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thnomethodology의 원류와 의미에 대한 탐구

        박동섭 ( Dong Seop Park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3 교육인류학연구 Vol.16 No.1

        이 글에서 나는 ethnomethodology가 어떻게 창시되었는지 그 발생원류까지 거슬러 올라가서 그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 작업을 통해서 먼저 나는 ethnomethodology의 창시자인 가핑클(Garfinkel)이 ``ethno`` 및 ``methodology``를 어떻게 개념 정의하였으며 더불어 그의 ethnomethodology(EM)에 대한 관점으로부터 우리가 얻을 수 있는 함의가 무엇인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 나는 가핑클이 EM이라는 이른바 ``새로운 사회학``을 창시함으로써 연구대상으로 삼고자 하였던 ``사회현상``은 무엇이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세 번째, 나는 가핑클의 소설 <컬러 트러블(Color trouble)>과 그가 연구대상으로 삼고자 하였던 현상(예컨대 배심원의 평결)을 음미함으로써 EM을 현대에서 어떻게 확장시키고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인가를 모색하였다. 네 번째, 나는 ethno와 method가 무엇인지 각각의 의미를 밝히기 위하여 내가 경험한 몇 가지 구체적 일상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작업의 결과 나는 EM의 관점의 핵심은 나를 포함해서 내 주위 사람들이 어떻게 일상에서 ``사람들의 방법``을 실천하고 살아가고 있는지를 밝히는 것에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나는 EM의 본질은 탐구하는 것을 통해서 그것이 우리 주위에 흔하디 흔한 당연한 일상을 의심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하여 그 당연한 일상의 배경이 되는 ``사람들의 방법``을 해독하고 나아가서는 새로운 일상을 창조하는데 도움이 되는 실천적인 학문이라는 생각에 이르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EM의 발상을 갖고 교실의 일상을 볼 때 교실이 어떻게 새롭게 보이는지를 탐구하고, 그 새롭게 보이는 교실의 모습을 토대로 교실연구자와 더불어 현장교사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모색하였다. My research aims to inquire into how ethnomethodology came about and trace it back to its origin to articulate why we should doubt things we regard as taken-for-granted. In this work, firstly, I attempted to know how Harold Garfinkel, who coined the term ethnomethodology, defined ``ethno``, and ``methodology``, and what the implications of his perspective are to us. Secondly, I attempted to find out what is the ``social phenomenon`` is that Garfinkel wanted to be the target of his research when he created this new branch of sociology. Thirdly, I attempted to figure out how ethnomethodology could be extended and furthered by considering <Color Trouble> which is a novel and the phenomenon (e.g., jury deliberation etc.) that was the subject of his study. Fourthly, I analyzed a couple of my concrete daily routines to articulate what ``ethno`` and ``method`` mean respectively. In this work, I came to realize that the core of ethnomethodology`s perspective is to clarify how people around me, including myself practise ``ethno-method`` in their daily routines. After inquiring into the nature of ethnomethodology, I came to find the fact that ethnomethodology is a kind of practical academy, the starting point of which is to cast doubt on daily routines that commonly happen around us, to decode Ethno-method on which daily routines are based, and to help creat new daily routines. Finally, when I watched the daily routines at classroom with the idea of ethnomethodology, I inquired into how newly classroom emerges to us, and examined what the school teacher along with the researcher on education can do on the basis of the new face of classroom.

      • 사람들의 사회학으로서의 Ethnomethodology에 대한 탐구

        김동섭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3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0 No.-

