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 제작 분야의 4차 산업혁명

        장민호(Chang, Minho) 한국문화산업학회 2017 문화산업연구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음악 제작 분야의 1차, 2차, 3차, 4차 산업혁명을 규정하고 다가올 4차 산업 혁명에서 음악 제작 분야에 어떤 변화가 있을지에 대한 예견과 이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증기기관을 이용한 1차 산업 혁명이 기계 혁명을 불러일으켰듯이 음악분야에서도 기계 혁명이 악기 제작과 악보 인쇄를 바탕으로 엄청난 음악의 발전을 일으켰다. 전기 동력을 이용한 2차 산업혁명이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였듯이 전기를 이용한 악기 개발과 녹음 기술은 음악의 제작과 감상의 패러다임을 획기적으로 바꾸어 놓았다. 이후 컴퓨터와 인터넷,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이 생산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는 3차 산업혁명을 가져왔고 이러한 요소가 음악 제작에도 동일하게 나타나 컴퓨터를 기반으로 음악 제작의 보편화와 생산성의 극대화를 이루었다. 1차, 2차 , 3차 산업혁명을 거쳐 4차 산업 혁명은 빅데이터, 인공지능, 로봇공학, 사물 인터넷, 3D 프린팅 등 다양한 혁신 기술을 기반으로 인간을 중심으로 하는 online과 offline을 연결하는 산업의 혁신을 예고하고 있다. 음악 분야에서도 이러한 현상은 비슷하다. 음악분야에서도 4차 산업혁명은 제작과정에 많은 혁신을 일으켜 생산성의 향상을 가지고 올 것으로 예견되나 필연적으로 인공지능에 의해 대체될 수밖에 없는 영역이 상대적으로 많기에 대량 실업의 위험성도 높다. 이로 인해 A.I 기반의 아티스들과 저작물을 관리하는 새로운 형태의 직업군도 등장할 것이다. 4차 산업 혁명을 대비하여 음악인들도 영역간의 경계를 허무는 융합의 자세를 취해야 할 것이며 기술과 플랫폼을 가진 경영자들은 음악가들을 부품이 아닌 자산이나 가족으로 생각해야 할 것이다. 결국 4차 산업 혁명 시대에는 단순한 작업은 기계에 의해 대체될 것이나 영감과 창의성을 가진 창작인은 앞으로도 환영받을 것이다. 이를 위해 예술 교육의 형태도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하는 방향으로 발전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prescribes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s in the field of music production and predicts what changes will be made in the field of music production in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Just as the first Industrial Revolution triggered the mechanical revolution utilizing the steam engine, the mechanical revolution led to the development of music based on musical instrument production and music printing. . As the secondary industrial revolution using electric power made mass production possible, the development and recording technology using electricity drastically changed the paradigm of music production and appreciation. Since then, the development of computers, the Internet,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a third industrial revolution that greatly improves productivity. In the field of music production, computer-based music production has become universal and productivity has been maximized. After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dustrial revolution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arrived based on a variety of innovative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ics, Internet of Objects, and 3D Printing. In the field of music, this phenomenon is simila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expected to bring about a lot of innovations in the production process to improve productivity, but the danger of mass unemployment is also high because there are relatively many areas that are inevitably replac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will result in the emergence of a new type of occupation to manage copyrighted works that A.I based artists produce. In preparation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usicians should also take a convergence attitude that breaks the boundaries between areas, and managers with technology and platforms should think of musicians as assets or families rather than as parts. After all,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imple works will be replaced by machines, but creators with inspiration and creativity will be welcome in the future. To this end, the form of art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nurturing creative talents. 본 연구에서는 음악 제작 분야의 1차, 2차, 3차, 4차 산업혁명을 규정하고 다가올 4차 산업 혁명에서 음악 제작 분야에 어떤 변화가 있을지에 대한 예견과 이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증기기관을 이용한 1차 산업 혁명이 기계 혁명을 불러일으켰듯이 음악분야에서도 기계 혁명이 악기 제작과 악보 인쇄를 바탕으로 엄청난 음악의 발전을 일으켰다. 전기 동력을 이용한 2차 산업혁명이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였듯이 전기를 이용한 악기 개발과 녹음 기술은 음악의 제작과 감상의 패러다임을 획기적으로 바꾸어 놓았다. 이후 컴퓨터와 인터넷,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이 생산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는 3차 산업혁명을 가져왔고 이러한 요소가 음악 제작에도 동일하게 나타나 컴퓨터를 기반으로 음악 제작의 보편화와 생산성의 극대화를 이루었다. 1차, 2차 , 3차 산업혁명을 거쳐 4차 산업 혁명은 빅데이터, 인공지능, 로봇공학, 사물 인터넷, 3D 프린팅 등 다양한 혁신 기술을 기반으로 인간을 중심으로 하는 online과 offline을 연결하는 산업의 혁신을 예고하고 있다. 음악 분야에서도 이러한 현상은 비슷하다. 음악분야에서도 4차 산업혁명은 제작과정에 많은 혁신을 일으켜 생산성의 향상을 가지고 올 것으로 예견되나 필연적으로 인공지능에 의해 대체될 수밖에 없는 영역이 상대적으로 많기에 대량 실업의 위험성도 높다. 이로 인해 A.I 기반의 아티스들과 저작물을 관리하는 새로운 형태의 직업군도 등장할 것이다. 4차 산업 혁명을 대비하여 음악인들도 영역간의 경계를 허무는 융합의 자세를 취해야 할 것이며 기술과 플랫폼을 가진 경영자들은 음악가들을 부품이 아닌 자산이나 가족으로 생각해야 할 것이다. 결국 4차 산업 혁명 시대에는 단순한 작업은 기계에 의해 대체될 것이나 영감과 창의성을 가진 창작인은 앞으로도 환영받을 것이다. 이를 위해 예술 교육의 형태도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하는 방향으로 발전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prescribes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s in the field of music production and predicts what changes will be made in the field of music production in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Just as the first Industrial Revolution triggered the mechanical revolution utilizing the steam engine, the mechanical revolution led to the development of music based on musical instrument production and music printing. . As the secondary industrial revolution using electric power made mass production possible, the development and recording technology using electricity drastically changed the paradigm of music production and appreciation. Since then, the development of computers, the Internet,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a third industrial revolution that greatly improves productivity. In the field of music production, computer-based music production has become universal and productivity has been maximized. After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dustrial revolution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arrived based on a variety of innovative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ics, Internet of Objects, and 3D Printing. In the field of music, this phenomenon is simila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expected to bring about a lot of innovations in the production process to improve productivity, but the danger of mass unemployment is also high because there are relatively many areas that are inevitably replac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will result in the emergence of a new type of occupation to manage copyrighted works that A.I based artists produce. In preparation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usicians should also take a convergence attitude that breaks the boundaries between areas, and managers with technology and platforms should think of musicians as assets or families rather than as parts. After all,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imple works will be replaced by machines, but creators with inspiration and creativity will be welcome in the future. To this end, the form of art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nurturing creative talents.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있어서 과학기술의 발전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 방안 연구

