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칼 바르트(Karl Barth) 신학에 있어서의 교회와 국가

        김명용 장로회신학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2009 장신논단 Vol.0 No.35

        Karl Barth's understanding about the church and the state changes rapidly in his life. In the Roemerbrief(1922) the state has no relation to the kingdom of God, because God has no earthly tool in the world. The church also is not an agent of God's worldly action. The kingdom of God exists in the heaven, not on the earth. There is no analogy of the kingdom of God on the earth. In the period of Barmer theologische Erklaerung(1934) Barth thinks that there are three modes of God's Word. Jesus Christ, the Bible, and the church are these three modes. According to Barth in this period the church is the worldly tool which God uses. But in the world outside the church there is no holy tool which God uses. The state has no positive meaning in relation to the kingdom of God. In the Christengemeinde und Buergergemeinde(1946) we can find an important development in the understanding of Karl Barth about the church and the state. According to Barth we must try to make analogies of the kingdom of God in the state. Barth begins to understand the state in the light of the kingdom of God. The Lord of the church is the Lord of the world. Jesus Christ rules not only in the church but also in the state. The light of the kingdom of God must appear in the world. It must appear in the political area. Although Barth apposed any analogy of the kingdom of God in the political area because of Adolf Hitler in the period of Barmer theologische Erklaerung, he tries in this new period to build a theology which says worldly analogies of the kingdom of God. According to Barth the capital punishment must no longer exist, because Jesus Christ died for the sinner. The light of the death of Jesus Christ must appear in the state system of punishment. The state is not an agent of God's judgement. It must be an agent of God's grace. It is a total new idea of Barth to understand the state in the light of God's grace. According to Barth the analogies of the gospel must be established in the state. Must we kill Adolf Hitler? According to Barth we must kill him. It is an exception. It is an urgent case. In the urgent situation like Adolf Hitler God orders us to kill him. It is God's command. But in the normal situation killing must be forbidden. The capital punishment also must be forbidden. According to the christian tradition like J. Calvin and M. Luther the state uses coercive power to establish justice and peace in the world. But according to Barth the use of coercive power must be limited in the urgent situation. The state exists to help the people. The light of the gospel must be shone in the state. Is there any right war in the world? Yes, only in the urgent situation like Adolf Hitler. Jesus Christ on the cross teaches us that the real path to peace is love. Power against power is not the path to peace. The spirit of Jesus Christ must rule over the world to establish peace. The coercive power is not the path to peace. According to Barth in the situation of nuclear war there is no right war because it means total destruction. It is nonsense to insist that we must defend our nation with nuclear weapons.

      • KCI등재

        바르트의 신학방법론에 대한 비평적 고찰: 안셈 시프트(Anselmic Shift)를 중심으로

        김용준 ( Yong Jun Kim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2 성경과신학 Vol.62 No.-

        칼 바르트(Karl Barth)는 근대 신학과 현대신학을 구분하는 매우 중요한 신학자이다. 몰트만(Jurgen Moltmann), 융엘(Eberhard Jungel), 판넨베르크(Wolfhard Pannenberg) 같은 현대 신학자들조차 바르트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다. 그러므로 현대신학에서 바르트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대신학을 이해하기 위해서 바르트를 연구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그의 신학은 너무 넓어서이 논문에서 완전히 다룰 수 없다. 그래서 필자는 그의 신학 방법, 특별히안셈 시프트(Anselmic Shift)에 초점을 맞춘다. 칼 바르트의 안셈연구인 지성을 추구하는 신앙 은 바르트 사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의 사상의 발전의 과정에서 이 책은 그에 특별한 의미를 제공해 준다. 그러나 바르트의 신학 발전에 대한 이해하는 두 가지 관점이 있다. 하나는 ``변증법으로부터 유비``에로 바르트가 전환하였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그러한 변화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가톨릭 신학자 폰 발타잘(Von Balthasar)은 바르트의 사상이 ``변증법으로부터 유비에로`` 변화되었다고 지적한다. 그리고 바르트의 우파인 융엘은 폰 발타잘에 동의한다. 그러나 안셈 시프트에 반대하여, 젠슨(R. Jenson)은 바르트가 ``변증법으로부터 유비에로``의 전환을 가지지 않는다고 확언한다. 부르스 맥코맥(Bruce McCormack)은 그의 책에서 폰 발타잘에 대한 그의 비평을 보여준다. 비록안셈 연구를 통해서 바르트가 사상에서 새로운 출발점에로 인도되었다는 사실이 바르트의 발전에 대한 문헌에서 일반적이지만 그러나 그것은 잘못되었다고 지적한다. 결론적으로 바르트의 사상에서 변증법에서 유비로의 전환은 존재하지 않는다. 바르트의 안셈 책에 대한 연구는 자연신학에 대한 그의 거부에 초점을 맞춘다. 그러므로 그의 안셈 연구는 그의 사상에서 새로운 출발점에 대한 것이 아니고, 자연신학에 반대하는 유용한 도구에 대한 것이었다. Karl Barth is a very important theologian who distinguishes between modern theology and contemporary theology. Even contemporary theologians such as Moltmann, Jungel and Pannenberg were in the major influence of Karl Barth. Therefore, Barth takes an important place in contemporary theology. To understand contemporary theology it is essential to study Karl Barth, However, his theology is too wide to treat completely in this paper, So I will focus on the his theological Method, especially, on the Anselmic Shift. Karl Barth`s study of Anselm Fides Quaerens Intellectum takes a very important role in his Thought.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his thought, this book gives him very special meaning. However, there are two aspects to understand in Barth`s development of his own theology. One is that Barth shifted from ``dialectics to Analogy``; the other is that there is no great revolution. A Catholic theologian, Von Balthasar points out that Barth`s thought was changed ``from Dialectics to Analogy``. And Barth`s right side, Eberhard Jungel agrees with Von Balthasar. By contrast to this view to an Anselmic shift, Jenson affirms that Barth has no such a shift "from dialectics to analogy." Bruce McCormack presents his criticism on Von Balthasar in his book Karl Barth`s Critically realistic Dialectical theology: Its Genesis and development (1909-1936). McCormack argues that although it is a commonplace in the literature on Barth`s development that through his study of Anselm, Barth was led to a new starting point in thought, it is quite wrong. In conclusion, there has been no shift from ``dialectics to analogy``. Barth`s study on the Anselm`s book focuses on his rejection of natural theology. Therefore his Anselm study is not about new starting point in his thought, but a useful tool against natural theology.

