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카쉐어링 서비스의 문제점 분석 및 해결 방안 연구

        이영교,안정희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2019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6

        The development of hot social networking services, including the Internet, has transformed rental car services into IT-based car-sharing services. The car-sharing service is a service that allows people to rent cars online without having to face-to-face. It has become the preffered service among young people who are accustomed to drinking and eating alone. Users can use their smartphones to book their types of cars and hours of rent, and then go to a nearby designated parking lot to use their reserved cars. You can open a designated car door with a smart phone and drive. It is a very convenient service to pay for the distance you drive. However, the car-sharing service already in use in business has the following problems: underage who do not have a driver's license may drive a car borrowed by an acquaintance, the status of a license registered at the time of join membership with a car-sharing company may change to a suspension or cancellation of a license while renting and driving, or even a drunk person may rent a car and drive. In this paper, the method to solve these problems has been studied and proposed. The proposed method is to reduce the cost of investment by a car-sharing service provider and to minimize user inconvenience. And, it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existing method. For the method to be used efficiently, the active operation of the car-sharing company and the government's policies will have to be supported. 인터넷을 비롯한 SNS의 발달은 렌터카 서비스를 IT기반의 카쉐어링 서비스로 변모시켰다. 카쉐어링 서비스는 비대면 온라인으로 자동차를 빌릴 수 있는 서비스로써 혼술, 혼밥에 익숙한 청년층이 선호하는 서비스가 되었다.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차종과 시각을 예약하고 가까운 지정 주차장에 가서 스마트폰으로 자동차문을 열고 운전을 하며 주행 거리만큼 후불 결재를 하는 아주 편리한 서비스이다. 그러나 운전 면허증이 없는 미성년자가 지인이 빌린 차를 대신 운전할 수도 있고, 카쉐어링 업체에 회원가입 할 때에 등록한 면허의 상태가 차를 빌리거나 운전 중에 면허 정지나 취소로 변동될 수 있으며 심지어는 음주상태인 사람이 차를 빌려 운전을 할 수도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으며 제안한 방법은 가급적 카쉐어링 서비스 업체의 투자비용과 사용자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며 기존의 방법과 비교 및 분석하였다. 현재 카쉐어링 업체들은 회원 가입시에 휴대폰 본인인증, 본인 면허증등록, 본인 명의결제 정보등록을 철저히 요구하고 있다. 제안한 방법중에 ‘고객과의 영상통화 및 질의응답’ 방법은 부적격한 다수의 운전자들이 돌아가면서 운전하는 것까지 막을 수 있으며 ‘보호자에게 문자전송’ 방법은 간단한 방법이지만 효과적인 예방 방법이다. 제안한 방법이 효율적으로 활용되려면 카쉐어링 업체의 적극적인 운영과 정부의 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소비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자동차정비서비스 만족도 척도 개발 및 차이 분석: 소비자의 경험과 서비스제공자의 예상을 중심으로

