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태평통재』에 실린 <최치원>에 대한 장르론 검토

        이정원 국어국문학회 2020 국어국문학 Vol.0 No.192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genre study on <Choi Chiwon(崔致遠)> in <Taepyungtongjae(太平通載)>, which is considered the first novel with <Geumosinhwa(金鰲新話)>. As a text-criticism, I think the whole text of <Choi Chiwon(崔致遠)> should be regarded as original text. Because we ne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matter of text generation and the substance of text. In this paper, I divided the genre studies on <Choi Chiwon(崔致遠)> to three parts according to its traits. The first section is the propagation theory. This argued that Jeongi(傳奇) in Tang(唐) dynasity had propagated to Silla(新羅) and the first novel appeared. The propagation theory helped us to see our narrative history in relation to the narrative history of East Asia. And it developed the intuitive judgement for genre to theoretical logic. But the propagation theory lacked the subjectivity of literary history research and its significance as a genre theory. The second section is the normative genre theory. This theory suggested the standard of genre and applied it to <Choi Chiwon(崔致遠)>. The early normative theory emerged during the formation of the propagation theory. This reinforced the propagation theory with the characteristics of Jeon-gi novel(傳奇小說). The mid normative theory is Cho Dong-il’s genre theory. He regarded <Choi Chiwon(崔致遠)> as a legend added with literary rhetoric or a Jeon-gi(傳奇) seen as a pre-shape of novel. The later normative genre theory is the arguments that critically inherited Cho Dong-il's argument. They used Cho Dong-il's genre theory to prove that <Choi Chiwon(崔致遠)> was a novel, suggested genre customs distinct from legend, or suggested the problem of narrative vision as a more specific distinctive quality. However, their discussions were influenced by the theory of propagation and the genre theory of Cho Dong-il, so they exaggerated Choi Chi-won's alienation or replaced the theory of genre norms with genre conventions. The third section are the descriptive genre theory. This is cases in which new readings of <Choi Chiwon(崔致遠)> has the significance of genre theory, although a separate standard for genre identification was not presented. Most of the descriptive genre theories deny that the confrontation based on the mutual superiority of the self and the world in <Choi Chiwon(崔致遠)>. They do not view Choi Chi-won's loneliness, relationship with women, and retreat as a representation of the alienation of intellectuals. Rather, it is seen as a narrative in which the sexual desire of a intellectual is consistently projected, and this self-priority is diluted by the intervention of evidence outside the work. It would be appropriate to view this as not simply revealing the limits of the normative genre theory, but as a need for a new genre norm. This is because the descriptive genre theory suggests that <Choi Chiwon(崔致遠)> has a literary phenomenon that cannot be explained by the dichotomy of legend or novel. 이 논문은 금오신화와 더불어 소설의 효시로 다루어지고 있는 <최치원>에 대한 그간의 장르론을 검토하였다. 먼저 원전비평으로써 『태평통재』에 실린 <최치원>의 전문을 원문으로 간주하여야 함을 주장하였다. <쌍녀분기>나 『수이전』 일문의 작가 문제 등 여러 논란이 있지만, 텍스트의 생성과정 문제와 텍스트의 실체성을 혼동하여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최치원>의 장르론은 그 성격에 따라 크게 셋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첫째는 전파론이다. 이는 당(唐)의 전기(傳奇)가 신라에 전파되어 우리나라에서도 소설이 성립되었다는 주장이다. 전파론은 동아시아 전체의 문학사 안에서 우리 문학사를 조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또한 직관적인 장르론을 이론적으로 다듬고 이후 장르 규범론을 자극하였다. 그러나 전파론은 문학사 연구의 주체성과 장르론으로서의 의의가 부족하였다. 둘째는 규범적 장르론이다. 이는 장르 판별의 기준을 제시하고 여기에 <최치원>이 부합하는가를 따지는 논의들이다. 초기 규범적 장르론은 전파론의 입론 과정에서 출현하였다. 이들은 전기소설의 특징이라는 문학적 논거로써 전파론을 보강하였다. 중기 규범적 장르론은 조동일의 장르론이다. 그는 <최치원>은 문학적 수식이 있는 설화 또는 소설의 선행 형태로서 전기라고 하였다. 후기 규범적 장르론은 조동일의 논의를 비판적으로 계승한 논의들이다. 이들은 조동일의 장르론을 원용하여 <최치원>이 소설임을 입증하거나, 설화와 구별되는 장르 관습을 제시하거나, 더 구체적인 변별적 자질로서 서술시각의 문제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들의 논의는 전파론과 조동일 장르론의 영향을 받았기에, 최치원의 소외를 과장하거나 장르 관습론으로써 장르 규범론을 대체하였다. 셋째는 기술적 장르론이다. 이는 장르 판별을 위한 별도의 기준을 제시하지는 않았으나 <최치원>에 대한 새로운 읽기가 장르론의 의의를 지니는 경우이다. 대부분의 기술적 장르론은 <최치원>에서 자아와 세계의 상호 우위에 입각한 대결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부정한다. 최치원의 고독을 매개로 하는 결연과 은거를 인정하지 않고, 작품을 지식인의 소외에 대한 형상화로 보지도 않는다. 오히려 지식인 남성의 성적 욕망이 일관되게 투사된 서사이고 이러한 자아 우위성이 작품 외적 증거의 개입으로 희석되고 있다고 본다. 이는 단순히 규범적 장르론의 한계를 드러냈다기보다는 새로운 장르 규범에 대한 필요를 드러냈다고 보는 것이 적절하겠다. 기술적 장르론은 <최치원>이 설화나 소설의 이분법으로는 설명될 수 없는 문학 현상을 지녔음을 제시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최치원의 한시에 나타난 지명시어 연구

