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교육 및 특수교육 자유학기제 연구 동향 분석: 특수교육 대상 학생을 위한 자유학기제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송다인,서효정,이해솔,이아연,신소은,정현준 한국특수아동학회 202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5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on the ‘free semester system’ of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Method: The research team selected 210 general education studies and 17 special education studies including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free school year (system)’ in the title, abstract, and keywords. Based on the analytic framework, the selected papers were analyzed in terms of fundamental analysis and topic analysis. The 17 studie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were analyzed in terms of suggestions. Results: The fundamental analysis was organized into basic information, research participants, type of disability, and research method. The topic analysis was divided into base study, curriculum organization·implementation, free semester activity organization·implementation, effect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others. Suggestions were ‘operating the free semester system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from the district school board’, and ‘community connection.’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free semester system’ research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should deal with various participants, methods, and topics.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suitable for the special educational environment was suggested.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자유학기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자유학기 및 학년제가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에게 의미 있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학술지의 제목, 초록, 키워드에 ‘자유학기(제)’, ‘자유학년(제)’를 포함하고 있는 일반교육 210편, 특수교육 17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은 분석틀을 활용하여 기초 및 주제 분석하고, 특수교육 논문 17편은 주요 제안사항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기초 분석 결과, 논문의 기본 정보, 연구 대상, 장애 유형, 연구 방법으로 분류되었다. 주제 분석 결과, 기반연구, 교육과정 편성·운영, 자유학기활동 편성·운영, 자유학기제 효과, 기타로 나타났다. 주요 제안사항은 ‘특수교육의 정체성을 반영한 자유학기제 운영’, ‘교육청 차원의 지원’,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참여자, 방법, 주제를 다룬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고, 특수교육 환경에 적합한 자유학기제 운영을 위해 필요한 향후 연구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중학교 자유학기제 효과성 분석 연구

        황연우,유평수 교육종합연구원 2020 교육종합연구 Vol.18 No.3

        This study identified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of free learning semester on career maturity by grade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free learning semester in middle school. The analysis targets 417 student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s of nine middle schools in Jeonbuk Province.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satisfaction level of free learning semester was above average, and career maturity level was high. Looking at the differences by grade, the satisfaction level of free learning semeste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than in the third grades. Also, career maturity was in the order of second grade, first grade, and third grade, and especially second grad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ird grade. For each grade, the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with free learning semester and career proficiency was high in the first grade (r= 6.6 or higher), while the third grade (r=.3 to 4) showed a low static correlation. However, the second grade had no correlation. The effect of the satisfaction of free learning semester on the components of career maturity by grade on the basis of the satisfaction of free learning semester for the first and third graders affected all the components of career maturity. Satisfaction with free learning semester of the first grade showed 30 to 40 percent of the explanation on the components of career maturity. However, the third-year student had only about 10 percent of the explanation. Satisfaction with free learning semester did not affect career maturity in second grade. Proposals based 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chool year-by-year approach should be applied to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that covers free learning semester.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lore various variables and school condition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free learning semester.

      • KCI등재후보

        자유학기제에 대한 체제적 평가연구: CIPP 평가모형에 근거하여

        김세영(Se Yeong Kim),김도기( Do Ki Kim)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21 지방교육경영 Vol.24 No.3

