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limate Change-induced High Temperature Stress on Global Crop Production

        Kyoungmi Lee(이경미),Hyun-Suk Kang(강현석),ChunHo Cho(조천호) 대한지리학회 2016 대한지리학회지 Vol.51 No.5

        작물의 생산성은 생식기간 중 고온에 노출되면 감소한다. IPCC 5차 평가보고서는 고온의 빈도가 미래에 계속 증가할 것이며, 이는 세계 식량 공급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기상청의 Had GEM2-AO(the coupled atmosphere-ocean model of Hadley Centre Global Environmental Model version 2) 기후모델과 FAO/IIASA의 GAEZ(Global Agro-Ecological Zone) 작물모델 자료를 이용하여 전 지구 규모에서 4개의 주요 작물(쌀, 옥수수, 콩, 밀)에 대하여 기후변화로 인한 작물의 고온 스트레스를 평가하였다. 과거기간(1961~1990년)에 비해 미래(2070~2090년)에 생식기간 동안 최고기온은 약 1.8~3.5℃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며, RCP2.6 시나리오에 비해 RCP8.5 시나리오에 따른 기온 상승이 더 클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열 스트레스는 북반구 30~50°N에 위치한 작물 생산 지역에 극심한 피해를 발생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RCP8.5 시나리오에 따르면 모든 작물에 대해서 전체 재배지역의 약 20%는 현재에 경험하지 못한 극단적인 고온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될 것이며, 특히 북아메리카에서 쌀과 콩의 고온 스트레스 강도가 클 것으로 전망된다. 기후변화를 완화하기 위한 노력 없이 현재 추세대로 온실기체를 계속 배출한다면 온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의 농업이 고온에 크게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작물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 식량안보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기후변화에 따른 식량안보에 대하여 지속적인 예측이 수행되어야 하며, 적응 전략 개발 및 적절한 농업 정책 등이 필요하다. Exposure to high temperatures during the reproductive period of crops decreases their productivity.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s (IPCC) fifth Assessment Report predicts that the frequency of high temperatures will continue to increase in the future, resulting in significant impacts on the world’s food supply. This study evaluate climate change-induced heat stress on four major agricultural crops (rice, maize, soybean, and wheat) at a global level, using the coupled atmosphere-ocean model of Hadley Centre Global Environmental Model version 2 (HadGEM2-AO) and FAO/IIASA Global Agro-Ecological Zone (GAEZ) model data. The maximum temperature rise (1.8-3.5°C) during the thermal-sensitive period (TSP) from the baseline (1961-1990) to the future (2070-2090) is expected to be larger under a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RCP) 8.5 climate scenario than under a RCP2.6 climate scenario, with substantial heat stress-related damage to productivity. In particular, heat stress is expected to cause severe damage to crop production regions located between 30 and 50°N in the Northern Hemisphere. According to the RCP8.5 scenario, approximately 20% of the total cultivation area for all crops will experience unprecedented, extreme heat stress in the future. Adverse effects on the productivity of rice and soybean are expected to be particularly severe in North America. In Korea, grain demands are heavily dependent on imports, with the share of imports from the U.S. at a particularly high level today. Hence, it is necessary to conduct continuous prediction on food security level following the climate change, as well as to develop adaptation strategy and proper agricultural policy.

      • KCI등재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조직풍토 및 자아존중감의 영향

        권연희(Kwon Yeon-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보육시설의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환경 맥락적 요인으로 조직 풍토를, 개인적 요인으로 자아존중감을 함께 고려하여 이들 변인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장보육시설의 보육교사 191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일원분산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Scheffe 사후검증, Cronbach's ? 등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직장보육 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보통보다 낮은 수준이며, 과다한 업무, 학부모와의 관계에 의한 스트레스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총점에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시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조직풍토와 자아존중감 변인의 설명력은 12~60%이었으며, 직무스트레스 총점에 대해 시설장의 인간 지향적이고 관료적이지 않은 풍토 및 교사의 방관적 풍토의 설명력이 많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teacher's job stress in relations to their self-esteem, organizational climate, and differences by demographic variables in corporate-sponsored child care centers. The subjects were 191 child care teachers in corporate-sponsored child care cent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ANOV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Scheffe for a post hoc test, and Cronbach's ? for reliability by SPSS PC program(15.0 ver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were below average and the overload of task was a dominant stress factor.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by demographic variables in teachers' job stress in corporate-sponsored child care centers. Secondly, organizational climate and child care teachers' self-esteem explained their job stress about 12~60%. Particularly, 'The human emphasis and not bureaucratic climate of chief and 'teacher's onlooking climate' related to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in corporate-sponsored child care centers.