      • KCI등재후보

        바르트의 계시관에 대한 개혁 신학적 비판

        김용준(Kim Yong Jun) 개혁신학회 2014 개혁논총 Vol.31 No.-

        바르트의 계시관은 개혁 신학과 다르다. 그의 계시 개념이 전통신학으로부터 온 것이 아니라, 그의 선배들로부터 온 것이다. 이러한 관점으로 인해 바르트의 계시에 대한 세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첫째, 일반계시의 측면에서 그는 포이에르바흐에 대한 이해로부터 근거한다. 이는 두 가지 측면으로 나타나는데, 하나는 포이에르바흐의 철학에 대해 고려하면서 그는 인간론적인 이해로의 전환에 대해 비판한다. 반면 포이에르마흐에 대해 찬성하는 것은 포이에르바흐의 기독교에 계시에 대한 비판 즉 전통 유신론에 대한 비판을 수용한다는 것이다. 이는 바르트의 사고 속에서 철저하게 자연신학을 거부하는 이유와 더불어서 왜 인간 예수에 집중해 있는지를 보여준다. 그는 인간의 가능성을 배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인간 예수를 계시로 설정하고 있다. 둘째, 특별계시의 입장에서 바르트는 계시를 말씀하시는 하나님의 인격에서 찾는다. 이는 먼저'만남',' 행동', 그리고'인격'으로 이어지는 바르트의 계시관 이해에 근거한 것이다. 이러한 계시관은 슐라이에르마허와 리츨의 신학에 근거한 것이다. 계시를 인격이라고 말하는 것은 객관적인 계시 즉 명제적 계시를 부정하고, 오직 주관적이고 상대적인 면에서 실존적 계시의 입장만을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마지막으로 칼 바르트는 계시를 가장 중점적으로 삼위일체와 연관시킨다. 그러나 바르트의 이해는 헤겔의 이해와 맞물려 있다. 헤겔의 화해와 외화의 이해를 차용하여서 세상과 하나님을 하나로 이해하려는 시도를 바르트는 받아들인다. 그래서 인간 예수를 통해 나타나는 신적 계시에 대한 이해를 반영한다. 이는 바르트의 계시가 삼위일체론과 연관되어 있지 않고 도리어 인간 예수에 근거한 헤겔의 철학에 있다는 것을 정확하게 보여준다. 바르트의 삼위일체교리는 궁극적으로 인간 예수에 대한 이야기 일 뿐이다. 따라서 바르트의 삼위일체뿐만 아니라, 삼위일체 근거한 계시 이해 역시 문제가 된다. 결론적으로 정통신학에 계시는 하나님의 뜻을 전달하는 것이다. 그리고 계시는 두가지 즉 일반계시와 특별계시로 구성된다. 우선, 바르트에 반대해서 자연계시는 인간의 가능성을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지으신 자연 계시에 대한 유익을 설명하려고 한 것이다. 그러나 바르트는 일반계시를 거부하였다. 둘째, 계시는 언제나 명제적임에도 불구하고 바르트는 이를 실존주의의 개념으로 변형 시켰다. 셋째, 바르트는 삼위일체에 근거한 계시를 이야기 하고 있지만 실상은 헤겔에 의존하여'인간 예수'에 근거한 일치와 화해를 이야기하고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바르트의 계시는 개혁주의 신학의 개념과 다르다. Barth's concept 'Revelation' differs from Reformed theology. His concept of 'revelation' does not derive from the orthodoxy theology, but from his predecessors. Because of this aspect, three problems occur in Barth's revelation. 1) In the aspect of general revelation, He depends on the concept of Feuerbach. This dependence occurs in the two aspects. Firstly, Karl Barth criticizes Feuerbach's change toward anthropological understanding of God by concerning his philosophy. Secondly, Barth accepts that Feuerbach criticizes the traditional christian revelation, that is, traditional theism. It shows the reason why Barth totally rejects the natural theology and he focuses on human Jesus. Therefore, although he rejects the possibility of human being in revelation, Barth still holds that human Jesus only is revelation. 2) In the aspect of special revelation, Barth looks for the revelation in the phrase 'Dei loguentis persona'. It closely related with Barth's concept of revelation as 'Encounter,' 'Act,' and 'Person.' This understanding depends on the theology of F. D. E Schleiermacher and Albrecht Ritschl. To say revelation as person denies the objective revelation, that is, prepositional revelation. And it only reflects on the aspect of the philosophy of existence(existential concept) of revelation related to subjectivism and relativism 3) Finally, Karl Barth in priority relates the concept revelation to the doctrine of the Trinity. However, Barth's understanding is closely connected with that of Hegel. Karl Barth accept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unity between world and God by borrowing Hegel's reconciliation and becoming. It clearly demonstrates that Barth's revelation does not relate to the Orthodoxy or Reformed doctrine of the Trinity, but to the Hegel's philosophy on the basis of human Jesus. In conclusion, the revelation in reformed theology implies the delivery of God's will to human being. In this meaning, revelation consists of two, that is, natural revelation and special revelation. Firstly, in contrast to the theology of Karl Barth, natural revelation does not mean the possibility of human being, but the benefit through the nature created by God as semen religionis(we have to accept its shortness for salvation). But Karl Barth rejects general revelation. And secondly, in spite of propositional character of special revelation, Barth changes it into the understanding of existentialism. And thirdly, although Barth mentions the revelation based on the doctrine of the Trinity, in fact, he just says the unity and reconciliation on the basis of human Jesus according to Hegel. Therefore, Barth's concept of revelation differs from that of Reformed theology.

