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덕교육으로서 체육교육 : 초등교육에서 체육과의 역할확장 가능성과 의의

        이정택(Lee Jung Taik),이기청(Lee Ki Chung) 한국초등체육학회 2020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는 초등교육에서 도덕교육으로서 체육교육의 역할확장 가능성을 알아보고 그 의의를 찾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서적 차원에서 체육과와 도덕과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여 유사성을 찾고자 하였으며 실천적 차 원에서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 나타나는 도덕교육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도덕교육으로서 체육교육의 역 할확장이 초등교육에 어떠한 의의를 가지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체육과와 도덕과 교육과정은 핵심 가치를 중심으로 다양한 정의적 요소를 제시하고 있는 구조적 유사성과 수행 중심의 교육, 전인 교육, 정의적 영역의 성취 기준을 강조하는 내용적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체육과가 도덕적 사고력 교육, 가치·덕목 교 육, 도덕적 공동체 교육, 가치관계 확장 교육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실천적 차원에서 도덕교육적 성격을 가지고 있 다고 말할 수 있었다. 도덕교육으로서 체육교육의 역할확장은 도덕과의 역할 보충, 생활연계 도덕교육 실현, 통합적 도덕교육 실현이라는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었다. 앞으로의 초등학교 체육교육은 학생들의 올바른 인성과 도덕성 을 함양시킬 수 있는 교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점차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application of physical education as a moral education and the meaning in elementary education. To this end,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similariti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curricula between physical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moral education in practical physical education class of elementary school.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the expansion of the role of physical education as a moral education for elementary education.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moral education curriculum had structural similarities that presented various affective elements centered on core values and they also had content similarities that emphasize performance-based education, whole person education, and achievement standard of affective domain. Furthermore, it was said that the physical education has a moral education characteristic in terms of moral thinking education, values and virtues education, moral community education, and expanding value relations education. The expansion of the role of physical education as a moral education has important implications: supplementing the role of moral education, realizing moral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life, and realizing integrated moral education. In the future,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will have to expand its function and role as a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at can cultivate students’character and morality.

      • KCI등재

        도덕과교육에서 동물윤리교육의 중요성과 실천방안 연구: 초등학교 도덕과교육을 중심으로

        곽영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importance and practical measures of animal ethics education in moral subject education,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moral subject education. Methods To this end, the time and ethical background of animal ethics education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contents related to animal ethics education presented in the moral curriculum and elementary school moral textbooks were analyzed. Based on this, it was intended to provide an example of how to apply animal ethic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moral subject classes. Results In moral subject education, animal ethics education does not properly express the era and ethical background, questions about its sequence may be raised, and particularly, it does not present meaningful contents in the approach of elementary school moral subject education. The frequency of exposure to animal terms in elementary school moral subject education should be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rest of the times, and the animal ethics theory of Singer, Regan, and Kant needs to be applied more actively. Conclusions In moral subject education, animal ethics education should be approached based on the times and ethical foundations, securing sequence. In particular, in elementary school moral subject education, animal ethics education should include various practical approaches that are insufficient.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도덕과교육을 중심으로 도덕과교육에서 동물윤리교육의 중요성과 실천방안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동물윤리교육의 시대적 배경과 윤리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도덕과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에제시된 동물윤리교육과 관련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도덕 수업에서 동물윤리교육의 적용방안에 대한 예를제공하고자 하였다. 결과 도덕과교육에서 동물윤리교육은 시대적, 윤리적 배경을 적절하게 표현하지 못하고 있고, 계열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수 있으며, 특히 초등학교 도덕과교육의 접근에서 유의미한 내용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초등학교 도덕과교육에서 동물에 대한 노출 빈도는 시대적 관심에 부합하게 높여야 할 것이며, Singer, Regan, Kant의 동물윤리이론이 보다 적극적으로 적용될 필요가 있다. 결론 도덕과교육에서 동물윤리교육은 시대적, 윤리적 토대를 바탕으로 접근되어야 할 것이며, 계열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고, 특히초등학교 도덕과교육에서 미흡한 실제적인 접근 방안들을 다양하게 포함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의 기초로서 소크라테스의 교육관에 대한 연구

