의 증가와 실물자산의 확대는 가계부채를 확대하고, 더 나아가 가계소비를 증진시킨다. 또한, 가계부채의 증가는 차입으로 인한 소비확대를 유도할 가능성이 있으며, 가계 부채상환율의 증가는 가계의 재무건전성으로 인해 가계소비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의 가계소비에 대한 가계부채의 전반적인 효과가 부정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볼 때, 금융시장의 유동성 제약으로 인한 가계부채의 감소가 오히려 가계소비를 축소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determinants of household debts and analyze the effects of household debts on household consumption with the use of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of Korea Labor Institute. The analysis methods used in this study were Ordinary Least Square in order for estimation, Quantile Regression was additionally applied to perform quantile analysis on household debts and household consumption. Unlike previous literatures of domestic household debts and household consumption, this study focused on household debt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household debts and the effects of household debts on household consumption, and thereby tried to suggest comprehensive analysis. In addition,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household debts and household consumption by quantile, and thereby to estimate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upper and lower conditional quantile. According to the analysis, increased household incomes and expanded real assets led into the expansion of household debts, and furthermore into the promotion of household consumption. Also, increased household debts induced consumption expansion by loans, and increased debt-repayment rate caused financial soundness of households, which positively influenced household consumption. In conclusion, the overall effects of household debts on household consumption in Korea were positive. Therefore, this study drew the policy suggestion that the household debts reduced by liquidity restriction could shrink household consumption.

      • 한국의 전세금융과 가계부채 규모

        김세직(Se-Jik Kim),고제헌(Je-Heon Ko) 서울대학교 경제연구소 2018 經濟論集 Vol.57 No.1

        가계부채에 대한 최근의 연구들은 가계부채가 과도하게 높으면 성장률을 하락시키고 금융위기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며 따라서 가계부채의 규모를 정확히 파악하고 과도하게 높은 수준에 이르지 않도록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는 것의 중요성을 시 사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우리나라도 가계부채의 규모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한국은 전세라는 독특한 주택임대차 제도의 존재로 인하여, 다른 나라에 비해 가계부채가 매우 과소평가 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더욱 그 중요성이 크다. Kim and Shin(2013)의 논문에 따르면 우리나라에만 특수하게 존재하는 전세와 준전세의 본질은 집주인의 세입자로부터의 차입(부채)이다. 이를 고려할 때, 한국 가계부채의 총체적 규모를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전세보증금과 준전세 보증금 의 형태로 거래되는 가계 간 직접부채를 금융기관을 통해 공급되는 가계 간접부채에 더해야 한다. 본 논문은 Kim and Shin에 따라, 전세보증금과 준전세 보증금을 더한 직접부채인 ‘전세부채’를 추정하고 이에 한국은행이 보고하는 간접부채인 ‘가계신용’을 더하여 ‘KS 가계부채’를 추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한국의 가계부채 규모를 추정하 고자 한다. 이러한 본 논문의 추정에 따르면, 전세부채 규모는 1990년 265조에서 2016년 735조로 거의 세 배가량 증가하였다. 전세부채의 빠른 증가 속에, ‘KS 가계부채’도 빠르게 증가하여 2016년에 2078조에 달하여, GDP 대비 127% 수준까지 이른 것으 로 추정된다. 전세부채가 2016년에 비해 2%만 증가한다는 보수적 가정 하에 추정한 2017년의 KS 가계부채도 2201조(=1451조+750조)에 달한다. 이는 국제적으로 비교해 봐도 스위스, 호주와 함께 2017년 기준 세계 1~2위를 다투는 수준일 가능 성이 높고, BIS의 Lombardi et al.(2017) 등의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경제성장을 저해하는 가계부채 수준의 임계치(threshold)도 훨씬 초과하고 있다. 이에 한국 가계부채의 위험성이 일반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심각한 것은 아닌지 후속 연구들을 통해 면밀히 검토될 필요성이 제기된다. Recent studies on household debts suggest that excessive household debts may reduce a country’s growth rate and raise the risk of financial crisis. This points to the importance of precisely measuring the size of an economy’s aggregate household debts so as to keep it under control. This is of particular importance to Korea, where its household debt is very likely to be excessively underestimated because of the country’s unique credit system combined with housing rental contract called Jeonse. Kim and Shin (2013) shows that Korean Jeonse and quasi-Jeonse rental contract is an important way of a landlord’s borrowing, which is not through a bank but from a tenant. Thus this type of direct household debts between households (landlord and tenant) should be added to indirect debts that are intermediated through banks in order to calculate the country’s total household debts. Based on the Kim and Shin’s idea, this paper estimates the Jeonse and quasi- Jeonse debts and, by adding households’ debts through financial institutions to them, calculates the country’s aggregate household debts. Our estimates suggest that Korean Jeonse and quasi-Jeonse debts almost tripled during the period 1990-2017. With a rapid increase in Jeonse debts, Korean aggregate household debts grew rapidly to reach 2078 trillion won in 2016 and 2201 trillion won in 2017, which is 127% of GDP. This amount of household debts as a fraction of GDP implies one of the World’s highest, rivaling with Switzerland and Australia, and is far above the threshold, suggested by recent studies by Lombardi et al. (2017), above which household debts start to exert negative effects on growth. In sum, our study suggests that the risk of household debts in Korea may be much more serious than have been thought, and warrants follow-up studies to further investigate the risk and the possible countermeasures to mitigate the risk.