        본 연구는 2016년 전국적으로 시행되어, 자유학년제로 확대 시행되고 있는 자유학기제에 대해 체제적 접근에 의한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자유학년제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과 개선방안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자유학기제를 둘러싼 환경 및 투입, 과정, 산출의 체제를 Stufflebeam(1971)의 CIPP모형을 활용하여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2013년부터 2020년까지 수행된 자유학기제 관련 선행연구를 분류,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입 초기 설정한 자유학기제의 정책 목표인 학생 행복 교육 실현’과 ‘진로교육 강화’, ‘교육과정 혁신’ 등을 달성하였으나, 체험활동 및 동아리 활동의 양적, 질적 확대를 통한 학생의 진로 관련 태도 및 역량 함양이 필요하다. 둘째, 자유학기제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계획 수립과 안정적인 예산 및 자원확보가 이루어졌으며, 상급교육기관의 정책 확산에 대한 긍정적, 적극적 태도를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자유학기제 정책 집행은 교육부 주도의 Top-down 방식으로 이루어져 시행 초기 단위학교의 적극적, 자발적 실천의지의 부족으로 이어졌으나, 단위학교 교사간의 소통, 협력 증대, 전문적학습공동체 및 교육 주체간 협력적 관계에 의한 교육공동체 형성으로 효율적 운영이 촉진되었다. 넷째, 자유학기제는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 및 진로교육 만족도에 있어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자유학년제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실제적인 진로역량 강화 및 진로성숙도의 함양을 위한 진로교육의 강화, 체험프로그램의 양적, 질적 확대가 필요하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상급교육기관의 교육구성원에 대한 적극적인 피드백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policy implications and improvement plans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free school system by conducting an evaluation based on a systematic approach on the free semester system, which was implemented nationwide in 2016 and is being expanded to the free school system. To this end,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the system of input, process, and output were evaluated using the CIPP model of Stufflebeam (1971), and prior studies related to the free semester system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from 2013 to 2020. The conclusions draw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licy goals of the free semester system set at the beginning of the introduction, such as realization of student happiness education, 'reinforcement of career education,' and 'innovation of the curriculum' were achieved, but related to the career of students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xpansion of experiential and club activities. Attitude and capacity building are needed. Second, a plan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was established, and stable budgets and resources were secured, and positive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spread of policie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can be confirmed. Third, the implementa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policy was conducted in a top-down manner l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hich led to a lack of active and voluntary willingness of the unit schools at the beginning of the implementation, but increased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of the unit schools, and cooperation between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the educational subject. Efficient operation was promoted by the formation of an educational community based on relationships. Fourth, it can be seen that the free semester syste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school life and career education.

      • KCI등재

        자유학기제가 중학생의 고교유형 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장우진(Woojin Jang),이수정(Soojeo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7

        목적 자유학기제 시행 전후에 중학생의 진학희망 고교유형 선택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어떻게 변동되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학생의 진로역량의 함양을 목표로 한 자유학기제 시행의 정책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경기도에 자유학기제 시행이 본격화된 2015년을 기준으로, 자유학기제 시행 전인 학생패널1(2012년~2014년)과 시행 후인 학생패널2(2015년~2017년)로 나누어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 의사결정나무을 이용하여 두 패널의 고교유형 선택 시 결정요인을 추출하고, 랜덤포스트 분석을 이용하여 우선순위 리스트를 순차적으로 나열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랜덤포레스트 분석결과, 패널1의 키워드 리스트는 수학점수, 영어점수, 영어효능감, 월총교육비, 국어점수 등의 순서로 나타났고, 패널2의 키워드 리스트는 영어점수, 수학점수, 자기효능감, 진로계획성, 국어점수 등의 순으로 나타나, 자유학기제 실시 전과 후에, 고교유형 선택 시 주요 상위 결정요인이 ‘내신 성적’으로 추출되어, 그리 큰 차이가 없음을 보여주었다. 다만 일부 진로역량 관련 변인, 곧 진로계획성, 독서활동, 진로자기이해도 등의 우선순위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자유학기제 정책의 긍정적인 부분이 없는 것은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이 연구는 자유학기제를 거치고 간 중학생이 고교유형을 선택할 때 얼마나 진로 적성과 관련되어 선택하는지를 분석해봄으로써, 진로역량의 함양을 목표로 도입된 자유학기제의 정책 성과를 평가하려고 한 것이다. 따라서, 자유학기제 시행 전후에 중학생의 고교유형 선택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변화가 그리 크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난 이 연구결과는 자유학기제 정책의 실효에 대한 재점검을 시사해 주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the Free Semester System,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South Korea introduced to elevate middle-school students’ abilities of mapping out their career path, actually had impacts on their choices of thigh-school type or not. For this, we tried to examine whether, after implementa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middle-school students decided on the high-school type that they wished to be admitted to, not based on those like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top-raked high schools, but more based on those like their aptitude, interests, and career path or not. Methods Based on 2015 when the free semester system started in Gyeonggido,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different groups; students who haven’t experienced the free semester system are classified as panel 1 (from 2012 to 2014) and students who experienced are panel 2 (from 2015 to 2017). Next, the decision factors were extracted for selecting the high school type, using the decision tree among the data-making techniques. Then the priority list was sequentially listed using random post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random forest, the keyword list of panel 1 was presented in order of math score, English score, English proficiency test, monthly education cost, Korean language score. On the other hand, the keyword list of panel 2 was shown in order of English score, math score, self-efficiency, career planning, and Korean score. Conclusions The major determinant of high school type selection is students’ academic record regardless of operation of the free semester program. That is, it is verified that the free semester system doesn’t have any influence on high school type selection contrary to the purpose of the free semester system. We can say, However, the free semester system had a positive effectiveness on the choice of high school type because priority of a part of variables related to the free semester system(career planning, self-efficacy, reading activity, career self-understanding, subject-specific interests) has increased despite short-term implementa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when we analyze the trend in priority influencing the choice of high school type.