        이영문 ( Young Mun Lee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4 초등도덕교육 Vol.0 No.44

        본 연구는 소크라테스가 학생들의 도덕성을 효과적으로 형성시키는 일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고찰하고 이것이 초등학교의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에 어떠한 시사를 줄 수 있을지를 탐색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학생들의 인성과 인격의 진정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예를 플라톤의 대화편들 속에 등장하는 소크라테스의 생각과 말을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의 결과 소크라테스는 학생들의 도덕성이 바람직하게 변화되기 위해서는 수업시간 동안에 인지적 도덕성 정의적 도덕성 행위적 도덕성이 혼연일체가 되어 학생들의 인생관과 세계관의 변화로 이어지도록 하는 교수방법을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소크라테스는 진정한 도덕성의 교수 학습은 일주일에 시간의 도덕 수업으로 가능한 것이 아니라 가르치는 자와 배우는 자 모두 매일 전심전력으로 몰두하여 공부하고 그러한 정신으로 일상생활을 할 때 가능하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즉 교사와 학생은 그들의 모든 삶을 통해서 도덕적 사고를 하고 대화를 할 때 이 일이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진정한 인성교육을 위해서는 소크라테스의 도덕교육관을 불가피하게 받아들여 초등학교 도덕과의 교육과정을 개정해야 할 필요성을 말해준다. This study examined Socratic view of education to find some problems of the present elementary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provide some suggestions for a revision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curriculum. Some problems of the present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have been raised. Especially, there are two problems. The first is the insufficiency of the amount of moral instruction in elementary education and the second is the incomplete integration of cognitive morality, affective morality and active morality. For this, the study investigated how Socrates develops people`s morality effectively for their lives of unity of moral knowledge and a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rates makes every educational effort in fostering good persons through the dialogue to examine people`s thought and action in everyday life. In the light of this point, the now elementary moral education curriculum needs Lo provide more the amount of moral instruction. Second, Socrates analyzes the core of the interlocutor`s belief for the complete integration of cognitive morality, affective morality and active morality. As the result. the interlocutor finds his false-consciousness and acquires the right moral knowledge. In the light of this point, the new elementary moral education curriculum needs to accept the method of Socratic integration of cognitive morality, affective morality and active morality In pursuit of the unity of moral knowledge and action. In conclusion, we need to accept Socratic view of education in a now 81ementary moral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effective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

        초등 도덕교육의 특징과 지향점 탐구 -도덕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철주 ( Lee Chul-ju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8 초등도덕교육 Vol.0 No.60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은 초등 도덕교육의 특징과 지향점을 탐구하는 것이다. 초등 도덕교육은 주당 1시간 교과이며 초등 교사가 전 교과를 가르치고 있기에, 초등 도덕교육의 특징이나 그것이 지향하는 바를 명확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 초등 도덕교육의 정체성이나 지향점에 관한 탐구는 학교 도덕교육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도덕과 교육과정을 토대로 가능하다. 이에 먼저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드러난 초등 도덕교육의 특징이 ‘통합적 인격’과 ‘도덕적 실천’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검토하여 재정립하고, 이것을 초등 도덕교육에서 구체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and orientation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Elementary moral education is only one hour per week,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teaching all subjects. So it is necessary to clearly show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and its direction. The inquiry into the identity and orientation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can be based on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which directly affects school moral education. First, it can be seen that the characteristic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revealed in the course of moral education lies in 'integrated character' and 'moral practice'. After reviewing these characteristics and reestablishing them, I would like to suggest ways to actualize them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 KCI등재