      • 부채감소가계와 부채증가가계의 특성 비교

        이희숙(Hee Sook Lee),곽민주(Min Joo Kwak) 한국FP학회 2013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6 No.2

        본 연구는 조사시점에서 지난 1년 동안 부채가 증가한 가계와 감소한 가계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현재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가계부채 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한 정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1년 가계금융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조사시점에서 지난 1년간 부채가 증가한 2,063가계, 부채가 감소한 1,753가계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결과를 기초로 한 주요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채증가가계는 감소가계에 비해 경상소득, 금융자산, 거주주택으로 인한 자산 수준은 낮은 반면, 기타실물자산(자동차, 회원권, 귀금속, 골동품 및 예술품, 고가의 내구재 등)은 높은 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할 때 부채증가가계가 부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은 기타실물자산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부채증가가계의 또 다른 문제는 부채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는 여지가 큰 대출 특성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즉, 부채증가가계는 감소가계에 비해 대출금리가 매우 높은 제2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은 가계가 더 많고 대출상환방법도 분할상환에 비해 실효대출 금리가 높은 만기일시상환방법이 더 많았다. 특히 만기일시상환의 경우, 대출상환을 목적으로 별도의 목돈마련 저축을 하지 않는 한 상환이 매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할 때 부채증가가계가 부채상환 연체로 인한 가중된 부채부담을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시사점을 뒷받침하고 있는 결과로 부채증가가계의 대출상환 가능성 결과를 살펴보면, 부채증가가계의 경우, 1년 후 부채가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가계가 29.5%이며, 상환기간 내 부채상환이 가능한 가계는 53.8%일뿐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아무리 상환기간을 연기해도 절대로 부채상환이 불가능하다고 응답한 가계도 9.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부채감소가계에 비하여 부채상환 가능성이 낮은 모습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households which were having increased debt and decreased debt. The data were drawn from 2011 Household Finance Survey conducted by National Statistics Office, the Bank of Korea, and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A total 2,063 households with increasing debt and 1,753 households with decreasing debt were selected.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the households with increasing debt were more likely to have lower levels of income, liquid asset, and primary residence real estate asset than the counterpart. Whereas the households with increasing debt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levels of tangible property asset like car, membership, valuable jewelry, antique, work of art, valuable furniture etc. than the counterpart. These results implied that households with increasing debt could use the tangible assets to pay off their debts. Second, the households with increasing debt were more likely to borrow money from the non institutional sources. This result implied that the households with increasing debt could be paying more interests and had less chance to reduce their debt than the counterpart. Furthermore, the households with increasing debt were more likely to anticipate that their debt would increase within the following year than the counterpart.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household with increasing debt will have higher possibility to incur more debts and lower chance to pay off their debt.

