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대형 이식 고사목의 고산목 처리에 관하여

        하태주,이진희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 2000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treating with dead trees effectiely and reducing the cost in planting and utilizing dead trees as landscape material by transforming trasplant dead trees into dummy alpine trees. The alpine tree is the part which survives very long years of troubled weather and can be seen as an artistic work. When making the shape of an alpine tree, the height of a dead tree determines the length of a branch; the lover parts of it are longer, upper parts becoming shorter. The appropriate length of dead branches or weak branches is 1m in highlands and infertile lands; the thick branches should be scratched a lot in the area of boundary between trunk and branch, the living branches should be induced to form callus by treating paste. The problem of reduction in beauty caused by pruning scar could be solved by making large branches of alpine trees. The trasformation of dead trees, dead branches and nnecessary branches into dummy alpine trees is believed to be a great contribution to enhancing the dignity of a tree.

      • KCI등재

        경남지역 대나무 숲의 입목밀도 및 고사량 추정

        정재엽,주정운,배은지,노혜정,김재엽,박천희,김우용,손영모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4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8 No.3

        본 연구는 경남지역의 대나무 숲(솜대 및 왕대)에 대한 입목밀도, 신죽 발생량 및 고사량 등을 추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입목밀도와 신죽발생량 분석을 위한 표준지 수는 299개소 였으며, 고사량 분석을 위한 표준지 수는 255개소 였다. 분석을 위한 추정식은 역다항식, 지수식, 비선형식,회귀식 등을 다양하게 적용하였으며, 이들의 검정은 적합도지수를 이용하였고, 잔차 검정을 실시하였다. 신죽의 발생량 추정식은 1차 역다항식이최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합도 지수는 0.2622로 나타났다. 현존 입목죽 추정을 위한 최적식은 지수함수식이었으며, 적합도 지수는 0.1963으로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고사량 추정식은 현존 입목죽 본수와 신죽 본수를 설명변수로 하는 회귀식으로 도출되었으며, 결정계수는 0.4996인 것으로나타났다. 이들 식을 경남지역으로 확산시키면, 경남지역 대나무 숲의 연간 평균 입목밀도는 19,309본/ha, 고사량은 1,706본/ha이 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신죽 발생량 및 현존 입목죽 발생량 추정식의 적합도가 모두 낮게 나타난 것은 현재 관리되지 않는 대나무 숲의 현 상황을 그대로 보여 주는결과라 생각된다. 그러나 이들 두가지 추정식에 대한 잔차검정에서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는 “0”를 중심으로 잔차가 고르게 분포하여 식을 이용함은가능할 것으로 보였다. 다만 추후 정밀한 현장조사와 모니터링 및 현실을 반영할 수 있는 적합성 높은 식의 도출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density of standing trees, the amount of new bamboo trees, and the amount of dead bambootrees (Phyllostachys nigra and Phyllostachys bambusoides) in Gyeongnam district. The number of plots for the density of standing bambootrees and the sprout of new bamboo trees was 299, and the number of plots for dead bamboo trees was 255. The estimation equationsused the analysis were various such as inverse polynomial, exponential, nonlinear, and regression equations, and their statistical testswere performed using the fitness index and the residual test. The 1st inverse polynomial equation was found to be optimal for estimatingthe amount of new bamboo trees, and the fitness index was found to be 0.2622. And the optimal equation for estimating the densityof standing bamboo trees was the exponential function equation, and the fitness index was low at 0.1963. In addition, the equationfor estimating the amount of dead bamboo trees was derived as a regression equation with the existing number of standing bambootrees and the number of new bamboo tree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as 0.4996. When the equationderived in this way is spread to Gyeongnam district, it is estimated that the annual average tree density of bamboo forests in these areas is 19,309 trees/ha and the number of dead trees is 1,706 trees/ha. The low fitness index of the density estimation equation ofboth new bamboo trees and standing bamboo trees is thought to be the result of showing the current situation of bamboo forests thatare not currently managed. However, the residual test for these two estimation equations showed that the residuals were evenly distributedaround “0” except for some sections, and it seemed possible to use the equation. 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precisefield survey and sustainable monitoring in the future, and to derive a highly suitable equation reflecting real forests.