      • KCI등재

        자유학기제(2015-2017) 수업 전과 후의 학생 만족도에 따른 성적변화에 관한 연구

        김진영(Kim Jin 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8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자유학기제 만족도에 따른 성적변화를 살펴보고자 2015년 165명, 2016년 155명, 2017년 158명을 조사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조사기간은 2015년도 2학기부터 2017년도 2학기로 자유학기제 3년 동안 이루어졌으며, 각 년 도별로 분석되었기 때문에 연구대상자의 성향은 다르다. 먼저 자유학기제 수업 전과 후의 학생 만족도를 4그룹 A(자유학기제 전 학생 만족도(고)-자유학기제 후 학생만족도(고)), B(자유학기제 전 학생만족도(고)-자유학기제후 학생만족도(저)), C(자유학기제 전 학생만족도(저)-자유학기제 후 학생만족도(고)), D(자유학기제 전 학생만족도(저)-자유학기제 후 학생만족도 (저))(으)로 구분해 그룹별 성적변화의 특징 및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A(고-고) 그룹이나, C(저-고) 그룹의 학생들은 일관성 있게 성적 향상이 나타나지만, D(저-저) 그룹은 성적의 변화가 거의 없고, B(고-저) 그룹은 성적향상을 보이는 경우도 있지만, 상대적으로 앞의 두 그룹에 비해 성적 향상이 두드러지지 않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첫째, 자유학기제 만족도가 높을수록 성적향상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자유학기제 만족도가 낮고, 부모 학력이 고졸인 경우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자유학기제가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학생들에게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유학기제가 우리 사회의 교육 양극화 문제 해소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to the academic records of seventh graders in middle school according to their satisfaction with the free semester system.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survey with 165, 155, and 158 seventh graders in 2015, 2016, and 2017, The survey period was from the second semester of 2015 to the second semester of 2017, and it was conducted for three years in the free semester system. respectively.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free semester system before and after its implementation was examined across four groups: Group A(student satisfaction before the system(high) - student satisfaction after the system(high)), Group B(student satisfaction before the system(high) - student satisfaction after the system(low)), Group C(student satisfaction before the system(low) - student satisfaction after the system(high)), and Group D(student satisfaction before the system(low) - student satisfaction after the system(low))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each group s changes in academic records. The findings show that students of Group A(high-high) and Group C(low-high) made a consistent improvement in their academic records. Group D(low-low) showed few changes to their academic records. Group B(high-low) made an improvement in their academic records, but their improvement was not as prominent as Groups A and C. first, the higher their satisfaction with the free semester system was, the bigger their improvement was; and second, the higher their parents economic level was, the greater their satisfaction with the system was. When their parents graduated from high school, their satisfaction with the system was low.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free semester system worked on students of lower social and economic status. The findings suggest the possibilities that the free semester system would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solution of educational polarization issues in the society.

