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브제의 개념이 적용된 제품의 유형과 특성연구

        허지혜 ( Huh¸ Jihy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6

        (연구배경 및 목적) 오브제를 통해 활용한 다양한 연출방법들은 특별한 느낌의 제품이미지를 향상시키고, 좀 더 대중적인 측면에서 주목을 받게 함으로써 인지도와 가치를 높여주는 역할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제품의 유형별 적용 가능한 특성의 사례를 통합하여 연출할 수 있는 표현특성과 적용특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오브제의 선행연구에 따른 유형 빈도 분석을 통해 재분류한 유형화 역할의 확장성 또는 표현특성을 반영한 제품의 적용가능성을 파악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오브제 중심의 선행연구를 통해 나타난 유형을 분석하고, 비슷한 개념의 유형들을 묶어서 재분류하여 4개의 유형화로 나눈다. 공간, 연출은 공간 연출특성으로 재분류하였고, 표현 패턴과 기법변형, 재료의 유형은 패턴적 특성으로, 조형성은 조형적 특성으로, 기호와 표현 매체는 기호적 특성으로 재분류하였다. 오브제 4개의 유형화를 통해 표현특성을 분석하여, 각 사례별 적용가능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결과) 오브제 4개의 유형화에 따른 표현특성으로 다양한 연출방법의 도입을 통해, 제품에 다각적으로 적용될 때 신비롭고 특별한 느낌을 줄 수 있다. 패턴적 유형에서는 데페이즈망 기법을 활용한 위치 기능의 전복, 상징적 기호, 차용과 사물의 모방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변형과 왜곡, 비현실적인 배치 등으로 연출기법이 함께 적용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기호적 유형으로는 특수이미지 약화로 사물이 남긴 자취, 청각 이미지, 문자, 색 배치 등으로 연출되거나 극사실묘사와 패치워크 등 다양한 기법표현으로 화면의 허상 이미지를 통한 상호작용성, 디지털을 이용한 지각작용을 의도 할 수 있다. 조형적 유형은 콜라주, 파피에 콜레, 레디메이드, 아상블라주, 정크아트 등의 표현을 통해 장치적 요소로서 바닥, 천정, 벽, 조명, 가구, 장식물 등 유동적인 장면 연출이나 환상적 표현의 테마성을 의도 할 수 있다. 공간 연출 특성에는 걸기, 드리우기, 자의적 배치 등 내부공간의 스케일변형이나 착시, 데코적기능을 통해 표현해내는 제품의 연출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결론) 오브제 적용방식은 보다 적극적이면서 차별화된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3차원의 입체형태들이 오브제의 새로운 재료 도입과 공간의 활용으로 제품의 조형적 특성을 보여주고, 내부공간 요소의 인테리어(Interior)와 업홀스터리(Upholstery), 그 외에도 어패럴(Apparel) 및 악세사리(Accessory) 의 다각적인 적용은 매체와 기법에 있어 다 학문적인 방법들을 통해 점점 혼성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되며, 최근 디자인에서도 오브제들의 새로운 접근방식을 통해 사고와 다양한 방식들을 모색할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Various methods of presentation using object add a special feeling to the product, improving its image, and raising awareness on its value by attracting public attention. As such,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characteristics that could be produced by integrating examples of applicable characteristics for each category of product. It identifies the expansion of categorization roles or the applicability of products reflecting expressive characteristics through a frequency analysis of category in prior studies on obje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not to analyze the subject simply using formative and designing principles. (Method) This study analyzes the categories presented through prior studies on object, then combines and reclassifies similar concepts into four categories. Space and presentation were classified as space presentation characteristics, expression pattern, technique variation, and material type were classified as pattern characteristics, and symbols and expression medium were classified as symbolic characteristics. The four categorizations of object have been set to analyze expression characteristics and study the applicability of each case. (Result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various presentation methods with expre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four categories of object, a mysterious and unique feeling can be obtained when such methods are applied to the product in various ways. In the pattern category, it was found that the overturning of locational function, symbols, borrowing and imitation of objects were mainly used, and it can be said that the presenting technique can be applied together with modification, distortion, and unrealistic arrangement. Symbolic category is presented with traces, auditory images, text, and color placement left by objects due to weakened special images, or can be intended for apperception using interaction and digital means, through imaginary images on a screen with hyper realistic depiction and patchwork, as well as other various technique expressions. The formative category can be intended to produce a theme of illusionary expression or present flexible scenes such as floors, ceilings, walls, lighting, furniture and decorations, as a device element through expressions such as collage, papier colle, readymade, assemblage, and junk art. As for space presentment characteristic, products can be presented through scale modification such as hanging, casting, arbitrary arrangement, optical illusions, and decorative functions. (Conclusions) It can be presented in more active and differentiated manners. The three-dimensional shapes will show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through the introduction of new materials and the use of space, and the diverse applications of inner space elements such as interior, upholstery, and also apparel and accessory will be accelerated in integration through multi disciplinary methods in medium and technique. The recent designs can be studied for various methods through new approaches of object.