        장준람 동아시아고대학회 2018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0

        최치원의 한시를 보면 전체 시의 4/5에 지명시어가 나타난다. 현존하는 최치원 의 한시 연구를 보면 지명시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없다. 최치원 한시 중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지명시어를 주목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고운 최치원 시집 소재 최치원 한시에 나타난 지명시어를 정리하고 분석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지리적인 지명시어는 주로 최치원의 생애 연구와 발자취 및 교류 관계 등 연구 에 중요한 증거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상징적인 지명시어는 최치원의 문학사상 연 구와 독특한 정신세계를 밝히는 연구에 새로운 연구 대상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았다. 최치원의 한시에 나타난 지명시어의 특징을 통하여 최치원이 독특한 전고 지명 시어를 사용하는 점을 보았다. 당시(唐詩)에서 봉래를 신산으로 보는 것이 최치원의 시와 비슷하다. 다른 점이라면 최치원의 봉래는 고국 신라와 은거지(隱居地)를 상징하는 의미가 있다. 그리고 양제성, 봉래 등 지명시어를 통하여 우여곡절이 많 은 인생 때문에 동일한 지명시어를 사용할 때 자신의 상황에 따라서 큰 차이가 나 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If we read Choi Chiwon Chinese poems, 4/5 of them use place name noun poetic diction. There is no research on place name as nominative syllabaries in the present study of Choi Chiwon. I think there is a need to pay attention to these noun phrases which are used in Choi Chiwon Chinese poem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Goun Choi Chiwon Poems are summarized as follows. Geographical nomenclature can be an important evidence for the study of Choi Chiwon's life study, footsteps and exchange relations. I have seen the possibility that the symbolic of place name noun can be a new subject of the study on Choi Chiwon's literature and his unique spiritual world. I have seen the use of Choi Chiwon's uniqueness of using place name noun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nominative syllables of Choi Chiwon’s Chinese poems. Choi Chiwon’s poems are so similar with the using of Penglai as a new mountain in the Tang poetry. In other respects, Choi Chiwon's Penglai has the meaning of symbolizing the Silla and the Ulji area. It is also seen that the same nominative theoretician is used for the life with many twists and turns through the using of place symbolization such as Yangjae and Penglai.

      • KCI등재

        서산시의 장소성 연구 -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 857∼?)과 연계하여 -