      • 자유학기제를 위한 진주검무의 교육콘텐츠 연구

        양지선(Ji Sean Yang) 한국교방문화학회 2021 교방문화연구 Vol.1 No.2

        자유학기제는 교육부에서 2013년에 시범 운영학교를 지정하여 운영하였고 2016년 전국 중학교에서 실시하게 되었다. 자유학기제는 중학교 교육과정 중에서 한 학기를 학생들이 시험부담에서 벗어나 진로탐색 활동과 다양한 체험활동을 통해 자신의 꿈과 끼를 키우기 위한 것이다. 2009 교육과정에서 ‘창의적 체험활동’이 추가되어 교육에서 ‘창의’라는 코드가 부각되었지만 실질적인 창의교육이 실현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제시한 것이 바로 ‘자유학기제’이다. 2015년 자유학기제를 실행한 학교의 경우 자유학기제가 추구하는 근본적인 취지와는 다르게 기존의 동아리 활동과 방과 후 활동에서 했던 프로그램을 자유학기제 수업으로 연장한 경우가 많았다. 자유학기제를 통해 잠재된 끼를 계발할 수 있는 교육은 바로 예술교육이며 그 중에서도 국가무형문화유산에 대한 체험과 교육이 필요하다. 국가무형문화유산은 우리 민족의 정체성과 역사성, 문화적 원형을 간직하고 있어 교육적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현재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전승은 잘 이루어지고 있지만, 세대 간에 공감할 수 있는 현장성 있는 문화유산으로써 활용되지는 못했다. 무형문화유산이 과거의 유산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교육콘텐츠를 통해 현재의 유산으로 재창조 될 수 있어야 한다. 연구자는 중학교 교육현장에서 국가무형문화재 제 12호 진주검무를 가르친 경험을 바탕으로 자유학기제에 적합한 진주검무 교육콘텐츠를 제안하고자 한다. The free semester system was oper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designated test operation school in 2013, and as of 2016, this system got to be implemented at the middle schools around the country. The free semester system aims to build up one’s dream and talent through career exploration activity and diverse experience activity away from the burdens of taking an examination for one semester among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With the addition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to the 2009 curriculum, the code ‘Creativity’ was highlighted, but practical creative education wasn’t realized. To overcome such a limit, what was suggested at a national level was the very “Free Semester System.” In case of a school which put the free semester system into practice in 2015, unlike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is system, there were many cases where the programs, which were conducted in a club activity and after-school activity, were extended as the free semester system. The education which can serve to develop a potential talent through the free semester system is no other than arts education, and among others, the educational field stands in need of experience and education of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t’s because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provide diverse elements which can be used as educational contents as they cherish our people’s identity, historicity and cultural prototype. At present, the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s in good progress, but they have not been properly used as cultural heritages which arouse sympathy between generations, and have the property of realism(presentness). In order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not to be the heritages in the past, the existing cultural heritages should be recreated as the present ones through education contents. This researcher is intending to propose Jinju Sword Dance education contents which are suited for the free semester system on the basis of the experience in teaching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12, Jinju Sword Dance.

      • KCI등재

        자유학기제 및 자유학년제 진로체험활동에 참여한 중학생의 학습경험

        김진희(Kim, JinHee),홍지영(Hong, Ji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0