        이재삼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圓光法學 Vol.35 No.4

        4차 산업혁명이란 디지털기술이 바이오산업, 물리학 등과 결합・융합되어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자율주행 등으로 나타나는 기술혁명이라 할 수 있으며, 산업, 경제, 의료, 군사/보안, 농업, 오락 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서 향후 산업계의 선도기술로써 국가 발전에 크게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현행 “4차산업혁명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총체적 변화 과정을 국가적인 방향전환의 계기로 삼아, 경제성장과 사회문제해결을 함께 추구하는 포용적 성장으로 일자리를 창출하고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며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에 입각한 과학기술의 국가 경쟁력 강화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우선적으로, 4차 산업혁명에 입각한 인공지능 및 데이터 기술 등이 정부의 정책상, 산업별, 부처별 연계 부족으로 연구개발 성과가 저조한 실정이다. 그리고 4차 산업혁명에 입각한 핵심 기술수준이 외국에 비해 낮고, 경직된 규제와 지원부족, 그리고 관・산・학 연계 부족으로 집중적인 연구개발 전략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4차 산업혁명에 입각한 과학기술의 인프라가 부족하여 공공서비스 및 공공 스마트 구축・활용이 미흡하고 국제 경쟁력 또한 저조한 상황이다. 아울러 4차 산업혁명에 입각한 과학기술 전문 인력난이 제기되고 있다. 우리나라 교육시스템의 유연성 미흡, 노동시장의 유연성 등이 부족하고, 청년들의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스타트업에 대한 환경 조성도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에 입각한 과학기술의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우선적으로, 범정부 차원에서의 과학기술혁신 정책방향을 설정하고 각 부처간 그리고 창출, R&D시스템 혁신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4차 산업혁명 관련 국가 전략기술의 구축을 위한 국가 ICT 네트워크의 인프라의 구축과 시스템 S/W 및 네트워크, 센서, 소재 관・학・산업체 간 상생협력과 자체평가를 통한 성과관리에 주력해야 한다. 그리고 4차 산업혁명에 입각한 선도적인 핵심기술개발과 융합 신산업 육성,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 모델 등 핵심기술의 연구개발과 지원책이 필요하다. 아울러 4차 산업혁명에 입각한 창의적 사고를 지닌 유능한 인재의 양성과 일자리 창출 및 창업정책이 필요하다.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인식과 역량이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창의성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김춘호(Kim, ChunHo) 한국창업학회 2020 한국창업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출현으로 급변하는 사회구조와 산업생태계 변화에서 대학생들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과 역량이 창업의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 영향관계에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적 변수라 할 수 있는 창의성에 따라 창업의지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 4차 산업혁명시대에 부합되는 대학에서의 창업교육의 질적 발전 방향에 도움을 주고자 진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잠재적 창업가인 대학생들의 창업의지 형성에 있어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과 역량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과 창의성이 조절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자료 120부를 수집하여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기존 문헌 등을 토대로 도출한 가설을 설문분석결과로 검증한 결과, 첫째, 4차 산업혁명역량은 창업의지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쳤다. 분석결과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역량 수준이 높을수록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효과성이 확인되었다. 둘째, 4차 산업혁명인식은 창업의지에 유의적인 영향관계가 성립되지 않아 가설은 기각되었다. 셋째, 4차 산업혁명인식이 높을수록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창의성은 조절효과의 역할로 작용하지 않은 반면, 4차산업혁명역량과 창업의지의 영향관계에서는 유의적인 정(+)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역량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긍정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대학의 4차 산업혁명이 요구하는 핵심 역량과 효과에 대해 입증하였다. 기존 일부 학자들에 의해 실증되고 있는 대학생들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과 창업의지와의 인과관계에 대해 하나의 실증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이론적인 기반을 제시하였다. 또한, 4차 산업혁명의 역량과 창업의지의 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 실증한 창의성은 4차 산업혁명 역량의 효과를 상승시키며 창업의지를 함양하는 조절효과가 있음이 실증을 통해 확인되어 실증적 고찰을 통한 이론적·실무적 발견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how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and capabilit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ffect the formation of willingness to start along with their creativity in order to help in the direction of qualitative developmen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universities. To verify the hypotheses derived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we collected to use the survey responses from 120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a four-year univers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core competency level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ore positively it influenced the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Second, the hypothesis was rejected that percep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will to start up. Third, the higher the awarenes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creativity did not act as a moder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of perception and the will to start the business. This study proved the core competencies and effects required by the university s 4th Industrial Revolution by empirically verifying the positive effect of the competency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n the will to start up. The theoretical basis was presented by one empirical result for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etenc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willingness of entrepreneurship among the university student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rough empirical evidence that the creativity demonstrated as an additive moderator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apabilit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willingness to start the businesses.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의 대응을 위한 부패방지와 윤리규범 성찰

