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민지시기 한시 작가로서의 崔益翰 -연작체 만시 哭兒二十五絶을 중심으로

        한영규 ( Young Gyu Han ) 반교어문학회 2012 泮橋語文硏究 Vol.0 No.33

        이 논문은 그동안 사회주의 사상을 가진 국학자로 평가 받아온 최익한(1897~1957이후)을 식민지시기 한시 작가의 한 사람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그는 그동안 홍명희, 변영만, 정인보와 더불어 식민지시기를 대표하는 논객이자 문필가로 평가받았다. 특히 그의 『실학파와 정다산』이라는 저술은 남북한 학계에서 실학 연구의 고전적 노작으로 손꼽힌다. 최익한을 비롯한 네 사람은 모두한문을 제1의 문어로 지녔던 이들로서, 신문·잡지 등 근대매체에 직간접으로 참여하여 국문으로도 많은 저술을 남겼다는 점에서도 공통된다. 즉 전통적 한학소양을 담지한 채, 국문으로 근대적 문필 활동도 아울러 전개했던 통섭적 지식인들이었다. 최익한은 면우 곽종석의 고제로서 후일 일본 유학을 거치며 사회주의 운동가로 전환적인 삶을 살았다. 그러나 그는 한문 전통에 대해, 그 역사적 한계성을 지적하면서도 또 동시에 전통을 이해해야 한다는 입장을 지녔다. 그가 이룩한 실학파와 정다산 연구 결과는 이러한 자세의 산물이었다. 즉 그는 "새로운 창조를 위해서 먼저 전통을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입장을 지녔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옥사한 장남 최재소를 읊은 연작체의 곡아(哭兒) 시를 새롭게 주목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최익한은 이 한시에서 자식을 잃은아비로서의 개인적 슬픔을 곡진하게 토론하여 한 편의 애도시로서 높은 성취를 달성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애도의 정감은 개인적 차원의 슬픔을 표현하는 차원을 넘어, 피압박 식민지지식인이 겪어야 하는 울분과 독립에의 열망을 매우 전중(典重)하게 형상화하는 지평으로 나아갔다. 즉 이 곡아 시 25수는 1930년대를 대표하는 민족적 서정이면서, 동시에 식민지시기 한문학의 주요 성과라 할만하다. 요컨대 최익한의 만시는 1930년대의 한시가 식민지 현실에 대응하며 서정 장르로서 그 역할을 감당하고 있었다는 표징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Choe Ik-hwan (1897~1957) as a chief representative Chinese classic poet in the colonial period though he has so far been considered as a scholar in Korean studies who was engaged in the socialist philosophy. He has thus far been recognized as a representative controversialist and author in parallel with Hong Myeong-hi, Byeon Yeong-man, and Jeong In-bo. In particular, one of his writings, The Silhak School and Jeong Dasan, distinguishes itself as a classical contribution to the study in Silhak in both South and North Korea. Choe Ik-hwan, as well as the other three figures, was a person who had Chinese Classic as his first written language, and they were similar in thatthey left many writings in Korean as they directly or indirectly participated in modern media like newspapers and magazines. In other words, they were interdisciplinary intellectuals who were engaged in modern authoring activities in Korean while maintaining their merits in traditional Chinese classics. This paper pays novel attention to and intensively analyzes his poem, Gok-A ``A Crying Child,`` in which he sang his eldest son who had died in prison. Choe had a remarkable achievement in this work as a mourning poem by sincerely expressing his personal grief as a father who had lost his son. However, this sentiment of mourning proceeded to such a horizon that it very canonically illustrated a repressed colonial intellectual`s resentment and desire for independence. In other words, this poem, Gok-Aconsisting of 25 sections, is a representative national lyric in the 1930`s, and at the same time can be evaluated as a poetic work that can represent the Chinese classics in the colonial period. In sum, Choe`s mourning poem is an important token that says Chinese classic poetry played a role as a lyric genre that coped with the colonial realities in the 1930`s.