      • Diversity of entomofauna in dead pine tree

        공준호,송현우,김윤호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10

        In Mt.Baekun in Yeongjong island, there is Pinus thunbergii community, so there are many insect species. We caughtinsects to investigate entomofauna in dead pine tree. The tree is about 6 months later after dead, so fungis grow there.And it contains much moisture and it is located about 100 altitude. Caught insects were treated by ethanol, and larvaeswere made into immersion specimen, and the others were made into exsiccata. Also, we divided the tree in 5 parts inheight, and 3 parts in radius.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species were cerambycidaes. Many species appeared suchas Peseudo japonicum, insularis Motschulsky. Moreover, we confirmed many insects inhabit there, such as Pentatomidaes,Elateridaes. And insect distribution changes by height and radius. This shows even just one dead tree forms a small ecosystem,and suggests necessity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 KCI등재후보

        설화 <죽은 처녀 겁탈하고 복 받은 머슴> 속 시간(屍姦)과 발복(發福)의 인과관계에 대한 분석

        박재인 겨레어문학회 2010 겨레어문학 Vol.45 No.-

        This paper is to study the causality between necrophilia and a change in fortune. For achieving this goal, folklore <A man servant who had sex with a dead virgin> was compared with folklore <A man servant who got tied up in a tree>, <An unmarried man who had sex with a leper woman>, <A man who got a government position after sleeping with a beggar woman>, and the film <An oasis>. Those compared folklore and the film have something in common. Each male character tried to satisfy their carnal desire by either unmoral or abnormal relationship. Those male characters had a sexual relationship with women whose physical condition was not normal. After having a relationship with either dead or disable women, the male characters‘ luck changed for the better. However, in folklore <A man servant who had sex with a dead virgin>, the main character, a man servant didn't commit necrophilia by his greed. Having a sexual relationship with the dead virgin wasn't just for the male character, it was also for the dead virgin. After this relationship, fortune turned in favor for the man servant, also fulfilled the dead virgin's need. The characteristic of 'necrophilia' in this folklore shows associability and attachment between two isolated characters. That is why this sexual relationship can be read as a successful relationship. 본 연구는 설화 <죽은 처녀 겁탈하고 복 받은 머슴>의 시간(屍姦)과 발복(發福)이라는 파격의 인과관계가 어떠한 이유로 설명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파격의 논리가 다른 작품들에서 어떻게 발견되는지 살펴보았다. 해당 작품으로는 <비싼 점치고 나무에 묶인 머슴>, <문둥이처녀와 동침한 총각>, <거지 여자와 동침하고 벼슬 얻은 남자>, 영화 <오아시스>를 들 수 있다. 이 작품들은 공통적으로 물질적인 조건이 결핍되어 중심으로부터 소외된 남자주인공이 비윤리적이거나, 비정상적인 성관계로 자신의 성욕을 해결하려고 했고, 그 일로 말미암아 신체적으로 자유롭지 못한 여자주인공들이 억눌린 성적욕망을 풀게 되어 해원하게 되었으며, 또 다시 그 일로 인해 남자주인공들이 발복하게 되는 내용이다. <죽은 처녀 겁탈하고 복 받은 머슴> 속 시간(屍姦)과 발복(發福)이라는 파격의 인과관계는 머슴총각이 탐욕으로 저지른 사건이 아니었다는 점, 결과적으로는 처녀의 욕망과 일치된 성공적인 성관계였다는 점, 대상에 대한 무절제라는 비윤리적인 면을 초월하고 있다는 점으로 설명될 수 있었다. 동일한 잣대로 <비싼 점치고 나무에 묶인 머슴>, <문둥이처녀와 동침한 총각>, <거지 여자와 동침하고 벼슬 얻은 남자>, <오아시스>에 적용해 서사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었다. 그리고 역으로 이 작품들로 인해 <죽은 처녀 겁탈하고 복 받은 머슴>에서 잘 드러나지 않았던 지점도 이해할 수 있었는데, 두 주인공들 사이에는 중심으로부터 소외된 자신을 알아봐주고 교감해준 대상에 대한 연정이 있다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한 작품 안에 있는 파격의 논리를 추론해보는 분석 방식과 논리적 상동성을 지닌 작품들을 견주어 분석하는 방식을 시도하였다. 특히 시간(屍姦)과 같은 비윤리적인 행위에 대한 분석은 더욱 섬세한 방식이 요구되기 때문에, 유사한 서사구조를 지닌 작품들을 통해 본 작품을 해석하는 일이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 KCI등재후보