        김경동(Kim, Kyung Dong 한국부패학회 2021 한국부패학회보 Vol.26 No.1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응을 위하여 부패방지와 윤리규범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4차 산업혁명은 급격한 변화를 초래하기 때문에 적절한 대응을 위하여 부패방지와 윤리규범에 대한 설정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1-4차 산업혁명의 변혁적 특성을 고찰하고, 코로나19 펜데믹의 여파를 통하여 사회변혁과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미국, 일본, EU와 한국정부의 대응책을 간략하게 다루었다. 이 과정에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주요국의 대응과 한국정부의 대응이 경제적 관점과 기술적 차원에 머물러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윤리적 차원의 대응 역시 빅데이터 활용이나 정보교환과정에서 발생하는 개인정보 보호문제에 한정되는 상황을 재인식하였다. 동일선상에서 4차 산업혁명을 둘러싼 문제들은 (1) 인간의 존엄성 문제, (2)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수용성 문제, (3) 윤리규범의 설정과 부패방지 문제 등으로 제시된다. 이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4차 산업혁명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이 인간의 존엄성 훼손에 대한 우려와 심리적 불안감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정리된다. 특히, 인간의 존엄성 문제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간의 욕망과 변혁적 특성에 기인한다. 애초에, 1-4차 산업혁명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간의 효용과 편리성을 극대화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다만, 1-3차 산업혁명은 인간의 효용과 편리성을 극대화하는 과정에서 과학기술이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와 대조적으로, 4차 산업혁명에서 과학기술이 인간을 점진적으로 대체하고 있다. 어느시점부터, 인간의 노동력 자체가 비효율로 취급되어 인간이 기계로 대체되는 심리적 불안감과 우려는 지속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인간의 존엄성 훼손은 피할 수 없게 되어 4차 산업혁명을 관통하는 문제의 본질이 된다. 4차 산업혁명을 둘러싼 수용성 문제는 국가주도의 정책개입으로 인해 논란을 일으킨다. 결국, 이러한 일련의 흐름은 4차 산업혁명에 우리가 대응하기 위해 부패방지와 윤리규범을 성찰하게 한다. 본 연구가 후속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길 바라며, 연구를 종결한다. This study researched to respond anti-corruption and ethical standards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Results of this study, becaus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rings about drastic changes, In order to respond appropriately, anti-corruption and establishment of ethical standards are required. To this end, this study exmined considering the changing characteristics of the 1st-4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the aftermath of the Corona19 pendemic. And, this study briefly looked at the countermeasures of the US, Japan, EU, and Korean governments in respons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ponses of major countries and the Korean government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remained in the economic and technical dimensions. In addition, it was recognized that the ethical response was also limited in term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using big data or exchanging information. On the same line, the problems surround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presented as (1) the problem of human dignity, (2) the problem of acceptabilit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3) the establishment of ethical norms and the problem of anti-corrup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ppear to be due to concerns about the loss of human dignity and psychological anxiety that the problems arising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Especially, the problem of human dignity stems from human desire and transformative characteristics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t first, the ultimate purpose of the 1st-4th industrial revolution starts from maximizing human utility and convenience. Merely in the first and third industrial revolutions, science and technology played an auxiliary role in maximizing human utility and convenience. In contrast, science and technology are gradually replacing human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t some point, the psychological anxiety and concern that human labor itself is treated as inefficiency and humans are replaced by machines inevitably persist. Therefore, the damage to human dignity is inevitable and becomes the essence of the matter penetrat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issue of acceptability surround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ouses controversy due to state-led policy intervention. In the end, this series of trends makes us reflect on anti-corruption and ethical norms in order to respon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 hope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subsequent studies, and I conclude the study.