      • KCI등재후보

        루이스 벌코프의 칼 바르트 신학에 대한 평가

        이상웅 ( Sang Ung Lee ) 개혁신학회 2013 개혁논총 Vol.25 No.-

        칼 바르트는 20세기의 신학자들 가운데 가장 유명한 신학자이다. 그의 신학 에 대해서 찬동하는 자들이나 비평적인 자들도 그의 신학을 무시하거나 간과 할수는 없다. 바르게 이해하고 비평해야 할 과제를 피할수는 없는 일이다. 본 고는 바르트의 신학에 대해 최초의 반응들을 보였던 신학자들 중 하나인 루이스 벌코프의 바르트 평가를 살펴보려고 하였다. 벌코프는 화란 출신의 미국 개 혁신학자였으며, 바르트와 당시대인이었다. 벌코프는 1932년에 자신의 조직 신학 체계를 완성했지만 새롭게 부상하는 바르트 신학에 대해서 주의를 기울 이고 신학적인 평가를 내리는 작업을 수행했다. 본고는 벌코프의 주저인『조직 신학서론』과『조직신학』속에서 드러나는 벌코프의 바르트 평가를 논구해 보 았다. 벌코프가 대면해야 했던 바르트는 초기 바르트였다. 벌코프는 바르트의『로마서강해』나『교회교의학』I/1을 비롯하여 몇 권의 저술들과 영어로 간행된 몇 권의 연구서들을 바탕으로 초기 바르트에 대한 평가 작업을 수행했다. 초기의 바르트는 자유주의에 대한 반동으로 초월주의적인 계시관을 강조하던 시기였으며, 실존주의적인 성경관을 주장하던 시기였다. 벌코프는 이러한 계시관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논구하고 비평하였다. 때로는 바르트가 역사적 개혁주의 와 일치하는 면들도 긍정했으나(예수 그리스도의 동정녀 탄생이나 역사적 부 활에 대한 긍정 등), 바르트의 신학적인 문제점 등을 분명하게 드러내고 비평 하였다. 벌코프가 보기에 바르트는 성경관이나 예정론 등에 있어서 비개혁주 의적이었다는 것을 분명했다. 그래서 벌코프는 바르트가 공식적으로는 개혁주의적이라고 하나 실제적으로는 그 개혁주의적 성격이 의심스럽다는 평가를 내리기도 하였다. 이처럼 벌코프의 바르트 평가는 1930년대에 제한되었으면서도 성실한 연구 에 바탕한 공정한 평가였음을 우리 후학들은 인정해야 할 것이다. 바르트에 대 한 포괄적인 평가작업은 그의 제자들인 클루스터나 후크마 그리고 C. 밴틸 등 과 같은 후학들이 성취하였다. 그리고 21세기에 살아가는 우리들로서는 바르 트의 저작 전집과 수 많은 연구서들을 참고로 하여 더욱더 포괄적이고 공정한 평가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었으므로, 바르트 신학의 공과를 역사적 개혁주의의 관점에서 바르게 평가하는 작업을 계속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Karl Barth was one of the best-known theologians of the 20th century. Whether we are sympathetic or critical about his theology, we just cannot ignore or overlook his theology and consider it irrelative. This paper tries to examine Louis Berkhof`s (1873-1957) response to and evaluation on Barth`s theology. Berkhof was the first Reformed theologian to evaluate Barth`s theology. Berkhof was an American Reformed theologian from Netherlands, and was contemporary with Barth. Though the theological system of Berkhof took it`s shape already in the 1930s, still he paid attention to Barth`s theology which was taking its shape, and evaluated Barth`s theology from the viewpoint of the historic Reformed Theology. In this article, I discussed exhaustively how Berkhof evaluated Barth`s theology in his magnum opus, i.e. Introduction to Systematic Theology and Systematic Theology. It should be noted that Berkhof could confront only the earlier part of the theology of Barth. So, Berkhof`s criticism on Barth`s theology was limited to only a few books of Barth, such as the Epistle to the Romans, the Church Dogmatics I/1 and the books written by other scholars. Berkhof observed that Karl Barth emphasized the transcendental revelation as a reaction to the liberal theology and presented his existential views on the Holy Scripture. Berkhof was highly interested in these views but criticized them carefully. Berkhof positively recognized those assertions of Barth`s early theology that followed the Historical Reformed theological line (such as, the Virgin birth of Jesus Christ and the historical fact of His resurrection) but fairly criticized the controversial points of Barth`s theology. He criticized Barth`s views on the Holy Scripture and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and labeled them as non- Reformed. Under such situation, Berkhof stated: “Mention may also be made of the Barthian theology, though its Reformed character is of a rather dubious nature.”Though his evaluation was limited to Barth`s early theology of the 1930s, we should recognize that he criticized Karl Barth`s theology with fairness, which was based on sincere research work. It is also observed that the critical work on Barth`s theology that was initiated by Berkhof was carried on comprehensively by his followers (such as, Fred H. Klooster and A. Hoekema) and C. van Til. And we, who are living in the 21st century, can do more comprehensive and critical studies on Barth`s theology than the former generations as we have access to Barth`s all books and numerous other books written on his theology. Taking the advantage of our better situation, we need to continue the work of evaluating Barth`s theology with fairness from the viewpoint of Historic Reformed Theology.