      • KCI등재

        「상춘곡(賞春曲)」의 작자(作者)에 대한 고찰(考察)

        양희찬 ( Hee Chan Yang ) 민족어문학회 2012 어문논집 Vol.- No.65

        이 논문의 결론은 「賞春曲」의 작자를 不憂軒 丁克仁이라고 인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정극인의 저술들에 반영된 작자 성격과, 「상춘곡」에 나타난 話者 성격이 동질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정극인은 평생 동안 임금을 도와 治世하는 것에 관심을 두었고, 은퇴 후에도 임금의 은총을 거듭 받았음을 그의 저술에 표현하였다. 그리고 권력욕과 관련된 정치적 갈등이 정극인에게는 전혀 없었다. 그런 반면에 「상춘곡」의 화자는 벼슬살이를 하였다면, 다른 벼슬아치들의 모함을 받았거나 어떤 사건을 계기로 벼슬에서 물러났거나 쫓겨난 인물로 추정된다. 이 화자는 제도권 밖에서 사는 것에 스스로 만족할 뿐, 벼슬살이에 대한 관심이 전혀 없다. 그리고 작품에는 임금과 치세에 대한 언급도 전혀 없다. 이 비교를 통하여 「상춘곡」의 작자를 정극인이라고 인정하기는 어려운 것이다. 이 결론을 위하여 정극인이 벼슬하고 벼슬하지 않는 동안 이 두 생활 처지와 인식이 저술들 속에 반영된 국면들을 면밀하게 살피고 서로 비교하면서 확인하였다. 남은 또 하나의 검토 작업은 이미 제기된 다른 작자(李명)에 대한 검토를 위하여 「賞春曲」과 「逸民歌」의 세밀한 비교 고찰이 있어야 할 것이다. Conclusion of the study is that it`s hard to accept Geuk-in Jung as the author of Sang Choon Gok. The reason is that his character reflected in his works is not same with a teller`s in Sang Choon Gok. In his works, he expressed that he was interested in reign with helping a king for his whole life, and after retirement he won the king`s favor repeatedly. Also, he never had political conflicts such as a desire for power. On the contrary, if the teller of Sang Choon Gok is presumed as the man who was in government service, he might be entrapped by other government officials or expelled because of some happening. The teller is satisfied with himself living out of the range and he is not interested in government service at all. In addition, in this work, there is no mention about reign with king. Through this comparison, we can find that it is difficult to admit the fact that the author of Sang Choon Gok is Jung, Geuk-in. I inspected closely, compared and checked conditions in his writing which reflect the two life positions and recognitions during the time Jung Geuk-in was taking up a public office and not. As another left work which should be considered, there should be close comparison study on Sang Choon Gok and Il Min Ga for examination of the other author(Myung Lee) who is already suggested.

