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대학재정지원사업의 효과성 분석: 사업효과, 펀딩효과, 그리고 탈락비용

        윤창근 한국행정학회 2018 韓國行政學報 Vol.52 No.1

        Since the 2000s,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carrying out various funding projects to improve the educational quality of higher education institutes (HEIs). This study analyzes whether and how a government funding project improves HEIs’ education quality by focusing on the formula funding project (대학교육역량강화사업).This study finds that the formula funding project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 quality indexes through the project effect and the funding effect. In other words, the competition among HEIs to receive the financial support from the formula funding project leads to an increase in their educational quality (project effect).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HEIs tend to selectively compete on indexes that have a low production cost or a high rate of return on investment. Meanwhile, HEIs that fail to get the financial support of the project still maintain investments to improve their education quality indexes and hope to be selected as a beneficiary in the next year. Unsupported HEIs improve their education quality indexes more than supported HEIs due to the high marginal production efficiency (funding effect). However, the funding effect does not occur in indexes in which it is difficult or too costly for unsupported HEIs to turn the tables on supported HEIs. This study also finds that in addition to the competition for acquiring limited resources, the cost of failing to get the financial support, such as internal criticism and loss of reputation, contributes to the building of a competitive structure in the formula funding proj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future government funding projects for HEIs. 2000년대 이후 정부는 대학의 교육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재정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포뮬러 펀딩 기반의 ‘대학교육역량강화사업’을 통해 정부의 대학 재정지원사업의 시행과 대학 교육역량 간의 인과 관계 및 재정지원사업이 어떻게 대학의 교육역량을 향상시키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르 면, 대학교육역량강화사업은 사업효과와 펀딩효과를 통해 대학의 교육역량 지표의 개선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업에 선정되어 예산을 지원받기 위한 대학 간 경쟁이 교육역량 강화로 이어진다(사업효과). 그러나 대학들은 대학교육역량강화사업이 제시하는 지표 중 생산비용이 낮거나 투입 대비 경쟁우위 효과가 높은 일부 지표에서 선택적으로 경쟁을 벌이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사업에서 탈락한 대학들은 차년도 선정을 위해 교육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를 유지하는데, 탈락 대학은 높은 한계생산 효율성 덕분에 선정 대학보다 지표개선 효과가 더 크다(펀딩효과). 그러나 펀딩효과는 역전이 어려운 지표 또는 비용이 많이 투입되는 지표에 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한정된 자원을 획득하기 위한 경쟁 외에 사업에서 탈락했을 때의 내부 비판 및평판 훼손 등의 탈락비용 역시 대학교육역량강화사업의 경쟁구조 구축에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대학재정지원사업의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방안을 구상하는데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 KCI등재

        지방정부의 고등교육 재정지원 현황과 영향요인 분석: 기초자치단체의 고등교육 재정지원사업을 중심으로

        박지윤 ( Ji Yoon Park ),조정래 ( Chung Lae Cho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4 地方行政硏究 Vol.28 No.4

        2000년 이후 지방정부는 다양한 형태의 고등교육 재정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지역인재양성과 지역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의 2012년 고등교육 재정지원사업을 대상으로 기초자치단체 고등교육 재정지원사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재정지원사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초자치단체 고등교육 재정지원사업은 대학교육 자체에 대한 지원이라기보다 관학(官學)협업(government-academia collaborative relationships)을 통해 주민복지와 지역발전을 도모하는 사업의 성격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등교육 재정지원사업 규모에 있어서 기초자치단체별로 상당한 차이가 나타났다. 기초자치단체별 사업규모의 차이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분석한 결과, 이웃정부 효과로 기초자치단체가 속한 광역자치단체의 평균 고등교육 재정지원 사업규모, 사회경제적 특성으로 주민의 교육수준, 대학 교육환경 특성으로 대학 수와 같은 조직외적 행정환경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Since 2000 Korean local governments have funded the higher education for human resource and regional development. This study explores the local governments` funding project for higher education and tries to find out the determinants of the budgetary level or proportion of the local government resources allocated for the funding project. For the analysis the 2012-year data of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s employ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ocal governments` funding projects put a heavy emphasis on the collaborative governmentacademia relationships. Second, with the collaborative relationships local governments intend to enhance citizen`s well-being and promote regional development. Third, across the local governments the budgetary levels of funding project for higher education considerably vary. Fourth, citizen`s education level and the number of university of the local governments, and neighboring governments have influences on the local governments` budgetary levels of funding project for higher education.