        김영석 ( Youngseok Kim ),김시월 ( Siwuel Kim ) 한국소비자학회 2013 소비자학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자동차정비서비스 부문에서의 소비자만족도 향상을 위하여, 자동차정비서비스 제공자와 수혜자인 소비자의 만족요인을 분석하고, 자동차정비서비스 부문의 전체적인 만족도를 높이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정비서비스 만족도 척도를 개발하고자 척도의 구성을 알아보았고, 자동차정비서비스 만족도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았다. 자동차정비서비스 만족도가 소비자인 수혜자와 제공자인 자동차정비 종사자의 각 특성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고, 그리고 자동차정비서비스 제공자와 소비자의 만족도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의 조사대상자 중에서 소비자는 자동차를 소유하고 자동차정비서비스를 이용한 소비자를 대상으로는 웹 서베 이로 조사하였으며, 자동차정비서비스 제공자는 자동차정비서비스에 종사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직접 대면조사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동차정비서비스 만족도의 척도를 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고찰한 후에 선행연구의 문항을 응용 및 수정하여 척도구성에 이용하였다. 전문가의 자문과 자동차정비서비스 제공자와 소비자의 의견을 검토하여 문항을 수정, 보완한 후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동차정비서비스 만족도 관련 척도를 웹 서베이와 직접 대면조사로 조사한 후 관련요인을 분류한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이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요인Ⅰ을 문제해결 요인, 요인Ⅱ는 신뢰성 요인, 요인Ⅲ은 물리적 측면 요인, 그리고 요인Ⅳ는 인적자원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서비스 이용자인 소비자의 사회경제적 특성별 만족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문제해결 요인에서는 성별과 차량배기량에서, 신뢰성 요인의 경우에는 운전경력 부분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인적자원 요인의 경우 성별 부분에서, 물리적 측면 요인의 경우 성별, 운전경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자동차정비서비스 제공자인 직원과 수혜자인 소비자의 만족도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문제해결 요인, 신뢰성 요인, 인적자원 요인, 물리적 측면 요인 등 모든 요인에서 소비자는 서비스제공자에 비해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인적자원 요인에서 만족도가 가장 낮았고, 문제해결 요인은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의 신체적 안전과 고가격의 자동차서비스는 유료의 서비스 제공으로 많은 소비자의 관심사이며, 그로 인하여 서비스제공자인 자동차정비서비스종사자보다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자동차서비스의 소비자만족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가격표준화, 정비표준화 그리고 관련 가이드라인 등이 구비되어야 하며, 서비스제공자를 위한 부단한 재교육과 역량강화가 요구된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와 수혜자의 부단한 커뮤니케이션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atisfaction factor of car repair service satisfaction between service offerer and consumer(service user) an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enhancing overall satisfaction of car repair service for the satisfaction elevation in the car service field. For this purpose, it needed to develop and value measurement of satisfaction factor on car repair service. So our researchers examined what the established factors were composed of questions, and whether the factors could be trusted and verified. Through the newly developed factor, our researchers investigated whether there is a car repair service satisfaction gap in each matrix, and a satisfaction gap between service offerer and consumer through survey. Consumers who were owner drivers and had made use of car repair service, but not the employees of car-related company, were web-surveyed by panel. Service Offerers who were employees of car repair service company were surveyed face to face. Preliminary research was done March the fifth through the ninth in 2012, Web survey as the primary research was performed from June 26 to July 30 in 2012, direct research was carried out July 2 through July 30 for a month. As the result of the survey, 200 consumers and 126 service offerers responded. The responses seemed to be sincere and trustworthy. So all the responses were took into accounted for this study. As a result,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car service satisfaction factor, our researchers examined the precedent study, corrected and applied it to the constitution of the factor. From the expert consultation and the examination into the opinions of the car repair service offerer and consumer, we corrected and supplemented the matrix, after that, our researchers executed the preliminary research. After examining the car repair service satisfaction factor by means of web survey and direct survey, as the result of classifying the related elemen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eemed to be adequate. It named the first factor the problem solving factor, the second factor the reliance factor, the third factor the physical phase factor, the fourth factor the human resources factor. With the result of looking into the difference of the consumers`` population and economical featur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the sex and car displacement in the area of the problem solving factor and regarding only the drive career in the area of the reliance factor.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the sex in the area of the human resources factor and regarding the sex, drive career in the area of the physical phase factor. And with the result of looking into the satisfaction gap between the car repair service offerers and consumers, in all the factors of the problem solving, reliance, human resources, physical phase, there appeared the significant result that consumers showed low satisfaction compared with service offerers. This result shows that because the consumer``s bodily safety and high-priced car services are charged, they are consumers`` concerns, thus consumers`` satisfaction degree becomes lower than that of the offerers. For that reason, car service price standardization, maintenance standardization, and guide line should be prepared, constant education and capacity reinforcement are required. And car repair offerer will be more concern about car repair service and service satisfaction by consumer, because consumer is different concern on car repair service by consumer literacy.