        이홍식 ( Lee Hongshik ) 온지학회 2018 溫知論叢 Vol.0 No.57

        본고는 서산시의 새로운 장소성 형성과 고운 최치원의 상관성을 거시적 관점에서 정리한 논문으로, 본고에서는 기왕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최치원의 삶과 사상 및 행적과 업적 등을 일별하여 현재적 의미를 추출한 뒤에, 서산시의 지리적·역사적·문화적 특징과 연결하여 둘 사이의 상관성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나아가 현재 서산시에서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는 다양한 콘텐츠와 정책 등을 최치원과의 관련성 위에서 점검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서산시의 장소성 형성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최치원 관련 유적과 유적지는 전국 곳곳에 늘려 있지만, 서산시의 지리적·역사적·문화적 소산이 최치원과 상관성이 가장 긴밀하다. 더욱이 귀국 후 고운이 보여주었던 국제적이고 개혁적이며 포월적인 면모가 서산시에서 지향하고자 하는 ‘문화가 어우러진 국제 관광 도시’ 및 ‘시민과 소통하고 공감하는 도시’와 잘 부합하는 만큼, 서산시를 ‘고운의 정신이 살아 숨 쉬는 장소’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가능성은 다른 지역에 비해 크게 열려 있다고 할 만하다. 다만 서산시의 장소성 형성과 지속 가능한 역사문화 관광 자원 개발을 위해서는 최치원의 삶과 사상을 현재의 관점에서 생산적으로 수용하여 지속적으로 서산 시민의 삶과 그들이 향유하는 문화 속에 녹여낼 필요가 있다. 앞으로의 최치원 관련 콘텐츠 개발 방향 또한 여기에 맞춰져야 할 것이다. 최치원의 이미지를 적극 활용하여 서산의 장소성을 새로이 구축할 필요가 있는데, 무엇보다 더 적극적으로 고운의 이미지를 선점할 필요가 있다. 최치원의 개혁적 정신은 시정에 적극 반영하고, 고운의 국제적 면모는 물류 및 관광 도시개발 시 적극 활용하며, 고운의 포월적 인식은 역사문화 프로그램 개발 시 적극 반영할 필요가 있다. 고운의 이러한 특징적인 면모와 서산의 장소성을 연계하여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제도로 뒷받침한다면 궁극적으로 ‘국제적인 도시, 서산’, ‘개혁적인 도시, 서산’, ‘포월적인 도시, 서산’, 즉 ‘고운의 정신이 살아 숨 쉬는 서산’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paper is a summa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on of a new place in Seosan and Choi Chiwon in macro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tracts current mea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research on Choi Chiwon’s life, thoughts, actions and accomplishments. Then, this study is discussing with method which extracts correlation between the meaning and historical, geograph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Seosan linked to the meaning. In addition, various contents and policies developed and operated by Seosan are examined from the viewpoint of relevance to Choi Chiwon, and based on the results, the directions of formation of Seosan’s placeness are suggested. As a results, this paper pay attention to his international, reformative and communal aspects which are current meaning and values of Choi Chiwon. The relics and ruins related to Choi Chiwon have been scattered throughout the country, but the geographical, historical and cultural divisions of Seosan are most closely related to Choi Chiwon. Furthermore, the international, reformative, and communal aspect that Goun showed after returning to Korea is in line with the ‘international tourist city with culture’ and ‘a city that communicates and sympathizes with citizens’ that Seosan wants to aim at. So, Seosan can be the place where ‘the spirit of Goun can live and breathe’ more than any other place. However, in order to form the placeness of Seosan and to develop sustainable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resources, the life and ideas of Choi Chiwon must be productively accepted in the present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dissolve in the life of Seosan citizens and the culture they enjoy.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content related to Choi Chiwon should also be adjusted to above things. There is a need to build a new placeness in Seosan by actively utilizing the image of Choi Chiwon. Above all, Seosan need to positively preoccupy the image of Choi Chiwon. The reformative spirit of Choi Chiwon should be actively reflected in municipal affairs, and the international aspect of Goun should be actively utilized in the development of logistics and tourism cities and the communal recognition of him must be positively reflected to develop historical and cultural program. If Seosan develops various contents and supports system by linking this characteristic aspect of Goun with the placeness of Seosan, ultimately, Seosan will be expected to become ‘International city, Seosan’, ‘Reformative city, Seosan’, and ‘the city where spirit of Goun is alive and breathe’.

