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암 이재와 그 문인들의 낙학(洛學)적 사유

        이천승 ( Lee Cheonsu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20 한국 철학논집 Vol.0 No.64

        이 논문은 조선후기 호락논변에서 낙학(洛學)의 견해를 대표하는 인물 중의 하나로 도암 이재(陶菴李縡. 1680∼1746)의 성리학설, 그리고 그 문인들의 강학활동을 통한 낙학계열의 전개양상 및 지향점을 검토하는데 목적을 둔다. 기존의 호락논변 연구에서는 이간의 사유를 낙학의 대표적 견해로 인식하면서, 여타의 낙학계열까지 인식의 확장이 충분히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 주목하는 이재는 조선 후기 노론계열의 정치적 영향력 및 당시 성리학계의 중심주제인 호락논변에 관한 견해들을 직간접적으로 표출해왔다. 그의 주장에는 한원진과 이간의 논변과정을 통한 문제의식의 일단, 예를 들어 미발의 순수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질을 개입시키지 않거나, 성인과 일반인의 심은 그 본체에 있어 동일하다는 낙론계의 입장을 견지하고 있었다. 그렇다고 이재의 견해가 한원진과 대척점에 있었던 이간의 주장과 모두 동일한 것은 아니었다. 이 점은 당시 서울 경기지역 낙학계열 학자들 나름의 학문적 경향이 있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따라서 이간의 사유와는 다른 논증 진행 방식으로 심체의 순선함을 확보해 가려는 낙학계열의 전개양상까지 확장시켜야만 호락논변이 지니는 다양한 맥락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이재의 호학에 대한 논변은 한원진이 아니라 그를 이어 호학의 중심적 역할을 담당했던 병계 윤봉구를 통해 진행되었다. 수암 권상하를 방문하거나 평소 윤봉구와의 교류도 있었던 이재는 호학내부의 흐름도 놓치지 않았다. 그러나 이재는 적극적인 반론으로 야기될지도 모르는 학계의 대립을 꺼려했고, 어느 정도 호학과 낙학의 입장이 선명해졌으므로 낙학의 지향점을 선도하는 역할정도에 그치는 측면이 있다. 따라서 그의 주장에는 이간이 도달한 결론처럼 심성의 일치라는 독특한 견해는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이재의 주장에는 기(질)의 맥락을 중시하는 호론의 대척점에서 본체인 리(성)와의 일치를 꾀하는 낙학의 문제의식을 읽어내는데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또한 호락논변과 같은 철학적 사유들은 당대의 문제의식을 반영하는 동시에, 유가경전에 대한 이해 과정에서 이견을 보이면서 발생한 측면도 간과할 수 없다. 원문의 취지를 살리면서 학파의 정체성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유가경전에 대한 이해는 사유의 출발지이기 때문이다. 낙론계 성리학의 한 흐름을 대표하는 도암 이재는 박성원, 이기경 등의 문인 제자들과 유교경전에 대한 토의과정을 담은 강설류의 저작을 남기고 있다는 특징을 보인다. 이 책을 통해 이재 자신의 주장 뿐 아니라 그와 의견을 같이 하는 제자들과의 집단지성의 결집체라는 점에서 낙학적 사유의 제반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aper aims to confirm the view of Do'am陶菴 Yi Jae李縡, one of the figures representing the view of Nak School洛論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his book Lectures on the Doctrine of the Mean中庸講說. This paper also aims to examine the various aspects of the Nak School and its standard goals. Precedent research on Horak Arguments湖洛論爭 has recognized Oeam巍巖 Yi Gan李柬's insistence as a representative view of Nak School. Because of this, research on the other scholars in the Nak School has not been done enough. Do'am Yi Jae is an academic and historical figure of the Old Doctrine老論 in the late Joseon Dynasty. He is also worth to be studied because he has argued his views on Horak Arguments in various ways. Yi Jae expressed his view of Nak School in the course of a dispute with Byeonggye屛溪 Yoon Bong-gu尹鳳九, who represents Ho School湖學's position. Yi Jae's argument gives many implications for reading the question of Nak School, as it opposites to the Ho School's. Yi Jae's argument will help the general public better understand the purpose of the Nak School, which insists every man can be a sage if their minds pursue the Innate Goodness性善. Philosophical reasons, such as Horak Arguments, also reflect the awareness of the problems of the day. At the same time, this argument arose because of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the Confucian Classics. Since the understanding of the Confucian Classics is the starting point for ideas in Joseon. Do'am Yi Jae, who represents a trend in the Neo-Confucianism of the Nak School, left the works of Lecture講說 after the process of discussing Confucian scriptures with his students. Yi Jae's books are the result of discussions with his students who share his views as well as his claims. Also, the books are the result of the collective intelligence community. The original manuscript, Horak GangSeol 湖落講說, includes annotation of the Great Learning大學 and the Doctrine of the Mean 中庸 from scholars who represent Ho and Nak School. Through this, we can fi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k School different from Ho School.