      • KCI등재후보

        An Analysis of Higher Education Policy: The Case of Government-Supported University Programs in South Korea

        한승환,김소민,서일원,권기석 아시아기술혁신학회 2018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Vol.7 No.2

        This paper examines government-supported university programs in South Korea over the last decade. To do this, we review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recent program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reafter, we draw some lessons and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supported university programs. The issues addressed include 1) low consensus amongst stakeholders in the higher education sector and top-down goal setting led by the government, 2) frequent reshuffling of the structures and contents of programs, 3) ineffectiveness due to redundancy of projects, 4) disparity between ‘haves’ and ‘have-nots’ in the higher education system, and 5) an inadequate evaluation system and assessment indicators. We suggest that government-supported programs should be re-aligned to stimulate the reform of higher education aimed at strengthening its publicness. The role of government needs to transit from ‘leading’ to ‘supporting’, while the universities should take initiatives in reforming the higher education system.

      • KCI등재

        An Analysis of Higher Education Policy: The Case of Government-Supported University Programs in South Korea

        Han, Seung-Hwan,Kim, Somin,Seo, Ilwon,Kwon, Ki-Seok Asian Society for Innovation and Policy 2018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Vol.7 No.2

        This paper examines government-supported university programs in South Korea over the last decade. To do this, we review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recent program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reafter, we draw some lessons and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supported university programs. The issues addressed include 1) low consensus amongst stakeholders in the higher education sector and top-down goal setting led by the government, 2) frequent reshuffling of the structures and contents of programs, 3) ineffectiveness due to redundancy of projects, 4) disparity between 'haves' and 'have-nots' in the higher education system, and 5) an inadequate evaluation system and assessment indicators. We suggest that government-supported programs should be realigned to stimulate the reform of higher education aimed at strengthening its publicness. The role of government needs to transit from 'leading' to 'supporting', while the universities should take initiatives in reforming the higher education system.

      • KCI등재

        일본 국립학교 특별회계의 성립과 전개에 관한 일고찰 : 국립대 법인화의 예비적 개혁으로서의 예산배분방식 개편을 중심으로

        이향철(Lee Hyang-Chul)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9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8 No.2

        이 연구는 흔히 이사회의 구성, 총장선출제도, 각종 심의기구 및 교수회의 역할 등 대학의 지배구조나 정치구조에 치중한 일본 국립대 법인화 논의에 대한 비판의 일환으로 재정재무의 측면에서 대학관리운영체제 개혁에 이르는 경위와 과정을 분석한 것이다. 일본의 국립대 법인화는 국립학교특별회계를 통한 모든 국립대학의 통합관리에서 국립대학의 자기수입과 여기에 연계된 일반회계의 재정지원을 재원으로 하는 개별 국립대학의 자체관리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재정위기의 심화로 국립학교특별회계 세입에서 일반회계 전입금이 감소하는 가운데 고등교육에 대한 사회경제적 요구가 복잡·다양해짐에 따라 국립학교특별회계 세출의 증대압력이 거세져 국가에 의한 모든 국립대학의 통합관리가 더 이상 불가능하게 된 구조가 존재했다. 이는 고도성장의 종언과 함께 1980-1990년대 고등교육예산의 중점적·차등적·경쟁적 배분으로 모순이 내공하다가 2000년 지배구조·정치구조의 개혁에 앞서 국립대 법인화의 예비적 개혁이라고 자리매김할 수 있는 적산교비제에서 기반교비제로의 극적인 전환으로 표출되었다. This paper is to study the adoption and development of the national universities fiscal scheme, the Special Account for National Schools(kokuritsu gakkō tokubetsu kaikei) 1964 to 2004 in Japan. The corporatization of Japanese national universities that had been a part of government administrations gave school authority, expanded autonomy and independence regarding budget and organization. It means replacing line item budgets of special account with block grant budgets of the general account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ity funding. The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is supposed to submit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six year-midterm goals and plans concerning education and research, the efficiency of the administrative operation, improvements to finances, self-evaluation, and disclosure of information.

      • KCI등재

        대학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 운영의 상징적 동조 현상에 대한 연구: 교수의 인식과 대응을 중심으로