      • KCI등재

        카셰어링 서비스가 교통수요와 택시에 미치는 영향

        박준식,박지홍 한국교통연구원 2015 交通硏究 Vol.22 No.2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car-sharing service on transportation systems using user survey data, car-sharing data, and taxi data. Car-sharing increases travel demand because 70% of car-sharing members without cars use the service. However car-sharing service can increase the mobility of users without cars, so the increased travel demand created by them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impact of using a car-sharing service. Additionally, car-sharing service was found to affect travel demand with little investment. The market of taxi and car-sharing service is divided by travel distance, travel time and charges, with little overlap. Typically, people use taxis when their trip is less than 20 km, 40 minutes, and 20 thousand won, and use car-sharing service when their trips are longer and more expensive. If travel time is less than one hour, and business process time is less than 3 hours, then taxi and car-sharing service may be chosen on a case-by-case basis. Such a situation was observed to be insignificant at roughly 270 cases. Moreover if the charges of the car-sharing service are over 5,400 won for 30 minutes, then that situation may not happen. According to this study, public investment or support in car-sharing service is feasible, and the impact of car-sharing service on taxi is determined to be very small. Therefore, car-sharing service can be a good solution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portation systems and user convenience without disturbing the existing transportation system and industry. 본 연구에서는 카셰어링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설문조사와 카셰어링 이용 현황, 택시 이용 현황 자료 등을 종합하여 카셰어링 서비스가 교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카셰어링 서비스 이용자의 70%가 차량 미보유자이기 때문에 카셰어링으로 인해 승용차 통행량은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카셰어링 서비스가 차량 미보유자들의 이동성을 크게 향상시키기 때문에 이동성 향상 효과를 분리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카셰어링 서비스는 적은 투입으로 통행량 감소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된다. 대중교통 통행량은 전체적으로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택시와 카셰어링은 통행거리, 통행시간, 이용요금에 있어서 시장이 분할되어 있어 중복되는 수요는 매우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반적으로 택시는 통행거리 20㎞ 이내, 통행시간 40분 이내, 이용요금 2만 원 이내의 통행이 대부분이고, 카셰어링은 그 이상이 대부분이다. 이동시간이 1시간 이내이고, 업무처리시간이 3시간 이내이면 업무처리시간과 이동시간 및 거리에 따라 택시와 카셰어링이 상대적 비교 우위인 상황이 나타나는데, 그러한 상황도 건수로는 1일 270건 정도로 매우 적으며, 카셰어링 요금이 5,400원/30분 이상이면 그러한 상황도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카셰어링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해서 교통 시스템 차원에서 공공이 투자하거나 지원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카셰어링 서비스로 인해 택시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적을 것으로 판단되므로 카셰어링 서비스의 확장이 기존 교통 시스템 및 업계의 질서를 교란시키지 않고 교통 시스템의 효율성과 이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 KCI등재

        카셰어링 서비스의 수요추정 및 도입효과 분석

        박준식,문지혜 한국교통연구원 2013 交通硏究 Vol.20 No.2

        This study estimated the travel demand of car sharing service and analyzed the impact of the service to elevate the understanding of car sharing service on the viewpoint of transportation system. User survey data were used to estimate the travel demand of car sharing service and analysis on the impact of car sharing service introduction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estimated travel demand. Travel cost is expected to decrease only when users of car sharing service sell their own cars. In this case, travel cost saving increases as price for a car is high, and it decreases as the users' travel distance gets long. In case that car sharing users sell their own cars, it is expected that the number of travels are lessened due to with reduced unnecessary travels. Therefore, the reduction of the travel resulted in small. If the service users sell their own cars or hold off buying a new car, the number of car registered will be decreased. Car sharing service using small cars or electric vehicles can mitigate energy consumption and greenhouse gas emission. The increase of the traveler's mobility should be important consideration because car sharing service can make users travel that was impossible or very difficult to do using public transportation. 이 연구는 교통시스템 측면에서 카셰어링 서비스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해 카셰어링 서비스의 이용수요와 통행량을 추정하고 도입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용자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별 카셰어링 서비스의 잠재 이용수요와 이용 통행량을 추정하였고, 추정된 이용수요와 통행량을 활용하여 통행비용 감소효과, 통행량 감소효과, 차량 보유 감소효과 등의 도입효과를 분석하였다. 기존에 보유한 차량을 매각하고 카셰어링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에만 통행비용 감소효과가 발생하는데, 차량 구입비용이 클 경우 통행비용 감소효과는 증가하고 평균 통행거리가 길수록 통행비용 감소는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카셰어링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개인 승용차를 이용할 경우에 비해 불필요한 통행이 줄어들기 때문에 통행량이 약간 감소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데, 이는 기존에 보유한 차량을 매각한 경우에만 해당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통행량 감소효과는 그다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유 차량을 매각하거나 신규 차량 구입을 보류함에 따라 차량 보유대수를 감소시키는 효과도 나타나는데, 6만 8천 대 정도의 카셰어링 차량을 운영할 경우 80만 대 정도의 보유 차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친환경차량과 소형차량을 사용함으로써 에너지 소비량 및 온실가스 배출량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에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던 사람들은 카셰어링 서비스를 통해 기존에 불가능하던 통행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이용자의 이동성 향상 효과도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 KCI등재