        초등학교 도덕과 통일교육의 비판적 검토

        변종헌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초등도덕교육 Vol.0 No.39

        It has been recognized that the unific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s a basic foundation for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In general, unification education in our elementary school is relying o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s well as official subjects. It is the moral education that playes the most critical role for unification education among various elementary school subjects, which can help to stimulate the will for Korean Unification and strengthen the consciousness of Korean Unification. In this vein,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contents of moral education for Korean Unification and suggest some ideas to activate unific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the structure of educational contents for unification education needs to be reorganized in terms of the necessity of sequence and integration. And the elementary unification education has to try to magnify the function of making elementary students to be more interested in unification-related issues. 초등학교 통일교육은 공식적인 학교 통일교육의 출발이라고 할 수 있다. 초등학교 과정의 통일교육은 일반적으로 교과와 비교과 활동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가운데서 북한과 통일문제를 가장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다루는 교과가 바로 도덕과다. 따라서 초등학교 도덕과의 통일교육은 학교 통일교육의 토대로서 학생들의 통일의지와 통일역량을 함양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이 글의 목적은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현행 초등학교 도덕과의 통일교육 관련 단원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향후 초등학교 통일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현행 초등학교 3학년에서 6학년 과정까지의 통일교육 관련 단원의 내용체계 선정과 조직의 적정성, 북한 및 통일문제와 관련된 핵심 내용요소들에 대한 논의를 통해 초등학교 도덕과 통일교육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현행 초등 도덕 교과서의 내용이 권위주의 교육의 잔재인가? -소병철 교수의 「현행 초등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권위주의 교육의 잔재들」에 대한 비판적 소고-

        박종익,김은미,김민재 범한철학회 2023 汎韓哲學 Vol.1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arguments for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presented in Professor So, Byung Chul's 「The Vestiges of Authoritarian Education in Current Elementary Moral Textbooks」 and the cases in the Moral textbook. To achieve this purpose, ⓐ researchers first examined whether the concept of ‘philosophical character education’ is compelling. As a result, the definition of philosophical character education is obscure, and the rational and critical reason cannot be seen as a complete direction in itself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and the term does not contain consideration of children's development stages and understanding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field. ⓑ Continually, researchers examined the problem of elementary school Moral textbook pointed out by Professor So, whether the problem was really a problem. Therefore, after asking questions such as ‘Are law-abiding, filial piety, and courtesy vertical, hierarchical, and asymmetrical virtues?’, ‘Do they promote an adaptable, uncritical attitude that avoids conflict?’, ‘Do they inertially authoritatianzied amoral virtues?’, ‘Does unification education have political unilateralism?’, and considering the context of the textbook or the situation of the class, Professor So's criticisms were answered that they were not true. In conclusion, the researchers considered Professor So's argument less persuasive. The goal of raising children as ‘intellect to think critically’ is already included in the theory and practice of mo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n addition, the parts that were pointed out as vestiges of authoritarian education are not acceptable from the perspective of field teachers, even from textbooks, guidebook for teacher, and basically the curriculum. This is reason it is difficult to accept to conclude that you are not doing what you are already doing and point out that there is a risk of doing what you are not doing.

      • KCI등재

        초등 도덕과에서의 시민성 함양을 위한 통일교육

        박대호(Daeho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9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영원한 평화』에 나타난 Kant의 견해에 입각하여 초등 도덕과에서의 시민성 항양을 위한 통일교육의 방향을 도출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초등 도덕과에서의 통일교육, 그리고 Kant의 영원한 평화에 관한 문헌을 분석하여, ‘정치와 도덕의 일치’라는 문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Kant의 논의가 도덕적 시민의 형성 문제와 관련된다는 점, 또 도덕과를 통한 통일교육이 가변적인 정치적 상황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문제에서 벗어나는 방안을 시사한다는 점을 드러낸다. 다음으로 초등 도덕과에서 통일교육이 가진 어려움을 앞의 논의에 입각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대안적 접근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초등 도덕과를 통한 통일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안한다. 결과 Kant의 논의는 현실 정치의 문제에 도덕의 문제가 간과되는 경우 언제나 ‘정치적 시민’, 혹은 ‘정치적 도덕가’라는 결과로 나타난다는 점을 보여준다. 여기에 비추어 보면, 도덕과교육은 통일의 문제를 ‘평화’라는 보편적 가치에 입각하여 취급할 필요가 있으며, 영원한 평화를 지향하는 ‘도덕적 시민’의 형성에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특히, 도덕과를 통한 통일교육은 도덕과수업의 성격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결론 통일교육이 도덕과의 정체성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영원한 평화와 같은 보편적 가치를 지향할 필요가 있으며, 그것을 지향할 때 교화의 문제에서 벗어난 수업, 나아가 학생들의 인지적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수업이 가능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direc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for the cultivation of citizenship in the elementary moral education based on Kant's view on perpetual peace. Methods By analyzing the literature related to unific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as well as Kant's literature on perpetual peace, this study reveals that Kant's discussion centered on the issue of ‘the unity of politics and morality’ is related to the cultivation of a moral citizen, and suggests a way to escape from the problem that unification education is not free from political circumstances. Next, the difficulty of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elementary moral education is analyzed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an alternative approach is presented, and the direc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is suggested. Results Kant's discussion shows that when the problem of morality is overlooked in the problem of real politics, it always results in a ‘political citizen’ or ‘political moralist’. Moral education needs to deal with the issue of unification based on the universal value of ‘peace’, and should focus on the formation of ‘moral citizens’ who aim for perpetual peace. In particular, if unification education is to be done through teaching, it needs to be done in a way that fits the nature of instruction. Conclusions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elementary moral education needs to aim for universal values such as perpetual peace, and when aiming for that, it is possible to teach that is free from the problem of indoctrination and that can cause a change in thinking.