        김다은,장덕호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6

        본 연구는 한국 대학에 급속히 확산된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이 실제 대학에서 어떻게 운영되는지를 교수의 인식과대응을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이 대학으로 유입된 국내외적맥락을 고찰하고, 교육과정 개편과정에 배태된 제도적․환경적 요인들과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교수의 인식및 대응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7개 대학 교수 9명을 심층 면담하였다. 연구 결과, 객관적 성과관리를 앞세운 대학재정지원사업으로 인하여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의미와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 확보가 학내에서 두루 실패하고있었다.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 과정에서 확산된 대학 내 무기력함은 교수들로 하여금 형식적 순응이라는전형적인 전략을 선택하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대학의 교육과정운영체계는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고유한모델링보다는 대체로 동형화적 패턴을 보였고, 대학 안팎의 형식주의적 양상은 정책 당국과 대학, 그리고 교수로이어지는 상징적 동조 현상을 발생시키며 더욱 강화되고 있었다. 이러한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을 매개로 발생하는연쇄적 상징 동조(serial symbolic conformity) 현상은 대학교육의 본질인 교육과정 변화를 꾀하는 정부의 대학혁신전략에 근본적 한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교육 개선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밝혔다.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operated in universities practically. To examine the institu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embedded in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he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professors from seven universities and their perceptions and confrontations were analyzed. Based on the interviews, the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cluded in the government-funded project tends to be operated in a managerial manner, and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the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not shared. The sense of helplessness has pervaded universities, leading professors to adopt a decoupling strategy. The curriculum of universities has become isomorphic, reinforcing a formalistic pattern that fosters symbolic conformity between the Ministry of Education, universities, and professors. This Serial Symbolic Conformity implies the fundamental limitations to the government's university innovation strategy. Based on the findings, suggestions for improving university education were made

      • KCI등재

        정부주도 대학평가의 쟁점과 과제: 박근혜정부를 중심으로

        이인수(Lee In Su),서경화(Seo Kyung Wha),강재혁(Kang Jae Hyeok),장아름(Jang Ah reum),윤기현(Yoon Ki hyun),이예슬(Lee Ye seul),김미란(Kim Mi ra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敎育問題硏究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nd to draw out the issues and the implications of systematic improvement based on the CK, ACE, LINC, BK, PRIME and university restructuring. In terms of evaluation objective, contents, method and utilization, The issues analysis of the governmental funding projects give the implication to systematic improvement of the governmental funding projects in higher education as follow. First, the objective of governmental funding projects in higher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to lead the whole university community to work out change and innovation. Second, the minimal standard of evaluation method and process should be established to decrease the evaluation burden and a new evaluation indicator should be developed to consider each university characteristics. Third, the evaluation process should be organized with long term point of view to support enough for the university itself to prepare the evaluation. Finally, an in-depth research on the evaluation utilization are needed to manage the achievement of the governmental funding projects in higher education and to develop the identity and the autonomy of university. 본 연구는 박근혜정부의 대학 특성화사업(CK),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ACE), 산학협력선도대학 사업(LINC), 두뇌한국 21 플러스 사업(BK21 PLUS), 산학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사업(PRIME) 및 대학구조개혁평가를 중심으로 정부주도 대학 평가의 쟁점과 과제를 논의하였다. 평가의 목표, 내용, 방법, 결과활용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목표의 수월성 의 관점 편중, 평가지표의 유사성으로 인한 수혜의 중복과 정성평가의 객관성 및 공정성에 관한 문제, 대학 구성원 간의 합의의 부재와 자금 위주의 정책수단의 한계점, 정부 대학평가의 효과성과 지속성 쟁점이 도출되었다. 쟁점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대학사회 전체의 변화와 혁신을 일으키는 방향으로 목표가 설정되어야 한다. 둘째, 각 사업의 특성과 대학의 유형을 반영한 차별화된 평가기준을 중심으로 선택지표를 개발해야한다. 셋째, 대학구성원들에게 적합한 합리적인 정책수단을 활용하여 정책 효과성을 높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대학의 정체성과 자생력을 길러주는 방향으로 결과가 활용되어야 한다.

      • KCI등재

        The Governance Reform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 Focused on Funding, Governance, and Regulation

        박정수(Jhungsoo Park) 서울행정학회 2004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15 No.1