      • KCI등재

        <최치원 풍류風流탄생>展의 서예비평적 고찰

        장지훈(Jang Ji Hoon) 한국서예학회 2017 서예학연구 Vol.30 No.-

        예술의전당 서울서예박물관에서는 21세기 인문정신의 재발견을 위한 첫 번째 전시로 <최치원 풍류風流탄생>전(2014.07.30.-09.14)이 개최된 바 있다. 孤雲 崔致遠(857-909이후)의 ‘風流’를 오늘날 예술로 시각화하여 우리시대 풍류의 참 의미를 조명하기 위해서이다. 전시의 취지는 최치원을 통해 ‘풍류’라는 우리식의 인문정신을 재인식하고, 풍류에 내재된 ‘우리의 융 ․ 복합적 DNA’를 도출해내며, 書를 중심으로 풍류를 이 시대의 다양한 예술로써 융 ․ 복합하여 재현해보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 전시는 ‘풍류’라는 미명으로 최치원 일생을 시각적 나열로 조명한 것에 지나지 않았다. 느껴지는 풍류가 아닌 보여주는 풍류에 불과했다. 최치원과 관련된 것을 조명하면 당연히 ‘풍류’가 잇따르거나 연상될 것이라는 안일한 기대심리가 여실해 보였다. 한국사상의 원형적 특질을 최치원이 ‘풍류’라고 정의한 것은 맞지만, 최치원의 궤적을 곧 풍류라고 이해하는 것은 불가하기 때문이다. 최치원의 사상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기 때문에 그가 정의한 풍류의 본질에서 다소 멀어진 전시였다. 그래서 神韻이 부족한 形質의 風俗만 가득했다. 특히 풍류를 서예로 재해석하기 위해서는 풍류가 우리 민족의 보편적 정서인 ‘열린 마음’임을 인식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한 열린 마음이 서예로 재현되면 ‘소탈’하면서도 ‘품격’있고 ‘아름’다우며 ‘감동’시키는 문자예술로 와 닿는다. 즉, 현란함을 떨쳐버리고 爲學日益의 성실과 爲道日損의 순수가 깃든 ‘順自然의 붓길’ 그 자체만으로도 풍류를 담기에 충분한 전시였다. The exhibition of <Birth of Choi Chiwon’s Pungryu> was held by Seoul Calligraphy Museum at Seoul Art Center (2014.07.30.-09.14) as the first exhibit to rediscover humanistic spirit in the 21st century. It was to visualize ‘Pungryu (風流, taste and appreciation for the arts)’ of Goun Choi Chiwon (孤雲崔致遠, 857-later than 909) in the form of today’s art and to illuminate true meaning of Pungryu of our times. The exhibition aimed to have a new understanding of our own humanistic spirit of ‘Pungryu’ through Choi Chiwon; to draw ‘our own converged and integrated DNA’ inherent in Pungryu and; to reproduce Pungryu with a today’s variety of art forms through convergence and integration focusing on calligraphy. In the name of ‘Pungryu,’ however, this exhibition just looked at Choi Chiwon’s life merely through a visual list. Pungryu demonstrated at the exhibit was only to show, not to make people genuinely feel it. It was obvious that the exhibition had complacent expectations that ‘Pungryu’ naturally came along or it would be reminded if Choi Chiwon’s work was once presented. It was correct that Choi Chiwon defined origi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hought as ‘Pungryu’ but it is impossible to understand that traces of Choi Chiwon were Pungryu itself. The exhibition was somewhat distant from the essence of Pungryu defined by Choi Chiwon due to lack of understanding on his ideas. It was just full of customs with not enough superb spirit within. It wa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Pungryu was ‘open mind,’ the Korean’s universal emotion particularly to reinterpret Pungryu as calligraphy. Reproduction of such open mind with calligraphy comes to people’s mind as ‘folksy,’ ‘elegant,’ ‘beautiful’ and ‘touching’ art with letters. In other words, the exhibition would do to present Pungryu if it only had ‘brushstroke to follow the nature’ with sincerity of everyday learning for filling one’s heart (爲學日益) and purity of everyday emptying for enlightenment (爲道日損) without any glitz.