        P2P(개인간) 차량공유 서비스 잠재 소비자 특성 및 이용의사 영향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선우상기(Danny Sunwoo),임미자(Im, Meeja) 한국소비문화학회 2021 소비문화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P2P(Peer to Peer) 차량공유 글로벌 시장 트렌드 및 현황과 P2P 차량공유가 기존 B2C(Business to Consumer) 차량공유 대비 가지는 강점을 비교 제시하였다. P2P 차량공유에 대한 최근의 국내 소비자들의 인식과 태도, P2P 차량공유 국내 도입 시의 이용의사, 그리고 P2P 차량공유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이용의사에 대한 영향 요인은 소비자의 인구통계적 특성 외에 심리적 특성, 기존 공유서비스 이용 경험 여부 및 만족도 측면으로 나누어 새롭게 조명하였으며, 이들 요인들 간 영향력의 크기를 비교, 제시하였다. 나아가 P2P 차량공유에 대한 호감/비호감의 이유를 분석하여 관리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기존의 공유서비스 관련 선행 연구의 폭을 확장하였을 뿐 아니라 관련 정책 입안자들에게는 국내 P2P 시장을 준비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Korean consumer perception and attitude on P2P (Peer-to-Peer) car sharing. It particularly looks at the impact of the experience in existing sharing services, including their satisfaction level, on P2P car sharing, and reasons for preferring and not preferring the service. The result shows that Korean consumers have a slightly higher level of preference for P2P car sharing, and a moderate level of intention to use the service. Also, the intention level of using the service is higher as a renter than as a lender. This study discovered reasons for liking and disliking the P2P car-sharing service. The renters, who intend to exploit the service to use the cars, like the service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ience and economic benefits. But they also show a high rate of concerns regarding trust in the service. The lenders, who register their cars to lend out, like the service because they can make profits out of the time that they don t use the car, or through the cars that they no longer use. But they also express some concerns in terms of psychological insecurity that they would have to lend their cars to strangers and also expect it would be difficult to deal with the accidents. Experience with existing sharing services increased familiarity with the concept of sharing services, which led to a higher preference level for P2P car-sharing services. However, the experience itself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ntion level of actually use the service, but only when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experiences. Many studies show mixed conclusions on the P2P car-sharing market and its level of maturity, and the difference in intention to use the service based on demographic and nation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found that the recent Korean consumers have no significant demographic difference in their willingness to use the service. However, the group with higher eco-friendly and innovative characteristics showed a higher intention level to use the service than the group without. And also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xtent of impact by factor showed that the degree of impact of past sharing-service satisfaction and consumers innovative tendency was greater than that of other factors. The theoretical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expanded the scope of prior research by analyzing the recent perception of P2P vehicle sharing by domestic consumers. The P2P vehicle sharing model is still unfamiliar to South Korean consumers. B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country, the culture of sharing personal resources in Korea should also be considered, and sufficient publicity is needed to be taken naturally by consumers. After the coronavirus, people s need and perception of ‘green’ is increasingly emphasized. Car sharing is an indispensable topic of the eco-friendly movement. Automotive and mobility-related companies need to ful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ket and the consumers before introducing a new type of business. In addition,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presented consumers concerns about P2P vehicle sharing and anticipated obstacles, which will be a guide to the development of future strategic directions for the relevant business.