      • KCI등재

        해외 디지털 패션 브랜드에 나타난 퓨처리즘 표현 특성 분석

        신하람,염미선 한복문화학회 2023 韓服文化 Vol.26 No.3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futurism expression in overseas digital fashion brands and identify trends and changes in digital fashion, which have become an essential element in the future fashion industry, and so to provide theoretical data for developing innovative and creative digital fashion design. The literature review and previous research examined the definition of digital fashi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digital fashion brands,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digital fashion, and the futurist characteristics of fashion. In addition, based o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derived from the previous theoretical review of futurism expression characteristics in digital fashion, this study analyzed original and innovative forms, light and color of futuristic images, digital materials through convergence with technology, and space expansion through special effects. Based on thi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futurism expression in overseas digital fashion brand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original and innovative forms suggest new, unprecedented forms and structures, appearing as a combination of digital technology and creative design. Second, to express the light and color of the futuristic image, intense colors such as metallic, neon, and primary colors were used to emphasize a futuristic and digital sense, and transparent materials were used to present a new visual effect. Third, non-material or sophisticated and detailed patterns that do not exist in reality were realized through technological convergence. Also, patterns and color changes using LEDs were easily applied to show digital fashion's infinite creativity and expressiveness. Fourth, space expansion through special effects expresses the expanded concept of virtual space with special effects using virtual reality(VR)/augmented reality(AR) technology and digital graphics. This study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futurism expression shown in overseas digital fashion brands use innovative elements newly emerging in the existing fashion industry by combining cutting-edge technology and creative fash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theoretical data to shed new light on innovation and sustainability in the fashion industry.

      • KCI등재

        점토의 물리적 특성에 의한 조형 표현 연구

        최응한(Choi, Eung-han),로얄 세라믹스(Royal Ceramics)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5 조형디자인연구 Vol.18 No.3