        In this essay, I come to regard the following as a starting point of my research, an issue raised by a researcher, a student of Ethnomethodology, suggesting that the term Ethnomethodology be translated as 'the sociology of Men', rather than 'Minsokbangbeopron', the term used by the researchers in Korea. In this work, firstly, I attempted to understand how Harold Garfinkel, who coined the term Ethnomethodology, defined 'ethno', and 'methodology', and what the implications of his perspective are to us, and to understand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isting sociology and Ethnomethodology on the basis of the literature and my own experience. Secondly, by examining an empirical study by Garfinkel, I attempted to grasp what implications an empirical study based on EM may give to qualitative research. In this work, firstly I came to identify that EM is a new sociology that rejects the revisionism in which the existing sociology argues that everyday language or concept should be translated into scientific language or concept because it is ambiguous. Secondly, I came to realize what kind of things a researchers should focus on in the field with Ethnomethodology's perspective. Thirdly, I came to identify some attempts of the researcher who suggested the necessity of translating liberally the term Etho into Men and the term Ethomethodology into the sociology of men and research inquiring into the sociology of men. 이 글에서 나는 Ethnomethodology가 한국의 학계에서 유통되고 있는 번역어인 민속방법론이라는 직역 대신 ‘사람들의 사회학’이라고 의역이 필요하다는 어느 연구자의 문제제기를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검토하는 것을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나는 먼저 EM의 창시자인 Garfinkel(H. Garfnikel)이 EM이라는 개념을 어떻게 만들었고, 그 개념을 통해 무엇을 밝히려고 하였는지 나아가 EM이 규범주의 사회학과 어떻게 차별화 되는지를 문헌 연구와 나의 경험을 통하여 추적하였다. 둘째, Garfinkel이 수행한 실제 연구를 검토함으로써 EM의 발상에 기초한 연구가 질적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엿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EM이 일상언어 혹은 개념을 애매하다는 이유로 과학언어 혹은 개념으로 번역해야 한다는 규범주의 사회학에서 나온 수정주의를 지양하는 새로운 사회학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EM의 입장에 섰을 때 질적 연구자는 필드에서 무엇을 연구대상으로 삼아야 하는지를 밝혔다. 셋째, Ethno를 사람이라고 의역하고 EM을 사람들의 사회학 그리고 그 사람들의 사회학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의역할 필요성을 제기한 그 연구자의 시도가 일리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사람들의 사회학으로서의 Ethnomethodology에 대한 탐구

        박동섭 ( Dong Seop Park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3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0 No.-

        이 글에서 나는 Ethnomethodology가 한국의 학계에서 유통되고 있는 번역어인 민속방 법론이라는 직역 대신 ``사람들의 사회학``이라고 의역이 필요하다는 어느 연구자의 문제제기를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검토하는 것을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위해, 나는 먼저 EM의 창시자인 Garfinkel(H. Garfnikel)이 EM이라는 개념을 어떻게 만들었고, 그 개념을 통해 무엇을 밝히려고 하였는지 나아가 EM이 규범주의 사회학과 어떻게 차별화 되는지를 문헌 연구와 나의 경험을 통하여 추적하였다. 둘째, Garfinkel이 수행한 실제 연구를 검토함으로써 EM의 발상에 기초한 연구가 질적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엿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EM이 일상언어 혹은 개념을 애매하다는 이유로 과학언어 혹은 개념으로 번역해야 한다는 규범주의 사회학에서 나온 수정주의를 지양하는 새로운 사회학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EM의 입장에 섰을 때 질적 연구자는 필드에서 무엇을 연구대상으로 삼아야 하는지를 밝혔다. 셋째, Ethno를 사람이라고 의역하고 EM을 사람들의 사회학 그리고 그 사람들의 사회학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의역할 필요성을 제기한 그 연구자의 시도가 일리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essay, I come to regard the following as a starting point of my research, an issue raised by a researcher, a student of Ethnomethodology, suggesting that the term Ethnomethodology be translated as ``the sociology of Men``, rather than ``Minsokbangbeopron``, the term used by the researchers in Korea. In this work, firstly, I attempted to understand how Harold Garfinkel, who coined the term Ethnomethodology, defined ``ethno``, and ``methodology``, and what the implications of his perspective are to us, and to understand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isting sociology and Ethnomethodology on the basis of the literature and my own experience. Secondly, by examining an empirical study by Garfinkel, I attempted to grasp what implications an empirical study based on EM may give to qualitative research. In this work, firstly I came to identify that EM is a new sociology that rejects the revisionism in which the existing sociology argues that everyday language or concept should be translated into scientific language or concept because it is ambiguous. Secondly, I came to realize what kind of things a researchers should focus on in the field with Ethnomethodology``s perspective. Thirdly, I came to identify some attempts of the researcher who suggested the necessity of translating liberally the term Etho into Men and the term Ethomethodology into the sociology of men and research inquiring into the sociology of men