      • KCI등재

        가계부채 연체유형과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성영애 ( Sung Young-ae ) 한국소비자학회 2019 소비자학연구 Vol.3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2017년도 가계금융복지조사를 이용하여 연체기간과 연체사유에 따른 연체현황을 살펴보고, 각 유형별 연체여부에 대한 가계소득, 부채총액, DSR, DTA와 가구원수, 가구주 연령, 성별, 교육수준, 혼인상태, 종사상지위, 입주형태, 거주지역의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SPSS를 이용하여 금융부채보유가구인 4,970가구를 분석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금융부채보유가구 중 연체를 경험하고 있는 가구는 10%이다. 30일 미만 연체를 경험한 가구는 5.5%, 30일 이상 연체를 경험하고 있는 가구는 4.5%이다. 연체경험가구의 연체사유를 보면 소득감소가 29.9%, 자금융통차질이 20.3%, 이자 및 원금상승이 20.3%, 납부기일 착오가 17.1%, 가계지출증가가 11.2%이다. 연체기간별 연체사유를 보면 30일 미만 연체의 경우 납부기일착오로 인한 연체가 25.9%로 가장 많은 반면 30일 이상 연체의 경우는 소득감소로 인한 연체인 경우가 38.8%로 가장 많았다. 둘째, 각 유형별 연체여부를 종속변인으로 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유형별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다르게 나타났다. 30일 미만 연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계소득, 부채총액, DSR, DTA, 가구원수, 가구주 연령, 교육수준, 혼인상태, 입주형태이다. 30일 이상 연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계소득, 부채총액, 가구원수, 가구주 연령, 교육수준, 혼인상태, 종사상지위, 입주형태이다. 이자 및 원금상환부담 상승으로 인한 연체가능성에는 가계소득, 부채총액, 가구주 연령, 교육수준, 혼인상태 및 입주형태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금융통차질로 인한 연체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계소득, 부채총액, DTA, 가구원수, 가구주 교육수준, 혼인상태, 입주형태이고, 소득감소로 인한 연체가능성에는 가계소득, 가구원수, 가구주 연령, 교육수준, 종사상지위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지출증가로 인한 연체가능성에는 가계소득, 가구원수와 자가보유여부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납부기일착오로 인한 연체가능성에는 가계소득, 부채총액 및 가구주 교육수준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household debt delinquency and find out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debt delinquency. Debt delinquency wa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delinquency period and delinquency reasons. The data were the 2017 Survey of Household Finances and Living Conditions which was jointly conducted by Statistics Korea, Bank of Korea and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Using SPS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for 4,970 households with financial debt. In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household income, total debt, DSR, DTA, number of household members, age, sex, educational level, marital status and employment status of head, home ownership, and residential area.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10% of households having financial debt experienced delinquency. The households who experienced less-than-30-days delinquency accounted for 5.5% and those who did 30-days-and-over delinquency accounted for 4.5% of the households with financial debt. The delinquency reasons were ‘decrease of household income (29.9%)’, ‘failure of financing (20.3%)’, ‘increase of repayment burden of interest and principal(20.3%)’, ‘payment errors- negligence of repayment on due date (17.1)’, and ‘increase of household spending (11.2%)’. The delinquency reasons were different by the delinquency period. Major reason of less-than-30-days delinquency was ‘negligence in repayment on due date (25.9%)’ whereas that of 30-days-and-over delinquency was ‘decrease of income (38.8%)’. Second, the effect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multiple logistic analyses for each debt delinquency typ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delinquency period and delinquency reasons were different. The variables what influenced on the possibility of less-than-30-days delinquency were household income, total debt, DSR, DTA, number of household members, age, educational level, marital status and employment status of head. Those for 30-days-and-over delinquency were household income, total debt, number of household members, age of householder, educational level, marital status, employment status, and home ownership. The possibility of delinquency due to increase in interest and principal repayment burden was affected by household income, total amount of debt, age of householder, educational level, marital status and home ownership. Factors affecting the delinquency possibility due to negligence in repayment on due date were household income, total debt, DTA, number of household members, householder education, marital status, and home ownership. Delinquency due to income decline was influenced by household income,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the age of the householder, education and the status of employment. The probability of delinquency due to household spending increases were affected by household income,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and home ownership. The factors affecting the probability of delinquency due to negligence in repayment on due date were household income, total debt, and educational level of householder.