      • KCI등재

        기정진(奇正鎭)의 「납량사의(納凉私議)」를 둘러싼 기호학계(畿湖學界)의 논쟁(論爭)

        朴鶴來 ( Park Hakrae ) 한국유교학회 2010 유교사상문화연구 Vol.39 No.-

        18세기 이래 湖洛論爭은 주자학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와 정치 사회적 입장을 반영하며 기호학계의 생산적인 논의를 이끌어냈다. 하지만 19세기에 접어들어 호락논변은 정치사회적 상황과 맞물리면서 先代 學說에 대한 교조적인 계승과 상대에 대한 부정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가운데 일부 학자들에 의해 이 논쟁에 대한 반성과 대안 모색이 이루어졌고, 奇正鎭의 「納凉私議」는 이러한 결실 중의 하나이다. 湖論과 洛論에 대한 비판적 지양을 통해 호락논쟁 및 주자학의 학문적 본령을 수립하고자 했던 기정진의 호락논변에 대한 논의는 20세기 초반 그의 문집 重刊과 더불어 기호학계의 논란대상이 되었고, 특히 田愚에 의해 집중적으로 비판이 제기되어 기호학계 전반으로 논쟁이 파급되었다. 본고에서는 20세기 초반에 진행된 기정진의 「납량사의」를 둘러싼 기호학계의 논쟁을 19세기 이후의 호락논쟁의 추이와 결부하여 그 논쟁의 내용과 성격을 고찰하였다. 논쟁을 처음으로 제기한 전우의 논의와 이에 대한 기정진 문인들의 반비판을 중심으로 주요 논쟁점을 검토하였고, 논쟁을 통해 최대 쟁점으로 부각된 현상 세계의 차별성에 대한 논의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아울러 이 논쟁에 대한 당시 기호학계의 입장 및 태도에 유의하여 20세기 초반 호락논변에 대한 각 학파들의 호락논변에 대한 지형변화도 試論的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Since 18th century, 'Horak debate(湖洛論爭)' had enabled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n neo-confucianism and had reflected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s, and had induced productive debates of Kiho school. However, in 19th century, dogmatic inheritance of predecessors scholastic arguments and negation of other scholastic sects became prevailed in conjunction with the socio-political situation. In this circumstances, some scholars tried to reflect on this situation and to find out alternatives. Ki jung jin's 'Napryangsaeui(納凉私議)' was one of the fruit of these efforts. Ki Jung-jin's 'Horak debate', which was tried to establish original nature of Horak dispute and neo-confucianism, became a contested topic of Kiho school by republishing his anthology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this article, the author examined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Kiho school's debates on Ki Jung-jin's 'Napryangsaeui' , which was published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relation to the transition of Horak debate since 19th century. It was examined that the arguments of Jun-woo's, who firstly criticised 'Napryangsaeui', and Ki Jung-Jin's disciples, who counter-criticised Jun-woo's criticism. And especially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phenomenon world, which was the main debate topic, was investigated in priority. Moreover, by paying attention to the Kiho school's standpoints and attitudes on the debate, this author analysed the changes of the academic views on Horak debate of each schools by way of trial.