        목적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 및 자유학년제 진로체험활동에 참여한 중학생들의 학습경험을 밝히고자 하였다.방법 이를 위하여 자유학기제 및 자유학년제 진로체험활동에 참여한 중학생 1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결과 자유학기제 및 자유학년제 진로체험활동에 참여한 중학생의 학습경험은 7개의 영역, 10개의 범주, 22개의 하위범주, 66개의 핵심개념으로 추출되었다. 주요 범주를 중심으로 결과를 살펴보면 자유학기제 및 자유학년제 진로체험활동에 참여한 중학생의 학습경험에서 나타난 진로인식의 변화는 ‘진로와 일에 대한 새로운 자각이 생김’이었고 인지적 체험은 ‘직업정보와 미래사회변화에 대한 정보를 알게됨’과 ‘자신의 특성에 대해 이해함’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체험으로는 ‘재미와 의미가 있는 도전을 경험함’, ‘평가의 압력에서 벗어나 새로운 진로 학습경험을 함’이었다. 진로선택에 미친 영향은 ‘진로의사결정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결정을 하게 됨’이었고 진로행동에 미친 영향은 ‘진로준비행동을 계획하고 실행에 옮김’으로 나타났다. 학습경험의 전이로는 ‘진로체험활동 경험이 확장됨’이 확인되었고 진로체험활동에 대한 바람은 ‘학생들의 관심사, 미래전망, 정보탐색의 접근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기획과 운영이 요구됨’, ‘인프라 확충과 성과 확인을 통해 효과적인 진로체험활동이 강화되기를 바람’인 것으로 나타났다.결론 첫째, 자유학기제 및 자유학년제의 진로체험활동에 참여한 중학생들은 진로문제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을 자각하고 직업세계와 자기자신에 대한 인지적 체험을 통해 진로관련 정보를 탐색하고 이해했으며 진로선택 및 진로결정과 실행이라는 일련의 진로의사결정과정을 학습하고 체험했음이 밝혀졌다. 둘째, 자유학기제 및 자유학년제의 진로체험활동은 재미와 의미있는 활동으로 학생들이 평가의 압력에서 벗어나 진로를 찾는 새로운 학습경험이었으며 이러한 학습경험은 새로운 학습과 여가활동으로 확정되고 전이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자유학기제 및 자유학년제 진로체험활동에 대한 보완점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learning experiences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in the free semester and free school year system. Methods To this end, 18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free semester and free school career activities were interviewed by the focus group and analyzed the data using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participating in free semester and free school career activities were extracted into seven areas, 10 categories, 22 subcategories, and 66 core concepts. Looking at the results, focusing on major categories, the change in career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free semester and free school career activities was “new awareness of career and work,” and cognitive experiences were “knowing job information and future social changes.” Emotional experiences included “experiencing challenges with fun and meaning” and “taking a new career learning experience free from the pressure of evaluation.” The impact on career choice was “making specific decision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and the impact on career behavior was “planning and implementing career-jun flight.” The transfer of learning experiences was confirmed as “career experience experience expanded,” and the desire for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was “required to plan and operate comprehensively considering students interests, future prospects, and accessibility to information exploration.” Conclusions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in the free semester and free school year were aware of the interest and necessity of career problems, explored and understood career information through cognitive experience in the world and themselves, and learned and experienced a series of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es. Second, the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the free school year system were fun and meaningful activities, and it was confirmed and transferred to new learning and leisure activities by students. Third, the complementary points for the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the free school year system were identified.

      • KCI등재

        농어촌 ‘자유학기 활동 안정화’ 연구학교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박균열 ( Park Kyun-yeal ),주영효 ( Joo Young Hyeo ) 안암교육학회 2021 한국교육학연구 Vol.27 No.1