        최근 전세계적으로 고등교육에 있어서 거버넌스의 유형이 변하고 있다. 지식기반사회가 진전됨에 따라 대학교육에 있어서 정부의 역할이 달라지고 정부와 대학간의 관계가 변하고 있는 것이다. 대학들이 보다 경쟁적인 체제로 움직이며 재원마련, 리더십, 그리고 규제정책에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의 모색이 한참이다. 한국 고등교육에 있어서 대학의 자율성 확대 과정에서 총학장선임, 학생정원책정, 학과 및 대학신설 등 여러부문에서 상당한 수준의 학원자치권을 정부로부터 쟁취했다. 과거에는 주로 행정적 통제에 의존하던 것이 최근에는 재정적 통제와 질적 수준 검토와 연계하는 등 간접적 통제에 의해 규제하는 거버넌스 구조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정부의 이러한 평가에 의한 차등지원 및 공식에 의한 총액지원은 대학간의 경쟁을 유발하고 있다. 국립대학의 경우 대학의 다양화 특성화의 모범을 보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행정과 재정적 측면에서 정부관료조직의 일환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 그리고 백화점식으로 획일화되어 있는 것은 국립대의 자율성을 크게 제약하고 있다. 따라서 국립대학에 총정원제, 총액예산제, 자율적 직제개편 등을 허용하고 대신 이사회와 대학평의회와 같은 열린 의사결정기구를 활성화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국립대학운영에 관한 특별법 등 관계법령의 정비도 시급한 과제이다. 사학의 경우도 공공성과 투명성을 확보하는 장치로 이사회구성과 운영방식의 개혁과 아울러 사립학교 회계제도의 투명성확보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이사회의 개방과 총장과 이사회의 견제와 균형원리의 적용, 그리고 교육부의 감독권의 전환이 필수과제로 지적되었다. 이제 정부는 대학교육에 있어서 시장과 경쟁의 역할을 직시하고 거버넌스의 새로운 시스템이 잘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과 제도적 개선에 앞장서야 한다. 규제의 질적 수준제고, 평가시스템의 정비, 그리고 재정지원의 개선이야말로 보호주의 및 직접적인 정부의 통제 대신 새로운 원칙하에 대학의 자율성과 책임을 확보하는 지름길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소규모 대학 특성화 추진전략과 성공요인 분석: 3개 대학 사례연구

        변기용,이석열,변수연,송인영,전수경 한국교육행정학회 2019 敎育行政學硏究 Vol.3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ecialization promotion strategies and success factors of small universitie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into small but strong universities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policy making. For this purpose, three research cases of small university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location, and academic backgrou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document analysis and interviews with key members of the universities.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ly, each case university could be defined as the wide trans-local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model, the horizontal specialization model serving the community, and the creative convergence talent training model of small university. Secondly, six common success factors were found: the existence and productive use of crisis awareness; forming an innovation and investment leadership group for the transition to a virtuous cycle; vision and strategy establishment; innovative system introduction and early creation·spreading of successful cases; systematic data collection and utilization; and the efficient use of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projects. Based on these findings, three key initiatives for fostering small but strong university were proposed: improving the constitution of the university for strengthening basic education; establishing an effective linkage system between the university and the community for win-win development; and policy supporting of linkage between universities to overcome the resource limitations of small univers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e types of success model according to various contexts faced by small and medium sized private universities, and suggests the policy directions for fostering small but strong universities. 본 논문은 소규모 대학이 강소대학으로 발전해 나가면서 보여준 특성화 추진전략과 성공요인을 분석하고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규모와 소재지, 학문계열을 고려한 3개의 소규모 대학을 연구 대상을 선정하였으며 대학과 관련된 문헌자료 분석과 대학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각 사례대학의 특성화 추진전략은 각각 초광역권 산학협력 모델, 지역사회에 봉사하는 수평적 특성화 모델, 소규모 대학형 창의융합인재 양성교육 모델로 정의될 수 있었다. 둘째, 사례대학에서 도출된 성공요인은 위기의식의 존재와 생산적 활용, 선순환 구조로의 전환을 위한 투자와 혁신 선도그룹 형성, 비전과 추진전략, 혁신적 제도 도입과 성공사례 조기 창출·확산, 체계적 데이터 수집과 활용, 그리고 정부재정지원사업의 효율적 활용 등 6가지로 요약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기초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의 체질개선, 상생 발전을 위한 대학과 지역사회 간 효과적 연계체제의 구축, 소규모 대학의 자원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학 간 연계 및 국가의 정책적 지원 등으로 3가지 핵심적 추진과제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중소규모 사립대학이 처해 있는 다양한 맥락에 따른 성공모델을 유형화하여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강소대학 육성을 위한 추진과제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자원의존론적 관점에서 학교기업지원사업의 운영 양상 탐색 연구

        장영호,장덕호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3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School-Based Enterprise system and diagnose the causes and patterns of resource-dependence of School-Based Enterprise support projects in terms of organizational theory. To this ends, three rounds of FGI were conducted with field stakeholders (professors, practitioners) who have operated school-based enterprises and participated in support projects and experts who have conducted related researc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gulatory laws and systems underlying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school-based enterprise hindered its stable operation. In addition, the goals set for the organization were higher than the capacity of the organization, which caused considerable burden on school-based enterprises. In addition, the school-based enterprise support project provided essential resources for the operation of the organization, but the performance indicators and selection and evaluation methods added to the burden of school-based enterprises. Overall the above factors hindered the activities of school-based enterprises preventing them from achieving internal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growth as a unique enterpris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suggested that regulatory reform of the school-based enterprise system should be carried out to realize the transformation of entrepreneurial universities and achievement of university innovation and that performance indicators should be improved and step-by-step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prevent the problem of resource dependence in higher education financial support pro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