      • KCI등재

        호락논변의 연구 성과와 전망

        김승영 영남퇴계학연구원 2020 퇴계학논집 Vol.- No.26

        This thesis deals with achievements of Horak Debate and predicts the future of the task. Aggressively, it can be summed up in three key issues for Horak Debate. First, ‘Debate on Human Nature’, whether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are the same or different, and the question of what is the essential of human mind. Second, ‘Debate on Mibalsimchesunseonron’, whether human has good and evil at the same time. Lastly, ‘Seongbeomshimdongie’, what is the essential difference in the minds of saint and commoner. Analyzing on the issue of ‘Inmulseongdongie’, it is meaningful that the exploration of human nature has been set as a major theme. In depth analysis of human nature leads to study achievements. It shows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argument type as studying with ‘benxin’ and ‘temper’, ‘individual’ and ‘others’. The study of good and evil defines it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belief of pure sorority and the belief of pan-moralism. These studies have found what theoretical association is related with the system of Mibal. Based on overall existing studies, Horak Debate has been accumulated to study a lot since 2000. It disproves that not only increasing the quantities of study, but also improving the qualities of it. Many researchers develop their own logic to get to the core of argument and detail oriented. While the previous majority study had comprehensive views of argument, the following study is expected that more precise expanded to the details. Besides these expectations, there is issue of originality or identity that an essential exploration of argumentation. 이 글은 호락논변의 연구 성과를 조명하고 앞으로 과제를 전망하는데 목적이 있다. 호락논변의 핵심적인 쟁점을 거칠게 말해서 세 가지로 압축할 수 있는데, 첫째로 인간의 본성과 동물의 본성이 같은가 다른가라는 ‘인물성동이논변’, 인간 마음의 본질은 무엇인가라는 질문, 곧 사람의 마음에 선과 악이 동시에 있는가를 따지는 ‘미발심체유선악논변’, 그리고 성인과 범인의 마음에 있어서 본질적 차이가 무엇인가라는 ‘성범심동이논변’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인물성동이 문제에 관한 연구를 분석해보면, 인간본성에 대한 탐구를 논변의 주요 주제로 설정하여 탐색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인간의 본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연구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본심’과 ‘기질’, ‘개인’과 ‘타자’ 등으로 대비시켜 연구한 것이 논변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다. 미발시 선악의 문제에 관한 연구는 순수도덕주의의 신념과 법도덕주의 신념의 차이로 규정하기도 한다. 이러한 연구는 미발논변의 체계와 이론적으로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가를 밝혔다고 볼 수 있다. 기존 연구들을 종합해볼 때, 호락논변에 대한 연구가 2000년 이후에 많이 축적되어가고 있다. 그만큼 연구의 양이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연구의 질도 향상되었다는 것을 반증한다. 많은 연구자들이 논변의 핵심을 파악하기 위해 나름의 논리를 계발하고 논지를 전개하는데 있어서도 치밀함을 보여주고 있다. 기존의 연구가 논변의 포괄적인 조망이 다수였다면, 앞으로 연구는 논변의 쟁점에 대한 세밀한 부분까지 확대되어 정밀한 연구들이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栗谷 學脈의 修養論에 관한 硏究 : 栗谷․巍巖․南塘을 中心으로