      • KCI등재

        바르트 신학에 대한 자유주의 신학적 해석 ― 렌토르프를 중심으로

        이용주 ( Lee Yong Joo ) 한국조직신학회 2018 한국조직신학논총 Vol.52 No.-

        바르트 연구 동향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정리된다. 교의학적 해석, 사회주의적 해석 그리고 자유주의 신학적 해석이 그것이다. 한국의 바르트 연구 경향은 대체로 교의학적-정통주의적 해석을 따르고 있으며, 사회주의적 해석도 일부 소개되고 있다. 반면 자유주의 신학적 해석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본고는 ‘뮌헨-해석’으로도 불리는 자유주의 신학적 해석의 대표자인 렌토르프의 바르트 연구를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렌토르프는 바르트가 자유주의 신학으로부터 철저히 단절하고 극복하였다는 일반적인 관점에 반하여 바르트는 근대의 핵심 사상인 자율성이라는 개념을 매개로 자유주의 신학을 비판적으로 계승한다는 테제를 제시한다. 전적 타자, 그리스도 중심주의, 교회의 기능으로서의 신학 같은 바르트 신학을 특징짓는 고유한 개념들은 실제로는 자유주의 신학이 지니는 자율성에 대한 관심을 적용한 것이며, 바르트는 하나님의 자율성이라는 신학적 개념을 매개로 자율적 인간의 행위를 근거 짓고자 한 것이라는 것이 그 주된 핵심 내용이다. 이 과정에서 바르트는 제믈러, 트뢸치 등의 계몽주의 이후 근대 신학의 주요 관심사를 수용하고 있으며, 따라서 자유주의 신학과의 표면적인 대립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자유주의 신학과의 연속성 속에 있다. 이러한 바르트의 입장을 본고에서는 ‘불연속성 속의 연속성’이라고 정의한다. 렌토르프의 연구는 바르트 신학의 신학사적 의미와 체계적 구성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유주의 신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렌토르프의 자유주의 신학적 바르트 해석을 소개함으로써 대체로 정통주의적-교의학적 해석에 고착되어 있는 국내 바르트 연구의 한계를 넘어 바르트와 자유주의 신학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촉발하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Barth-studies can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three tendencies: dogmatic interpretation, socialist interpretation, and liberal theological interpretation. While in Korea the dogmaticorthodox interpretation consists the main stream of Barth research and the socialist one is partly introduced, the liberal theological interpretation remains almost unspoken. This article deals with interpretation of Trutz Rendtorff’s, who is the representative of the liberal theological Barth study, called ’Munich interpretation’. In contrast to the general view that Barth is completely cut adrift from liberal theology, Rendtorff presents the thesis that Barth critically inherits the concept of autonomy, the core idea of modern liberal theology. The characteristic concepts of Karl Barth’s theology, such as totaliter aliter, christological concentration, theology as the function of church etc., are in fact the covert application of main concern of liberal theologians such as Semler and Troeltsch. In this way, Barth inherits the liberal theology critically and tries to reconstruct theology in harmony with the main spirit of liberal theology. In spite of the superficial confrontation with liberal theology, Barth’s theology is in reality in continuity with liberal theology. In this essay, Barth’s position to liberal theology is defined as ’continuity in discontinuity’. Rendtorff’s Barth interpretation shows that the study about liberal theology is more needed than ever for balanced evaluation of historical and systematical meaning of Barth’s theology. This article may offer desiderium for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arl Barth and liberal theology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orthodoxdogmatic Barth interpretation in Korea.