      • KCI등재

        초등 도덕과에서의 반인종차별을 위한 교수ㆍ학습 원리

        추병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4 No.2

        Through reducing racial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 moral education in multicultural societies should contribute to building a sound moral and democratic community based on shared values. However, literature on moral education has contributed surprisingly little to our understanding of issues of racism. Though we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anti-racist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we have paid little attention to develop concrete teaching methods for reducing racism.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propose effective teaching principles for anti-racist education in the elementary moral education. The critical aim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with regard to racism is to make students to stand up against racism. Producing bystanders to racism, however morally pure their own individual motives and actions, cannot be a goal of moral education. In additio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hould help students develop their own sound racial identities and cultivate a sense of racial justice. To do these aims come true, teachers are required to adopt the following teaching principles when they begin to implement anti-racist education: providing students with correct cognitive information and knowledge about race, utilizing super-ordinate categories and cross-cutting categories, fostering awareness on subjective culture, giving students multiple chances for role-taking and empathy, and using group process effectively. 인종차별은 인간이 만들어 낸 가장 비도덕적이고 정의롭지 못한 사회적ㆍ제도적 관행임에도 불구하고, 도덕교육에서 인종차별은 커다란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초등 도덕과교육에서의 반인종차별교육에 대한 연구 또한 매우 저조한 실정이며, 그마저도 유치원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반편견교육방안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있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유아교육 기관에서의 반인종차별 교수ㆍ학습 원리와 초등학교에서의 반인종차별 교수ㆍ학습 원리는 분명 달라야 한다. 이에 이 논문의 목적은 초등 도덕과에서 반인종차별교육 실행을 위한 교수ㆍ학습 원리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인종차별의 개념ㆍ유형ㆍ결과, 아동의 인종 의식 발달에 관한 연구 결과들을 개관하고, 초등 도덕과에서 반인종차별교육 실행을 위한 교수ㆍ학습 원리를 제시하였다. 교사들은 도덕과에서의 반인종차별을 위한 교수ㆍ학습 원리로서 인종에 관한 정확한 인지적 정보ㆍ지식 제공하기, 상위 범주와 교차 범주를 활용하기, 주관적 문화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기, 다양한 역할채택 및 공감 기회 제공하기, 집단과정을 활용하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 KCI등재