      • KCI등재

        교사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 조직풍토의 매개효과

        조예슬 ( Cho Ye Seul ),김지연 ( Kim Ji Ye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4

        본 연구는 교사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 조직풍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454명이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26.0과 PROCESS macro ver.3.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매개효과 검증 및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직무스트레스는 교사효능감, 어린이집의 조직풍토와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교사효능감과 어린이집의 조직풍토는 직무스트레스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효능감은 어린이집의 조직풍토를 매개로 하여 직무스트레스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완화를 위해서는 교사가 높은 효능감을 가지고 어린이집의 조직풍토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중요함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limate of the childcare center perceived by teach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job stres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54 teachers working in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bootstrapping via SPSS 26.0, and PROCESS macro ver.3.5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job stres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eacher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limate. Second, teacher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limat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tress. Third, teacher efficacy had an indirect effect on job stress through the organizational climate of the childcare center. In conclusion, in order to relieve job stress,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to possess a high level of efficacy and to positively recognize the organizational climate of the childcare center.

      • KCI우수등재

        한국 대학생의 통학방법과 학업 스트레스 사이의 연관성 -지속가능한 교통과 학업 환경-

        김지원,진유정,최윤희,강하병,김현수,조원희,최성은,최원호,최윤형 한국환경보건학회 2024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50 No.2

        Background: Several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commuting is a source of stress for undergraduate students. However,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mmuting on academic stress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ere has been little awareness of the environmental impact of commuting. Objectives: To evaluate the associations between commute type and/or time and academic stress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in South Korea, focusing on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Methods: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and obtained information on commute types, commute times, and academic stress from 510 undergraduate students aged ≥19 years. Academic stress was comprised of five sub-categories of stress, and total academic stress ranged from 5 to 25 point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associations between commute type and commute time and academic stress. Furthermore, the students were grouped into 21 categories based on their transportation mode for commuting. CO2 emission factors per each commuting category were calculated using the transportation t y p e’s C O2 emission data from previous studies.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CO2 emission factors and total academic stress. Results: Students using home-to-school transportation without transfers (vs. walking)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total academic stress of 2.19 points (95% CI: 0.58, 3.80). In contrast, students using school-to-home transportation without transfers (vs. walking)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total academic stress of 1.96 points (95% CI: –3.55, –0.38). Moreover, students using transportation with lower CO2 emission factors had lower academic stress scores (home-to-school: correlation coefficient = 0.507, p<0.001; school-to-home: correlation coefficient = 0.491, p<0.001).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both commute type and time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cademic stress among South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When students select environmentally-friendly transportation, they may not only improve their mental health but also improve climate resilience.

      • KCI등재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인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노사관계 분위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주희,강영희 한국인사·조직학회 2014 인사조직연구 Vol.22 No.2