      • KCI등재

        칼 바르트 신학 속에 내재된 교회와 사회의 관계성에 대한 현대신학의 제(諸)이해: 존재론적 계층 구조로 읽기

        오성욱 ( Oh Sung Wook ) 한국조직신학회 2016 한국조직신학논총 Vol.45 No.-

        본 논문은 북미 칼 바르트(Karl Barth) 신학 연구가들 사이에서회자되고 거명되는 ``바르트의 교회와 사회``에 대한 다양한 해석들중에서 대표적인 해석을 살펴보고, 각각의 해석들이 지니고 있는 단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필자는 "존재론적 계층 구조로 읽기"를 제안한다. 바르트가 이해한 교회와 사회에 대한 관계성은 다양한 해석의여지를 남겨 놓고 있다. 그래서 헐버그(Will Herberg)는 상응의 관계로, 마르크바르트(Friedrich-Wilhelm Marquardt)는 갈등과 대립의 관계로, 요다(John Howard Yoder)는 배타적인 무관심(평화 공존)의 관계로 그리고 벤더(Kimlyn J. Bender)는 비대칭적 기독론중심주의의관계로 바르트의 교회와 사회를 해석하고 있다. 상술한 학자들이 제출한 해석은 상당한 강점을 지닌 해석임에틀림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존재론적 계층 구조"라는 또 다른 틀로 바르트가 이해한 교회와 사회의 관계를 전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싶다. 존재론적 계층 구조로서 바르트의 교회와 사회를이해한다는 것은 교회와 사회에 있어서 존재론적으로 교회에 우선순위가 매겨져 있는 존재론적 차이를 바탕으로 엮이어 있으며, 동시에 조화적 공존을 지향해야 하는 관계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회와 사회 사이의 존재론적 위계질서를 전제하고 사회에 대한 교회의 우선성을 인정한다면, 교회는 사회에 대한 비폭력적 감독자이며, 실천적 본보기와 평화적 조정자의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는바르트의 주장이 한결 수월하게 이해될 것이다. 동시에 교회의 간섭과 향도(響導)가 전제되지 않고 자신만의 자율성을 가진 세속적인영역은 결코 존재할 수 없다는 결론에까지 이르게 된다. 필자가 주장하는 ``존재론적 계층 구조로 바르트의 교회와 사회읽기``는 어느 특정 시기의 어느 특정 저서에만 나타난 바르트의 관점이 아니라 바르트 신학 전체의 기저에 흐르는, 희미하지만 일관된관점이라는 논지이기 때문에 이 논지를 증명하기 바르트의 대표적인 저서들 속에 나타난 ``야곱의 교회와 에서의 교회,`` ``그리스도인공동체와 시민 공동체`` 그리고 ``형제애적 그리스도의 통치``라는 개념의 배후에 놓여있는 교회와 사회의 관계를 ``존재론적 계층 구조``의 관점에서 집중탐구해야 한다. 존재론적 계층 구조라는 관점으로 바르트의 교회와 사회의 관계를 읽어 내는 것이 가능하다는 신학적 공감대가 형성된다면 기독론중심주의라고 알려진 칼 바르트의 신정통주(Neo-Orthodoxy)는 교회론중심주의 신학이라고 규정된 급진 정통주의(Radical Orthodoxy)와 교회론적 대화를 시도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필자의 견지에서 볼 때 기독론 중심주의 신학과 교회론 중심주의 신학이 서로 만나서 대화하고 소통할 때, 더욱 건설적인 신학체계가 수립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기독론이 씨앗이라면, 그 씨앗이 줄기와 가지를 내고꽃을 피워 맺은 열매가 ``그리스도의 몸``, 곧 교회라고 말할 수 있기때문이다. Karl Barth`s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society has been interpreted from many different perspectives. While Will. Herberg suggests that Barth understands this relationship as a correspondent, Friedrich-Wilhelm Marquardt argues the constant conflict between the Church and society in the theology of Karl Barth. On the other hand, John Howard Yoder portray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society in Barth as "both a mutual indifferent and a peaceful coexistent." Kimlyn J. Bender revie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society in Barth from the "asymmetrical Christocentric" perspective. Bender`s asymmetrical Christocentric perspective focuses on Barth`s venn diagram which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society in Barth`s theology: At the center Jesus Christ is fixed, inner circle is the church, and outer circle is a secondary society. In this structure, the Church plays an important role of the bridge between Jesus Christ as the center and society, and the Church has a priority over the society. Hence, The Church and society in Karl Barth are an "asymmetrical Christocentric" relationship. Based on Bender`s asymmetrical Christocentrism, however, I would like to propose the relationship of the ontological hierarchy between the Church and society in Karl Barth. In the God`s redemptive economy, society is ontologically next to the Church. This ontological hierarchy maximiz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urch and society, and illumines Church`s ontological responsibility for the society. This means that the Church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socio-political issues raised by society. In the process of active participation of the Church into society, the Church should show a good model for society and serve as a peaceful superintendent.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of ontological hierarchy between the Church and society in Barth, this paper intends to reinterpret Barth`s theology from the Christocentric perspective to the ecclesio-centric perspective. In additions, This paper also seeks to find the nature of Radical Orthodoxy within Barth`s neo-Orthodoxy.