        현대의 조형예술세계는 사용되는 재료와 매체의 종류 그리고 표현방식에 이르기까지 그 한계를 찾을 수 없을 만큼 광범위해지고 있고 또 각 장르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징들을 서로 공유하며 과거에는 마치 불문율처럼 여겨졌던 다른 분야와의 경계를 허물고 서로의 영역을 넘나들며 자유로운 표현과 개성을 중요시 하게 되어 과거와 같이 예술을 분류하는 것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무의미한 일이 되어버렸다. 이렇게 다변화하며 끝없이 확장되고 있는 현대의 조형예술 표현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재료 가운데 하나가 바로 점토이다. 점토는 인류가 사용하고 있는 가장 오래된 천연재료 중의 하나로서 그 특유의 물리적인 특성 즉, 뛰어난 가소성으로 원하는 형태를 만들기가 용이하고 건조시켜서 불에 구우면 물에도 녹지 않는, 돌처럼 단단해짐으로서 건축자재인 벽돌로 만들어지거나 음식을 담는 그릇 등으로 만들어져 사용되어 왔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재료수급이 용이하고 원재료비가 싼 반면에 그 활용도나 결과물의 가치는 무한으로 높일 수 있는 재료이다. 따라서 다양하게 점토만의 독특한 장점들을 살려서 실용적인 목적으로 많이 활용되어 왔다. 그리고 지금은 표현양식의 다변화에 맞추어 자기만의 개성표현을 위해 공예만의 장르를 넘어서 회화나 설치미술 등과의 다양한 접목을 통한 시도로서 그 활용도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값싼 원재료로 인한 쉬운 접근성은 오히려 재료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와 다각적인 실험을 바탕으로 하지 않고 제작에만 급급해서, 점토가 갖는 특유의 물리적인 특성들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고 있다는 부정적인 측면도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점토에 대한 화학적, 물리적인 측면을 심도 있게 분석하여 점토가 갖는 물성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나아가서 점토만이 갖는 가치적인 특성을 극대화하여 이를 조형예술적인 측면에서 활용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흙에서 시작된 점토의 정의와 점토를 이루는 구성요소를 고찰하고 물리적인 특성에 따른 점토만이 가지고 있는 성질과 그것을 이용하여 오로지 점토에 의해서만 표현이 가능한 기법들을 연구하였으며, 점토의 사용이 단지 제작편리함의 수단으로서만이 아닌 그 물리적인 특성들이 곧 표현의 목적이 되는 조형작품들을 선정하여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점토의 물리적 특수성은 수분 함유량에 따른 점토의 가소성에 의해서 달리 나타나며 큰 균열, 뒤틀림, 녹아내림, 갈라짐, 터짐, 소성에 의한 휨 등으로 분류할 수 있었고 그것은 오직 점토에 의해서만 표현이 가능한 특징임을 알 수 있었다. The world of contemporary formative arts is becoming wider and more extensive as it cannot find its limitations ranging over using materials, types of media and way of expression. Also, it has become meaningless as well as difficult to classify arts simply as in the past. As the unique features of each genre are shared, the boundaries of different fields are broken. This is considered like an unwritten law in the past and only free expression and individuality are important in circumstance where they invade the area of each other. In this manner,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indispensable materials is clay in the representation of contemporary formative arts that are diversifying and extending to infinity. Clay is one of the oldest natural materials that have been used by mankind. Clay has unique physical characteristics;at first, it is easy to make desired shapes because it is soft and flexible; after firing in the kiln, the clay becomes hard like stone and never melts again in any liquid, so it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stuff like brick and table ware to contain food. Further more, its utilization and outcomes are worth more than you can imagine compared to its ease of materials supply and demand and the accompanied cost. Because of these unique advantages that only clay has, it was utilized for lot of practical purposes rather than purpose of artistic expression, but in these days that unique expressive ability of oneself is becoming more important with the diversification of artistic expression style. The art work using clay is a trend that is increasing in its utilization of various fields such as painting and installation art beyond the boundary of ceramic crafts. However, there is a negative side. The low price of raw material and easy accessibility rather caused the result of only using, without experimentation and deep exploration about the material. It made a situation that does not properly express the uniqu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lay, because the users did not have prior study with clay. Therefore, this thesis has analyzed clay chemically and physically to understand better its characteristics. Further more these characteristics are important to utilize regarding formative arts above all value with maximizing the properties that only clay has. For this research, this thesis investigated firstly, the definition of clay that started in the soil and components that make up clay. Secondly, the techniques that can be expressed by only clay using the characteristics that only clay has by the physical properties. Thirdly, analyzed and classified the selected formative art works that its physical characteristics are just the purpose of representation, not using clay for convenient means of production. As a result,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lay is appeared by its plasticity that has some water. It is classified as a crack, warp, melt down, split, burst and collapse in the kiln. It could find the features that these are only represented by clay.