        고몰입 인적자원관리(high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는 종업원의 태도에 영향을 끼쳐 성과 향상에 기여한다고 알려져 왔다. 본 연구는 고몰입 인적자원관리가 종업원 개인 수준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종업원에 대한 인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또한,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환경 변수인 노사관계 분위기에 따라서 변화할 것이라는 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은 노조가 있는 국내 자동차 기업의 6개 공장에서 실시되었으며, 973명의 생산직 종업원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분석 결과, 회사가 고몰입 인적자원관리를 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정도가 클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았다. 또한, 노사관계 분위기가 우호적이라고 느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았다. 그리고, 노사관계 분위기가 우호적이라고 느끼는 종업원들에 비해, 노사관계 분위기가 비우호적이라고 느끼는 종업원들이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High-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HC-HRM) aims to increas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encouraging employees to be highly involved in the organization and committed to their work. As HC-HRM has been considered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performance, it has received a great deal of attention from HR researchers. The existing literature on HC-HRM has shown that it influences employees' attitudes toward their organizations or job, which in turn contributes to firm performance and productivity. However, despite the significant volume of research on HC-HRM, its effectiveness in terms of individual level outcomes remains unknown. In order to fill this gap,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perceptions of HC-HRM and job stress. HC-HRM includes HR practices such as performance-based compensation, job security, employees' high involvement, and extensive training, all of which are regard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of employees. Effective HC-HRM is characterized by motivation, knowledge sharing, the maximizing of employees' participation, and an increase in the commitment to their job or organization (Guest, 2000).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tends to allow employees to improve their work environment in order to relieve job stress. HC-HRM also allows employees to have a high level of autonomy, which may lead to their empowerment. Added to this, employment security tends to increase the emotional or psychological stability of employees. In other words, HC-HRM contributes to making a job interesting and satisfies employees, and this in turn decreases their stress at work. Thus, we suggest Hypothesis 1: Employees' perceptions of HC-HRM have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job stress. This means that employees who perceive that their employers adopt a great deal of HC-HRM practices are less likely to suffer from work stress than those who their employers adopt a few HC-HRM practices. Employee perception of the industrial relations climate can influence not only their job stress but also their emotional well-being, one of the critical elements in a successful working environment. Unlike adversarial labor relations, cooperative labor relations are likely to guarantee that employees become highly involved in decision making regarding their own work. When management is supportive of the union, employees tend to resolve problems that would otherwise result in a poorer work environment. In addition, if cooperative industrial relations are established, management will attempt to improve working conditions because they consider the union or employees to be partners in the pursuit of the common goal of increased productivity. Therefore, if employees percei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on and management to be cooperative, they are less likely to experience stress on the job than are those employees who perceive an uncooperative relationship. This leads to Hypothesis 2: Employees' perceptions of the industrial relations climate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job stress. Finally,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s of HC-HRM and job stress is moderated by employees' perceptions of the industrial relations climate. Given the effectiveness of HC-HRM, it is influenced by the industrial relations of the organization. Industrial relations are also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the workplace affecting employee work stress. We thus suggest Hypothesis 3: For employees who perceive that the management adopts high levels of HC-H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ception of HC-HRM and their job stress is likely to be stronger than that for employees who perceive that the management adopts low levels of HC-HRM.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he employees of six plants operated by a large South Korean automobile company that has an employee union. Results show that employees' perceptions of HC-HRM have a

      • KCI등재

        외식업근무자의 고용불안이 직무스트레스와서비스성과에 미치는 영향 - 다수준 분석을 적용한 조직지원 풍토의 영향 -

        이경은,김영국 한국관광학회 2010 관광학연구 Vol.34 No.7

        본 연구는 최근 경제위기로 인한 고용불안 요소가 직무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이에 따라 서비스 수준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경기에 가장 민감한 외식업을 대상으로 다수준 모형을 적용하여 조직지원풍토의 효과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는데 조직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수도귄지역의 32개의 외식업체에 근무하고 있는 207명의 조직원을 대상으로 다수준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업 근무자의 고용불안감이 증가할수록 직무스트레스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조직수준의 조직지원 풍토의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수준의 조직지원 풍토는 개인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감소시킴으로써 서비스 성과에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주었다. 마지막으로 외식업 근무자의 직무에 대한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서비스 성과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불안 상황에서의 직무스트레스의 증가는 서비스 성과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서 조직차원의 지원풍토를 조성함으로써 직무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climat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insecurity, job stress and service performance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Data were collected from 207 individuals of 32 restaurants and hierarchial linear modeling(HLM) was used to test research hypotheses. Results indicated that at the individual-level, job insecur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job stress, while job stress was foun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rvice performance. Result also showed that at the organizational levels, coworkers' support climate, supervisory support climates, and social support climates were negatively related to job stress. Moreover, the organizational support climate was proved as a moder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insecurity and the job stress.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organizational support climates might actually contribute to service performance by decreasing the job stress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 KCI등재

        한국 내 외국인 투자기업 직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 의사소통 풍토의 조절효과