      • KCI등재

        상황에 대한 이해와 실천적 지식연구

        김무영(Moo Young Kim),박정준(Jeong Jun Park)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4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현상학적 질적 연구로서 민속방법론이 함의하고 있는 연구 논리를 기술하고 이를 통해 사회구성주의 지식관인 실천적 지식이 어떻게 스포츠교육학의 실천적 지식연구 공동체에서 경험적 연구로 활용 가능한지 이론적 수준에서 담론을 제기하고 독자의 이해를 꾀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국내 스포츠교육학 분야에서 수행된 관련 연구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한계라고 여겨지는 영역에서 민속방법론이 어떻게 접근 가능한지를 다양한 논증을 통해 기술하고 있다. 선행연구의 분석 결과, 지금까지 스포츠교육학 분야에서 수행된 실천적 지식연구들은 실천적 지식이 상황적 지식이라는 전제에는 공통적으로 동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상황에 대한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언급은 없다는 것이다. 이 연구는 상황이 가지고 있는 일상적인 속성들을 어떤 논리를 바탕으로 어떻게 접근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논리로서 민속방법론의 이론적 소개와 더불어 다양한 논증을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스포츠교육학에서의 민속방법론 활용은 체육교사와 학생간의 의사결정과정과 내용에 대한 미시적 탐구, 체육 수업 및 체육 수업모형 운영에 대한 본질적 접근, 반성적 체육교사와 관련된 다양한 담론의 미시적인 논의까지 확장이 가능함을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민속방법론이 가지고 있는 연구논리는 지금까지 우리가 접근하기 어려웠던 간주관의 세계를 엿볼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스포츠교육학 질적 연구 공동체에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troduce the possibility and range of how practical knowledge which is so called situationalism or a sense of knowledge of social constructivism can be implemented as empirical research in sport pedagogy through somehow unfamiliar research logic for us as ethnomethodology. Through this, It`s intended to suggest diverse research issues and discourses regarding practical knowledge among qualitative researchers in sport pedagogy. For the research, the research convention of practical knowledge discourse and theoretical background were introduced and diverse cases on how practical knowledge can approach it through ethnomethodology were described. Lastly it was described in-depth that ethnomethodology can be used for practical knowledge research in sport pedagogy in which directions and aspects. In conclusion, the use of ethnomethodology in sport pedagogy suggested in this research describes micro study on decision making process and contents between sport teachers and students, fundamental approach on P·E class and P·E class model operation, and expansion to micro discussion on diverse discourses related to reflective P·E pedagogy. Ultimately, the possibility of ethnomethodology provides logical frame to the glance of intersubjective world which we have felt difficult to approach until now, and it asserts it is necessary for qualitative research community of sport pedagogy should have continuous interest in it.

      • KCI등재후보

        Entre indexicalité et réflexivité, la «fabrique» du sens commun, théorie et usages ethnométhodologiques

        Pierre Quettier 고려대학교 응용문화연구소 2012 에피스테메 Vol.0 No.7

        We owe the intensive use of the terms “indexicality” and “reflexivity” to Harold Garfinkel's ethnomethodology. After being controversial when it first appeared, to the point of being compared to a cult, but then tolerated as “marginal”, ethnomethodology is now a growing response as an operational discipline of observation and reporting of professional practices. Paradoxically, this applicability is largely due to the radicalism of its epistemological position, based entirely on a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manufacturing operations of common sen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is apparent paradox by showing how this “factory” works, to point the limits it imposes but also to mention the opportunities it opens, and to list some of its practical applications. On doit l'usage intensif des termes d'indexicalité et de réflexivité à l'ethnométhodologie de Harold Garfinkel. Après avoir été controversée lors de son apparition, au point d'être comparée à une secte, puis tolérée mais comme «à la marge», l'ethnométhodologie trouve aujourd'hui un écho grandissant comme discipline opérationnelle d'observation et de compte-rendu des pratiques professionnelles. Paradoxalement, cette applicabilité est très largement due au radicalisme de sa posture épistémologique, entièrement fondée sur une considération minutieuse des opérations de fabrication du sens commun. L'objet de cet article est d'éclairer cet apparent paradoxe en donnant à voir le fonctionnement de cette «fabrique», de montrer les limites qu'elle impose mais aussi les possibilités qu'elle ouvre et d'indiquer quelques-unes de ses applications pratiques.