        이천승 한국유교학회 2009 유교사상문화연구 Vol.35 No.-

        This articl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ry of self-culture, combines the opinions of Yulgok, one of the greatest scholars of Sung Confucianism in Chosun Dynasty with main issues of the Horak argument (argument of whether the original nature of human beings and beasts are same or not) which had developed from his school and has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ultimate goals of then Confucian scholars and their methods for mental culture. First, I look for why Yulgok paid a special attention to [intention], a mental state, being before a practical judgment in a daily life and methods to change his or her disposition for the recovery of the original nature. The attitude of pursuing moral consciousness with sincerity emphasized the self-control efforts that put a wrong state of temperament on a right place. And along with this, he also adopted a double standard in order to invigorate the natural state like a great morale, depending on situation. Second, I examine meanings of subjects of issues which had been formed and discussed in the Korean Confucianism circle that also took over the opinions of Yulgok and different views around them. Discussions related to 'being dormant' that tries to embody pure moral consciousness in the theory of self-culture dealt by Confucianism scholars were a key subject, called Horak argument. Oiam stressed efforts to harmoniously build his or her right mind (differentiated from dignity) and nature, while Namdang emphasized regulation of spirits by saying that people cannot escape from a basis of disposition. Through the above study, it has been found that tries to integrate correction and stimulation, a method to change temperament, suggested by Yulgok were divided into two methods of the theory of mental culture through Horak argument. 이 논문은 수양론의 관점에서 조선 성리학의 한 축을 대변하는 율곡의 견해와 그의 학맥에서 진행된 호락논변의 주요쟁점들을 연관시켜, 당시 성리학자들의 지향점과 수양의 방법을 살펴보려는 의도에서 작성된 것이다. 먼저 율곡이 일상의 구체적 판단 이전의 심리상태인 의향[意]에 특별히 주목한 점과 본성의 회복을 위한 기질변화의 방법을 살펴보았다. 성실한 마음가짐으로 도덕의식을 지향하려는 자세는 가변적인 마음에 대한 성찰에서 나온 것이다. 율곡은 기질의 그릇된 상태를 교정하여 바로잡으려는 극기의 노력과 더불어, 상황에 따라서는 호연지기와 같은 본연의 상태를 보양하려는 이중적 잣대를 적용하였다. 다음으로 율곡의 견해를 계승하면서도 한국 성리학계의 쟁점을 형성하였던 논의들의 주제가 지니는 의미와 견해 차이를 검토해보았다. 성리학자들의 수양론에서 순수도덕의식을 체현하려는 미발과 관련된 논의는 호락논변으로 일컫어지는 핵심주제였다. 아울러 기질 혹은 기질지성을 미발상태의 순수의식에까지 연관시켜 볼 수 있는지 여부는 기존의 성리학 전반에 걸친 재검토의 계기가 되었다. 이를 통해 외암은 기품과 차별되는 본심 그리고 심성이 일치되는 함양의 노력을 앞세웠고, 반면에 남당은 기질이라는 토대를 벗어날 수 없는 현실을 강조하면서 기의 검속과 규제를 강조하였다. 이상을 통해 율곡이 聖學을 지향하면서 제시하였던 기질의 변화방법인 교정과 보양의 통합적 시도는 호락논변을 거치면서 두 방향의 수양론으로 나눠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바람직한 도덕적 인간상의 구현을 위해서는 내적인 함양을 통한 본심의 보존, 혹은 외적 규제를 통해 기질을 개선하고 성찰하려는 서로의 주장 속에 도덕적 인간다움의 의미를 묻는 전통지식인들의 절실함이 드러난다.

      • KCI등재

        蘆沙 奇正鎭의 人性物性論 - ­ 理分圓融에 기초한 湖洛 兩論의 비판적 지양 ­-

        박학래 동양고전학회 2019 東洋古典硏究 Vol.0 No.74

        This study systematically examines the academic position of 19th-century Kiho scholar Ki Jeongjin(pen name: Nosa, 1798~1879) on the Horak Debate. One of the six major neo-Confucian scholars in Korea, Ki devoted profound academic attention to the Horak Debate from his mid-forties until his death. He attempted to resolve the problems of the debate that were primarily caused by the successors of the Ho-ron(Chungcheong Theory) and Nak-ron(Seoul Theory) scholars, and aimed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reality correspondence measures. In order to investigate Ki’s discussion of human nature and the nature of things, this study reviews the works of the Kiho School of the 19th century with a focus on the problems of the Horak Debate, which emerged with the successors of the Ho-ron and Nak-ron scholars. This paper also explores the efforts of numerous scholars to overcome those problems. It determines that Ki’s discussion of human nature and the nature of things was a part of a conscious effort to recover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of the doctrines of Chu-tzu. Through a systematic analysis of Ki’s discussion of human nature and the nature of things,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 understanding of li(理: principle)-centered liyifenshu(理一分殊), this paper confirms that the discussion was about the integration of li(理) and fen(分). In addition, Ki’s criticism of the Ho-ron and Nak-ron’s discussions of human nature and the nature of things is also summarized and analyzed. Through an exploration of Ki’s discussion of human nature and the nature of things, it is concluded that Ki’s contributions were significant in that they explored the original academic characteristics of the doctrines of Chu-tzu from a new angle and added to academic efforts to sublate confrontation and conflict in the Kiho School. It is also determined that Ki’s discussion established a theoretical system that was able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the times by strengthening the neo-Confucian critical mind.