      • KCI등재

        몽골에 대한 고려의 ‘貢女’ 양상과 배경

        이명미 연세사학연구회 2023 學林 Vol.52 No.-

        李穀이 원 御史臺를 대신해서 쓴 상서문 「請破取童女書」는 당시 원의 사신들이 황제의 명으로, 혹은 황제의 명을 칭탁해 고려에서 동녀를 데리고 가서 궁 안에 두거나 사신 개인의 잇속을 챙기는 것을 금해줄 것을 요청한 글이다. 이 글은 이 시기 공녀의 상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서, ‘몽골과의 관계 내내 몽골의 요구로 고려 여성들이 끌려가서 비참한 삶을 살았다’라고 하는, ‘공녀’와 관련한 서사가 구축되는 데에 바탕이 되었다. 그러나 이 글은 원 조정에 대한 요청이라는 목적을 갖는 글이기에 ‘공녀’에대한 모든 사실을 전하고 있지는 않으며, 따라서 그에 기반한 공녀 관련 서사 또한 편향성을 갖는다. 이에 연대기 자료에 보이는 공녀 관련 기록을 모아 그 양상과 추이를 살펴보면, 달리 볼 수 있는 부분이 있다. 첫째, 몽골 측의 요구에 따라 동녀 선발 및 몽골행이 이루어지는 사례는 시기별로 그 양상에 큰 차이가 확인된다. 몽골은 전쟁을 수행하던 시기인 1270년대 중반, 군사의 처를 구하기 위해 고려에서 ‘남편이 없는 여성’들을 대거 동원한 바 있으나, 이러한 유형의 ‘공녀’는 몽골에서 정복전이 종식된 후로는 더 확인되지 않는다. 이곡이 언급하고 있는 바와 같은 유형의 ‘공녀’ 사례가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하는 것은 1307년에 이르러서이다. 이때는 武宗 카이샨이 제위 계승 분쟁을 거쳐 황제위에 오르고 고려에서도 그를 지지했던 충선왕이 복권하는 시점으로, 정황상 무종이 즉위 과정에서 자신의 기반이 되어준 세력에 대한 賜與 차원에서 고려 良家의 여성을 동원한 데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무종 즉위에 공을 세웠던 충선왕의 역할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둘째, 고려 측, 정확히는 고려국왕의 정치적 이해관계 속에서 이루어진 사례가 다수 확인된다. 이는 이곡의 글에서는 자세하게 언급하지 않은 ‘공녀’ 유형으로, 1298년 충렬왕과 충선왕의 重祚 정국 및 충렬왕 복위 후 양왕 세력 간 정쟁 상황 등 여러 정치적 분쟁 상황에서 확인되며, 이후 공민왕 대까지 이어진다. 몽골과의 관계 속에서 행해진 ‘공녀’의 양상이 보여주는 시기별 추이 및 복합적 배경에 대한 검토 결과는 ‘공녀’의 배경이 되는 고려-몽골 관계를 딱히 몽골의 압제 및 간섭과 고려의 저항이라는 이분법적 관점에서만 볼 수 없음을 드러낸다. Lee Gok(李穀)’s ‘article asking for a ban on taking young Goryeo women(請破取 童女書)’ is an important source for understanding the situation of ‘Gongnyeo(貢女)’ during this period, and provided the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a narrative related to ‘Gongnyeo’ that “Goryeo women were dragged to live miserable lives at the request of the Mongol empire throughout this period.” However, this article does not convey all the facts about the ‘Gongnyeo’ and the narrative related to the ‘Gongnyeo’ based on it also has bias. In this study, I collected records related to ‘Gongnyeo’ shown in chronological data and examined the patterns and trends, and there were parts that could be viewed differently from the existing understandings. First, it was not until 1307 that the case of the same type of ‘Gongnyeo’ as mentioned in Lee Gok’s article began to appear. This is the time when Mujong(武宗) Qaishan ascended the throne and King Chungseon(忠宣王), who supported Qaishan, was regained power in Goryeo. Second, a number of cases of ‘Gongnyeo’ made in the political interests of the Goryeo Kings are identified in various political disputes, including the political disputes between King Chungnyeol and King Chungseon in 1298 etc and continued until King Gongmin(恭愍王)’s reign. The review results of the period-specific trends and complex backgrounds of the ‘Gongnyeo’ reveal that the Goryeo-Mongol relationship, which is the background of the ‘Gongnyeo’ cannot be seen only from a dichotomy of the Mongol empire’s oppression, interference, and resistance of the Goryeo dynasty.