      • KCI등재

        카쉐어링 서비스 종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비스품질 만족도, 서비스상품 만족도, 서비스체험 만족도를 중심으로

        김민정,이형재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19 서비스연구 Vol.9 No.3

        With recent dispersion of sharing economy, consumption culture of sharing, instead of ownership, gets wide spread in the age groups of 20-30. Even though the market of car sharing expands rapidly,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in the area of service quality and consumer behavior regarding car sharing services. Given that future market potential gets larger, it seems highly meaningful to conduct research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ir usage behavior regarding car sharing services.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main factors affecting overall customer satisfaction on car sharing services; satisfaction on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on service product, and satisfaction on service experience. Each dimension of the three factors is also analyzed to see if there is any differences between major three brands. Further analysis has been done for checking any effects of gender and usage purpose of customers on the overall customer satisfaction. Key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all the three main factors have significant effect on overall customer satisfaction. Each dimension of service quality has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on service quality. Dimensions of parking lot accessability and vehicle maintenance in service product evaluation, have greater effect on satisfaction on service product. In service experience, positive affect have greater effect than negative affect on satisfaction on service experience. Women users perceive larger overall customer satisfaction on car sharing services than men users. On the types of usage purpose, Users with purpose of tour and dating/meeing friends perceive larger overall customer satisfaction on car sharing services than user without it. Further managerial implications of car sharing services are also provided 최근 공유 경제 문화의 확산으로 소비자의 소비문화가 소유가 아닌 공유로 변화하면서 2030세대를 중심으로 공유 문화가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차량공유경제시장은 급속도로 성장하는 반면 현재까지 카쉐어링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행동과 관련된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았다. 앞으로의 시장성장 가능성을 본다면 카쉐어링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품질과 소비자의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는 그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공유경제(sharing economy)부문의 대표 업태인 카쉐어링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서비스평가에 관한 연구로 서비스품질 만족도, 서비스상품 만족도, 서비스체험 만족도의 세 부문을 가지고 종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각 부문의 차원이 서비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카쉐어링 브랜드별로 살펴보고 추가로 이용자의 성별과 이용목적을 구분하여 종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서비스품질만족도, 서비스상품만족도, 서비스체험 만족도가 종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고, 서비스품질 만족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품질 차원은 모든 차원에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상품의 차원 중 차고지 접근성 및 차량정비가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서비스체험의 차원 중 긍정감정이 부정감정보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 성별에 따른 종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는 여성이 높게 나타났고 이용목적의 유형 중 여행, 데이트 및 친구만남의 목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때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카쉐어링 서비스의 관리적 함의를 제시한다.

      • KCI등재

        차량공유사업(Car-Sharing Business)과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제81조 -공유경제와 소비자보호의 관점에서

        진도왕 ( Jin Do Wang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홍익법학 Vol.17 No.4