      • KCI등재

        칼 바르트와 이삭 아우구스트 도르너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중재신학자 도르너의 신학은 바르트와 신개 신교주의를 잇는 가교로 주장될 수 있는가

        이상은 ( Sang Eun Lee ) 한국조직신학회 2012 한국조직신학논총 Vol.33 No.-

        The the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mediating theologian I. A. Dorner, standing in the tradition of Schleiermacher, and dialectical theologian Karl Barth has been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theologians who tried to argue that there is a connection between Karl Barth and Neo-Protestantism. Among such theologians, the representative ones are W. Panneberg, who tried to link Barth`s theology to G. W. F. Hegel`s speculative theology, and J. Moltmann, who attempted to develop social Trinitarian theology criticizing that Barth`s Trinitarian theology was confined in the modern theological trend which emphasized the subject. As these theologians did, when Barth is examined on the basis of modern theology which is centered on the concept of subject, it seems Barth had influence of Dorner`s Trinitarian theory because Barth`s concept of “one personal God and three mode of being” shares the concept of subject with Dorner`s, and, also, similarities are observed in their conceptual development. However, the examination of Barth`s linkage to Dorner`s theology should begin with a careful examination of the context in which Barth evaluates Dorner, along with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Barth took note of Dorner`s trintarian doctrine because he saw in it a possibility of overcoming Neo-Protestanistic Anthropocenticism. On the other hand, Barth criticized Dorner`s theology in that it still failed to overcome the limits of the 19-century theology. When it comes to Trinitarian doctrine which i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concept of subject, Barth emphasized the sovereignty of God, while Dorner placed importance on the system creat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his theology. Barth`s emphasis on God`s sovereignty makes it unjustifiable to claim that there is a hidden connection between Barth and speculative theology. It must also be pointed out that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theologians within subjectobject frame, which is based on subjectivity in Barth`s dogmatics, is only a partial way of understanding their relationship. When examined against the basis on which these two theologians are standing, that is, Christocentrism, it cannot be viewed proper. Thus, examination of such basis is essential in the analysis. Despite his own theologically speculative system, Dorner tried to emphasize Christ as the center. Such Christocentrism is visible in his theses on Immutability of God. Barth paid special attention to the contents of these theses, as he developed the structure of church dogmatics, from the structure of subject to the structure of Christocentrism. Hence-forth,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is based not only on subject-object structure but also on the common ground of their Christocentric theology. Thus, it is improper, in analysis, to regard Dorner`s theology as a “missing link” between Barth and Neo-Protestantism. Instead, Barth`s relation to Dorner must be examined in the context that Barth saw a potential of overcoming the problem of Neo-Protestantism, and he carried Dorner`s Christocentric theology for his own dogmatic work.