      • KCI등재

        <석존일대가>의 표현 구조와 장르 성격

        전재강 ( Jae Gang Jeon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5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5

        석존의 일생을 다룬 율문의 전통을 근현대에 가사로 나타낸 것이 <석존일 대가>이다. 이 작품은 근대 가사로서 특징도 보여주며 교술이면서 서사적이고 희곡적인 성격도 보여 주며, 가사로서 석존의 일대기를 다루는 문학사의 최근 현상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 가치를 지닌 작품이다. 연구가 이제 시작되는 단계에 이 작품 자체의 표현 구조, 장르 성격 등을 따져 봄으로써 그 본질을 해명하고자 했다. 먼저 표현 구조의 문맥 구조와 단락 전개 구조 중에 문맥 구조에서는 두 행 또는 두 문장 이상이 모여 이룬 큰 문장들의 내적 상호 관계 맥락을 연결 방식과 종결 방식으로 나누어 살폈는데 사실의 나열이나 시간 순서에 따른 제시의 관계로 연결되는 경우, 인과 관계로 연결된 경우 등 연결 방식은 이 작품이 많은 사실 전달하고 가르치면서도 논리적으로 독자를 설득하고자 하는 의도를 드러냈다. 단락의 전개 방식에서 보면 전체가 9개의 장에 각 장은 다시 여러 단락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제1, 5, 6장은 문제-해결 배치 방식의 단락 전개를 보이고, 제2, 3, 8장은 자연적 시간 질서와 인위적 논리 질서를 병행하고, 제4장은 세출세간의 갈등을 통한 출세간 가치의 승리를 드러내는 방향으로, 제7장은 세간과 출세간을 아우르는 교화, 고난과 극복으로 이어지는 교화를 서사적으로 진행하면서 사이에 작자의 설명, 판단 등을 개입시키는 방식으로 단락이 전개되고, 9장에서는 주장과 이유 제시라는 인위적 논리에 따라 단락을 전개하고 있었는데 이것은 곧 문맥 구조를 통해 감성적으로 제시한 여러 사실을 논리적으로 증명함과 동시에 석존과 그 가르침에 대한 작자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방식으로 단락을 전개시키고 있었다. 작품의 장르 성격 가운에 서사성의 측점에서 작품 외적 자아가 장면 서술을 통한 표면적 개입은 물론 인물의 심리 세계나 제시한 사실에 대해 고증하는 방식으로 개입함으로써 심층적 개입을 하고 있고, 작품에 등장한 인물들간의 치열한 갈등을 드러내며, 전체 작품 내용의 서술에서 과거와 현재시제를 혼용하여 내용 전달의 효과를 증대시키고 있다는 점 등에서 서사성을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이 작품은 희곡적 요소인 대화를 많이 사용하는데 특히 핵심적 갈등요소를 주로 대화의 기법으로 처리하고 있었다. 출가를 두고 갈등을 빚은 태자와 부왕의 대화, 출가후 수행방법을 두고 갈등을 빚은 태자와 외도의 대화, 석존과 제자의 대화, 제자들 사이의 대화가 그 대표적 예이다. 대화 기법은 그 자체로 희곡적 성격을 나타내보여 주는데 특히 대화의 제시 방법에서 설명을 희곡에서의 지문과 같이 하고 대화 방식은 희곡의 그것과 완전히 같게 하여 본격적 극의 성격을 보여 줌으로써 이 작품은 희곡성을 장르 성격으로 확보했다고 보았다. 이 두 가지 성격이 상호 관계를 맺으면서 사실을 알리고 가르치려는 교술성에 기초하고 있었다. 희곡성과 서사성이라는 두 성격을 통하여 드러낸 내용이 허구가 아니라 실제 역사적 사실을 알리고 가르치려는 데에 기초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 작품의 장르적 성격을 희곡적 성격을 약하게 가진 서사적 교술이라고 보았다. This paper is written in order to research for the structur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eokjonildaega(석존일대가)> in two aspects by analyzing itself.. Firstly, in the expression structures of <Seokjonildaega(석존일대가)>, two sentences are connected by enumerating facts, presenting facts in time order and by co-relating cause-effect. Writer intended to inform or to teach facts, and to persuade reader logically by using that kinds of context structure. In the way of paragraph developing, there are four kinds of style, that is problem-solution, nature order-artificial order, teaching-explanationjudgement order. By these styles of the way of paragraph developing, the writer tried to attest some document and to proof his opinion by those developing their thinking about Buddha and Buddha`s teaching. Secondly, in the aspect of genre, there are three kinds of genre characteristics: descriptive characteristics and dramatic characteristics, instructive characteristics. The descriptive characteristics of this work stems from narrating story in time order, and the dramatic characteristics of this work stems from personae`s dialogues and activities, and the instructive characteristics of this work stems from writer`s intention of teaching Buddhism. In the way of relationship of these three characteristics, the writer of this work used these two descriptive characteristics and dramatic characteristics for teaching people effectively. So these two descriptive characteristics and dramatic characteristics are based on the instructive characteristics. This means that the layers of genre characteristics are double. That`s which two upper layer is descriptive characteristics and dramatic characteristics, one under layer is the instructive characteristics. In conclusion, this work is multiple in dimension of genre characteristics with the organic relationship of these three genre characteristics each other. Even though I studied the structur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eokjonildaega(석존일대가)> in two aspects., there could be the other things to study about these kinds of theme. I love to continue researching the other kinds of theme next time by writing the other research paper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공공공간에서 상호관계적 디지털미디어의 표현 방법 및 특성