      • KCI등재

        4차산업혁명 시대의 기독교교육 방향성 제고

        임창호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8 기독교교육논총 Vol.56 No.-

        The term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become hugely popular in Korean society, so popular that it now turns up in all aspects of society, including politics, economy, society, religion, education, and culture. It is well known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s principal impact on life is to make all things faster and more efficient. One might even say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the dawn of a new era of hyper-connectivity and hyper-intelligence. Biotechnology, cloud computing, the Internet of things, business platforms, artificial intelligence (AI), self-driving cars, 3D printing, big data, and robotics are among the leading concep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Korea has already experienced firsthand the shocking potential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en “AlphaGo,” an AI computer program developed by Google affiliate “Deepmind,” defeated Sedol Lee, the world's best Go player, in a 4 (wins) to 1 (loss) Go match in March 2016. Becaus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radically alter life at all levels(from individuals and nations to societies and humanity), every field of study must pay close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this phenomenon. This research paper attempts to stud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rom a comprehensive Christian educational perspective, including from the perspectives of churches and Christian schools. It maps various directions that Christian education may develop into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with commentary on how the form and substance of Christian education should be rethought and redesigned. The paper discusses, in order, the international reactions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conten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ts rippling effect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s effects on education, domestic reactions from Secular and Christian Education circles in Korea, and additional considerations from a Christian Educational perspective. Finally, the paper explores, from a Christian educational perspective, the impact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on fundamental aspects of human education, including personality and character, creativity,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4차 산업혁명이라는 용어가 최근 들어 한국사회 전반에 걸쳐 폭넓게 통용되고 있다. 정치, 경제, 사회, 종교, 교육, 문화 할 것 없이 이 용어를 언급하지 않는 곳이 없다. 주지하는 바대로 4차 산업혁명의 특징은 삶의 대부분 영역을 빠른 속도로 바꾸어가고 있다는 데 있다. 이를 초연결, 초지능시대의 돌입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바이오,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비즈니스플랫폼, 인공지능(AI), 자율주행자동차, 3D프린트, 빅데이터, 로봇 등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끄는 대표적인 개념들이다. 2016년 3월, 딥마인드의 인공지능 알파고가 세계 최고의 바둑기사 이세돌과 대국하여 4대1로 이겼을 때, 이미 4차 산업혁명의 충격은 한국 땅에서도 경험한 바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전개가 개인과 사회와 국가뿐 아니라 가히 세계와 인류의 삶을 통째로 바꾸어가고 있는 메가톤급 영향을 발휘하고 있다는 점에서 모든 영역이 긴장하며 주목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렇듯 요동치고 있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전 앞에서, 교회와 기독교학교들을 포함한 모든 기독교교육 현장에서, 기독교교육의 내용과 형식을 어떻게 리디자인해야 할 것인지 고민하면서 그 방향성 제고를 시도한 연구이다. 글의 내용은 4차 산업혁명의 현상(국제적 반응, 용과 파급효과, 과제와 대책), 교육에의 영향, 국내 일반교육학계와 기독교교육학계에서의 반응, 그리고 기독교교육적 관점에서의 고민과 방향성 제고 등을 차례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간교육의 핵심으로 주목되고 있는 인성, 창의성, 소통, 협력 개념을 기독교 육적 관점에서 재조명하였다. (한글초록) 4차산업혁명이라는 용어가 최근 들어 한국사회 전반에 걸쳐 폭넓게 통용되고 있다. 정치,경제,사회,종교,교육,문화 할 것 없이 이 용어를 언급하지 않는 곳이 없다. 주지하는 바대로 4차산업혁명의 특징은 삶의 대부분 영역을 빠른 속도로 바꾸어 가고 있다는 데 있다. 이를 초연결, 초지능시대의 돌입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바이오,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비즈니스플랫폼, 인공지능(AI), 자율주행자동차, 3D프린트, 빅데이터, 로봇 등이 4차산업혁명 시대를 이끄는 대표적인 개념들이다. 2016년 3월, 딥마인드의 인공지능 알파고가 세계최고의 바둑기사 이세돌과 대국하여 4대1로 이겼을 때, 이미 4차산업혁명의 충격은 한국땅에서도 경험한 바 있다. 4차산업혁명의 전개가 개인과 사회와, 국가 뿐 아니라 가히 세계와 인류의 삶을 통째로 바꾸어가고 있는 메가톤급 영향을 발휘하고 있다는 점에서 모든 영역이 긴장하며 주목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렇듯 요동치고 있는 4차산업혁명 시대의 도전 앞에서, 교회와 기독교학교들을 포함한 모든 기독교교육 현장에서, 기독교교육의 내용과 형식을 어떻게 리디자인해야 할 것인지 고민하면서 그 방향성 제고를 시도한 연구이다. 글의 내용은 4차산업혁명의 현상(국제적 반응, 내용과 파급효과, 과제와 대책), 교육에의 영향, 국내 일반교육학계와 기독교교육학계에서의 반응, 그리고 기독교교육적 관점에서의 고민과 방향성 제고 등을 차례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4차산업혁명시대 인간교육의 핵심으로 주목되고 있는 인성, 창의성, 소통, 협력 개념을 기독교교육적 관점에서 재조 ...