      • KCI등재

        숙달의 정체성으로서의 장인에 관한 연구: 숭의동 목공장인의 작업장 들여다보기

        권미애,손민호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6

        This study was initiated to understand the mastery as one of the learned states. For this purpose, craftsman’s workplace was observed by researchers and the analysis depended on ethnomethodology. By looking into the process of the work based on the manner in which the craftsman handles things, we tried to explore what conditions would enable the mastered condition in the work of the craftsman. In addition, we tried to identify how the different practices of individual craftsmen in their workplaces achieve universal values and styles. The state of flexible mastery, which reacts sensitively to the texture and contextual needs of things, is too ordinary, intuitive to be said knowledge and it is rather succession of variation. Beyond the demonstration of craftsman’s skills, the appearance of the craftsmen interacts with configuration of the objects such as workbenches, tools, timbers and work pieces and it even pervade the living and life-word including sense of place in workplace and direction for use of time. The mastery of the craftsmen reflects their work and life-world surrounding them, which is their workplace, and again the craftsmen builds their own life-world. It is expected that the boundary crossing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will give implications that what condition is needed for the learning and reproduction of the experience. 이 연구는 학습의 결과 도달하게 되는 상태인 숙달에 관해 이해하고자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어느 목공장인들의 작업장을 참여 관찰하였고 분석은 민속방법론에 의존하였다. 장인이 사물을 다루는 방식을 중심으로 일의 과정을 들여다봄으로써, 장인의 작업 안에서 숙달된 상태를 가능하게 하는 조건이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자신들의 작업장 안에서 장인들 제각각의 실천이 어떻게 보편적 가치와 개성적인 스타일을 성취하게 되는지 보고자 하였다. 사물의 결 그리고 상황적 요구에 세심하게 반응하는 유연하고 융통성 있는 작업은 일상적이고 직관적이며 임시변통적인 변주의 연속으로 전개되었다. 장인의 면모는 그가 발휘하는 솜씨를 통해 작업대나 연장과 도구, 목재, 일감 등 객체들의 배치와 상호작용하며, 작업장이 갖는 장소감과 더불어 시간의 사용법 등 그만의 암묵지를 넘어서서 그의 삶과 생활세계에 깊숙이 스며들어가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장인의 숙달은 그를 둘러싼 작업과 작업장이라고 하는 생활세계가 반영된 결과이고 그러한 작업장과 작업 과정 속에서 그의 정체성이 어떻게 생동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주체와 객체 간 경계의 넘나듦 양상은 경험학습에 관한 우리 이해를 확장하는 데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음악사회학에서 음악실행학으로: 음악에의 민속지학, 현상학, 그리고 민간방법론적 접근

        김광기 한국이론사회학회 2022 사회와 이론 Vol.43 No.-

        Since music essentially presupposes sociality, sociology of music cannot be neglected as a trivial subfield of sociology. In other words, the sociology of music deserves to be proudly joined to the main branch of sociolog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he more serious investigation of “making music together” in a “mutual tuning-in relationship”, which was raised earlier by Schutz, was made in earnest in the sociology of music after Schutz, and to compare and evaluate each study. In this paper, we will critically review representative studies that show how music is emerged as a phenomenon in situ. Music as a phenomenon also manifests itself as an order. In other words, a musical phenomenon essentially represents a locally produced order. And that the stability of the order is achieved locally is an pivotal recommendation to reaffirm in this paper. In that respect, it is clear that music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human and social behaviors, which is achieved locally and obtained its stability. Sociologists of music to be considered in this paper are Howard S. Becker, David Sudnow, Peter Weeks, and Tolmie, Benford, and Rouncefield. They belong to symbolic interactionism (Becker) and ethnomethodology (the others) respectively in general. Each method they used is ethnography or ethnomethodological-and-phenomenological description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both largely belonging to qualitative methodologies. In this paper, we will briefly review and compare their sociology of music, indicating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s well as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In the end, this paper attempts to derive the conclusion of what should be pursued in the sociological investigation of music, that is, what should be the most important in the sociology of music, in order to prove the intrinsic nature of the music that we make together in a mutually coordinated relationship, which is the critical issue in the sociology of music raised by Schutz. 음악은 본질상 사회성을 전제로 하기에 음악사회학은 사회학의 보잘것없는 하나의 하위분야로 소홀히 취급될 수 없다. 즉, 음악사회학은 사회학의 본진에 당당히 합류할 자격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일찍이 슈츠가 제기했던 ‘상호조율된 관계 속에서 함께 만들어 가는 음악’에 대한 보다 진지한 탐구가 슈츠 이후에 어떻게 본격적으로 음악사회학에서 이루어졌는지를 살펴보고 각각의 연구들을 상호비교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논문에서는 구체적인 특정 상황(in situ)에서 어떻게 하나의 현상으로서 음악이 발현하는지를 보여준 대표적인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현상으로서의 음악은 하나의 질서로서도 발현한다. 즉 음악적 현상은 본질적으로 하나의 국지적 질서를 대변한다. 그리고 그 질서가 갖는 안정성(stability)은 국지적으로 성취된다는 것이 이 논문에서 재확인하고자 하는 중요한 권고 사항이다. 그런 측면에서 음악이야말로 국지적으로 성취되어 안정성을 획득하게 되는, 가장 대표적인 인간적이고 사회적인 행동 중 하나임이 분명하다. 이 논문에서 살펴볼 음악사회학자들로는 베커, 서드노우, 윅스, 톨미 등이다. 이들은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민간방법론에 속한다. 각자 그들이 사용한 방법은 민족지학과 참여관찰을 통한 민간방법론적이고 현상학적인 기술로서 모두 크게는 질적방법론에 속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들의 음악사회학을 간략히 검토, 비교하여 그 유사점과 차이점, 그리고 강점과 약점을 상세히 할 것이고, 결국 슈츠가 제기했던 음악사회학에서의 최대 쟁점 사항인 ‘상호조율된 관계 속에서 함께 만들어 가는 음악’을 입증하기 위해 음악사회학적 탐구에서 무엇을 추구해야 하는지, 즉 무엇을 가장 중요시해야 하는지에 대한 결론을 도출해 내고자 한다.