      • KCI등재

        The Horak Debate from the Reign of King Sukjong to King Sunjo

        이경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1 Korea Journal Vol.51 No.1

        The Horak debate was a philosophical discussion that originated among Noron scholars who aspired to refine the logic of Neo-Confucianism. The first round of this controversy took place in the early eighteenth century, a time in which the political and philosophical dominance of the Noron faction was widely recognized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Then, Song Si-yeol’s students, divided into those who established a presence in the capital city Hanseong and those who did so in Chungcheong-do province, began to express conflicting opinions regarding the conclusions of the controvers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mainly stemmed from the issue of correctly interpreting the logic of Neo-Confucianism, and such differences later caused divisions of several academic schools and political parties within the Noron faction. The second round of the Horak debate occurred during King Yeongjo’s reign. From the onset of his reign, Yeongjo consistently argued that politics and philosophy were two distinct fields, and such an emphasis contributed to the significant divergence between the Ho-ron and Nak-ron scholars 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a and politics. This time around, the Ho-ron group and the Nak-ron group each established its own identity as an academic school and began to criticize each other in a rather harsh manner in connection with political parties within the central government. Through the debate, philosophical differences evidently manifested themselves in the area of political ideology.

      • The Horak debates of the Joseon Neo-Confucianism - the substance of Mind (Sim 心) in the context of between Nature (Seong 性) and Principle (Ri 理)

        이해성(LEE Haesung) 중동유럽한국학회 2020 CEESOK Journal of Korean Studies Vol.1 No.1

        호락논쟁은 중국에서 태동한 성리학을 조선 특유의 양상으로 변형시켜 이를 더욱 발전시킨 철학적 사유 중 하나이다. 호락논쟁의 주요 쟁점은 사람과 사물의 본성을 같다고 보아야 하는가, 아니면 다르게 보아야 하는가에 관한 인물성동이론 (人物性同異論)과 성인과 일반인의 마음이 같은지 여부를 탐구하는 성범심동이론 (聖凡心同異論)이다. 이는 심(心)의 본질이 무엇인지 탐구하는 성(性)과 리(理) 사이의 관계에 속한 문제인 것이다. 이 논쟁은 역사적으로 당시 변화하고 있던 중화 명(明) 왕조의 몰락 이후 만주족 청(淸) 왕조의 강성이라는 동아시아의 국제질서에 기초하고 있기도 하다. 호락논쟁은 18세기 이후 조선 성리학 학맥을 배타적으로 강화시키는 데에도 큰 영향을 미쳤으며, 불행히도 이는 조선 사회를 보다 폐쇄적으로 몰아갔다.