        설화 <죽은 처녀 겁탈하고 복 받은 머슴> 속 시간(屍姦)과 발복(發福)의 인과관계에 대한 분석

        박재인 ( Jai In Park ) 겨레어문학회 2010 겨레어문학 Vol.45 No.-

        본 연구는 설화 <죽은 처녀 겁탈하고 복 받은 머슴>의 시간(屍姦)과 발복(發福)이라는 파격의 인간관계가 어떠한 이유로 설명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파격의 논리가 다른 작품들에서 어떻게 발견되는지 살펴보았다. 해당 작품으로는 <비싼 점치고 나무에 묶인 머슴>, <문둥이처녀와 동침한 총각>, <거지 여자와 동침하고 벼슬 얻은 남자>, 영화<오아시스>를 들 수 있다. 이 작품들은 공통적으로 물질적인 조건이 결핍되어 중심으로부터 소외된 남자주인공이 비윤리적이거나, 비정상적인 성관계로 자신의 성욕을 해결하려고 했고, 그 일로 말미암아 신체적으로 자유롭지 못한 여주인공들이 억눌린 성적욕망을 풀게 되어 해원하게 되었으며, 또 다시 그 일로 인해 남자주인공들이 발복하게 되는 내용이다. <죽은 처녀 겁탈하고 복 받은 머슴> 속 시간<屍姦과 발복(發福)이라는 파격의 인과관계는 머슴총각이 탐욕으로 저지른 사건이 아니었다는 점, 결과적으로는 처녀의 욕망과 일치된 성공적인 성관계엿다는 점, 대상에 대한 무절제라는 비윤리적인 면을 초월하고 있다는 점으로 설명될 수 있었다. 동일한 잣대로 <비싼 점치고 나무에 묶인 머슴>, <문둥이처녀와 동침한 총각>, <거지 여자와 동침하고 벼슬 얻은 남자>, <오아시스>에 적용해 서사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었다 그리고 역으로 이 작품들로 인해 <죽은 처녀 겁탈하고 복 받은 머슴>에서 잘 드러나지 않았던 지점도 이해할 수 있었는데, 두 주인공들 사이에는 중심으로부터 소외된 자신을 알아봐주고 교감해준 대상에 대한 연정이 있다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한 작품 안에 있는 파격의 논리를 추론해보는 분석 방식과 논리적 상동성을 지닌 작품들을 견주어 분석하는 방식을 시도하였다. 특히 시간<屍姦과 같은 비윤리적인 행위에 대한 분석은 더욱 섬세한 방식이 요구되기 때문에, 유사한 서사구조를 지닌 작품들을 통해 본 작품을 해석하는 일이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This paper is to study the causality between necrophilia and a change in fortune. For achieving this goal, folklore <A man servant who had sex with a dead virgin> was compared with folklore <A man servant who got tied up in a tree>, <An unmarried man who had sex with a leper woman>, <A man who got a government position after sleeping with a beggar woman>, and the film <An oasis>. Those compared folklore and the film have something in common. Each male character tried to satisfy their carnal desire by either unmoral or abnormal relationship. Those male characters had a sexual relationship with women whose physical condition was not normal. After having a relationship with either dead or disable women, the male characters` luck changed for the better. However, in folklore <A man servant who had sex with a dead virgin>, the main character, a man servant didn`t commit necrophilia by his greed. Having a sexual relationship with the dead virgin wasn`t just for the male character, it was also for the dead virgin. After this relationship, fortune turned in favor for the man servant, also fulfilled the dead virgin`s need. The characteristic of ``necrophilia`` in this folklore shows associability and attachment between two isolated characters. That is why this sexual relationship can be read as a successful relationship.

