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율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적응성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성소연,배성아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9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인 진로결정 자율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설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충남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4곳 364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측정변인인 진로결정 자율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목표설정, 문제해결요인과 진로적응성의 진로호기심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진로결정 자율성의 경우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이들간의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진로결정 자율성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에 직접적 효과를 보였으며, 변인간의 직․간접적 효과와 총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통해 진로결정 자율성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경유함으로써 그 영향력이 더욱 증가하는 비교적 양호한 모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진로결정 및 적응에 있어 동기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학습자의 동기를 촉진시키기 위한 진로교육의 중요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Through a survey, We collected data from 361 students. As the results, first,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to one another. Second, most subcategorie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showed difference among grades, but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did not.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from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to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Through the direct and indirect and total effects among the factors, the mediation role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r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were confirmed. These results indicated the significant role of career motivation on college students’career development. And the results also suggested that motivating students comes first in career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고등학생의 진로관련 부모지지, 진로결정 자율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학교생활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탐색

        강혜정(Kang, Hye-Jeong) 한국진로교육학회 2018 진로교육연구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진로관련 부모지지가 학교생활 만족도에 이르는 과정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 자율성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또한 이들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가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J도 소재의 고등학생 563명의 설문응답 결과를 분석하고, 진로관련 부모지지와 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 자율성이 매개하는 것으로 가설모형을 설정하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 자율성의 관계에 방향을 설정한 2가지 경쟁모형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진로관련 부모지지가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이 확인되었고, 진로결정 자율성을 거쳐 학교생활 만족도에 이르는 간접 경로와 진로관련 부모지지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거쳐 진로결정 자율성에 영향을 주어 학교생활 만족도에 이르게 되는 간접경로의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남학생의 경우 진로관련 부모지지가 진로결정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하지 않았으며, 진로관련 부모지지에서 학교생활 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정 자율성으로 가는 경로계수가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성별에 따른 구조적 관계 및 경로계수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의 의의 및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chool-life satisfaction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To achieve the purpose,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male (N=321) and female (N=242) high school students in J province in South Korea. Hypothetical model is that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mediate between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and school-life satisfaction. Two competitive models is that the direction of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had a direct effect on school-life satisfaction. And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also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school-life satisfaction. i.e., the influence of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on school-life satisfaction was induced by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in the case of male student, the influence of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on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was not significant.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had some more positive influence on their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chool-life satisfaction as compared to males. Both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with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 KCI등재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및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조윤진,조규판 한국청소년학회 2023 청소년학연구 Vol.30 No.8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decision making self-efficacy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teacher autonomy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210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were surveyed using the Parental Autonomy Support Scale, Teacher Autonomy Support Scal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decision making self-efficacy. In conclusion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s, there a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parental autonomy support, teacher autonomy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perated as a mediating factor between the parental autonomy support, teacher autonomy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 to improve career-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parental autonomy support, teacher autonomy support fo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고등학생의 학업 자율성과 진로결정 자율성에 따른 잠재집단 유형 분석

        강혜정,임은미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4

        This study was to identify latent group subtypes according to Academic Autonomy and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of high school students and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In addition, it was tested whether any variable predict the odds of latent group. A total of 6 latent group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of latent profile analysis of the responses of 563 students attending high school in J province. The subtyp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atent group are named as follows; ‘Career & academic autonomy group’ performing autonomous academic activities and career activities; ‘Career & academic control group’ participating by external control or internal relevance, ‘Career-value group’ with low autonomy in academic area but high autonomy in career, ‘Moderate group’ participating averagely in a given activities without specific reason, ‘Career-amotivation & reward-focusing academic group’ performing academic work in order to obtain compensation but without motivation in career, and ‘Academy-amotivation & low career motivation group’ being indifferent to any activity. We empirically confirmed the relevance to academic and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through six group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utonomy-related variables such as neuroticism, academic self-efficac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on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group,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higher degree of academic self-efficacy,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the more likely to belong to High autonomy group which is the ‘Career & academic autonomy group’. Academic self-efficacy was the most variable on latent group classification.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학업 자율성과 진로결정 자율성 수준을 종합하여 잠재집단 유형을 파악하고 그 특징을 살펴본 후 각 집단 구분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변인을 확인하였다. J도 소재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563명의 응답결과에 대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6개의 잠재집단이 나타났다. 각 잠재집단의 특성에 따라 학업 수행과 진로 활동을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진로학업 자율 집단’, 외적 통제나 내적 유관성에 의해 참여하는 ‘진로학업 통제중심 집단’, 학업영역에서는 자율성이 부족하지만 진로영역에서는 자율성이 높은 ‘진로 가치중심 집단’, 두드러진 이유 없이 주어진 활동에 평균적으로 참여하는 ‘보통 집단’, 진로영역에서는 동기가 없고 학업영역에서 보상을 위해 수행을 하는 ‘진로무동기 보상중심 학업 집단’, 학업과 진로의 모든 영역에서 어떠한 활동에도 무관심한 ‘학업무동기 낮은 진로동기 집단’이라 명명하였으며, 학업과 진로영역의 관련성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자율성과의 관련 변인으로 보고된 신경증,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관련 부모지지가 잠재집단 분류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다항로지스틱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관련 부모지지가 높을수록 가장 자율적인 집단인 ‘진로학업 자율 집단’에 속할 확률이 증가하였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잠재집단 구분을 가장 많이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자율성, 부모진로행동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상무,박관성 한국청소년학회 2019 청소년학연구 Vol.26 No.9