      • KCI등재

        다큐멘터리의 몸짓과 영상사회학적 실험/실천: <숨결>과 <보드랍게>의 피해생존자들의 경우

        김한상 ( Kim Han Sang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1 현대영화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증언 다큐멘터리에 등장하는 피해생존자들이 카메라 앞에서 ‘출연자’로 놓이게 되는 상황을 무대 위에 선 배우의 상황으로 보고, 그 속에서 그들이 새로운 행위자로 거듭나는 과정에 주목한다. 독일의 극작가 베르톨트 브레히트는 무대와 배우의 관계를 급진화하고자 하는 교육극이론을 구축했는데, 그에 따르면 배우는 무대 위에서 연기하는 인물을 통해 “행동하면서 동시에 관찰하는” 학습자의 위치에 서게 되며, 이때 배우가 관찰하고 모방하는 ‘사회적 몸짓’은 비판적 성찰과 각성을 낳을 수 있다. 다큐멘터리의 피해생존자들 역시 카메라 앞에 출연함으로써 특정한 사회적 몸짓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 과정은 교육극과 질적 연구의 민간방법론이 공통적으로 지향하는 자기반영성과 공명한다. 브레히트의 교육극은 공연이라는 몸짓의 실험을 통해 공연자들이 경험에 근거한 사회현실의 심층적 이해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사회학적 실험’으로 불리는데, 민간방법론의 자기언급적 반영성의 원리는 그와 같은 지칭에 설득력을 부여한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 다큐멘터리 <숨결>과 <보드랍게>는 이와 같은 사회학적 실험으로서 다큐멘터리의 무대적 상황을 잘 보여주는 작품들이다. <숨결>의 피해생존자 이용수는 인터뷰어가 되기 위한 직업훈련적 상황의 반복 후에 직접 카메라 앞에 질문자로 서게 되며, <보드랍게>의 ‘미투’ 피해생존자들은 고인이 된 ‘위안부’ 피해생존자 김순악의 증언을 낭독하면서 자신들의 사회적 경험과 김순악의 경험을 견주어 보는 상황 앞에 놓인다. 이들 상황에서 카메라는 기록을 위한 기계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행위를 유발하거나 행위에 개입하는 자기반영성을 띠며, 다큐멘터리는 사회학적 실천의 장이 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documentary’s production process in which victim-survivors of historical atrocities become equipped with their new agency, considering their situation to be places as the subject of the camera as that of an actor on the stage. German theatre practitioner Bertolt Brecht formulated the Lehrstuck (learning play) theory that aimed to radica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ge and the actor, in which he suggested that the actor would stand in the place of both acting and observing while performing a character and would reach a self-reflection and awakening through the ‘social gesture (Gestus)’ he/she observed and mimicked. The victim-survivors of the documentary also perform certain social gesture by appearing before the camera, the process of which resonates with the aim of self-reflexivity in both Lehrstuck and the ethnomethodology in qualitative research. Brecht’s Lehrstuck is called a ‘sociological experiment’ in that it pursues the actor’s in-depth understanding of social reality through the performance as an empirical experiment of gestures, which is supported by the self-referencing reflexive principle of ethnomethodology. The two ‘comfort women’ documentaries, My Own Breathing and Comfort, are the cases that show the stage situations of the documentary as sociological experiments. The victim-survivor Lee Yong-soo in My Own Breathing stands before the camera as an interviewer after a repetitive near-vocational training to ask questions, and the three ‘#MeToo’ victim-survivors in Comfort recite the testimony of the late victim-survivor Kim Soon-ak to compare their social experiences with Kim’s own. In these situations, the camera does not just remain a machine to record but becomes a self-reflexive actor that causes actions of the victim-survivors, or intervenes in their actions, and the documentary becomes a stage for sociological practices.