      • KCI등재

        한주 이진상의 미발설

        이종우 열상고전연구회 2016 열상고전연구 Vol.49 No.-

        中庸 의 未發은 朱子에 이르러 수양론으로까지 전개되었고, 湖洛논쟁에 이르러 선악여부에 대한 논쟁으로 전개되었다. 그 후 寒洲 李震相은 심의 미발을 리의 靜이라고 주장하면서 호락논쟁의 당사자들이 그것을 氣의 靜이라고 여겼다고 하여 비판하였다. 또한 한주는 그 상태가 바로 지각이 어둡지 않으며 사려가 아직 싹트지 않은 상태라고 말한다. 그것은 주자가 『중용』의 미발을 思慮未萌과 知覺不昧라고 해석한 것에 영향을 받은 것이다. 그는 心卽理이므로 미발상태에서 순선하고 그것은 성인 뿐만 아니라 범인도 모두 그러한 상태가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주자는 성인과 범인이 모두 미발상태가 있다 말하기도 하고, 성인만 있다고 말하기도 한다. 이에 한주는 전자를 주자만년정설, 후자를 초기미정설이라고 해석한다. 그러나 주자는 성인과 범인에게 미발이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관심은 없었고 오히려 미발시 공부를 강조하였다. 훗날 호락논쟁에서 南塘과 巍巖이 성인과 범인의 미발시 선악여부에 대하여 논쟁을 벌였고, 한주가 그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그렇게 해석하였던 것이다. 한주가 미발을 순선하다고 말한 것은 호락논쟁의 巍巖과 상통하지만 전자는 리의 정, 후자는 기의 정이라고 여긴 것이 그와 다른 점이다. 한주는 未發 상태에서의 공부에서 戒懼를 강조하였을 뿐만 아니라 已發 상태에서의 공부에서도 그것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退溪는 계구를 미발 상태에서의 공부에 국한시켰고, 반면에 한주는 이발 상태에서의 공부까지 확장시켰던 것이다. Before Aroused of Mind is written in the Doctrine of the Mean, one of the Four Books. After that, Zhu Xi developed to theory of self-cultivation. After that, Horak debate between Neo-Confucian scholars of Joseon Dynasty developed whether pure good or, good and bad. Finally, Hanju Yi Jinsang argue quiet of li on Before Aroused of Mind and critique quiet of ki in Horak debate. He supposes that Before Aroused means quiet of li and ki immobile. This is perception dark, he say, and is influenced Zhu Xi, annotation on Before Aroused in the Doctrine of Mean. But Zhu interpret as perception dark and considering didn't arise about it. Hanju emphasize the perception because this is basis which mind is li. That is, the perception is basis which mind govern nature and feelings, and governing means li. Consequently, Before Aroused has pure good, both sage and person. But Zhu says they have Before Aroused or only sage has it. At the case, Hanju interpret resonable argument of Zhu on the former and not resonable argument him on the latter. But Zhu has not interest about it, meanwhile he has interest about the cultivation. After that, Oiam and Namdang, Horak debate, have interest about it. Thus, Hanju is influenced them. Hanju emphasizes cautiousness and apprehensiveness when mind has Before Aroused and After Interacts. But Toegye emphasizes cautiousness and apprehensiveness when mind has only Before Aroused. Consequently, Hanju extend Toegye's it.

      • KCI등재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the Discussion of Mibal in the Horak Debate of the Late Joseon Period

        이천승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1 Korea Journal Vol.51 No.1

        In the East Asian intellectual context emphasizing the unity between human and the nature, Neo-Confucian scholars of Joseon displayed a profound interest in accomplishing the moral state of pure good without evil. The discussion on mibal 未發(the state where thoughts and emotions have not been aroused)within the Horak debate asked whether humans, with all their thoughts and desires, can free their mind-hearts from the influences of their innate temperaments (gijil 氣質). This study examines how the mind-heart was interpreted in the framework of the li-qi theory (igi ron 理氣論) as illustrated by the debates between two Joseon Neo-Confucian scholars, Yi Gan and Han Won-jin. Yi Gan and other Nak-ron scholars asserted that the mind-heart was “pure” in mibal and could therefore be established as the legitimate moral agent connected to original nature (bonseong 本性). On the other hand, Ho-ron scholars, including Han Won-jin, argued that one must accept the presence of qi 氣in the mibal state even though qi does not function in such a state, because it is only through qi that li 理can be manifested in reality.

      • KCI등재

        백수(白水) 양응수(楊應秀)의 성리설과 18세기 낙론계에서의 반향(反響)