      • KCI등재

        부채보유가계의 유형 분류: 가계부채포트폴리오에 근거한 군집분석의 활용

        성영애(Young-Ae Sung) 한국FP학회 2024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7 No.2

        가계부채포트폴리오는 각 가계가 다양한 종류의 부채를 보유하고 있는 양식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계의 부채포트폴리오에 기반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부채보유가계를 유형화하고, 부채보유가계의 유형별로 부채특성, 가계재무구조 및 사회인구학적 특성이 서로 다른지 살펴보는 것이다. 또 다른 연구목적은 다항로지스틱분석을 통하여 다른 변수가 통제된 상태에서도 재무변수와 사회인구학적 특성이 가계유형을 구분하는데 유의미한 변수로 작동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22년도 가계금융복지조사를 활용하였는데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계부채포트폴리오에 따라 부채보유가계를 유형화한 결과 우리나라 부채보유가계는 4개의 집단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고, 부채보유 특징을 반영하여 은행대출 집중형, 임대 집중형, 할부 및 외상거래 집중형, 비은행담보대출 집중형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각 유형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은행대출 집중형은 부채보유가계의 65.6%를 차지하여 가계부채의 72%를 은행 담보 및 신용대출로 보유하고 있는 집단으로 부채규모는 다른 집단과 비교하여 볼 때 중간 정도이지만 연간상환액은 많은 편이고, 가계소득이나 자산규모는 중간 정도이며, 단기부채부담이 높은 집단의 비중도 중간 정도인 집단이다. 교육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중장년층으로 상용근로자의 비중이 높은 집단이다. 임대 집중형은 전체 부채보유가계의 17.9%를 차지하고 있으며, 가계부채의 91.9%가 임대보증금인 집단이다. 이 집단은 원리금상환액이나 단기 및 장기부채부담 지표상 부담은 다른 집단에 비해 낮은 편이고, 실물자산, 금융자산, 가계소득 수준은 높은 편이다. 상대적으로 고연령층인 경우가 많고 은퇴자인 경우가 많다. 할부 및 외상거래 집중형은 가계부채의 93.3%가 외상 및 할부 미상환액으로 구성되어 있는 집단으로 부채보유가계의 9.2%를 차지하고 있는 유형이다. 가계부채규모나 상환규모가 가장 작은 집단이지만 자산이나 소득수준도 가장 낮고, 다른 집단에 비해 월세거주자나 여성, 이혼 및 사별, 미혼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점이 특징이다. 비은행담보대출 집중형은 가계부채의 83.3%를 비은행담보대출로 보유하고 있는 유형으로 부채보유가계의 7.3%만을 차지하여 규모 상 가장 작은 집단이지만, 가계부채규모는 은행대출 집중형보다 더 크고, 집단의 연간원리금 상환액은 은행대출 집중형과 유사한 수준이지만 연간 이자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중이 더 높고 단기부채부담을 느끼는 가구의 비중이 높은 집단이다. 소득수준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지만 보유자산규모는 중간 정도이고, 비수도권에 거주하는 고연령층의 자영업자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분포되어 있다. 셋째, 은행대출 집중형을 기준으로 하여 임대 집중형, 할부 및 외상거래 집중형, 비은행담보대출 집중형에 속할 가능성에 대해 재무변수와 사회인구학적 변수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항로지스틱분석을 한 결과, 독립변수로 포함된 가계소득, 가계자산, 가구원수, 가구주 연령, 성별, 교육수준, 혼인상태, 종사상지위, 입주형태 및 수도권거주여부가 서로 다르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ought to classify indebted households by conducting a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ir debt portfolios, that is, the holding style of various types of debt. It also attempted to examine the debt characteristics, household financial structure,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debt-holding household. Another aim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rough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whether financial variables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ct as significant variables in distinguishing household types even when other variables are controlled.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the 2022 Survey of Household Finances and Living Conditions of Korea.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classifying debt-holding households according to the household debt portfolio showed that indebted households in Korea could b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These were nam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bt portfolios as follows: Intensive users of bank loans, intensive holders of rental deposits, intensive users of credit and installment payers and intensive users of non-bank secured loan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above groups were as follows: The intensive users of bank loans group accounted for 65.6% of debt-holding households and held 72% of household debt as secured and credit loans from banks. The size of the debt was medium compared to other groups, but the annual repayment amount was relatively large. This group had medium levels of household income and assets. The proportion of households with a high short-term debt burden was also medium. This group had a high proportion of middle-aged people and regular workers. The intensive holders of rental deposits group accounted for 17.9% of all debt-holding households, and 91.9% of the household debt comprised rental deposits. This group tended to have a lower burden compared to other groups in terms of principal and interest repayments, and the short-term & long-term debt burden index. The levels of real assets, financial assets held, and household income were high. Most people were relatively old, and many were retirees. In the intensive users of credit and installment payers group, 93.3% of the household debt comprised credit and installment repayments, and this group accounted for 9.2% of the households with household debt. Although this group had the smallest household debt or repayments, it also had the lowest level of assets and income. The group was also characterized by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of monthly renters, women, divorcees, widowed, and unmarried people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The intensive users of non-bank secured loans held 83.3% of household debt as nonbank secured loans and were the smallest group in size, accounting for only 7.3% of debt-holding households. However, the size of household debt was larger than that of the bank loan-intensive group. While the groups annual principal and interest repayment amounts were similar to that of the bank loan-intensive group, the annual interest repayment accounted for a higher proportion of debt servicing. The proportion of households feeling the burden of short-term debt was relatively high. The income levels were relatively low, but the size of assets was medium. The proportion of older self-employed people living in non-metropolitan areas was relatively high. Third, taking the intensive users of bank loan group as a base, the study investigated if financial and socio-demographic variables affect the possibility of belonging to the intensive holders of rental deposits, intensive users of credit and installment payers, and intensive users of non-bank secured loans groups while other variables are controlled. As a result of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household income, household assets, number of household members, age of the head of the household, gender, education lev