        정선희(Jung, Sun Hee),서지은(Seo, Ji Eu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1

        최근의 디지털미디어는 쉽고 편리한 이용방식을 통해 현대인들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소통하는데, 그 방식은 점차 일방향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쌍방향 소통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도시의 공공공간에도 활용되어, 공간을 이용하는 이용자에 의해 반응하고 그 반응을 통해 이용자의 여러 감각을 자극하는 디지털미디어가 도입되고 있다. 공공공간에 활용되는 디지털미디어는 사람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하여 공간으로의 접근성을 증대시키고 대중과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활성화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공간에서 상호관계적 디지털미디어를 적용한 사례를 조사하여 현황을 파악한다. 그리고 이를 대상으로 그 표현방법을 분석하고 표현특성을 도출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와 문헌을 통하여 디지털미디어의 개념, 특성 그리고 공공공간에 적용된 디지털미디어의 역할과 필요성을 살펴본다. 둘째, 선행연구를 통하여 디지털미디어의 표현유형과 디지털미디어의 표현 요소를 분류한 후, 이를 중심으로 상호관계적 디지털미디어의 표현방법에 관한 분석기준을 설정한다. 셋째, 선정된 사례를 대상으로 이용자의 영향 요소, 디지털미디어의 표현 요소 그리고 표현 유형을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통하여 상호관계적 디지털미디어의 특성을 도출한다. 사례 분석은 최근 5년 이내로 소개된 공공공간에 설치된 디지털미디어 중 이용자의 영향을 통해 반응하는 쌍방향 지원의 디지털미디어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용자의 영향 요소와 디지털미디어의 표현 요소 그리고 표현 유형을 분석하였다. 표현 유형으로는 공공공간에서 디지털미디어의 역할과 설치목적을 중심으로 정보전달형, 예술표현형 그리고 엔터테인먼트형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표현 요소는 디지털미디어의 구성요소와 공간에서의 연출방법을 중심으로 이미지, 모션 그리고 사운드 3가지로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보전달형 디지털미디어는 이용자의 터치나 움직임의 반복을 통하여 다양한 반응을 나타내면서 전달하고자하는 의미를 여러 사람이 공감할 수 있도록 표현하였다. 예술표현형 디지털미디어는 도구를 활용한 이용자의 행동을 통하여 지속적인 변화를 주면서 그것을 감상할 수 있도록 표현하였다. 그리고 엔터테인먼트형 디지털미디어는 이용자의 조작적 행동을 통하여 연속적이면서 다양한 변화를 제공하면서 이를 공감각적으로 체험하여 놀이로 인지할 수 있도록 표현하였다. 그리고 디지털미디어의 표현요소를 중심으로 본 특성은 다음과 같다. 빛을 활용하여 색상과 패턴이 변화되는 ‘이미지’와 ‘모션’을 통해 이용자에게 시각적인 자극을 지속적으로 주는 방법으로 표현되었고, 여러가지 음을 조화시킨 화음과 음의 변화를 주는 ‘사운드’를 통해 이용자에게 음악으로 제공하는 방법으로 표현되었다. 이는 디지털미디어의 ‘지속적인 변화’를 제공하는 표현요소가 이용자들의 감각을 끊임없이 자극하면서 이용자와 소통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향후 도시의 공공공간에서 이용자와의 적극적인 소통을 지원하기 위해 상호관계적 디지털미디어를 적용하고 응용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Recently, digital media makes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people through easy and convenient way of using. The method has been gradually diverted from one-way to interaction way to exchange influence each other. This method is being used in the public space of the city, and comes in digital media that reaction by the user and the reaction is to stimulate the senses of users. Digital media is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the space by causing the curiosity and interest of the people and enable active interaction with the public space. Thus, this study examines the cases applying the Interrelative digital media in public space should grasp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ression method in the target digital media and draw expression characteristics. The study methods are as follows. Firstly, the concept of digital media through preceding research and reference book, and examines the role and necessity of digital media applied to public spaces. Secondly, after classifying the expression type and expression elements of the digital media via a preceding research, to set the analysis standard concerning the expression method of the interrelative digital media. Thirdly, to target the selection of the cases, analyze effect element of users, expression elements and expression types of digital media, and through the results, draw expression characteristics. Case studies were aimed at supporting interactive digital media to react with the