      • KCI등재

        초기 전기(傳奇)에 나타난 기(奇)의 성격

        엄기영(Um, Ki-young) 우리말글학회 2015 우리말 글 Vol.67 No.-

        이 글은 『최치원』 을 대상으로 하여 전기(傳奇)에서 기(奇)가 의미하는 바와 그 성격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나려시대 전기에 대한 그간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작품 속에 등장하는 이른바 ‘전설적인 표지나 요소들’을 장르적으로 ‘무언가 부족하고 미숙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해 왔다. 그리고 이는 나려시대 전기가 15세기 『금오신화』가 이룩한 ‘전기의 완성태’로 향해가는 중이라는 시각이,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전제되어 있었다. 하지만 전기에 등장하는 ‘전설적인 표지나 요소들’을 오히려 전기의 장르적 속성을 드러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당(唐) 전기의 작자들은 허구의 서사를 창작한다기보다는 개인적인 차원에서 역사를 서술한다는 의식을 강하게 가지고 있었다. 전기 작자들은 공식적인 역사서에 실려 있지 않은, 혹은 공식적인 역사서의 견고하고 엄숙한 체제로는 수용할 수 없는 기(奇)를 전하고자 했으며, 여기에 삶의 진실이 담겨 있다고 본 것이다. 당 전기의 이러한 점들을 감안할 때, 전기『최치원』에서 전(傳)하고자 한 기(奇)의 의미는 『삼국사기』『최치원전』 과 비교함으로써 구체적으로 드러날 수 있다. 『최치원』은 전기의 기(奇)에 해당하는 최치원과 여귀의 만남을 최치원의 삶에 변화를 일으킨 이유로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최치원』 은 『최치원전』 에 대한 일종의 ‘문학적 반론’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 핵심은 최치원이 귀국 후 은거의 삶을 택한 이유를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라는 물음에 있다. 『최치원』은 정치적 좌절이 아닌 여귀와의 만남이야말로 최치원이 은거를 택한 이유이며, 여기에 그의 삶의 ‘진실’이 담겨 있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In this paper, I am going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Ki(奇) in Jeonki(傳奇) through Choi ChiWon(崔致遠). Many studies of Jeonki have regarded the legendary features in works as markers of the immaturiy, and it means that these studies premised that Jeonki in Silla(新羅) and Koryo(高麗) was the "Prototype" of Jeonki in Joseon(朝鮮) such as Keumosinhwa(金鰲新話). However, the legendary features in Jeonki show the attribute of Jeonki genre. The authors of Jeonki in Tang(唐) dynasty regarded themselves not as writers, but as historians. They thought that there were the truths in Ki(奇) which could not be recorded in the official history, and tried to hand down these through Jeonki. Considering these things, we could understand the meanings of Ki in Choi ChiWon by comparing the biography of Choi ChiWon in Samkuksaki(三國史記). Two works are in the relations of literary counterargument. says that the retirement of Choi ChiWon resulted from the fateful meeting with two ghost women, not from the political frustration after homecoming, and that there is the truth of his life in this meeting.

      • KCI등재

        『『삼국사기』』「최치원전」 고구(考究) - 내용의 사실 검증을 중심으로 -

        이황진 한국문학언어학회 2022 어문론총 Vol.92 No.-

        현전하는 문헌 기록 중 최치원의 생애 전체를 살펴볼 수 있는 최초의 기록은 『삼국사기』의 「최치원전」으로 이는 최치원의 생애와 행적을 살피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자료이자 최고의 권위와 영향력을 가진 기록이다. 그런데 그 내용 중에는 사실과 다르거나 그 사실 여부에 의심을 가질만한 부분이 곳곳에 존재한다. 이에 필자는 본고에서 최치원의 생애와 행적 관련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그러한 부분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였다. 먼저, 「최치원전」의 내용 중 사실이 아님이 분명하게 밝혀진 네 부분을 사실에 맞게 바로잡았다. 첫째, 그 세계(世系)를 알 수 없다고 기록한 부분에 대해서는 최소한 최치원의 부친이 최견일(崔肩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최치원이 경문왕 9년(874) 가을 9월에 당에서 과거에 급제했다는 『삼국사기』권11의 기록은 잘못된 것으로, 경문왕 9년 봄 정월이나 2월로 정정되어야 한다. 셋째, ‘율수현위의 업적으로’ 승무랑 시어사내공봉 벼슬을 받고 자금어대를 하사받았다는 내용은 잘못된 것으로, ‘고병막부에서의 활약으로’로 정정되어야 한다. 넷째, 최치원이 문창호로 추증된 시기가 고려 현종 14년 태평 2년 임술 5월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현종 14년 태평 3년(1023) 계해 2월로 정정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최치원전」의 내용 중 의심의 여지가 있는 부분, 즉 최치원의 재입당 문제와 관련한 사항, 고운(顧雲)이 주었다는 송별시 「유선가」에 대한 진위 문제, 최치원이 고려의 조업을 몰래 도왔다는 근거가 된 ‘계림은 누른 잎이오, 곡령은 푸른 솔이라.’(雞林黄葉, 鵠嶺靑松)의 진위 문제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 KCI등재