      • KCI등재

        가계부채 증가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복지패널(KOWEPS) 자료를 활용한 데이터마이닝 분석 -

        김병석 ( Byung Seok Kim ),문상호 ( Sang Ho Moon ) 한국정책학회 2017 韓國政策學會報 Vol.26 No.4

        본 연구는 최근에 급증하는 가계부채의 영향요인을 개별 가계의 관점에서 분석, 관련 정책의 시사점(示唆點)과 문제점을 찾기 위해 한국복지패널의 2008년 및 2014년 조사 중 가구의 부채·재산·지출 항목을 변수로 부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중요도를 분석하고, 데이터마이닝(의사결정트리) 기법을 활용하여 가구 특성별 부채규모를 예측하였다. 분석 결과, 주택 관련 3가지 요인(전세보증금, 부채, 부채이자)이 금융기관 대출에 영향을 미치고, 금융기관 대출이 증가하여 가계부채를 견인하였다. 향후 가계부채 관리정책은 ‘금융기관 대출’에만 집중하기보다 ‘전세보증금’에 초점을 맞추고, 상가 등 ‘주택 외 건축물’에도 관심을 가지며, 주택 난방비와 전기료 등 광열수도비의 상승을 완화하는 정책을 마련하는 한편, 정책 추진 기구를 금융위원회 단독에서 모든 관계기관 참여 조직으로 확대하여 종합대책을 마련하는 등 정책의 종합적인 재점검과 획기적인 방향 전환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factors that contributed to the recent growth of household debt from the perspective of individual households, and identify considerations and issues associated with the current household debt-related policies. Data from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2008 and 2014 was used to analyze what factors affect household debt and how much each factor contributes by using the debts, assets, and expenditures of households as variables. Data mining technique (decision-making tree model) was applied to forecast the size of debt by the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The analysis found that 3 factors related to house (long-term lease (“Jeonse”) money deposit, debt, and debt interest) primarily led households to take out loans from financial institutions, which, in turn, further increased overall household debt. In 2014, the “gas and electricity expenses” of households increased to be the fifth largest contributing factor in terms of household debt growth, following the 3 house-related factors mentioned above and “other interest”. As for house-related debt, the following factors are provided in the order of contribution: living space, housing tenure status (owner-occupation or leased under “Jeonse” agreement, etc.), housing type (apartment or stand-alone house, etc.) and heating facility. Therefore, it is advisable that the Korean government’s policies aiming to curb the growing household debt focus not only on “loans from financial institutions,” but also on “Jeonse.” The Korean government also needs to pay attention to other types of buildings including commercial buildings for effective household debt control, and implement a policy to curb the growth of “gas and electricity expense.” Additionally, household debt management policy-making process needs to involve all the relevant government entities, rather than addressed single-handedly by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so that policies tackling household debt growth can be far-reaching and comprehensive. An overall review of the current policies and a dramatic change in policy direction is deemed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