effect of a user of the digital media is installed in a public space, introduced within the last five years. And analyzed detail effect element of users, expression element of digital media and expression type. Expression types are classified into ‘information transmission type’, ‘artistic expression type’, and ‘entertainment type’, and expression elements are into ‘image’, ‘motion’ and ‘sou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type’ is expressed so many people can relate to indicating a means to convey a variety of reactions through repeated touch or movement. The ‘artistic expression type’ is expressed to appreciate digital media giving the lasting change through the actions of users using the tool. And the ‘entertainment type’ is expressed to offer a variety of changes through the manipulation of the user and the synesthetic experience as to whether the play. And characteristics of the expression elements in the digital media is as follows. Digital media has been constantly expressed in a way that the visual stimulus to the user through a change in the "image" and "motion" in the color and pattern utilizing lighting. And Digital media has been expressed in a way that provides the music to the user through the "sound" that changes the tone and chord. This can be seen by the expression elements of digital media to provide a "continuous change" are communicated with users through constant stimulates of the senses of the us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applying the Interrelative digital media to support the active communication with the user in the public space in the future.

      • KCI등재

        현대 여성 컬렉션에 나타난 키덜트적 표현 방법 및 표현 특성

        적가 ( Zhai Jia ),이윤미 ( Yoon Mee Lee ),이연희 ( Younhee Lee ) 복식문화학회 2016 服飾文化硏究 Vol.2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ineate and analyze the expression of the kidult and its characteristics and thereby provide data to be used for fashion design in various manners as well as to suggest creative and varied possibilities of fashion design. As a way to study, the author of this paper organized the general terms, concepts and definitions concerning the kidult in the previous papers and journal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collections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kidult especially from 2006 to 2015.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characters stimulating the innocence of children were used the most for infantile expression. Parody used characters in the movie or famous logos. Deformation was used to create designs by way of distortion and deformation. Exaggeration thereby showing visually strong impression and inducing surprise and unexpectedness. Depaysement was useful to let us describe concepts and enhance our infinite creativity and interests about objects using surrealistic. Secondly, Infantile characteristics used the images of toys with infantile imagination and sense of humor. Fantasy introduced objects or expressed a dream-like feeling. Unexpectedness used two-faced ideas or conflicting ideas to express conflicts, collision and an interchange with heterogeneous things, avoiding the limit of size and the simplicity of materials. Parody used jocular expressions, satire and ironic expressions to express the original image in a fun manner. Exaggeration transformed changed the structure to restructure objects in a subjective and creative manner, thereby expressing creative patterns using various subject matters by way of special modeling or distortion and transformation.