      • KCI등재

        무주지역 리기다소나무 임분에 대한 탄소저장량 평가

        서연옥,정성철,이영진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0 No.3

        본 연구는 전라북도 무주 지역의 36년생 리기다소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임목(지상부와 지하부), 고사목, 유기물층, 토양에 대한 탄소저장량을 산출하고자 하였다. 총 3개의 표준지 내에서 11 그루의 표준목을 선정하였고 고사목, 유기물 층, 토양에 대한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그 결과, 리기다소나무 임분에 대한 지상부 및 지하부 탄소저장량은 각각 51.0 ton C/ha, 29.6 ton C/ha로 나타났다. 부위별 구성비는 줄기 목질부 41.0% > 뿌리 36.8% > 가지 12.8% > 줄기 수피 6.0% > 잎 3.4% 순으로 나타났다. 고사목의 탄소저장량은 0.65 ton C/ha으로 나타났으며 유기물층 탄소저장량은 6.40 ton C/ha로 나타났다. 토양의 총 탄소저장량은 51.62 ton C/ha로 나타났으며 층위별 탄소저장량은 0∼10㎝에서 20.27 ton C/ha, 10∼20㎝에서 12.83 ton C/ha, 20∼30㎝에서 12.27 ton C/ha, 30∼50㎝ 에서 6.24 ton C/ha로 나타났다. 토양 탄소저장량은 층위가 깊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탄소농도와 용적밀도에 의해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산림생태계 탄소저장량은 총 139.27 ton C/ha로 나타났고 탄소저장량 구성비는 토양에서 37.1%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지상부에서 36.6%로 나타났고 지하부(21.3%), 유기물층(4.6%), 고사목(0.5%)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림생태계 탄소저장량 산출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of carbon stored in the aboveground, belowground tree biomass, dead trees, and organic matter in the forest floor and soil of the 36-year-old Pinus rigida stands in Muju. A total of three plots were selected to measure the carbon stored in live trees, dead trees, forest floor, and soil. Results showed that the carbon stocks of P. rigida stands amounted to 51.0 ton C/ha in aboveground biomass and 29.6 ton C/ha in belowground biomass. The distribution ratios of carbon stocks were as follows: 41.0% in stem wood, 36.8% in roots, 12.8% in branches, 6.0% in stem bark and 3.4% in foliage. The carbon stocks in dead tree amounted to 0.65 ton C/ha while it was 6.40 ton C/ha in organic matter in forest floor. The total amount of carbon stocks found in soil was 51.62 ton C/ha: 20.27 ton C/ha at 0∼10 ㎝depth, 12.83 ton C/ha at 10∼20 ㎝depth, 12.27 ton C/ha at 20∼30 ㎝depth, and 6.24 ton C/ha at 30∼50 ㎝depth. It was also observed that, as the soil depth increased, the soil carbon stocks tended to decrease.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amount of carbon stocks of P. rigida stands in Muju was 139.27 ton C/ha; the highest portion of the cumulative carbon stocks was found to be in soil at 37.1%, followed by the aboveground biomass with 36.6%, belowground biomass with 21.3%, forest floor with 4.6 % and dead trees with 0.5 %.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forest managers accurate estimates of carbon stored in the habitat of P. rigida stands in Muju.

      • KCI등재

        Automatic Detection of Dead Trees Based on Lightweight YOLOv4 and UAV Imagery

        Yuanhang Jin,Maolin Xu,Jiayuan Zhe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Vol.19 No.5

        Dead trees significantly impact forest production and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pose constraints to thesustainable development of forests. A lightweight YOLOv4 dead tree detection algorithm based on unmannedaerial vehicle images is proposed to address current limitations in dead tree detection that rely mainly oninefficient, unsafe and easy-to-miss manual inspections. An improved logarithmic transformation method wasdeveloped in data pre-processing to display tree features in the shadows. For the model structure, the originalCSPDarkNet-53 backbone feature extraction network was replaced by MobileNetV3. Some of the standardconvolutional blocks in the original extraction network were replaced by depthwise separable convolutionblocks. The new ReLU6 activation function replaced the original LeakyReLU activation function to make thenetwork more robust for low-precision computations. The K-means++ clustering method was also integratedto generate anchor boxes that are more suitable for the dataset.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improvedalgorithm achieved an accuracy of 97.33%, higher than other methods. The detection speed of the proposedapproach is higher than that of YOLOv4,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accuracy of the detection process.