        유지웅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3 儒學硏究 Vol.63 No.-

        This paper examines and analyzes Yang Eungsu's Neo-Confucianism, a representative disciple of Yi Jae, while paying heed to the Nak School in the 18th century. By doing so, this paper reasonably identifies Yang's academic identity, which has not been studied in depth. Yang is not mentioned in the same way as his contemporaries Park Seongwon, Kim Wonhaeng and Lim Seongju in relation to the study of the Nak School in 18th century. However, Yang is a highly symbolic figure among Yi's disciples, especially considering that it was not possible to participate in the publication of Yi's writings unless one was very close to his teacher or had a high academic standing. This may explain his place in Cheonmun (泉門). Yang also maintained his identity as a member of the Nak School by presenting a critical view of the Ho School regarding the Horak controversy, which was a major concern of the scholarly community at the time, with most of Baeksujib (白水集) relating to Neo-Confucianism. He was also a faithful student of his teacher, summarizing the conclusion of Yi's theory of the mind as "the mind being made up two kinds of Qi (心有 二氣)." However, while Yang was identified as a the Nak School scholar, he also had an identity that diverged from the Nak School-centered position. For example, not only did he criticize the theory of consciousness of Kim Changhyeob, the master of the Nak School, but his way of arguing the key issues of the Horak controversy also varied from the mainstream of the Nak School. His academic position was controversial within the Nak School, and his alumni criticized Yang's theory as being the same as the Ho School. Therefore, it would be a limited understanding to view Yang’s theory solely in the context of his being a 'successor' to 'the theory of the Nak School'. Thu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a more accurate understanding of Yang's academic identity. Specifically, the study will focus on Yang's membership in the Nak School and the criticisms his alumni had regarding his theories on moral culture. Ultimately, the success of this study will shed light on why Yang is a noteworthy figure in regard to the diversity within the Nak School in the 18th century and help us to better understand his academic identity. 이 논문은 이재 문하의 대표적인 인물인 양응수의 성리설과 이에 대한 18세기 낙론계의 반응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그동안 피상적으로 다루어졌던 양응수의 학문적 정체성을 보다 합리적으로 결론 내리고자 한다. 18세기 기호 낙론계 연구와 관련하여 양응수는 동문이었던 박성원, 김원행, 임성주 등과 비교해 볼 때 의미 있게 다루어진 인물은 아니었다. 하지만 양응수는 이재문하에서 매우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 그는 도암집(陶菴集) 간행에 깊숙이 개입해스승의 유고를 정리, 편집하는 일을 주도하였으며 동문 중에서는 유일하게 1년간 스승의 시묘살이를 했다는 상징성도 있다. 이러한 사실들을 통해 볼 때 천문(泉門)에서의 양응수의 위상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양응수는 성리설에도 조예가 깊어 백수집(白水集)에는 대부분이 성리설과 관련된 것이며 당시 학계의 최대 관심이었던 호락논쟁의 주요 쟁점에 대해서도 호론을비판하는 일련의 글들을 발표하여 낙론계 일원으로서의 정체성도 유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재 심설의 종지를 ‘심유이기(心有二氣)’로 정리하는 등 스승을 충실히 계승한 제자의 역할 역시 자임하였다. 이렇듯 양응수는 천문에서 동문들과 함께 낙학의 여론을 주도한 인물이었으며, 백수집을 보더라도 학문적 성과가 매우 뚜렷한인물이었다. 그동안 학계에서 양응수에 대한 논의는 주로 낙론의 ‘계승’이라는 측면에만 주목하였다. 그는 분명 낙론계의 정체성을 유지하였지만, 낙론계 중심 학맥의 입장과는다른 정체성 역시 가지고 있었다. 대표적으로 그는 낙학의 종장이라 할 수 있는 김창협의 지각설을 비판하였을 뿐 아니라, 심유이기에 대한 해명에서도 낙론계 중심 학맥과는 다른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이러한 양응수의 학문적 입장이 낙론계 내부에서 논란이 되고 특히 동문들이 양응수의 성리설을 호론과 같다고 비판하는 것에서볼 때 그의 성리설을 단순히 ‘낙론’의 ‘계승’이라는 범주에서만 논의하는 것은 양응수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제한적인 이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양응수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해 합리적인 결론을 내리기 위한선행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로 낙론계 일원으로서 그의 정체성과 그의성리설에 대해 동문들이 가지고 있었던 비판과 문제의식이 무엇인지를 확인할 것이다. 이 연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18세기 낙론계 성리설의 다양성이라는 측면에서 왜 양응수라는 인물을 주목해야 하는지 그 이유를 찾음과 동시에 그의 학문적 정체성이 보다 명확해지는데 일정 부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