      • 국내 먹방 유튜브 동영상 제목의 영어 표현

        윤재연 ( Yoon Jae-yeon ) 백록어문교육학회 2023 백록어문교육 Vol.32 No.0

        이 연구는 국내 먹방 유튜브 채널의 동영상 제목에 사용된 영어 표현의 표현적 특성에 대한 연구이다. ‘먹방’ 유튜브 채널에 제시되는 영상은 국내 유튜버가 운영하는 채널임에도 동영상 제목에 영어 표현이 함께 나오는 경우가 매우 많은 것으로 보인다. 이에 국내 먹방 유튜브 동영상의 제목에 사용된 영어 표현의 특징을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 주목되는 점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유튜브 ‘먹방’ 동영상 제목의 영어 표현에서 가장 먼저 주목되는 것은, 채널의 범주인 ‘먹방’을 기술하는 방식이다. 유튜브 ‘먹방’ 동영상 제목의 영어 표현에서 ‘먹방’을 표현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한국어 ‘먹방’을 그대로 음차한 ‘Mukbang’으로 표현하는 경우와 이를 의미적으로 번역한 ‘eating’을 사용하는 경우의 두 가지이다. 둘째, 동영상 제목의 영어 표현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채널 내 게시되는 대부분의 동영상에 고정적이고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표현이 있다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를 ‘고정 표현’이라 부르기로 하였는데, 수집된 자료의 고정 표현은 대부분 ‘Mukbang’, ‘eating’, ‘ASMR’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튜브 동영상 제목에 사용된 이러한 표현은, 마치 인터넷 게시물에 일종의 꼬리표를 다는 기능인 해시태그의 기능과 비슷한 ‘태그(tag)’ 역할을 하며, 대체로 이들 표현이 대부분 고정된 위치에서 나타난다는 점에서 일종의 ‘라벨(label)’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았다. 유튜브 동영상의 제목은 유튜브 시청자들에게 동영상 내용을 요약적으로 알리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효과적으로 검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유튜브 동영상 제목은 기본적으로 구독자를 유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유튜브 동영상 제목을 살피는 것은 연구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his study is on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English expressions used in the video title of domestic mukbang YouTube channels. English expressions are often included in the video title in Korean Mukbang Youtube video although the channel is run by a Korean YouTuber. Accordingly, the characteristics of English expressions used in the title of domestic Mukbang YouTube videos were examined, and as a result, there are two main points of attention. First, the first thing that attracts attention in the English expression of the YouTube “Mukbang” video title is the method of representing “Mukbang,” a category of channels. There are two main ways to express “mukbang” in the English expression of the YouTube “mukbang” video title, which is the case of expressing Korean “Mukbang” as it is, and using “eating” which is translated. Second, a feature of the English expression of the video title is that there are expressions that are used regularly and repeatedly in almost all videos. In this paper, it was decided to call it a “fixed expression”. Since most of the fixed expressions of the collected data include “Mukbang,” “eating,” and “ASMR,” this expression used in the YouTube video title acts as a “tag” similar to the function of hashtags, which are a function of tagging Internet posts, and generally function as a kind of “label” in that most of these expressions appear in fixed positions. In the point that the title of the YouTube video serves to inform YouTube viewers of the video’s contents in a summary and at the same time to effectively search, I think it will be worth researching to look at YouTube video titles.