        유치연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9 경영컨설팅연구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of employees working at foreign invested firms in Korea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 this study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communication climate of foreign invested firms in Kore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I set the hypothesis that the relationship among job stres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communication climate. To verify the hypothesis, I conducted HLM(hierarchical linear modeling) analysis on the data from HCCP(human captial corporate panel), 2,741 employees belonging to 83 foreign invested firms in Korea.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rist, the job stress negatively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the communication clim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communication clim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 this study performed HLM analysis on the multi-level data to verify the hypothesis. Third,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manager of foreign invested firms in Korea. 본 연구의 목표는 한국 내 외국인 투자기업 직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에서 한국 내 외국인 투자기업 의사소통 풍토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 내 외국인 투자기업 직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과 한국 내 외국인 투자기업의 의사소통 풍토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간의 부(-)의 관계를 약화시킨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 검증을 위해 인적자본기업패널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 내 83개 외국인 투자기업 2,741명 자료를 대상으로 다층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내 외국인 투자기업 직원의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 내 외국인 투자기업의 의사소통 풍토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약화시키는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약화시키는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한국 내 외국인투자기업 직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 풍토의 조절효과를 규명한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가설검증을 위한 분석을 실시함에 있어서 다수준 형태의 자료 분석에 적합한 위계적선형모형 분석을 실시한 연구로서 기존연구들과 차별성을 가진다. 셋째,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내 외국인 투자기업의 관리자에게 성공적인 조직 운영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이 있다.

      • KCI등재

        5성급 호텔직원의 심리적 안전풍토가 직무 스트레스, 심리적 웰빙,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태욱,윤선미 한국호텔관광학회 2023 호텔관광연구 Vol.25 No.6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더믹으로 인해 바이러스에 대한 감염에 대한 위협과 두려움으로 5성급 호텔직원들의 심리적 위험은 직무 스트레스와 이에 따른 직업 안전 사이의 연관성을 인식하는 관계로 논의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5성급 호텔직원들이 경험하고 인지하는 심리적 안전풍토가 직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웰빙에 따른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설문조사는 서울 소재의 5성급 호텔에 근무하고 있는 서비스 접점 직원을 대상으로 총 216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측정모형의 적합도 검증과 구조모형의 적합도 검증하기 위해 공분산 행렬 구조방정식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안전풍토 중 건강 및 안전의 우선순위와 조직 내의 의사소통은 직무 스트레스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고 심리적 안전풍토 중 경영층의 지원 및 몰임과 직원 활동의 참여와 관련이 직무 스트레스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직무 스트레스는 심리적 웰빙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끝으로, 직무 스트레스는 이직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지만, 심리적 웰빙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코로나19 팬더믹 영향으로 심리적 안전풍토가 호텔직원에게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경영자는 심리적 안전풍토 경영을 위한 체계적인 직원 관리전략 모색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호텔 종사원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 단일변수로 사용한 심리적 안전풍토의 하위요인들의 각각의 영향관계 및 유의성을 검증함으로써 추후연구에 기초 근거자료를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the psychological risk of 5-star hotel employees due to the threat and fear of infection with the viru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s being discussed as a relationship that recogniz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consequent job safe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sychological safety climate experienced and perceived by 5-star hotel employees on their intention to leave their jobs according to their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rvey was analyzed using a total of 216 copies targeting service contact staff working in a 5-star hotel in Seoul. The structural equation of the covariance matrix was used to verify the fit of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structural model with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iority of health and safety and communic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out of the dimensions of psychological safety climate have significant and negative effects on job stress. Moreover, support and commitment from management and participation in employee activities out of the dimensions of psychological safety climate have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s on job stress. Second, job stress has a significant and nega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Finally, job stress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while psychological well-being has a significant and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ese results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for managers to seek systematic employee management strategies for psychological safety climate management by understanding the impact of psychological safety climate on hotel staff due to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Furthermore, essential evidence is presented for future studies by verifying the influence and significance of each of th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safety climate used as a single variable in previous studies of hotel employees.