      •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경기도의 대응방향

        김은경,문영민 경기연구원 2016 정책연구 Vol.- No.-

        제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 머신러닝, 로봇, 사물인터넷, 3D 프린팅, 바이오 등이 주도하는 기술혁명으로 불린다. 기존의 산업혁명들은 인간의 노동력을 기계화하고 자동화를 했던 반면 제4차 산업혁명은 인간의 두뇌 자체를 대체하는 혁명적인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예측된다. 미국, 일본, 독일 등 선진국들은 제조업 혁신을 위해 제조업에 ICT를 적용하고, 센서 · 빅데이터 · 로봇 등에 기반한 스마트팩토리를 추진하고 있다. 인터넷이나 모바일에 기반한 개인 맞춤형 제품이나 서비스도 증가되고 플랫폼 기반 비즈니스도 확산되고 있다. 제4차 산업혁명은 ICT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거의 모든 산업에서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논의들을 정리하고 경기도의 정책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4차 산업혁명의 배경, 특징 및 파급효과를 검토하고 제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한국, 미국, 독일, 일본의 주요 정책을 정리 · 비교한다. 또한 제4차 산업혁명의 대표산업인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의 현황 및 전망을 살펴본다.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경기도의 대응방향이 결론으로서 제시된다.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 concept applied to a group of rapid transformations in the design, manufacture, operation and service of manufacturing systems and products. The concept takes account of the increased digitalisation of manufacturing industries where physical objects are integrated into the information network, allowing for decentralised production and real-time adaptation in a smart factory. Automation of the production process, the transmission of data about a product as it passes through the manufacturing chain, and the use of configurable robots will encourage innovation, since prototypes or new products can be produced quickly without complicated retooling or the setup of new production lines. This study first explain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the current industrial evolution and its impact. Then it looks into the detail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ternet of Things relative to Industry 4.0. The report compares also the current initiatives led by Korea, the USA, Germany and Japan on advanced manufacturing technologies. Finally the policy implications for Gyeonggi-Province are outlined and recommendations are made.

      • 경기도 4차 산업혁명 기반조성을 위한 정책방향 연구

        배영임,신혜리 경기연구원 2017 정책연구 Vol.- No.-

        4차 산업혁명은 2016년 개최된 세계경제포럼(The World Economic Forum)에서 이슈화되면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는 이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추진되고 있다. 한국을 비롯한 미국, 독일, 일본, 중국 등은 미래 기술개발과 제조업의 혁신 등 지속가능한 산업경쟁력을 구축하여 4차 산업혁명 아젠다 선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UBS의 국가별 4차 산업혁명 준비수준 평가 결과 25위로 나타나 국가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대응이 절실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풍부한 혁신자원과 역량을 보유한 경기도의 4차 산업혁명 선도를 위한 바람직한 정책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따라서 경기도의 현재 추진 중인 4차 산업혁명 관련 정책현황을 분석하고, 전문가 조사와 중소기업 수요조사를 통해 정책 우선순위와 제조혁신을 위한 정책 아젠다를 도출하였다. 경기도는 현재 미래유망기술 분야에 대한 지원이 고루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능적으로 볼 때, R&D 및 기술지원, 인프라(공간, 정보, 기반구축)분야에 대한 지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교육분야(발명, 기업가정신, 융합교육, 기술혁신 등)에 대한 정책지원이 가장 중요하다고 언급하였으며 경기도의 혁신역량을 활용한 테스트베드의 구축 등 우선적으로 추진할 핵심 아젠다의 선정과 실행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경기도의 중소기업들은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공장을 통한 제조혁신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현재 준비수준은 매우 미흡한 단계로 생산성혁신과 기업경쟁력 확보를 위해 정부와 지자체의 정책지원이 확대되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을 인간과 도시를 위한 가상과 현실의 융합 ‘디지털혁명’으로 정의하고 4차 산업혁명의 정책 목표를 ‘인간의 편리와 삶의 질 향상’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4차 산업혁명의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추진해야 하는 과제로 첫 번째, 사회와 도시의 문제 발굴이며 이를 위해 기업, 공공, 시민 등 도시의 구성원들이 모두 참여하고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해결책을 찾아 나가야 한다. 두 번째,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 투자는 ‘리빙랩 프로젝트’를 통해 추진할 수 있다. 리빙랩은 인간주도형 지능정보사회의 중요한 실천적 방법론으로 새로운 혁신 모델이다. 세 번째, 신기술 테스트베드 구축은 경기도의 강점을 활용할 수 있는 전략으로, 현재 문재인 정부의 공약으로 제시된 1+5디지털시티 등 혁신클러스터 조성사업에 적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테스트베드인 판교 자율주행실증단지 모델을 벤치마킹하여 클러스터별 특성과 컨셉을 반영한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기술개발, 인력양성과 교육, 비즈니스모델 창출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네 번째, 미래 인재양성 교육 프로그램은 4차 산업혁명 시대 가장 중요한 전략으로, 기술 및 산업 전문성을 강조하는 (예비)창업가 대상 메이커프로 그램과 창의와 경험 축적을 위한 초중고 학생 대상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교육과정을 2-track으로 추진해야 한다. 마지막 4차 산업혁명 통합 추진체계 마련 전략 추진을 위해서는 경기도의 4차 산업혁명 추진 전담조직의 신설이 필요하고 테스트 베드를 중심으로 하는 네거티브 규제 및 규제프리존의 설치가 필요하다. 미래 기술기반 신산업 창출을 위해서는 사전적인 규제 없이 자유롭게 실험하고 실증할 수 있는 인프라가 중요하다. 자유로운 규제환경의 마련은 세 번째 전략인 신기술 테스트베드 구축과 함께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 desirable direction of policy to implement the role of promot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Gyeonggi-Do, which possess innovative resources and capabilitie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as discussed at the World Economic Forum held in 2016, and various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to deal with it. Korea, the United States, Germany, Japan and China are trying to build sustainable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rough future technology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innovation to secur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genda. Korea is ranked 25th in UBS"s preparatory level evaluation result of the country"s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trategic response are needed to secure national competitiveness. Therefore, this study derives the policy agenda for Gyeonggi-Do to lea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rioritization of response policy through expert survey, and leading manufacturing innov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strategies that Gyeonggi-Do should promote are as follows. First, it is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stablish a vision. Second, it is an expansion of support for invest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for solving social problems. Third, it is the establishment of a new technology test bed and the spread of smart factories. Fourth, it is the management of future human resource development training program. Fifth, it i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tegration Promotion System.