      • KCI등재

        질적 연구과정에서의 문제 상황,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민간방법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이지연 한국문화사회학회 2019 문화와 사회 Vol.27 No.3

        The issue of this article is about how a researcher should understand problematic situations he/she experiences during qualitative research process. The issue here is the problem that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s of the research may experience. This problem is inevitable as long as the interviews or the field investigations are based on interaction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s. In other words, the question on how to explain a problematic situation during a qualitative research process is also a question on how to study interaction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s. This article discusses the study methodology regarding how to approac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s. Especially ethnomethod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of various types of approach that shows interaction, will be introduced. This article further improves our understanding of the aspect of interaction in qualitative research and seeks the significance of such aspect in terms of contribution to the relationship of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s and our understanding of the power mechanism in conversation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s. 이 글의 문제의식은 연구자가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겪는 문제 상황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있다. 여기서 문제 상황은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를 둘러싼 문제를 말한다. 이 문제는 인터뷰나 현장조사가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성립되는 이상 필연적으로 일어나는 문제이기도 하다. 다시 말해 질적 연구과정에서의 문제 상황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하는 질문은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 간의 상호작용을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하는 질문의 성격을 갖기도 한다. 이 글에서는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 간의 상호작용에 대해 어떻게 접근해나갈 것인가 하는 연구 방법론에 관해 논의하기로 한다. 특히 이 글에서는 상호작용을 드러내는 다양한 접근 가운데에서 민간방법론적 질적 연구에 대해 소개하기로 한다. 이 글은 질적 연구에서의 상호작용의 측면에 대해 우리의 이해를 보다 심화시키면서, 아울러 이러한 관점이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의 관계성 및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의 대화 속에 구축되는 권력 작용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기여할 수 있는 바가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출발하였다.

      • KCI등재

        민속 조사방법론 재고: 제보자를 중심으로

        이승수 ( Seung Soo Lee ) 남도민속학회 2013 남도민속연구 Vol.26 No.-

        본 연구는 민속 조사방법론과 관련하여 조사지에서 만나게 되는 사람(들) 중 제보자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보자를 선행연구에서는 어떻게 자리매김 하여 왔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또 그들의 실제 모습은 어떠한지, 나아가 그들을 학문적으로 어떻게 이해하고 인식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해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논의의 계기는 필자의 강의를 들은 학생들이 현지조사를 기피하는 데서 비롯된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존에 논의 되었던 조사방법 관련 제보자에 대한 재고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리하여 제보자와 관련한 논의를 검토하여 그동안 논의가 충분히 전개되지 못했던 부분에 대해 논의를 확장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특히 21세기를 함께 살아가고 있는 제보자들을 조사.연구 대상으로 삼았을 때 조사자들이 유념해야 할 점에 대하여 몇 가지 사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1) 제보자 선정, 2) 제보자의 기억, 3) 제보자가 제공한 자료의 객관성, 4) 제보자와 거리두기, 5) 제보자와 집단, 사회, 국가의 관계의 등이다. 본 연구는 조사자와 제보자의 관계성을 포함한 제보자의 속성을 미시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민속 조사방법론을 비판적으로 성찰한 시도라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조사와 연구의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조사지에서 접하게 되는 제보자를 어떤 학문적 인식이 필요한지에 대해 제안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intensively examine the people encountered in the field of research with regard to ethnomethodology and investigate what could be the good ways to settle and recognize them academically and what could be the true aspects of them as well. The starting point of this discussion is originated from the fact that the students taking the author’s course did avoid field work. To figure out the cause of this phenomenon, this study conducted critical examination on the research methodology that had discussed before. Through this, the study suggests ‘informants’to find the limitations implied in the existing concept of ‘folks’ that has been settled by researchers’ convenience up until now and apply the new concept. And regarding the points particularly to be considered by the researches when taking informants living in this 21st century together as the subjects of research, the study came up with several points in detail as follows : 1) selecting informants, 2) remembering the memory of the informants, 3) objectivity of the data, 4) alienation from the informants, and 5) informants and external factors, etc. With this, the study figured out the problems internalized in the informants from academic significance that has been dealt with so far in folklore and also the informants in practical significance as well. This study result emphasizes that it is needed to change our recognition on how we should see the class of subjects we meet in the field of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