        이 글에서는 여객자동차법 제81조의 경제학적 분석을 통해 택시운송사업과의 관계에서 차량공유사업이 가지는 존속의 정당성을 논의하였다. 동법 제81조는 자가용자동차의 유상 운송을 금지함으로써 택시운송서비스 시장에서 진입장벽의 기능을 한다. 이러한 규제는 전통적 규제관에 따른 것으로서 일차적으로는 택시운송사업의 보호를 위한 것이고 더 나아가 택시서비스의 소비자 이익을 증대시키는 것에 있다. 그러나 이론적·실질적으로 동법이 항상 위와 같은 목적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작동되지는 않는다. 또한 전통적 규제관이 공유경제라는 새로운 경제질서에서도 여전히 유효한가에 대해서는 의문이 남는다. 소유와 경쟁중심의 경제질서 위에서 구축된 전통적 규제방식은 사용과 협력 중심의 공유경제 하에서는 약간의 조정과 수정이 필요할 수도 있다. 규제의 목적을 소비자보호에 맞추었을 때, 기존의 규제법이 차량공유사업을 적절히 규율하여 소비자이익 증대에도 기여하는 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그러나 택시운송사업 시장은 여객자동차법 등의 국가규제를 통해 인위적인 독점화가 이루어졌으나, 그러한 시장구조는 이론적으로든 실제적으로든 애초 그것이 기대했던 소비자 보호에 부합하는 방식으로만 작동되지 않는다. 그렇다고 하여 현재 택시운송사업 시장의 독점구조를 완전히 폐기하고 전면적 경쟁을 도입하는 것도 소비자 이익을 증대시키는 방안이라 보기 힘들다. 애초 택시운송사업 시장을 독점화로 이끌어 낸 이유는 그 시장에서의 경쟁시스템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하였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현재의 독점 체계를 유지하면서도 어느 정도의 경쟁시스템을 적절히 안분하는 방식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즉, “잠재적 경쟁” 상황을 설정하기 위해 차량공유사업을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This paper demonstrates justification for the acceptance of Car-Sharing Business through the economic approaches to the Passenger Transport Service Act(hereinafter “PTSA”) Art. 81. This provision functions to keep entry barriers high and prevent competition in taxi-service markets by banning on commercial transport by private cars. Based on traditional regulatory view, those regulation systems have been designed to protect consumer interests as well as taxi-service providers. But, it turns out not to be workable in the manner of corresponding with those regulatory purposes. Moreover, it is doubtful whether the traditional regulation may be harmonized with a new economics paradigm, which is called Sharing Economy. Based on ownership and free competition, traditional regulations may need to be reformed under sharing economy, which places emphasis on use and cooperation. For this, it is necessary to look at whether the PTSA properly works to regulate taxi-service businesses and car-sharing service businesses and to promote consumer interests. Although the market for taxi-services has been monopolized through government regulations like the PTSA in order to promote consumer interests, we hesitate to conclude that those regulations have been working as planned either theoretically or practically. Nevertheless, it is not acceptable to transform the current taxi-services market into competitive markets because there is a destructive competition, which would decrease efficiency and consumer protections. Thus, it is necessary to accept the car-sharing business for setting up “potential competition,” which just threatens the monopolist taxi-service providers by potential competition from new entrants like the car-sharing service providers in the marketplace. This enables the taxi-service providers to distribute qualified services to the market in a socially and economically efficient manner and consumers to enjoy the car-sharing services.

      • KCI등재

        차량공유 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가치와 이용의향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나눔카 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박건철,송인국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9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iver both market-practical and civil-centric political implication for sharing economy by investigating the nature of consumer-adoption for car-sharing service. With the global interest and market proliferation of the sharing economy, various service models for sharing idle resources have also been released in Korea. Particularly, in case of car sharing service, public - private partnership projects are spreading rapidly in various local governments including Seoul, along with the growing demand for alternative transportation system centering on the urban area.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on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car sharing service by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from users of the car sharing service "Sharing Car(Nanum Car)“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 survey was conducted on 281 users in their twenties who are in the age of main use among the experienced users of the ”Sharing Car(NaNum)“ residing in Seoul.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users' perceived value and intention to use the vehicle sharing service would provide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consumer(citizen)–centeric policies as well as market implic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차량공유(Car sharing)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서비스 수용과정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공유경제의 사회적 확산과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공유경제 정책수립의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공유경제의 세계적 관심과 확산 속에 국내에서도유무형의 유휴자원을 공유하는 다양한 서비스 모델들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차량공유서비스의 경우 도심을 중심으로 한 대안적 교통체계에 대한 높은 수요와 더불어 서울을 포함한 여러 지자체에서 민-관협력 사업이 추진되며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서울시가 “공유도시 서울”정책의 일환으로 지난 2013년부터 추진 중인 차량공유 서비스 ‘나눔카’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차량공유서비스 수용과정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향후 서비스 개선 및 확산에 대한 산업적 시사점 뿐 아니라, 수요자 중심 정책 수립을 위한시사점을 탐구하고자 한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나눔카 이용경험자들 중 주이용 연령대인 20대 이용자 281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들 이용자가 차량공유서비스에 대해 인지하는 가치와 이용의향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차량공유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비용’적 측면과 ‘효용’적 측면 모두 차량공유서비스에 대해 소비자가 지각하는 가치 형성에 유의미한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울러 이런 선행 요인들은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를 매개로 서비스 이용결정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차량공유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지각된 가치를 형성하는데 있어, 서비스 사용과정에서의 기술적 사용 용이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됨에 따라 사용자 중심의 직관적 UI와 전통적 렌탈서비스와는 차별화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 전략이 서비스 성공을 위한 중요한 전략이라고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차량공유서비스 뿐아니라 전반적인 공유경제 모델이 사회로 확산되고 활성화 되는데 수요자 관점의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전기차보급 및 활성화정책, 전기차이용 소비자의 불만, 전기차 표준화의 방향에 대한 논의