      • KCI등재

        4차산업혁명에 대한 인식과 소비자교육 책임 기대

        김시월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1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대학생 소비자를 대상으로 4차산업혁명에 대한 인식, 관심 및 추천의도를 알아보고, 소비자교육에 대한 책임의 기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4차산업혁명에 대한 긍정적 인식 요인은 경제적 이익창출, 신뢰성과 안전성, 효율성과 편이성으로 명명하였고, 경제적 이익창출, 효율성과 편이성, 신뢰성과 안전성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4차산업혁명에 대한 부정적 인식 요인은 일자리 감소 및 양극화, 소비자의 소외, 시스템 불안정 및 사 생활 침해 등으로 나타났으며, 4차산업혁명에 대한 관심과 추천의도는 긍정적이었다. 4차산업혁명 관련 소비자교 육에 대한 책임 기대 요인은 정부 책임 교육 기대, 기업 책임 교육 기대로 나타났고, 4차산업혁명 관련 소비자교 육 책임 기대의 차이는 주관적 견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4차산업혁명에 대한 인식 요인별 4차산업혁명에 대 한 관심 및 추천의도, 소비자교육 책임 기대의 인과관계를 살펴본 결과, 일자리 감소 및 양극화와 시스템 불안정 및 사생활 침해를 제외한 모든 요인이 관심 및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쳤고, 이것이 소비자교육에 대한 책임 기대 를 더 높였다. 주목할 것은 4차산업혁명 관련 인식 요인 중에서 소비자 소외는 관심 및 추천의도에 부적인 영향 을 주어, 젊은 소비자의 소외 측면에서 관심 및 추천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은 노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교육의 당위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젊은 세대도 4차산업혁명 관련 소비자교육 책임 기대를 인 지하고 요구한 점, 4차산업혁명 관련 인식 요인 중에서 소비자 소외는 4차산업혁명 관심 및 추천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준다는 면에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4차산업혁명 관심 및 추천의도는 4차산업혁명 관련 소비자교육 책 임 기대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소비자별 4차산업혁명 관심 및 추천의도를 객관적으로 잘 인식하게 하고, 명 확한 정보 및 지식 전달이 중요하다. 4차산업혁명의 기술적 변화를 고려하였을 때 취약계층 소비자들에 대한 소 비자교육이 필수적이며, 사회교육으로서 소비자교육의 중요하다. 이러한 면을 고려한 위드 코로나 시대에 4차산 업 혁명 관련 소비자교육의 지향점에 대한 재인식을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interes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r college student consumers, and examined the expectations of responsibility for consumer education. As a result, positive factors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named economic profit creation, reliability and safety, efficiency and convenience, and were found to be high in the order of economic profit creation, efficiency and convenience, reliability and safety. Negative factors of percep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job loss and polarization, alienation of consumers, system instability, and privacy infringement, and interes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positive. Responsibility expectations for consumer education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ppeared as government responsible education expectations and corporate responsible education expectations, and differences in consumer education expectation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iffered according to subjective view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teres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s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nsumer education responsibility expectations, all factors except job loss, polarization, system instability, and privacy infringement affected consumer edu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among the recognition factor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nsumer alienation negatively influenced interes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showing the justification of education for vulnerable groups such as the elderly. Focusing on these results, the younger generation should also pay attention to the expectations and demands for consumer education responsibility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mong the factors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nsumer alienation negatively affects the interes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Since the interes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closely related to the expectation of consumer education responsibility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important to objectively recogniz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teres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Considering the technical chang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nsumer education for vulnerable consumers is essential, and consumer education is important as social education. Considering this aspect, we look forward to rerecognition of the direction of consumer education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With Corona era.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의 효과와 형사정책적 과제