      • KCI등재

        학교생활만족도와 자아개념에 미치는 학업스트레스의 영향에 대한 학교 내 지원적 환경의 완화효과: 고등학교 일반 학생과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의 비교

        허유성,김민성 한국학습장애학회 2012 학습장애연구 Vol.9 No.3

        The social and cultural climate of high schools in Korea have overwhelmingly focused on academic achievement. Without doubt, at-risk students for LD have spent hard time at schools because of their low achievement itself and social and parental pressures on them. They need school-related help with stress as they spend most of their time at school. In this regard, this study tried to find variables that could buffer the negative impacts of stress on students’ school life and their self-concept such as autonomy,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peers, and collaborative classroom climate. For this, we analyzed 2,104 high school at-risk students with LD and 8,567 genera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t-risk students with LD experienced less academic stress than their normal peers. According to buffering effects, relationship with teachers buffered effectively only for at-risk students with LD. In addition, relationship with peers showed buffering effects on the satisfaction of school life and self-concept for both types of students. 본 연구는 학업스트레스로 인한 학교생활만족도와 자아개념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한 학교 내 지원적 환경의 완화효과를 고등학교 학업성취 하위 20%에 해당하는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과 일반 학생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009년 KEDI ‘학교교육 실태와 수준 분석 연구’에 참여한 고등학생 중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 2,104명과 일반 학생 8,5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에 의하면,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의 학업스트레스는 일반 학생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학생 집단 모두에서 학업스트레스는 학교생활만족도와 자아개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학교 내 지원적 환경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교생활만족도와 자아개념에 미치는 학업스트레스의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교사-학생 관계의 완화효과는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 집단에서는 유의미하게 나타났지만 일반 학생 집단에서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학업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교우관계의 완화효과는 학교생활만족도에서는 두 학생 집단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지만, 자아개념에 대해서는 학습장애 위험군 집단에서만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반면, 학교생활만족도와 자아개념에 미치는 학업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자율성 허용과 협력적 분위기의 완화효과는 두 집단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학교 내 지원적 환경 중 교사-학생 관계와 교우관계는 모든 학생 집단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하였지만 특히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에서 이들 환경의 완화효과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난 것은 위험군 학생을 위한 지원적 관계 구축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작물의 침수스트레스 저항성 및 회피전략

        김윤하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9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3 No.2

        Overall, the earth circumstance is rapidly changing due to increasing carbon dioxideconsuming, thus it is causing various changes of agricultural climate such as soil salinity, soildrought, soil flooding, high and low temperature etc. Among them, soil flooding is caused byexcess water inflow into the farmland. In particular, many scientists anticipated that damage ofvarious crops will increase more and more due to soil flooding because, heavy rainfall isexpected to occur more frequently due to climate change and increased carbon emissions. Thereis a significant variation in plants vulnerability and tolerance mechanism to flooding stress. Therefore, various studies related with flooding tolerance mechanism have been conducting toresponse various problems of flooding stress. In order to produce flooding resistant high yieldingcrop, it is necessary not only to study the various factors of flooding stress but also tounderstand that how plants sense and respond to that flooding stress causing factors. Therefore,this manuscript introduces as well as summarizes various morphological, physiological andgenetic changes of the crops related to flooding stress resistance to help understand themechanism of flooding resistance of crops. 지구기후가 이산화탄소 배출 증가로 인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고, 이러한 급격한 기후 변화는 농경지 염류직접, 농경지 침수, 고온 및 저온과 같은 농업 기상의 다양한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여러 환경스트레스 중에서 농경지 침수는 경작지 내 과도한 수분 유입으로 인해 유도되게 된다. 특히많은 과학자들은 탄소 배출 증가로 인한 기후변화로 인해 집중호우가 지금보다 더 자주 발생할 것으로예상되고 있기 때문에 농경지의 침수로 인한 농작물의 피해는 점점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침수로 인한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의 취약성 및 저항성 메커니즘에는 중요한 변화가 있다. 그러므로 이런 침수스트레스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 침수저항성 메커니즘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수행중이다. 침수저항성이 높은 작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침수 스트레스의 여러 요인을 연구하는 것뿐만 아니라 어떻게 식물이 침수스트레스 요인을 감지하고 대응하는 방법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침수스트레스 저항성과 관련된 것으로 보고된 작물의 형태적, 생리적, 유전자적 변화에 대해서 소개하고 이를 통해 작물의 침수저항성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내용을 정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