        2015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기능’의 고찰: 비판적 이해

        박영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6 敎員敎育 Vol.3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a critical review on ‘skill’ described in the 2015 elementary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during the process, organize and concretize the problems brought up thus far, thereby acting as a starting point for discussions that define the meaning and roles of the ‘skill’. The ‘skill’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 were applied and selected by a moral education curriculum research team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moral education based on the criteria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However, the unfamiliar ‘skill’ that appear in the curriculum lack the conceptualization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m, which should be enough to offset the level of their unfamiliarly. In addition, many questions have been raised regarding their propriety in the process of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moral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d the issue of the propriety of ‘skill’ presented in the curriculum by reviewing the concept of ‘skill’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is study then reviewed whether ‘skill’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moral education have been selected with a focus on the questions raised by debater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curriculum. Meanwhile, as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blems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moral education curriculum, it has limitations when it comes to the understanding of ‘skill’ in overall moral education curriculums. 본 연구는 2015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상에 기술된 ‘기능’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면서, 지금까지 제기된 문제들을 정리하고 구체화시켜, 의미와 역할을 규정하는 토론의 시발점으로 작용할것을 주된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2015 개정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기능’은, 교육부의 제안 기준을 기반으로, 도덕과 교육과정 연구진이 도덕과의 특성에 맞게 적용하고 선정한것이다. 그러나 교육과정 상에 등장하는 생소한 ‘기능’은 그 생소함만큼 이해를 위한 개념화가부족하고 도덕과의 특성이 반영되는 과정에서 적절성에 대한 의문점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부가 제시한 ‘기능’의 개념을 고찰하면서 교육과정 상에 제시된 ‘기능’ 의 적절성 문제를 논의하였다. 그런 다음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토론자들에 의해 개진된 질문을 중심으로 도덕과의 특성이 반영된 ‘기능’ 선정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문제만을 염두에 두고 연구를 진행하여 도덕과 교육과정 전반의‘기능’ 이해와 관련해서는 분명한 한계점이 있다. 또한 연구자가 ‘기능’을 이해하는 관점이 교육과정 2차 연구 개발진으로 활동하던 경험의 과정에서 추출된 된 것이어서 연구자의 연구 역량의 한계를 고스란히 드러낼 수밖에 없는 한계점도 있다.

      • KCI등재

        초등 도덕과 새 교과용 도서 개발의 기본 방향과 교육 내용

        유병열 ( Byung Yul Yu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0 초등도덕교육 Vol.0 No.32

        우리가 잘 알고 있듯이, 2007년 도덕과 교육과정이 새로이 개정 고시됨에 따라 이에 의거한 초등 3-6학년 교과용 도서는 현재 한창 개발되고 있는 중이다. 이 연구는 이렇게 새로 개발되고 있는 교과용 도서에 대한 탐구와 안내 중 그 제1부에 해당되는 개발 방향과 중점, 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 및 단원 개발의 실제 등을 다루는 데 주안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먼저 새 초등 도덕과 교과용 도서 개발의 기본 관점으로서 도덕과 교육과정의 기본 정신 추구, 도덕교육학 분야의 이론적 동향 반영, 기존 교과용 도서의 문제 극복 등에 대해 소개한 후, 이어 개발의 중점 방향으로서 인격·덕의 구성요소에 대한 바른 설정과 지·정·행 측면의 통합적 접근 추구, 탐구학습과 구성주의 원리의 추구 및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 생활 경험과 지적·도덕적 발달 수준의 고려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교과용 도서에 담기는 교육내용 측면과 관련하여 도덕과 교육과정의 바른 해석, 상세화와 적절한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의 원리, 그리고 단원 개발의 실제와 현황 등에 대해 살펴본 후, 마지막으로 5·6학년 교과용 도서 개발의 방향과 특징에 대해 논의하였다. We are now developing new textbook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because the new curriculum of moral eduction was proclaimed in 2007 and had to be carried out from 2010. As we know very well, in Korea, the textbooks play really critical roles in school education and such phenomenon is not exception in moral education. So, It is more and more important task for us to develop good and perfect textbooks of moral education. In this paper, based on the upper recognition, I strived to inquire what the really true moral textbooks are and how we can develop such textbooks. For accomplishing this purpose, I suggested three basic points of view and six main directions that are necessary for developing elementary moral textbooks. Actually if we really want good textbooks, we need to struggle to realize the basic spirit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to apply the theories of modern moral education in actual practices, and to overcome the problems and limits of the previous textbooks of moral education. Another things that we have to try are to ensure the good and proper contents for elementary moral education. For this task, it is really important to explicate and elaborate the content elements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to appropriately select the learning contents, and reasonably organize them into the textbooks. Finally, it is necessary to draw the elements of inquiry learning and constructivism into the textbooks and to consider children`s interest and good learning activities. In addition, it is indispensable to pay attention to the moral psychological base, so we strived to consider the level and abilities of children`s cognitive and moral development in making the textbook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