        2016년 도입된 자유학기제는 2020년 기준 대부분의 학교에서 자유학년제로 확대·시행되었다. 자유학기제의 긍정적 성과에도 불구하고, 도·농간 자유학기 활동 기회 격차, 농어촌 지역 인프라 부족 등의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지속되고 있다. 이 가운데 농어촌 학교가 현실적으로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유학기 활동 편성·운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농어촌 자유학기 활동 주제의 선행 학술 연구는 미미하다. 이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농어촌 ‘자유학기 활동 안정화’ 연구학교 A중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 활동 선정 이유, 운영 방법, 운영 개선을 위해 필요한 내용을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심층 면담 자료와 문서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유학년제를 운영하고 있는 A중학교는 창체와의 중복성, 농어촌 소규모 학교, 학생 선택권 확대, 체육 활동 기록·평가의 어려움 등의 복합적 이유로 자유학기 활동을 조정·운영하였으며, ② 자유학기 활동 영역 조정·운영의 긍정적 측면으로 자유학기 활동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유와 여유, 진로탐색 및 진로체험 활동의 활성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③ 자유학기 활동 영역 조정·운영의 부정적 측면으로는 학생들의 진로탐색 의지 부족, 학생부 평가·기록 업무 부담 가중, 교사들 간 교과 시수 조정 현상이 드러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정책 시사점으로 자유학기 활동 221시간 의무 편성 재고와 교과 수업 시수 보장 필요, 교사 업무 경감 방안 마련과 교사 역량 및 전문성 제고 필요, 농어촌 소규모 학교의 자유학기 활동 안정화를 위한 예산 확보와 지원 방안의 법제화 필요를 제시하였다. The free semester system introduced in 2016 has been expanding as a free school year system. Despite the achievements and effects of the free semester system, various problems such as the gap in opportunities for free semester activitie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and the lack of infrastructure in rural areas have not been resolved. Among these problems,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free semester activities, which are facing the most practical difficulties in rural schools. However, academic researches on the topic of free semester activities in rural areas is insufficient. In this context,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in-depth interview data and document data from A Middle School selected as a “free semester activity stabilization” research school by using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Middle School coordinated and operated free semester activities for complex reasons such as a small school in rural areas, expansion of student options, and difficulty in recording and evaluating sports activities; second, as a positive aspect of coordination and operation of free semester activities, the researchers were able to confirm the autonomy in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free semester activity curriculum, and the activation patterns of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and finally, negative aspects of coordination and operation of free semester activities were the lack of willingness of students to search for career paths, the teachers’ increased burden of evaluating and recording student report card, and the phenomena of adjustment of the number of teaching hours between teacher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to reconsider the mandatory organization of 221 hours of free semester activities and guarantee the number of teachers’ class hours, the need to reduce teachers’ work burden and to improve teacher competency and expertise, and the need to secure budget and legalize support plan for operating free semester activities.