        이규호(Lee, Kyu Ho) 한국법학회 2019 법학연구 Vol.75 No.-

        초지능화와 초연결화의 혁명인 4차 산업혁명은 기업들이 제조업과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하여 작업경쟁력을 높이는 산업혁명으로 물리학과 디지털기술 등이 서로 융합 연결되는 혁신을 의미하여, 현실과 사이버 공간의 경계를 없애는 변화로도 상징되는데, 변화의 범위와 속도 측면에서는 전면적이고 신속히 경험되고 이미 국가 사회적 의제로서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사회적 실체성을 부정할 수 없다.기업들이 제조업과 ICT를 융합하여 경쟁력을 높이는 4차 산업혁명은, 2016년 1월 스위스 다보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에서 의제로 제시되어 세계인의 주목을 받았고 세계경제포럼의 창시자인 슈밥 회장이 언급한 AI, 로봇, IOT, 자율 주행차, 드론, 3D 프린팅 등이 등장하여 모든 것들이 융합될 것을 예측하게 하고 있다. 여기에서 문제는 산업혁명이 인간가치의 침해나 또는 사람들의 직업에 대한 위협이 되고 수용지연에 따른 혼란을 초래하는 등 사회적 경제적인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몰고 왔다는 측면과 사람이 살고 있는 물리적인 공간을 가상의 사이버공간과 혼합해버리는 4차 산업혁명의 기술이 인간대체기술이라는 측면에 있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인공지능기술과 정보네트워크기술의 결합체인 지능정보기술의 초지능화 및 초연결화를 통하여 인간은 과연 더 인간답고 행복하고 안전하게 삶을 영위할 수 있을까? 융복합 연결이 강조되면서 오히려 사회의 양극화가 더 심화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걱정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우리사회에 양극화 등 분열적 갈등이 심화된다면, 정부로서는 그 통치기능에 위기를 초래할 수도 있다고 보아 정부의 역할과 위기의 대처에 있어서 형사정책인 문제로 노동시장 및 인구변화에 따른 갈등관리, 사물인터넷이나 빅데이터 그리고 불록체인의 등장에 따른 정보보안과 개인의 사생활 보호, 자율주행 자동차나 드론의 등장에 따른 안전성의 확보, 바이오 공학기술에 따른 인간 생명윤리 및 개인의 사생활 보호 등의 문제가 제기될 수 있을 것이다. 기술발전에 부수해서 따르는 부작용의 문제를 더 나은 기술발전으로 해결할 수는 없다. 4차 산업혁명시대 형사정책의 원칙도 민주적인 절차와 제도로 발전되어야 한다고 본다. 지능정보기술 발전의 긍정적인 효과는 수용해야 하고 부정적인 영향에 대응하는 정책은 4차 산업혁명시대의 사회변화 속에서 삶의 질을 중시하는 국민의 안전과 자유권 확보에 집중해서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등에 관한 기술개발자들 역시 자신의 창작물에 안전개념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우리사회의 형사정책 전문가 역시 정보기반 디지털환경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지능정보기술을 현실적인 문제해결에 적용하는 능력·정보흐름을 볼 수 있는 비판적인 사고·첨단기술의 사회 작동 원리에 대한 이해력 등 정보 네트워크 문해력인 디지털문해력(digital literacy) 배양이 요구된다. 국가정책 수립에 있어서도 형사정책적인 성찰에 의한 과제 해결노력이 다른 분야의 노력과 결합해야 될 것이며, 개인정보보호 관련법들은 정보의 활용 보다는 보호에 비중을 두고 있는 편이어서 AI나 빅데이터 등 기술발전을 지연시킨다는 비판을 받고 있으나 개인정보보호와 경제가치로 환산되는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는 균형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n industrial revolution in which compan ies converge manufacturing with ICT to enhance their work competitiveness, and refers to innovations in which physics and digital technologies converge with one another. This is also symbolized by changes that eliminate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cyberspace, which cannot be denied social substance because it is fully and swiftly experienced in terms of the scope and speed of change and is already positioned as a national social agenda. It was put on the agenda at the Davos World Economic Forum in Switzerland in January 2016, drawing global attention, and the emergence of AI, robots, IOTs, autonomous driving vehicles, drones and 3D printing mentioned by Schwab is making it predicted that everything will converge. The problem here is that the industrial revolution has driven both social and economic crises and opportunities, such as infringement of human values or threats to peoples jobs and confusion caused by delayed acceptance, and that th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blends human physical space with virtual cyberspace, is human replacement technology. Throug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n humans lead lives more humanly, happier, and safer? With the emphasis on convergence connectivity, isnt it rather that social polarization is deepening? It is also true that there are concerns about doing so. Given that if divisive conflicts, such as polarization, intensify in our society, could cause a crisis in its governing function, there could be problems such as the governments role and criminal policy in dealing with the crisis, such as conflict management due to labor market and demographic changes, protection of information security and personal privacy due to the advent of Internet of Things, big data and non-rock chains, securing safety due to the advent of self-driving cars and drones, and drones, and biotechnology, and human ethics protection of individuals. Better technological development cannot solve the problems of side effects associated with technological development. I believe that the principle of criminal polic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hould also be developed into democratic procedures and institutions. The positive effects of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should be accommodated and policies to cope with the negative effects should be established focused on securing the safety and freedom of the people who value quality of life amid social change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Of course, technology developers on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will also have to build safety concepts in their creations. Criminal policy experts in our society also need to cultivate digital literacy, a literacy skill in the information network, such as the ability to apply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to realistic problem-solving, critical thinking to see information flow, and understanding the principles of high-tech social operation. Efforts to address the challenges of criminal policy reflection should also be combined with efforts in other areas in establishing national policies, and privacy laws are criticized for delaying technological advances such as AI and big data because they tend to focus on protection rather than the use of information, but balanced measures should be sought to protect data translated int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economic value.