        This study was interested in how autonomous career choices and parental involvement influence career decision making in high school stude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career decision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autonomy, parental career behavior and career choice,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and to verify the selection model of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495 high school students in 4 liberal arts high schools, and the final 403 data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career decision autonomy scale, parent career related behavior scal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cale, and career decision level scale. The research questions to confirm thi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career behavior, career decision autonom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Second, how does high school student's parent career behavior and career decision autonomy have a structural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level through mediat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o be. SPSS 22.0 and AMOS 22.0 program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areer decision autonomy, parental career behavior,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Second, career decision autonomy had only direct effect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indirect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 Parental career behaviors hav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making levels. As a resul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confirming the assumptions of the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selection model. The implications of career decision making for high school students were discussed. 고등학생들의 자율적인 진로선택과 부모의 진로관여가 어떻게 진로결정에 영향력을 미치는가에 관심을 가진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결정자율성, 부모진로행동과 진로선택의 관계에서 진로결정효능감의 구조적관계를 탐색하여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사회인지진로이론의 선택모형을 검증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4개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49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최종 403명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진로결정자율성 척도, 부모진로관련행동 척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 진로결정수준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고등학생의 부모진로행동, 진로결정자율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고등학생의 부모진로행동과 진로결정 자율성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결정수준에 구조적으로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가? 이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2.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자율성과 부모진로행동,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은 각각의 두 변인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확인 되었다. 둘째, 진로결정자율성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직접효과와, 진로결정수준에 간접효과만 있었다. 부모진로행동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직접효과와 진로결정수준에 직・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사회인지진로이론 선택모형의 가정을 확인한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가 갖는 고등학생들의 진로결정과 관련한 함의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여대생의 진로결정자율성과 관계성이 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소연(So Yeun Park),이숙정(Sook Jeong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13 敎育心理硏究 Vol.27 No.3

        본 연구는 여자대학생의 진로결정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결정자율성과 진로결정관계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의 여자대학에 재학 중인 32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진로결정자율성과 진로결정관계성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진로결정관계성의 4가지 하위척도 중 지지, 모델링, 조언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함께 진로준비행동을 하는 동료들과의 관계를 묻는 척도인 활동은 유의하지 않았다. 진로결정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척도 중에서 직업정보, 미래계획과 관련된 효능감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이 증가하는 반면 목표선택과 문제해결 척도는 유의하지 않았다. 구조모형에 대한 분석을 통해 완전매개모형과 부분매개모형 각각의 모형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두 모형의 적합도가 모두 양호하게 나타났다. 두 모형 중 더 나은 모형으로 최종모형을 확정하고자 X2검증(△X2(1)=18.29, p<.01)을 하여 부분매개모형이 더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최종 모형에서 진로결정관계성은 직접 및 간접 경로가 모두 유의하나 진로결정자율성의 직접 경로는 유의하지 않고 간접 경로만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career decision relatedn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 study samples were composed of 323 female university students located in Seoul. For data analysis, the use of correlational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SEM), AND sobe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ch of career decision-makingautonomy, career decision relatedn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effects significantly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 information of job and the future planning subscal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support, modeling and advice subscale of career decision relatedness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Second, mediating effects were examined that the link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career decision relatedn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ere partially mediated throug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s study suggests especially that a career counseling program or career coaching program for female college students can incarease the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hich will positively affect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 KCI등재

        부모 자율성 지지, 진로결정자율성 및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수준에 따른 다집단 분석

        정은교,안도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2

        본 연구에서는 부모 자율성 지지, 자녀의 진로결정자율성 및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 변인들 간의관계가 자녀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 소재 대학교재학생 총 182명의 설문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부모가 자녀의 자율성을 지지할수록 자녀의 진로결정자율성및 진로적응성이 증진되며, 진로결정자율성이 부모 자율성 지지와 자녀의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나타났다. 한편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에 따른 차이에 대한 분석 결과,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수준이 강한집단의 부모 자율성 지지, 진로결정 내재동기 및 진로적응성이 약한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수준이 강한 집단에서는 부모 자율성 지지가 진로결정자율성을 완전 매개하여 자녀의진로적응성을 촉진시키는 반면,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수준이 약한 집단에서는 진로결정자율성의 매개 효과가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 자녀의 진로 발달을 이해하는 데에 본 연구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autonomy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along with the differences by belief in a just world. One hundred and eighty-two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Korea,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al autonomy support enhanced career decision making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Moreover, the effect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on career adaptability was mediated by career decision making autonomy. In addi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belief in a just world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arental autonomy, career decision intrinsic motiv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In particular, for students who had strong belief in a just world, the influence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on career adaptability was fully mediated by career decision making autonomy. On the other hand, for students who had weak belief in a just world, the mediation effect of career decision making autonomy in the links between parental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was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could be useful to understand career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importance of belief in a just world.