        허경옥,이신애,이재학,이상봉,한승수 표준인증안전학회 2018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8 No.1

        This study have disputed about electric car supply status and policy, customer complaints on using electric car and problems, standard present condition and standardization of electric car in Korea. The results are followings. First, supply electric car on Jeju Island is very low level compare to major foreign countries, so change in policy is really important issue. Second, customer complaints related electric car are subsidy of buying electric car and many changing of subsidy of buying electric car, lack of charging station, fee of charging, complain on charging service, a/s of electric car, battery of car and quality-related problems. Third, the important thing in standard of electric car is consumer viewpoint of standard, which mean consumer oriented service on electric car service standard is very important. Government need to have standardization on electric car such as complicated charging fee, many changes on electric car related policy, service standard to improve consumer complaints, IT and electric car graft service, electric rent car service, and charging station and charging service.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전기차 보급현황 및 관련 정책, 전기차 이용 소비자의 불만 및 소비자문제, 국내 전기차 관련 표준현황, 향후 전기차 관련 표준화 방향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도의 전기차 보급은 해외 주요 국가에 비해 매우 저조한 수준으로 향후 전기자동차 관련 정책의 변화가 시급하다. 둘째, 전기차 관련 주요 소비자불만은 전기차 구매 보조금 액수 및 보조금 지급 정책의 변화 관련 불만, 충전소 부족, 충전요금, 충전 서비스 관련 불만, 전기차 고장시 AS서비스 부제 문제, 베터리 및 전기차 품질 관련 문제 등이다. 셋째, 전기차 표준에서 중요한 것은 소비자 관점의 표준, 즉 전기차 서비스 표준의 소비자지향성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복잡한 충전요금, 수시로 변화하며 일관성 없는 정부 여러 기관의 전기차 활성화 정책, 소비자불만을 개선할 수 있는 서비스 표준화, IT와 전기차 접목서비스, 전기렌터카 서비스, 충전소 및 충전서비스 분야의 표준화 작업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사용자 중심의 카쉐어링 활성화 서비스 디자인

        박수지(Park, Su Zi),김승인(Kim, Seung I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3

        개인 승용차 이용의 보편화와 보급률 증가는 대도시의 교통 혼잡과 대기 오염과 같은 사회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특히 인구 밀도가 매우 높은 서울의 경우 다른 어떤 곳 보다 이 같은 문제를 심각하게 겪고 있으며, 이에 서울시는 교통량을 줄이고 환경 개선을 위해 2013년 카쉐어링(car-sharing) 서비스 ‘나눔카’를 도입하였다. ‘이용이 쉬운 단기 자동차 렌터카’를 뜻하는 카쉐어링은 교통량 감소 및 대기 환경 개선과 자동차 소유 감소 등의 효과가 있으며, 현재 ‘나눔카’는 정착 단계를 지나 사용자가 점차 증가하고 있어 앞으로는 이용이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본 연구에서는 ‘나눔카’ 사용자들의 경험과 서비스 환경을 분석을 통해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차장이 역세권과 상업지구에 편중해 있어 ‘생활밀착형’과 ‘레저형’ 유형의 사용자들의 접근성이 좋지 않음을 확인하였고, 연구 결과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규모 주거지역의 중심의 서비스 지역 확산을 통한 접근성 향상을 제안하였다. Increased use of personal cars in the massed population make a great social challenges such as traffic congestion and air pollution. Car-sharing is one of them can be solved the traffic issue and the environmental problems by reducing the ownership and use of cars. Many people are already using the car-sharing services in the overseas. And latest the usability of the service has become very convenient through the smartphone and wireless technology. February 2013, the "Nanum Car" that is a car-sharing service in Seoul was launched in order to solve the social issues. In this study, the first case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the "Nanum Car" in Seoul. Then, we analyze the needs of the users and conduct a service design to provide a better user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contribute to spread the car-sharing service and improve the urban traffic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