      • KCI등재

        U-Net 모델에 기반한 기간별 추출 소나무 고사목 데이터를 이용한 정사영상 탐지 정밀도 향상 연구

        김성훈,권기욱,김준현 한국측량학회 2022 한국측량학회지 Vol.40 No.4

        소나무 재선충 피해나무는 줄어들고 있으나, 피해 지역은 전국으로 확대되고 있다. 최근에 딥러닝 기술이 발전하 면서 소나무재선충 고사목 탐지 연구에 적용이 빠르게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딥러닝 학습데이터의 효과 적인 취득과 정확한 참값을 확보하고, 학습을 통해 U-Net 모델의 탐지능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목 적달성을 위해 단계별 딥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한 필터링 방법을 이용하여 딥러닝 모델의 불명확한 분석 근거를 최 소화하고, 효율적인 분석 및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분석결과 U-Net알고리즘을 이용한 소나무재선충 고사목 탐지 및 성능향상에 있어 기간별로 분석한 참값을 이용한 U-Net 모델이 기존에 제공하였던 참값을 이용한 U-Net 모델보다 재현율(Recall)은 –0.5%p, 정밀도(Precision)은 7.6%p, F-1 score는 4.1%p로 분석되었다. 향후 다양한 필 터링 기법을 적용하여 재선충 탐지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드론 정사영상과 인공 지능을 이용한 드론 예찰방법이 소나무재선충 방제 사업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수양론적 맥락에서 『장자』 ‘枯木死灰’論의 이해(1) - 『장자』 내적인 의미체계를 중심으로 -

        김형석(金炯錫) 한국양명학회 2019 陽明學 Vol.0 No.55

        본 논문에서는 『장자』「제물론」의 사상에서 ‘고목사회(枯木死灰)’라는 개념을 감정과 연관시켜 이해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제물론」편 천뢰(天籟)이야기를 형이상학체계만이 아니라 감정과 마음의 문제로 독해해야 한다는 점, 그리고 이에 따라 분장(分章) 문제를 재검토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상적 인격의 모습을 묘사한 ‘고목사회’의 의미를 장자의 ‘무정(無情)’에 관한 이해와 같은 맥락으로 받아들였던 관점을 검토하고, 여기서 발생할 수 있는 두 측면의 오해의 소지-감정이 없는 무생물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 목적성을 지닌 경지로서의 ‘고목사회’와 ‘무정’이 아니라는 점-을 분석했다. 이 두 가지는 『장자』에서 이미 언급되고 있으나 이후 중국 불교와 신유학의 수양론의 맥락 속에서 부정적으로 또는 긍정적으로 오독되어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고,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분석은 차후 연구과제로 남겼다. 따라서 본 논문은 감정과 마음에 대한 장자의 태도가 이후 당 · 송대 불교와 신유학의 수양론과 연관하여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검토하기 위한 첫 번째 기초작업에 해당한다.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concept of ‘Ku-mu and Si-hui(枯木死灰, the body like a withered tree and the mind like dead ashes)’ in Zhuangzi and under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ory of self-cultivation. First of all, we take notice on ‘Ku-mu and Si-hui’ in ‘Qiwu-lun(齊物論, Discourse on levelling all things)’ should be understood by associating it with emotion and consciousness. Therefore, the story of ‘Tian-lai(天籟, Heavenly piping)’ should be read not only as a metaphysical system but as a matter of emotion and mind, thus suggesting the need to reexamine the issue how to distinguish chapters and paragraphs in ‘Qiwu-lun’. It also reviewed the view that the meaning of ‘Ku-mu and Si-hui’ depicting the appearance of an ideal personality was taken in the same context as Zhuangzi’s understanding of ‘dispassionateness(無情).’ In addition, we analyze two possible aspects of misunderstanding on ‘Ku-mu and Si-hui’ and ‘dispassionateness(無情)’, that is, they do not mean emotionless like non-living things, and not mean ultimate stage as a means of purpose. Both of these were already mentioned in the Zhangzi, but later pointed out that they were negatively or positively misreaded in the context of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in Chinese Buddhism and Neo-Confucianism.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