      • KCI등재

        『谷耘公紀行錄』에 나타난 權馥의 기록의식 연구- 『南游錄』과 『嶠南日錄』의 비교를 중심으로 -

        김영주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2 남명학연구 Vol.76 No.-

        본 연구는 谷耘 權馥의 가계에 대한 탐색과 함께 『谷耘公紀行錄』에 수록된 『南游錄』과 『嶠南日錄』의 비교를 통한 그의 기록의식의 일단을 분석하고자 기획되었다. 연구 결과로, 권복의 가계는 권익문 때부터 박세채와 윤증, 박태보, 이덕수, 조귀명, 홍량호, 이유원 등의 소론계의 학맥에 잇닿아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들의 관계는 임무 수행을 함께 하는 단순한 동료 관계를 넘어 학문, 혼인 등을 통해 공고한 관계성을 유지하였다. 특히 홍량호는 권씨 삼대와 40여 년에 걸쳐 긴밀한 교유를 맺었다. 구성과 내용면에서 『남유록』과 『교남일록』은 모두 기행록으로서의 기본 요소들이 구현되어 있었다. 그러나 경시관이라는 특수직의 공무상 출장이었기에 일반 여행 기록과는 다른 몇 가지 기록방식의 변화가 파악되었다. 첫째, 별도의 소제목을 마련하여 각각에 부응하는 내용을 구분하여 서술함으로써 동일한 여행 경험 속에서 공적기록과 사적인 기록을 구분하고자 하였다. 둘째, 매일의 기술 과정에서 특정 요소들의 반복을 통하여 기행록의 형식을 정형화하였다는 점이다. ‘遞馬・秣馬・支應・出站・來見・入・書問・問安’ 등과 같은 각 지역의 관청과 연계된 공무상의 지원이나 지방관들과의 접견이나 만남 등을 반복하여 기재함으로써 사적인 유람의 자유로움과 감성, 또는 유상의 기록과 차별화하려는 노력과 함께 이 책의 문화지리지로서의 가치를 읽을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금옥총부(金玉叢部)』의 연행 교본적 성격과 가곡사적 위상

        허왕욱 청람어문교육학회 2004 청람어문교육 Vol.29 No.-

        이 글은 안민영의 『금옥총부』가 지니는 연행 교본적 성격과 가곡사적 위상을 밝히고, 그 속에서 그가 이룬 문학적 성취의 의미를 고찰한 연구이다. 필자는 안민영이 국가적인 진연과 집권층의 개인적인 연회에 소용될 가곡 연행을 위해 석파와 우석의 후원을 받으며 전국적으로 기녀를 차출하고 그들에게 창곡을 가르쳤다고 본다. 나아가 안민영은 기녀들을 교육할 창곡을 스스로 만들어냈는데, 그 과정에서 『금옥총부』가 편찬된 것으로 본다. 이 가집의 가곡사적 위상은 19세기 후반에 가창된 가곡의 실제를 가장 사실적으로 반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중대엽 체제와 만횡 곡조의 소멸, 다양한 변주음의 생성을 그대로 반영하면서 전체적인 창곡의 틀 속에 새로운 사설을 창작하여 얹었다는 점은 실제 가창 을 염두에 두고 찬집된 연행 교본의 성격을 잘 보여준다. 『금옥총부』에는 왕실 송축시를 비롯하여 자신의 풍류 생활을 서술한 시조와 찬기 시조가 세 부류의 주제군을 이루고 있다. 이 내용들은 다소 이질적인 내용이기는 하나, 고급 연행 문화 속에서 별개의 것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특히 찬기 시조는 가곡 연행과 관련하여 기녀들에게 진연 가창에 참여할 동기를 형성하는 역할도 담당했으니, 가창의 실제에 따라 작품을 볼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aims to clarify the character of workbook 『Gyeumokchongbu(金玉叢部)』 produced by An, min-yeong(安玟英)'s. This workbook was a textbook for singers, official Gi-saeng(妓女) who sung a Ga-gok(歌曲) in a feast of palace. This workbook introduced singers to high-class vocal music, and made them sing a Ga-gok fluently. Great feasts was held on the courtyard of royal palace in the Jo-syeon dynasty. Jagagwon(掌樂院) had a charge of these feasts. But there were not special singers or directors. Therefore a royal family needed special singers and director could take a charge to sing a Ga-gok in the feasts of palace. An, min-yeong was a director responded to these needs. Especially, he drafted singers from the whole country with supporting of authority. He produced lyric lines fit with rhyme, and taught singers method of sing a Ga-gok works. In this situation, 『Gyeumokchongbu』 was produced. As a result, this workbook could contain aspects of great feast, and reflect real recital practice in those days.