        최치원의 유풍이 호남에 끼친 사상적 영향의 고찰-태인의 이은吏隱과 옥구의 유선遊仙을 중심으로

        김성환 범한철학회 2023 汎韓哲學 Vol.110 No.3

        Choi Chiwon was an international intellectual who lived through a period of rapid change in the ancient East Asian world. He had a literary reputation in Tang and Silla Dynasty and had a great philosophical influence on later generations. Honam was also influenced by him early on, and his philosophical and cultural traditions continued for a long time, centering on the Taein and the west coast of Okgu. In the two regions, Choi Chi-won was remembered as a Confucian hermit or a mysterious hermit, and he gained national fame as there were shrines and monumental sanctuaries commemorating him from the Goryeo Dynasty. Although Choi Chiwon was a Confucian scholar, he was already talked about during the Goryeo Dynasty as a person who sought the Tao of Sinseon. It was not just the reputation of later generations, but the path Choi Chi-won himself actually pursued. Choi Chiwon lamented that he had met dangerous and vicious days since he was young, and even if he could not abandon his responsibility as a Confucian in saving the world, he confessed that his intention was always to escape the world and to remain secluded. Choi Chiwon has always called the Silla Dynasty the home of sinseons and was proud that there were many outstanding sinseons from ancient times. The fact that he secluded himself in Honam and played freely in forests and rivers in his later years and finally entered the mountain was the process of actively realizing the aspirations of seclusion he had harbored since his youth. His philosophical ethos had a direct impact on Honam, and Choi Chiwon was revered as a secluded and free person even while in office. In addition, the coast of the West Sea centered on the Gogunsan Islands has been the starting point and stopover of the sea route connecting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Asian continent since ancient times. Choi Chiwon has been mythologized as a person who symbolizes cultural exchanges along this sea route for over a thousand years.

      • KCI등재

        고운 최치원의 관료생활 연구

        송성안,한정호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3

        The existing Choi Chiwon study was dealt with in particular in terms of life, literature, and thought. Despite such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er's interest in Choi Chiwon’s actions as a politician or administrator was far from the researcher's interest in our academic circle. In other words, the discussion focusing on the bureaucratic life of Choi Chiwon was not actively conducted. Therefore, the researcher examined the bureaucratic life in Tang Dynasty and the bureaucratic life in Silla after returning home as Choi Chiwon’s action. First, during Tang Dynasty, Choi Chiwon served as an employee in the barracks of Go Byun through Yulsu-hyeonwi and served as an office of the government officials such as the Kwanyuksunkwan, Dotong-sunkwan. When he returned to Silla after 16 years of Tang Dynasty, he was a Guksinsa and Songyisa under the title of 'Hyeonamipsillakyum Song-guksindeungsa Jeondongmyeon Dotong-sunkwan Seungmurang Jeonjungsisa Naegongbong sa Beerdae’. Next, Choi Chiwon took charge of the Byungbusirang after returning to Silla after a visit to the Sidok-bacheror and Halim-bacheror. Since then, he has volunteered for his external position and soon served as a governor of Taesan, Buseong, and Cheonryeong county. In particular, he lived as a bureaucrat in the last years under the title of ‘Bangro-daegam Cheonryeong-bacheror Achan’. Choi Chiwon is widely known as a poet, literary writer and thinker, and he cannot overlook his literary, academic, and ideological achievements. However, his discussion of bureaucratic life also serves as a major excuse to understand his social activities as well as the political and institutional situation of the time. As a result, this study was able to reexamine the position and position as a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person through the study of Choi Chiwon's bureaucratic life