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목회의 새 전망: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김정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8 기독교교육논총 Vol.55 N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one of the hot topics currently drawing worldwide attention. In all disciplines of the world, including Korea, research and discussions are underway on what to prepare and how to respond to the great changes in the world brought on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context, the researcher first looked at the concep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cluding an analysis of leading technologies, and major issues that developed during this period. In these situations, I examined areas, tasks and directions of the educational ministry as practical theology. This paper has been divided into five parts: I. Introduction: I raised research motivations and problems involved in the creation of this paper. II. The Main Issu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ost prominent concern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covered across three themes. 1. The Meaning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 discuss the views of three scholars regarding the implication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ere I introduce and analyze concepts of three dominant scholars, including Alvin Toffler's "The Third Wave"(1980), Jeremy Rifkin's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2011), and Klaus Schwab'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2016). 2. The Main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ere I present three domains of technology, including the physical sphere, digital sphere, and biological sphere. 3.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he three concep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Strong Artificial Intelligence(SAI) vs. Weak Artificial Intelligence(WAI), and Issues in Education are examined. III.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ts concerns in Education: Three Educational concerns are presented as follows. 1. Educational concerns of Jeremy Rifkin’s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 2. Educational concerns of Klaus Schwab’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3. Educational concerns of Korea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ge. IV. Educational Ministry Tasks of the Korean Church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ge: Here I discuss three themes pertaining to new situations of Educational Ministry as follows. 1. Historical awareness and self-consciousness of Christian Church. 2. Educational ministry in new situations, caring and nurturing. V. Conclusion: Finally I insist that despite the benefits and convenience of innovative technologies offered to u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f the twenty-first century, we must once again reflect on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education ministry as a source of caring for excluded and alienated human beings. 오늘날 제4차 산업혁명’은 전 지구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뜨거운 관심사들 가운데 하나이다. 한국을 포함하여 세계의 모든 학문 분야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세상의 큰 변화에 대하여 무엇을 준비하고, 어떻게 대응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와 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연구자는 먼저, 제4차 산업혁명의 개념과 그 주요 기술들의 내용, 주요 이슈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실천신학으로서 교육목회가 관심을 가져야 할 영역과 교육목회의 과제와 방향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다섯 부분으로 전개되었다. I. 들어가는 말에서는 연구 동기와 문제를 제기하였다. II. 제4차 산업혁명의 주요 이슈들에서는 세 가지 주제를 다루었다. 1. 제4차 산업혁명의 의미에 대한 세 학자들의 견해를 논의하였다. 1980년 앨빈 토플러의 ‘제3물결’, 2011년 제러미 리프킨의 ‘3차 산업혁명’, 2016년 클라우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의 개념을 소개하였다. 2. 제4차 산업혁명의 주요 테크놀로지들에서는 물리학 기술, 디지털 기술, 생물학 기술 등을 소개하였다. 3. 제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에서는 인공지능의 개념, 강한 인공지능 vs. 약한 인공지능, 인공지능과 교육에서의 이슈 등을 다루었다. III.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 분야의 관심에서는 1. 리프킨의 3차 산업혁명과 교육의 관심, 2.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 3. 제4차 산업혁명시대 한국사회에서의 교육적 관심 등을 소개하였다. IV. 제4차 산업혁명시대 한국교회 교육목회의 과제에서는 1. 기독교회의 역사의식과 자의식, 2. 새로운 상황과 교육목회: 돌봄과 양육 등을 논의하였다. V. 나가는 말에서는 21세기 제4차 산업혁명의 우리에게 선사한 혁신적 기술들의 혜택과 편리함에도 불구하고 여기서 배제되고 소외된 인간에 대한 관심과 돌봄으로서 교육목회의 과제와 방향의 의미를 다시 한 번 성찰함으로 글을 마쳤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