      • KCI등재후보

        칼 바르트의 속죄론과 보편구원론

        우병훈 ( B Hoon Woo ) 개혁신학회 2014 개혁논총 Vol.32 No.-

        바르트가 보편구원론을 주장하는가 아닌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그의 신학의 다른 주제들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답변들이 주어졌다. 어떤 학자들은 바르트가 보편구원론자가 아니라고 주장하며(조셉 베티스, 존 콜웰), 다른 학자들은 그가 보편구원론자라고 주장하고(한스 우르스 폰 발타자르, G. C. 베르카워, 올리버 크리스프), 또 다른 학자들은 바르트가 그 문제에 대해서는 일부러 답하지 않고 남겨 두었으며 그의 구원론은 보편구원론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양분시키는 틀에 끼워 넣을 수 없다고 한다(T. F. 토런스, 조지 헌싱어). 본 논문은 바르트의 속죄론은 필연적으로 보편구원론에 봉착할 수밖에 없음을 증명하고자 한다. 이때까지의 학계에서는 바르트의 보편구원론이라는 주제에 대해서 주로 그의 예정론에 집중하여 연구해 왔다. 하지만 이 논문에서는“바르트가 안셀무스의 속죄론을 어떻게 수용하며 또한 어떻게 반대하고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이 문제에 접근하고자 한다. 이 점이 이 논문의 기여이다. 『로마서 주석』에서 바르트는, 하나님께서 자신의 명예를 실추시킨 자들을 반드시 벌해야 한다는 안셀무스의 명제를 받아들인다. 『교회교의학』I/2에서 바르트는 안셀무스의 Cur Deus Homo의 주장을 따라 성육신에 있어서 하나님의 자유를 옹호한다. 하나님은 타락한 인간을 구원하실 수도 있고, 벌하실 수도 있는 자유를 가지신다. 하지만 인간을 구원하시기로 스스로 결정하신 이상하나님의 지혜에 가장 맞는 방법은 오직 성육신하신 신인(神人)을 통해서 구원하시는 길이다. 이와 같은 안셀무스의 속죄론이 하나님의 자유와 그리스도의성육신의 필요성 모두를 잘 설명해 준다고 바르트는 믿는다. 이러한 논조는『교회교의학』II/1에서도 이어진다. 바르트는 안셀무스에 동의하면서, 인간의 죄는 단지 신적 용서라는 자비의 행위로만으로는 제거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바르트는 그러나『교회교의학』IV/1에서 안셀무스의 속죄론과 결별하기 시작한다. 속죄론을 지나치게 기독론화 함으로써, 바르트는 객관적 속죄론(혹은 보편적 화해론)의 입장으로 점점 기울어진다. 안셀무스가 하나님의 존엄과 신적 의지의 자유 모두를 확고하게 견지한 지점으로부터 바르트는 떠난다. 이제『교회교의학』IV/1의 바르트는 다만 하나님의 자비의 필연성만을 강조할 뿐이다. 하나님의 자비와 하나님의 정의 사이의 관계에서는 언제나 하나님의 자비가 주도권을 잡는 방식으로 역사하며, 그런 방식으로 하나님의 자비와 하나님의 정의는 일치된다고 바르트는 주장한다. 이것은 하나님의 자비와 하나님의 정의를 대등하게 보고 둘 사이의 균형을 잡는 안셀무스의 속죄론의 기본 논조를 떠난 것이다. 이렇듯, 바르트가 안셀무스의 속죄론을 수용하고 배제하는 과정을 고찰해 본다면, 후기 바르트의 속죄론은 보편구원론을 내포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This essay aims to argue that Karl Barth`s doctrine of the atonement necessarily leads to universalism. It seeks to prove the thesis by observing Barth`s reception of Anselm`s doctrine of the atonement. Barth`s doctrine of objective atonement develops as he distances himself from Anselm`s doctrine of the atonement. In his Romerbrief, Barth endorses Anselm`s idea that God who is robbed of his honor must punish those who robbed him. In Church Dogmatics I/2, Barth advocates divine freedom in the incarnation with the support of Anselm`s Cur Deus Homo. Barth holds that Anselm`s doctrine of the atonement preserves both God`s freedom and the necessity of Christ`s incarnation. The positive endorsement of Anselmian motives in Cur Deus Homo continues in Church Dogmatics II/1. Barth maintains with Anselm that the sin of humanity cannot be removed by the merciful act of divine forgiveness alone. In Church Dogmatics IV/1, however, Barth`s doctrine of the atonement diverges from that of Anselm. By over-christologizing the doctrine, Barth completes his formulation of objective atonement. He finalizes the necessity of God`s mercy at the place where Anselm firmly establishes the dignity and freedom of the will of God. In Barth`s view, God`s mercy is identified with God`s righteousness in a distinctive way where God`s mercy always takes the initiative. The change in Barth`s reception of Anselm`s doctrine of the atonement shows that Barth`s doctrine entails support for universalism.

      • KCI등재

        롤랑 바르트의 비평에 내재하는 정신분석적 사유

        한용희 한국프랑스학회 2019 한국프랑스학논집 Vol.105 No.-

        Le rôle de la psychanalyse dans l’œuvre de Roland Barthes n’a, jusqu’à présent, pas encore été bien étudié. Notre recherche a pour but de révéler la pensée psychanalytique dans la critique barthésienne. Pour ce faire, nous avons d’abord examiné le rapport de la linguistique et de Saussure avec le structuralisme. Levi-Strauss est le précurseur du structuralisme. Il a en effet souligné l’importance de la linguistique dans la science sociale. Pourtant, il a avoué que la psychanalyse est une des “trois maîtresses” lui ayant permis de développer son épistémologie. Roland Barthes a pareillement désigné le rôle décisif de la linguistique dans le travail structural. Le fait que deux pionniers du structuralisme aient fortement souligné l’importance de la linguistique dans le structuralisme a peut-être masqué que diverses épistémologies existent dans l’œuvre de Roland Barthes. Parmi elles, la pensée psychanalytique est assez importante pour bien comprendre sa critique. Nous avons ainsi examiné la tendance des études sur la psychanalyse dans les travaux de Roland Barthes. Certaines études simples ou rapides ne sont pas suffisantes pour bien révéler l’epistémologie psychanalytique dans sa critique. Nous sommes surtout déçu par le fait que Julia Kristéva, en tant que psychanalyste, n’a pas profondément traité la critique psychanalytique de Roland Barthes, dans son œuvre Sens et non-sens de la révolte, Pouvoirs et limites de la psychanalyse I, même si elle y a accordé un chapitre sur Roland Barthes. Pour élucider le concept du mythe dans Mythologies, connu comme étant un travail sémiologique, Roland Barthes met en avant la ‘condensation’ et la ‘déformation’ qui sont les éléments fondamentaux dans le travail de l’inconscient. Ces concepts sont précisément développés par Freud pour expliquer la structure de l’inconscient, surtout du rêve. Pour Roland Bathes, le système du mythe est semblable à celui de l’inconscient. Dans l’œuvre Sur Racine, connue comme étant un travail structuraliste, Roland Barthes a critiqué le théâtre racinien en invoquant la pensée freudienne développée dans Totem et Tabou. Selon lui, le processus de prohibition de l’inceste dans l’hypothèse freudienne se retrouve dans les actions fondamentales du théâtre racinien : “l'inceste, la rivalité des frères, le meurtre du père, la subversion des fils”. Barthes a également avoué qu’il a du beaucoup à Charles Mauron qui a écrit “une excellente psychanalyse de Racine”. A travers diverses références, on peut conclure que le degré d’influence de l’épistémologie psychanalytique n’est pas négligable dans l’œuvre de Roland Barthes. Nous laissons pour de futures recherches la psychanalyse de la thématique, la psychanalyse de la théorie du texte et l’influence de Lacan dans l’œuvre de Roland Barthes.