      • KCI등재

        한문과 자유학년제 교육과정 편성 및 주제선택프로그램 운영 현황에 관한 연구 -서울시교육청 소속 중학교를 중심으로-

        정효영 ( Jeong Hyo-young ) 한국한문교육학회 2021 한문교육논집 Vol.57 No.-

        본 연구는 자유학년제 시행에 따른 한문 교과의 시수 편성과 한문 교과 연계 주제선택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중학교에서 자유학년제 또는 자유학기제를 운영하고 있는 한문 교사에게 자유학년제와 관련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검토하였으며, 자유학년제 시행에 따라 중학교에서 교과별 시수의 감소와 자유학기 활동의 편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만, 이전 교육과정에서의 한문 시수와 비교, 심층 면접, 학교교육계획서 분석 등이 미비하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연구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현재 시점에서 자유학년제에 따른 한문 교과의 시수 변동과 한문 관련 자유학년제 선택프로그램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학교알리미의 정보공시 자료에서 ‘자유학기제 운영에 관한 사항’, ‘학교교육과정 편성ㆍ운영 및 평가에 관한 사항’에 관한 자료를 통하여 서울 소재 중학교의 자유학년제 운영에 관한 사항을 살펴보았다. 먼저, 한문 교과의 학년별 시수 현황, 자유학년제 시행에 따른 한문 교과 시수 증감 여부, 한문 교과 시수, 한문 교과 연계 자유학년제 주제선택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었다. 서울 소재 중학교의 80% 이상의 학교에서 한문 교과가 개설되어 있었으며, 2학년에 편제된 경우가 다수를 차지하였다. 또한, 주당 2∼3시간으로 한문 교과를 운영하는 학교가 다수였다. 한문 교과 연계 주제선택프로그램은 102개의 프로그램이 운영 중이었으며, 이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한문과 성취기준에 따라 분류하였다.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과 관련된 프로그램이 다수였으며, 그중에서도 성어와 관련된 프로그램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그 외 인성, 문화와 관련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었다. 이는 정규 교과 수업 시간에 여러 이유로 다루지 못하였던 영역을 자유학년제 주제선택프로그램 운영을 통하여 보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분명한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중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문 교과와 한문 교과 연계 자유학년제 주제선택프로그램 운영을 살펴볼 수 있었다. 중학교에서 경험했던 프로그램 선택의 경험은 고등학교의 고교학점제와 연결될 것이다. 이에 학생의 흥미와 수준에 부합하는 한문 교과 관련 자유학년제 주제선택프로그램 개발과 각 학교에서 운영 중인 프로그램 자료에 대한 공유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is an analyz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Chinese character-related topic selection program and the composition of number of hours of Chinese character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free grade curriculum organization. Through this, it is intend to provide materials related to the free grade system to Chinese character teachers who are operating the free grade system or the free semester system in middle schools. Precedent research was reviewed, and the number of hours per subject in middle school decreased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free grade system and the organization of free semester activities was investigated. In the information disclosure data of School Alert, it is examined at the operation of the free grade system in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through the data on ‘Details on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Details on the Organization, Operation and Evaluation of School Curriculum’. First, it was possible to collect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us of hours of Chinese character subjects by grade level, whether the number of hours of Chinese character was reduced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free grade system, the number of hours for Chinese character, and the topic selection program of the free grade system related to Chinese character. More than 80% of middle schools in Seoul, Chinese character subjects were offered, and most of them were organized in the second year. In addition, there were many schools that operated Chinese character subjects for 2-3 hours per week. There were 102 programs in operation for the subject selection program related to the Chinese character subject, and they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hinese character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re were many programs related to ‘Chinese Vocabulary and Language Life’, and among them, programs related to idioms accounted for the majority. Other programs related to personality and culture were being operated. It can be seen that the areas that were not covered for various reasons in the regular curriculum are being supplement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ubject selection program of the free grade system. Although this study has obvious limitations,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operation of the free-grade subject selection program in connection with the Chinese character and the Chinese character currently being conducted in middle schools. The program choices experienced in middle school will be linked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high school.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 subject selection program for the free grade system related to the Chinese character subject that meets the interests and level of the students and to share the program data operated by each school.

      • KCI등재

        중학생의 자유학기제 경험이 진로 발달 및 학교 생활에 미치는 영향 분석

        문찬주(文贊?),정동욱(程棟昱)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아시아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가 자유학년제로 전면 확대 시행된 시점에서, 자유학기제의 진로교육성과를 실증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학생의 자유학기제 경험이 진로발달 및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2016년과 2017년 진로교육 현황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자유학기제를 경험한 학생들의 진로발달 및 학교생활 특성은 비경험 학생들에 비해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학 희망고등학교 유형과 희망직업의 다양성이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자유학기제 경험은 학생의 진로인식수준과 진로개발역량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유학기제 경험은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와 진로교육활동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자유학기제의 긍정적 성과가 자유학년제에서도 유의미하게 이어질 수 있도록 제도의 안착과 성과 확산에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 자유학년제의 성과에 대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할 것과 연계학기를 비롯한 자유학년제를 경험한 이후 시점에서의 진로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정책적 관심을 촉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policy implications by empirical analysis of the career education performance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t a time when the free semester system is fully expanded into a free school year system. To this end, the impact of middle school students" free semester experience on career development and school life was analyzed using the 2016 and 2017 career education status survey data. First of all, the career development and school lif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free semester system were found to be more positive than those without experience. In particular, the types of high schools and the diversity of jobs that they hope to go to were more diverse. Second, the experience of the free semester syste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career awareness level and career development ability. Third, the experience of the free semester system has been shown to increase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career education activiti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settle the system and spread the results so that the positive performance of the free semester system can be significant even in the free school year system.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take a long-term approach to the performance of the free school year system an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and policy interest of career education at a point after experiencing the linked semester and the free school year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