      • KCI등재

        하곡(霞谷) 역학(易學)의 특징

        천병돈(Byung-don Chun) 한국양명학회 2007 陽明學 Vol.0 No.18

        본 논문은 하나의 주제에 관심을 가졌던 기존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하곡의 ‘역학관’을 살펴보고자 한다. 역학은 크게 의리역(義理易)과 상수역(象數易)으로 구분된다. 하곡은 상수역 부분에서는 전문 저서를 지었다. 그것이 바로 『하락역상(河洛易象)』 이다. 이 책은 송대(宋代) 유행하는 도서학(圖書學)에 속한다. 『주역』에 대한 하곡의 해석은 의리역(義理易)에 속한다. 본 논문은 의리역 관점에서 히곡의 역학관(易學觀)을 논하는데 중점을 둔다. 하곡 철학의 핵심은 ‘심학(心學)’이다. 하곡은 『역전』을 이해함에 있어서 시종일관 자신의 철학 즉 심학을 근거로 한다. 이를 근거로 할 때, 경전(經典)에 대한 하곡의 이해 또한 심학이 그 기저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하곡집』을 통해 살펴본 『역전』에 대한 하곡의 견해는 디음과 같다. 첫째, 심학(心學)을 바탕으로 『역전」을 이해한다. 형이상(形而上)의 도(道)를 설명하는 『역전』의 구절이 하곡에 이르러서는 심체(心體)를 형용하는 것으로 전환된다. 둘째, 체용일원(體用一源)적 관점이다. 이러한 관점은 정명도(程明道)와 유사하다. 셋째, 존덕성(尊德性)적 공부론으로 『역전』을 해석한다. 이상과 같은 하곡의 역학관(易學觀)은 성리학적 역학 일색인 조선역학(朝鮮易學)에 새로운 관점 즉 심즉리(心卽理)적 역학관을 제시하고 있으며, 아울러 이러한 관점은 조선역학에 있어서 유일무이한 견해다. 하곡의 이러한 역학관은 주자역학 일변도의 역학 해석에 양명학적 역학의 전형을 보여주는 기준이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Ha-gok's a view of I-Ching. The study of I-Ching divide Yi-li-I(義理易) and Hsiang-shu-I(象數易). About to I-Ching of Ha-gok's exposition is Yi-li-I(義理易). The kernel of the Ha-gok's Philosophy is study of Mind. About to I-Ching Ha-gok's comprehension first and last base of his Philosophy. On the authority of the this theory, Ha-gok's a view of the sacred book also base of study of Mind. By the medium of the A collection of Ha-gok Works(霞谷集) see over about to I-Ching Ha-gok's opinion is equal to next. First, On the base of Study of Mind understand I-Ching. Explanation Metaphysical Tao(道) paragraph In I-Ching, in Ha-gok change of describe The Mind(心體). Second, A point of view ‘Che and Yong equated(體用一源).’ Third, By means of Honoring The Moral nature(尊德性) interpreted I-Ching. Ha-gok's I-Ching point bring up a new point of view Mind is Li(心卽理) about I-Ching. And This point of view is unique in Joseon I-Ching(朝鮮易學). Ha-gok's I Ching point show The study of Yang-ming's(陽明學) I-Ching(易學) in absolutely for Chu-hi's I-Ching(朱子易學).

      • KCI등재후보

        보천교의 고천제와 ‘교단 공개’

        안후상(An Hu-Sang)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9 한국종교 Vol.45 No.-