      • KCI등재

        신라말 진성왕에 대한 최치원의 이중적 인식과 그 의미

        김선주 ( Kim Sunjoo ) 한국여성사학회 2021 여성과 역사 Vol.- No.34

        이 글은 신라말 진성왕에 대한 최치원의 인식을 살펴본 것이다. 진성왕은 신라에서 세 번째이자 마지막 여왕이었다. 진성왕은 여왕 즉위가 가능하면서 동시에 더 이상 여왕이 즉위하지 않게 되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시대 변화를 이해할 수 있는 상징적인 인물이 최치원이다. 최치원은 진성왕대 왕성하게 정치 활동을 했던 동시대인으로 진성왕에 대해 이중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최치원은 진성왕이 왕위 계승의 정통성을 가지고 있다고 여겼다. 또한 당시 혼란기라는 것은 인정했지만 그 원인을 진성왕으로 인식하지 않았으며 여왕이라는 성별을 문제시 하지 않았다. 그렇지만 진성왕이 여성이라는 성 정체성을 강하게 의식하고 있었으며, 이분법적으로 차별적인 성별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진성왕에 대해 이중적 인식을 가졌던 것은 신라의 존속이 위협당하는 혼란한 상황에서 최치원은 국왕인 진성왕을 구심으로 국가를 안정시켜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므로 최치원은 성차별적 의식과 별개로 국왕으로서 진성왕의 정통성과 권위를 인정하고 왕권 확립을 위해 노력했다. This paper examines Choi Chiwon's perception of King Jinseong in Late Silla. King Jinseong was the third and last queen of Silla. King Jinseong symbolizes the change of times when the queen is possible to ascend the throne and at the same time, the queen is no longer crowned. Choi Chiwon is a symbolic figure who can understand these changes in the times. He was one of her contemporaries who was very energetic. Choi Chiwon shows a dual perception of King Jinseong. Choi Chiwon believed that King Jinseong had the legitimacy of the throne. He also acknowledged that it was a period of chaos at the time, but did not recognize the cause as King Jinseong and did not take issue with the gender of the queen. However, he had a dichotomous perception of men and women, and was strongly aware of the gender identity of King Jinseong. Choi Chiwon's dual perception seems to be due to his dichotomy of gender as a Confucian scholar, and on the other hand, his idea of stabilizing the state by strengthening the royal authority in the late Silla Period.

      • 지금 崔致遠을 생각한다

        최상용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5 대구경북연구 Vol.14 No.1

        최치원은 9세기 후반, 당시 세계 문명 중심지의 하나인 동아시아의 최고 지성인을 대표한다. 그는 또한 당시 한․중 관계의 산 증인인 동시에 두 나라 문화교류의 다리 역할도 하였다. 최치원에 대한 최근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이 논문은 그가 정치인, 정치사상가, 동아시아의 대표 지성인이라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그의 인생 자체는 9세기 말, 한 정치인의 성공과 실패에 관한 이야기이다. 그의 삶은 소크라테스, 플라톤과 같은 정치와 철학의 융합, 아리스토텔레스와 같은 철학자의 명상하는 삶, 공자와 맹자와 같은 인간과 하늘의 위대한 통합을 이룩한 대가로서의 삶을 표상한다. 그가 살아가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내면화된 사상과 생각은 그의 철학적인 사고의 핵심으로 자리 잡았다. 그는 유교, 불교, 도교의 인도주의적, 심미적 인 주류를 풍류도로 개념화 하였다. 그의 저작은 유교, 불교, 도교의 문화와 정치적 사고가 하나로 융합되어 독특한 한국의 정치사상으로 만들어지는 용광로였다. 최근의 그에 대한 재해석은, 그의 저작이 동아시아 정치사상의 보고일 뿐만 아니라 한국 최초의 정치사상이라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 특히 최근 중국의 정치지도자가 그의 저작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즐겨보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최치원은 한국과 중국 관계를 고양시킬 수 있는 무한한 가치를 가진 존재라고 할 수 있다. Choi Chiwon represents a leading intellectual of the late 9th Century East Asia, the then one of the civilized centers of the world. He is also the witness to the then Korea-China relationship and the one who played the role of bridging cultural exchanges of the two countries. With the current studies on Choi Chiwon as the background, this article attempts to present Choi Chiwon as a politician, a political thinker and as a leading intellectual of East Asia. Choi Chiwon’s life itself was a story of success and failure of a politician at the end of the 9th Century. His life itself exemplifies the unity of political and philosophic life as in Socrates and Plato, the contemplative life of a philosopher in Aristotle, and the life of a master who achieved great unity of heaven and man as in Confucius and Mencius. The internalized idea and concepts that developed in the process of his life crystallized into the core of his political thought. Choi Chiwon conceptualized humanitarian and esthetic mainstream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s Pung-ryu Do. His work was the smelting furnace in which the culture and political thought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fused into one to create a distinct Korean political thought. Recent reinterpretations of Choi Chiwon reflect the acknowledgement of his works as the repository of the East Asian political thoughts as well as an original political thoughts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