      • KCI등재

        TV대중스타에게 나타난 키치(Kitsch)메이크업의 표현특성 분석

        이두리(Doo-Ree Lee),김선형(Sun-Hyoung Kim)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13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14 No.1

        Kitsch, a German word which was first used in the late 19th century, is the product of rapid industrialization and birth of popular culture. Now, it is perceived as a form of art. This study has attempted to figure out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kitsch makeup amongst TV stars through an understanding of kitsch and an analysis of expression cases in kitsch makeup. In addition,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kitsch makeup amongst TV stars since 2000 have been classified into external and internal characteristics for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external expressive characteristics, bright and highly saturated color was used with complementary contrast. In terms of materials, gilded spangle was used. In terms of shape, kitsch makeup in which a post-phenomenon attempt was found has been expressed by avoiding a regular style. Among the internal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kitsch makeup, amusement expressed extravagant and childish sentiment while nostalgia revealed retro makeup, expressing retrospective kitsch characteristics. In terms of resistance, depressive and creepy aspects were created using low-saturated and less-bright colors. In terms of decadence, a low-saturated reddish color instead of a bright color was usually used to create erotic images. In terms of pictorial aspect, brand-new eye makeup in which loud colors and pictorial techniques were used was expressed. Kitsch makeup amongst TV stars has shown new aesthetic attempts, not the conventional concept of beauty. A correct understanding of kitsch makeup will be helpful in developing makeup design and broadening the aesthetic category. It would also be useful as data to create kitsch makeup.

      • M-SegNet: MRI에서 뇌 조직을 분할하기 위한 CNN 아키텍처

        나가라즈 야마낙카나바르,이범식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21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05

        백질(WM), 회백질(GM), 뇌척수액(CSF) 등 뇌 조직의 정량적 분석에 뇌 자기공명영상(MRI)의 자동적이고 정확한 분할이 상당히 중요하다. 최근 몇 년 동안, 과학 연구와 임상 진단에서 인간의 뇌를 검사하기 위해 많은 딥 러닝 기술이 사용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M-SegNet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MRI에서 뇌 조직의 새 로운 분할을 제안하였다. 뇌 MRI의 슬라이스는 인코더 단계에서 해당 접지 진실의 패치를 M-SegNet 아키 텍처에 공급하는 겹치지 않는 균일한 패치로 분할된다. 또한, 크기가 다른 멀티 스케일 컨볼루션 커널은 인 코더와 디코더 모듈에 사용되어 뇌 MRI 스캔에서 풍부한 의미적 특징을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공개적으로 사용 가능한 데이터 세트에 대한 의미 분할 작업을 위해 제안된 아키텍처를 조사한다. 실험 결과는 제안된 패치별 M-SegNet 모델이 평균 0.95의 주사위 유사성 계수(DSC) 점수를 달성하고 기존 방법을 능가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An automatic and accurate segmentation of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s significantly important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brain tissues such as white matter (WM), grey matter (GM) and cerebrospinal fluid (CSF). In recent years, many deep learning techniques has been employed to examine the human brain in scientific research and clinical diagnosis. In this paper, we proposed a novel segmentation of brain tissues on MRI using M-SegNet architecture. The slices from the brain MRI is partitioned into uniform non-overlapping patches that are fed to M-SegNet architecture with their corresponding patches of ground truth in the encoder stage. Furthermore, multi-scale convolutional kernels with different sizes are used in the encoder and decoder modules to derive abundant semantic features from brain MRI scans. Finally, we examine the proposed architecture for the task of semantic segmentation on publically available dataset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patch-wise M-SegNet model achieves a Dice similarity coefficient (DSC) score of 0.95 in average and outperforms the conventional methods.

      • KCI등재

        아트메이크업에 응용된 팝아트의 특성 연구

        김의형(Eui Hyoung Kim),정숙영(Sook Young Jeong)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14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15 No.3

        Within the field of modern make-up, pop-art make-up has as yet been only partially researched, with few studies on the topic.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pop-art factors applied to art make-up through the personal creation of art make-up using pop-art characteristics under the assumption that pop art-based art make-up is closely related to the shapes and colors of the trends in fine arts. As a result, pop-art factors used in art make-up were analyzed by morphological, color and expression-technique characteristic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expressed through repetition and duplication, reproduction of objects and modification of original forms. The color characteristics were presented through clear visual effects, film color and color contrast while the expression-technique characteristics were expressed through happening, combine painting and object.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makeup and trends in the fine arts was confirm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elps to broaden the field of art makeup and to enhance its artistic val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