        보천교(普天敎)는 경상남도 함양군의 대황산록(大皇山麓)과 황석산(黃石山)에서 각각 하늘에 고(告)하는 제(祭)를 지냈다. 1919년 음력 9월에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池谷面) 덕암리(德庵里)의 대황산록에서 24방주제를 60방주제로 확대, 개편하는 고천제를 지냈다. 1921년 음력 9월에는 경상남도 함양군 서하면(西下面)과 안의면(安義面)에 걸쳐있는 황석산(黃石山)에서 ‘시(時)’라는 국호(國號)와 ‘보화(普化)’라는 교명(敎名)을 고천(告天)하였다. 이때부터 차월곡이 천자(天子)로 등극하였다는 ‘천자등극설’이 널리 퍼졌다. 고천제 즈음해서 일제는 종교선도주의(宗敎善導主義)에 입각하여 비밀결사적인 보천교를 세간에 드러나게 해 통제하겠다는 취지에서 보천교의 공개를 집요하게 요구하였다. 교단 공개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탄압은 물론이고, 후천선경 신정부건설운동의 정점이 되는 고천제(告天祭)의 개최도 장담할 수가 없었다. 이때 차월곡은 교조직의 공개와 고천제 모두를 선택하였다. 그런데 자세히 들여다보면, 교조직의 공개라는 선택에는 고천제의 개최가 담보돼 있었다. ‘고천제는 천자 등극식’이라는 풍설은 당시 민중의 새 왕조 개창 또는 후천선경신정부 건설이라는 염원을 갖게 하였다. 즉 고천제는 보천교라는 새로운 가능성에 힘입은 채 예언이나 풍설로 재생산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풍설은 정감록』과 ‘강증산의 예언’이 바탕이 되어 만들어진 종교적 교의(敎義)이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당시의 민중이나 일제는 후천선경의 신정부 건설운동을 한국의 독립과 새로운 정부 수립 등의 민족운동의 관점에서 바라다보았다. 고천제와 보천교의 공개로 인해 나타난 보천교에 대한 대외적인 인식은 다음 두 가지가 있다. 첫째, 일제와 언론, 그리고 교단 밖 지식인들에게 보천교는 ‘유사종교 또는 사이비종교’로 각인되었다. 특히 신문과 잡지는 물론이고, 당시 민족주의자들까지 보천교 비난에 가세하였다. 이는 가장 민족주의적인 방법으로 한국에서의 새로운 정부 수립 운동을 기도한 보천교를 민족주의자들이 부정한, 특이한 사건이다. 둘째, 회유 당시의 약속과는 달리, 일제는 보천교의 분열을 획책하였다. 아울러 노골적인 강경 일변도의 탄압도 늦추지 않았다. 급기야 보천교는 보수와 혁신으로 갈라서게 되었고, 이러한 분란은 또 다른 분란을 야기하면서 보천교는 무력화돼 갔다. 보수와 혁신 세력 간의 다툼이 본격화된 것은 《시대일보》 인수로 인한 분란이었지만, 그 분란의 배경에는 ‘보천교 공개’가 있었다. Bocheonism (Poch’ŏn’gyo; 普天敎) engaged in rituals whereby avowals were made to the heavens both at the foot of Mt. Daehwang-san and Mt. Hwangseok-san in Hamyang-gun, Gyeongsang-namdo. In September 1919 based on the lunar calendar, Gochun-je, a service whereby avowals were made to the heavens, was held to expand and reorganize the 24 Bangjooje system into the 60 Bangjooje system at the foot of Mt. Daehwang-san in Deokam-ri, Jigok-myeon, Hamyang-gun, Gyeongsang-namdo. In September 1921 based on the lunar calendar , the country name of ‘Si (時)’ and the religious name of ‘Bohwa’ were declared to the heavens at Mt. Hwangseok-san that encompasses Seoha-myeon and Anui-myeon, Hamyang-gun, Gyeongsang-namdo. From that time, the ‘Chonja-deunggeuk-seol,’ a story in which Cha Wol-gok was crowned as an emperor, was disseminated. Around the time when Gocheon services were held, the Japanese government persistently requested Bocheonism to be opened up to the public with the intention of controlling it based on the principle that religions were to be managed and guided. Unless the religious society opened itself up, it could not be guaranteed that the Gocheon service as a core element in the project of establishing a new government for the paradise of the Later Day would be held. At that time, Cha Wol-gok chose both to open the religious organization up to the public and to hold the Gocheon service. Carefully looking into this matter, the choice to open the religious society up to the public guaranteed that the Gocheon service could be held. The rumor that the ‘Gocheon service was a ceremony for the emperor to be crowned’ gave people hope that a new dynasty or a new government would be founded. That is, the Gocheon service was reproduced into a prophecy or rumor empowered with the new potential of Bocheonism. The rumor referred to a religious doctrine based on the Jeonggam-rok and the ‘prophecy of Kang Jeungsan.’ However, at that time, the public or the Japanese government looked upon the establishing project of a new government as a manifestation of a desire for Korea"s independence or the establishment of a new government. There were two external views regarding Bocheonism that appeared based on it’s opening up and the Gocheon service itself: First, the Japanese government, the press and intellectuals outside of the Order considered Bocheonism to be a pseudo religion. In particular, even nationalists as well as newspapers and magazines criticized it. It was a unusual situation whereby nationalists were against Bocheonism that intended to lead the project for establishing a new government in Korea that was characterized by a strong sense of nationalism. Second, unlike the promise at the time when there was some kind of reconciliation, the Japanese government schemed and plotted to divide Bocheonism. In addition, the government attempted to blatantly oppress it. Eventually, Bocheonism was spilt into conservative and reformist wings, which caused another spilt, and it became enfeebled. The struggle between the conservative and reformist factions became serious in a dispute over ownership of a newspaper, the Sidaeilbo, but the fundamental reason why Bocheonism became divided and emasculated was the opening up of this religious organization.