      • KCI등재

        특성화고 남학생들의 진로결정에 있어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과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 : 진로결정자율성의 매개역할

        김미선,남숙경 한국교육방법학회 2013 교육방법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특성화고 남학생들의 진로결정에 있어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과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와 진로결정자율성의 매개역할을 알아보았다. 경상남도 J시에 소재한 특성화고 2, 3학년 남학생 416명이 참여 하였으며, 연구 결과 진학 및 취업 진로결정 집단에 따라 변인들 간의 관계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진로결정 집단간의 평균차이를 살펴보면, 진학집단과 취업집단의 진로 결정자율성의 하위변인인 확인된 조절과 학교생활만족도에서, 진학집단과 취업집단의 평균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학 집단의 경우, 개인주의만이 진로결정자율성의 내적 동기와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집단의 경우, 집단주의만이 진로결정자율성의 확인된 조절과 진로결정자율성의 내적 조절 두 개의 변인과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과 학교생활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율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진학집단에서는 진로결정자율성의 내적동기가 개인주의와 학교생활 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취업집단에서는 집단주의와 학교생활만족도간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인 진로결정자율성의 확인된 조절이 진로결정자율성의 내적 동기와 더불어, 유의하게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vocational high school male students’ decision making factors between a career decision while entering a college and a career decision while attaining a job. We examine the mediated effect of career decision making autonom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ismcollectivism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here were statistical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in the identified regulations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of the groups and in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between a career decisions. In addition, the identified regulation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in the student group for college admission had meaningfu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 between those two variables. There was also a meaningful mediating effect of an identified regulation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in the student group for employment as well as the intrinsic regulation of career decision making autonomy.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율성, 자기주도 학습능력 및 지연행동 수준에 따른 진로탐색행동의 차이

        조규판,장은영 한국진로교육학회 2012 진로교육연구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university students' career exploration behavior by their level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crastination. Seven hundred five students of 2th, 3th, 4th grade from seven universities in Busan or Ulsa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ategorized high, middle, and low by their level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crastination, and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exam the mean difference of career exploration behavior by each variable level. Major finding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rist, students with higher levels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were more likely to do career exploration behavior then lower level students. Second, students with higher level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ere more likely to do career exploration behavior then lower level students. Third,students with higher levels of procrastination were less likely to do career exploration behavior then lower level students. In conclusion, to facilitate university students' career exploration behavior, it's necessary to enhance the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reduce the procrastination. 본 연구는 개인차로서 진로탐색행동의 속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대학생의 진로결정자율성, 자기주도 학습능력 및 지연행동의 수준에 따른 진로탐색행동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를 위하여 부산과 울산에 소재한 7개 대학 2, 3, 4학년 학생 705명을 대상으로 진로결정 자율성, 자기주도 학습능력, 지연행동 및 진로탐색행동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진로결정 자율성, 자기주도 학습능력, 지연행동의 수준별 진로탐색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변인들 각각을 상, 중, 하 수준으로 범주화하였고 수준에 따른 차이검증을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 자율성 수준에따른 진로탐색행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진로결정 자율성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비해 진로탐색행동을 많이 하였다. 둘째, 자기주도 학습능력 수준에 따른 진로탐색행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기주도 학습능력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진로탐색행동을많이 하였다. 셋째, 지연행동 수준에 따른 진로탐색행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지연행동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진로탐색행동을 적게 하였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진로탐색행동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진로결정 자율성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고 지연행동을 감소시킬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결정자율성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진로신념,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신영숙,김장회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결정자율성과 진로적응력, 진로신념, 진로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에 소재하는 대학생 500명을 무선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42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진로결정자율성, 진로신념, 진로준비행동, 진로적응력 척도이다. 연구결과 진로결정자율성은 진로적응력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로신념과 진로준비행동에는 각각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진로신념과 진로준비행동은 진로결정자율성과 진로적응력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결정자율성과 진로적응력, 진로신념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가 어떠한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또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적응력을 위한 진로신념과 진로준비행동의 향상 방안과 상담에 대한 함의, 향후 과제와 제한점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career adaptability, career certain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university students. Five hundred university students from Gyeongsangnam-do, South Korea, answered a questionnaire, and the data from a total 424 students was analyzed. Th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measurements regarding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career certaint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adaptability. The analysis showed that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did not present a direct consequence to career adaptability, while it significantly affected career certain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dditionally, career certainty and career preparation-behavior were verified to be the complete mediator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It was believed that this study was given purpose through the fundamental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career adaptability, career certain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carrier certainty, measures to improve preparation behavior, implications of consultations, tasks for the futur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mong other point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