      • KCI등재후보

        칼바르트의 신적 위격개념 ‘Seinsweise’에 대한 개혁주의적 비평

        김용준(Kim, Yong-Jun) 개혁신학회 2012 개혁논총 Vol.21 No.-

        Barth prefers not to use the term ‘person’, but rather ‘mode of being.’ With the term ‘mode of being(Seinsweise)’ Barth intends to express the same thing as expressed by the term ‘person’ not absolutely but relatively better, more simply and more clearly. For Barth, the Middle Ages’ concept ‘person’ was constituted by Boethius’ definition: personae strationalis naturae individual substantia. The concept of ‘three persons’, for Barth, implies three individuals, that is, tri-theism. Pannenberg and Moltmann criticize Barth’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person as the meaning of modalism. However, Isidro, Jowers, Torrance, Jonker and Louis Berkhof agree that Barth’s term ‘Seinsweise’ is not a kind of Sabellianism. And Hill takes the middle position between critique and support of the term Seinsweise. However, Barth’s ‘Seinsweise ’differs from the traditional usage with his endeavour to reject the possibility of human speaking about God. Although there are verified opinion if the term ‘Seinsweise’ leans towards modalism(Sabellianism) or not. it is clear that Barth misused and misunderstood the traditional term ‘Seinsweise(τρόποϛ ὑπάρξϵωϛ)’. Since this term explains the concept that ‘in those Persons or hypostaseis one and the same divine being is presented in distinct objective and permanent expressions, though with no variation in divine content’. The problem of Barth’s understanding ‘Seinsweise’ is closely connected not only with Feuerbach’s critic of the traditional concept of divine Person, but also with Barth’s criticism against ‘Natural theology’. This Methodology implies another ‘Entmythologiung.’ Therefore the term ‘Seinsweise’ cannot be used for the term ‘person’. Therefore we, Reformed theology reject his suggestion term 바르트(K. Barth)는‘위격’(person)이라는 용어 보다‘존재의 양태’(Seinsweise)를 사용하려고 한다. 그는‘존재의 양태’라는 용어를 절대적인 것으로서가 아니라 관계적으로 그리고 더욱 단순하고 분명하게 '위격'과 동일한 의미로 표현하려고 했다. 바르트에게서 중세‘위격’(person) 개념은 보에티우스(Boethius)가 정의한 위격 개념으로‘위격은 본성의 이성적인 개별적 실체다’. 바르트는 이 세 위격들은 세 개별을 의미하므로 삼신론이라는 것이다. 판넨베르그(W. Pannenberg)와 몰트만(J. Moltmann)은 바르트의 위격 개념인‘존재의 양태’개념을 양태론으로 비판한다. 그러나 이시드로(C. T. Isidro), 조월스(D.W. Jowers), 토랜스(T.F. Torrance), 용커(D.W. Jonker), 벌코프(L. Berkhof )는 바르트의‘존재의 양태’가 사벨리안주의가 아니라는데 동의한다. 그리고 힐은 이 두 관점을 절충한 중립적 입장을 주장 한다. 그러나 바르트가 사용한 이‘존재의 양태’라는 용어는 하나님에 대하 말하려는 인간의 가능성을 제거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전통적인 용례와는 다르다. 비록 이 존재의 양태(Seinseweise)가 양태론 또는 사벨리안주의로 기울었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있지만 바르트는 전통적인 용례 트로포스 휘파륵세오스(τρόποϛ ὑπάρξϵωϛ)를 잘못 사용했고 오해 하였다. 비록 신성에는 어떠한 다양성이 없지만, 이 위격들 안에 하나 그리고 동일한 신적 존재가 구분된 대상과 영원안에서 표현된다는 개념을 설명하기 때문이다. 바르트의‘존재의 양태’(Seinsweise)에 대한 이해의 문제는 신적 위격의 전통적 개념에 대한 포이에르바허(L. Feuerbach)의 비평과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바르트 자신의‘자연신학’에 대한 비판과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바르트가 사용한 '존재의 양태'는 인격이라는 용어를 대신해 사용될 수 없다. 그러므로 개혁주의 신학은 그의 제안을 거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