      • KCI등재

        하곡의 양지론과 다산의 영지론

        전성건 한국양명학회 2019 陽明學 Vol.0 No.5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mpare Ha-gok’s theory of the innate moral wisdom with Dasan’s theory of the spiritual heart-mind. First, they all complete their own philosophical system, presenting problems of neo-confucianism. Ha-gok makes it clear that exploring and maximizing knowledge about natural laws cannot be a fundamental learning, and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maximize the practice of the innate moral wisdom. This takes into account the directness of moral conduct by securing what is called innate goodness. The innate moral wisdom, which was mentioned here, can be said to Ha-gok to be the so-called life principle. Dasan, on the other hand, stresses that the proposition of human nature, which is characterized by its nature as a natural laws, should be understood by replacing it with the term of a preference. The reason for replacing nature with a preference is his philosophical decision to replace the heart-mind with the spiritual heart-mind. The subject matter regards natural principles as the most important concept, and this should enable the heart-mind to exercise its full potential in its moral nature, with an emphasis on internal discipline that governs its own heart-mind. Dasan, however, tried to devalue it as a non-permanent. It also negates the proposition of the subject that the human heart-mind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nature and energy, and sets the proposition that it consists of a sense of spirituality and a tangible substance, thereby clearly distinguishing the soul from the body. As such, both Da-san and Ha-gok deny the topics of subject matter in the neo-confucianism. And they are all concerned about the sanctity of the heart-mind rather than about it. It is criticizing Zhu-xi’s lifelong suspension of studies. However, their academic positions are not the same. In theory, Zhu-xi’s distance from that of Da-san’s metaphysics is much more different than Ha-gok studies. To put it mildly, both the nature-principle theory and the mind-principle theory are described in terms of metaphysical theory, but a preference theory is described in terms of phenomenon theory. 이 글은 하곡 정제두의 양지론과 다산 정약용의 영지론을 중심으로 그들의 철학을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먼저, 이들은 모두 주자학의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자신의 철학적 체계를 완성해나간다. 하곡은 주희의 격물치지에 대해 물리를 탐구하여 지식을 극대화하는 것은 근본 학문이 될 수 없음을 분명히 하면서, 양지를 완성한다는 의미의 치양지를 제시하고, 지행합일의 실행을 극대화할 필요가 있음을 피력한다. 이는 이른바 선천적인 양지를 확보하여 도덕적 실행의 직접성을 고려한 것이다. 여기에서 말하고 있는 양지는 하곡에게 이른바 진체로서의 생리라고 할 수 있다. 반면 다산은 천리로서의 본성을 명제로 삼고 있는 성즉리를 성즉기호로 대체하여 이해해야 함을 역설한다. 본성을 기호로 대체하는 이유는 마음을 영지로 대체하려는 그의 철학적 판단에 의한 것이다. 주자학은 천리를 가장 중요한 개념으로 여기고 있고, 이는 마음이 도덕적 본성으로 내재되어 있는 천리를 제대로 발휘할 수 있게 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자신의 마음을 다스리는 내적 수양에 집중해야 할 필요성이 생긴다. 그러나 다산은 천리는 주어진 사태를 주재할 수 없는 것이라고 평가절하하면서 세상의 모든 사물과 사태를 주재할 수 있는 것은 상제 및 상제와 연동되어 있는 인간의 영지임을 분명하게 제시한다. 또한 다산은 인간의 마음이 천리와 기질의 합으로 구성되었다는 주자학의 명제를 부정하고, 인간의 마음은 무형으로서의 영지와 유형으로서의 구각이 묘합하여 구성되었다는 명제를 제시함으로써 이른바 영혼과 육체를 명확하게 구분하는 심신이원론을 제안한다. 이처럼 다산과 하곡은 모두 주자학의 명제들을 부정하면서 자신들의 철학과 사상을 새롭게 구성하고 있다. 특히 그들은 모두 주자학의 대명제인 격물치지보다는 성의신독을 중시하고 있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주희의 평생 학문의 종지를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이들의 학문적 입장이 동일하기만 한 것은 아니다. 이론적인 측면에서 보자면, 다산의 형이상학이 지니고 있는 주희의 그것과의 거리는 양명학이 제시하고 있는 그것보다 훨씬 더 차이가 난다고 할 수 있다. 다소 거칠게 이야기하자면, 주자학의 성즉리와 양명학의 심즉리의 리는 모두 형이상학적 본체론의 입장에서 기술되는 것이지만, 다산의 성기호설은 현상론의 입장에서 기술되는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율곡(栗谷)의 「선비행장(先妣行狀)」에 대한 여성주의 독해 - 사임당의 보살핌 행위와 여성주의 보살핌의 윤리를 중심으로

        김세서리아 (사)율곡학회 2015 율곡학연구 Vol.30 No.-

        This paper starts from critically recognizing that evaluation of Sa-Im-Dang until now has always been dichotomized into either an ‘icon of a wise mother and good wife’ or a ‘woman of self-attainment.’ Such comprehension places the behavior of care, including maternity, and self-attainment of women in a contrasting position, which makes it impossible for a new understanding and prospect on the role of a mother and also makes it difficult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context of Sa-Im-Dang’s life. With such research question in mind, through the analysis of Yul-Gokk’s 'Records of a Deceased Mother's Life(先妣行狀)', this paper discusses how maternity and female subjectivity are not always in a mutually conflicting relationship. In addition, within the dimension of feminist ethics of care, it seeks to open the floor for discussing the trail of care that mostly women have taken responsibility for. To effectively discuss these problems, this paper first observed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in Yul-Gok’s 'Records of a Deceased Mother's Life(先妣行狀)' and its presuppositions for a feminist comprehension. Then it analyzed Sa-Im-Dang’s behavior of care that is present in 'Records of a Deceased Mother's Life(先妣行狀)' while looking at caring for others and caring for self, within the dimension of feminist ethics of care. These discussions go beyond the frequently brought up issues of self-denial and self-sacrifice, and finds the evidence for ensuring subjectivity for women within the experience of care. Through such discussions, this paper will be able to prepare a window of new evaluation and understanding about Sa-Im-Dang. 본 논문은 이제까지의 사임당에 대한 평가가 ‘현모양처의 아이콘’ 혹은 ‘자아실현을 한 여성’으로 이분화했음을 비판적으로 인식하는 데서 출발한다. 이 같은 이해 방식은 모성을 비롯한 보살핌의 행위를 여성의 자아실현과는 상반된 자리에 둠으로써, 모성, 어머니 노릇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전망을 불가능하게 하고, 또한 사임당의 삶의 맥락을 통합적으로 인식할 수 없게 만들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논문에서는 율곡의 「선비행장」에 나타난 사임당의 행적을 여성주의 입장에서 독해함으로써 모성과 여성주체성이 상호 갈등만 하는 관계가 아님을 논의하고, 여성들이 도맡아 온 보살핌의 행위들을 여성주의 보살핌의 윤리 차원에서 논의할 수 있는 지평을 열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 같은 논의들을 효과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우선 율곡의 「선비행장」의 기술적 특징과 그것의 여성주의적 독해를 위한 전제를 살펴보았다. 그 다음 「선비행장」에 나타난 사임당의 보살핌 행위를 타자 보살핌과 자기 보살핌의 차원에서 살펴보는 속에서 여성주의 보살핌의 윤리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이러한 논의들을 통해 보살핌의 행위에서 자주 문제가 되는 자기부정, 자기희생의 측면을 넘어서서 보살핌의 경험 속에서 여성이 소멸하지 않고 주체성을 확보할 수 있는 근거를 모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임당에 대한 새로운 평가와 이해의 장을 마련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